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 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의 의미와 접근 방법 연구

        김찬숙 ( Kim Chan So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패키지 디자인에 있어서 지속 가능성의 개념과 접근 방법의 고찰을 통해 오늘날 패키지 디자인의 새로운 의미와 역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과 사례 연구의 방법을 통해 지속 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을 정의하고 지속 가능성을 위한 패키지 디자인의 접근 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지속 가능성이란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제반 환경과 균형을 갖추어 미래를 유지해 나갈 수 있는 가능성이다. 지속 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은 경제적인 측면뿐 만 아니라 환경적, 사회적 측면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균형을 위하여 디자인 목표를 명확히 세우고 그 결과를 예측하여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접근 방법으로 패키지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사례 연구는 국제 디자인 어워드 중에서 국제적 인지도와 패키지 분야 유무의 기준에 따라 `IDEA`, `Red-dot Design Award`, `iF Design Award`를 선정하여 2011년부터 2016년까지 패키지 분야의 15개 사례에 대한 패키지 디자인의 소재 및 구성 요소, 접근 방법, 목표 대상 등을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본 주요 디자인 접근 방법은 감량화, 재사용, 재활용 및 업사이클, 생분해 등으로 지속 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은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목표 대상과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첫째, 패키지 디자인은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다양한 결과와 영향을 예측하여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디자인되어야 한다. 둘째, 인간의 소비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패키지 디자인은 지속 가능성을 위해 사회 구성원들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노력과 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패키지 디자인은 경제적 이윤을 목표로 패키지의 전체 공정 과정을 최적화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가져다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new meanings and roles of package design through researches on the design approaches and concept of sustainability in packaging. To do this, we defined the meaning of `Sustainable package design` and studied various design methods of sustainability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In this study, we defined that sustainability is the ability to sustain by balancing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n the future. Also, a sustainable package design is to design with sustainable methods of planning a clear goal and predicting results of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aspects. For case studies, research objects were 15 package designs of `IDEA`, `Red-dot Design Award` and `iF Design Award` from 2011 to 2016. The 15 cases were analyzed by design approaches and methods and by materials, components of each packaging. In this paper, main methods of sustainable packaging are `reduce`, `reuse`, `recycle`, `upcycle` and `biodegradation`. For sustainability of packaging, our results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t is necessary to predict various results and effects from a package desig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Second, a package design directly affects consumer behavior. Therefore, sustainable package designs are meaningful to change the behavior of social members and to induce the effor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or social equity. Finally, it is significant to consider the entire design process and methods of a packaging system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 KCI등재

        패션마케팅 활동에 나타난 지속가능디자인 - 국내 패션마켓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 Baek Kyung Won ),유태순 ( Yoo Tai Soon ),조은영 ( Jo Eun 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성의 패러다임 속에서 다양하고 폭넓게 논의되고 있는 지속가능디자인에 대해 정의하고 분류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이해를 도모하려는 것이다. 지속가능디자인의 개념과 전개, 실천사례 등을 고찰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추구 가치와 내용을 파악하고 그 연결성을 추출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전개방법을 분류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디자인의 실행 평가 척도를 구성하고 패션기업 및 브랜드들의 지속가능디자인 전개방법을 알아본다. 연구방법은 서적, 논문, 뉴스 및 기사, 인터넷 자료, 조사연구 기관 및 기업의 연구보고서 등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다. 지속가능디자인의 개념과 실천사례 등을 통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고 그 연결성을 추출하여 분류한 결과, 친환경성, 공공성, 경제성 차원에 따른 6가지의 하위차원으로 세분화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디자인의 실행 평가척도를 바탕으로 패션마켓에서의 지속가능디자인 및 지속가능마케팅 사례를 분석한 결과, 기업의 철학이나 브랜드의 컨셉, 사업규모 및 유통망에 따라 각 패션기업 및 브랜드들의 지속가능디자인 실행방향과 실행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nd classify the connection of sustainable design that is variously and widely discussed in a paradigm of sustainability, so that integrated understanding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design is promoted.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 development, research and practice, the value of sustainable design and content discussed. And then, based on connectivity to classify sustainable design practices. Based on these documents, the criterion for the practice assessment of sustainable design is introduced to investigate the trend for sustainable design of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Research is mainly progressed by studying documents such as books, papers, news reports and articles, internet data, research reports from research institutions and companies.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identifying the connectivity and classify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design through concept and case study of sustainable design, sustainable design was divided into six sub-dimensions according to eco-friendliness, publicness, and economic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actices for the sustainable design and sustainable marketing in the fashion market based on the rating scale assessing performance of sustainable design, the running direction and the extent to which each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execute sustainability were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any`s philosophy, brand concept, or business scale and distribution network.

      • KCI등재

        패션마케팅 활동에 나타난 지속가능디자인 - 국내 패션마켓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백경원,유태순,조은영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성의 패러다임 속에서 다양하고 폭넓게 논의되고 있는 지속가능디자인에 대해 정의하고 분류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이해를 도모하려는 것이다. 지속가능디자인의 개념과 전개, 실천사례 등을 고찰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추구 가치와 내용을 파악하고 그 연결성을 추출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전개방법을 분류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디자인의 실행 평가 척도를 구성하고 패션기업 및 브랜드들의 지속가능디자인 전개방법을 알아본다. 연구방법은 서적, 논문, 뉴스 및 기사, 인터넷 자료, 조사연구 기관 및 기업의 연구보고서 등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한다. 지속가능디자인의 개념과 실천사례 등을 통하여 지속가능디자인의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고 그 연결성을 추출하여 분류한 결과, 친환경성, 공공성, 경제성 차원에 따른 6가지의 하위차원으로 세분화되었다. 또한 지속가능디자인의 실행 평가척도를 바탕으로 패션마켓에서의 지속가능디자인 및 지속가능마케팅 사례를 분석한 결과, 기업의 철학이나 브랜드의 컨셉, 사업규모 및 유통망에 따라 각 패션기업 및 브랜드들의 지속가능디자인 실행방향과 실행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nd classify the connection of sustainable design that is variously and widely discussed in a paradigm of sustainability, so that integrated understanding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design is promoted.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 development, research and practice, the value of sustainable design and content discussed. And then, based on connectivity to classify sustainable design practices. Based on these documents, the criterion for the practice assessment of sustainable design is introduced to investigate the trend for sustainable design of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Research is mainly progressed by studying documents such as books, papers, news reports and articles, internet data, research reports from research institutions and companies.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identifying the connectivity and classify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design through concept and case study of sustainable design, sustainable design was divided into six sub-dimensions according to eco-friendliness, publicness, and economic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actices for the sustainable design and sustainable marketing in the fashion market based on the rating scale assessing performance of sustainable design, the running direction and the extent to which each fashion companies and brands execute sustainability were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any's philosophy, brand concept, or business scale and distribution network.

      • KCI등재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동향 및 전략 연구

        이길옥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8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2 No.3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ly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ion has increased as governments have strengthened domestic and global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consumer awareness of responsibl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ha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is age for research into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to analyze the package design in creating a sustainable life and to propose strategic direction for creating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for a more sustainable life. Firstl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sustainable product package trends were identified. Secondly, for the case studies, desig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were compared and analyzed from multiple angles. Las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five core strategic design approaches for sustainable product package design were proposed with detailed design methods. As a result, the core strategic design approaches are: designs that use resources and energy efficiently, designs that recycle waste, design that can reduce environmental emissions during package disposal, designs that change consumer behavior towards a more sustainable lifestyle, and designs that promote the interest of a sustainable life. In addition, as the role of design i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products, establishment of package design processes based on analyzing environmental impact information, scenario-based design that fuses consumers’ sustainable activities and multi-dimensional and creative design ideas to overcome limitations of material and processing technology need to be developed. 최근 전 지구적으로 플라스틱, 비닐 등의 패키지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패키지 개발과 생산에 대한 정부의 환경 규제 법규가 강화되고 소비자의 지속가능 패키지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회적, 환경적 트렌드를 토대로 기업에 소속된 디자이너들이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개발에 활용 가능한 디자인 전략과 세부적인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첫째, 선행연구 및 관련 문헌자료들을 통해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의 개념을 고찰하였고 정부의 패키지 관련 환경 규제 정책과 동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선진브랜드의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사례연구를 통해 디자인 개발 방법과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다섯 가지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전략과 그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지속가능 디자인을 위한 디자이너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지속가능 패키지 전략으로는 첫째, 자원 및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사용된 디자인 전략으로 패키지 공간비율, 재료 및 표면처리 최소화의 디자인 방법이 있으며, 둘째, 유해물 발생을 최소화한 디자인 전략으로 생분해성 소재, 친환경 잉크 사용 및 표면처리 디자인이 포함된다. 세 번째로는 재사용 및 재활용 디자인 전략으로 재활용 가능 패키지의 분해, 유지보수, 세척이 용이한 디자인을 포함한다. 네 번째, 소비자의 행동을 지속가능 라이프 스타일로 변화시키는 디자인 전략과 다섯 번째로 소비자의 지속가능 라이프의 관심을 촉진시키는 캠페인 디자인 전략이 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 패키지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로써 디자인 개발, 생산, 사용, 폐기 전 과정에서 환경영향 정보 수집 및 분석에 근거한 패키지 디자인 프로세스의 확립이 필요하며, 지속가능 패키지 사용자의 지속적인 활동 유도를 위한 콘텐츠와 서비스가 융합된 디자인, 현재의 소재 및 가공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각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발상을 통한 디자이너의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제안된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의 전략 및 방법을 통하여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 한 산업디자인교육과 업사이클링 브랜드의 방향

        문찬(Moon, Char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2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이란 세계의 사회, 환경과 경제 발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살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하는 교육이다. 이러한 개념은 산업디자인이 지향하는 목적과 유사하다. 연구는 4년제 대학교의 산업디자인 교육을 대상으로 하여 2학년 2학기부터 4학년 2학기까지 5개 학기, 각각 한 개 총 다섯 개 강좌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하는 교과연구를 목표로 수행되었다. 산업디자인은 경제활동의 일부이기도 하므로 생산의 합리적 양산성과 대중 소비를 의식한 마케팅을 고려해야 했다. 그러나 또 다른 관점에서 디자인에 접근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시도 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최종목표는 다양한 방법론을 산업디자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표현을 갖추게 하는 것에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원리와 가치가 사회, 환경, 경제, 그리고 산업디자인교육에 있어 필요하다는 당위성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를 기반삼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지속가능 사고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 교육과정과 브랜드 창출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의 내용은 지속가능발전 교육, 지속가능 디자인의 가능성 및 사례연구, 교과과정 설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ESD교육을 대학의 산업디자인전공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교육과 연계된 학교기업, 브랜드 창출을 목표로 하는 기초연구이다. 물질적 풍요만이 디자인과 경제, 경영을 형성하는 전부는 아니다. 가치관의 혼란을 겪는 현상은 선진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심화되기에 다양한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 디자인의 다양한 접근방법을 고려할 때, 생활의 가치라는 정의를 여러 각도에서 해석할 수 있었다.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a goal what is finding solution of Social, Environment, Economic problem in the world. At the same time it is a education for the sustainable life. This point have similar goal of industrial design. This study is for industrial design major in four year course in university. The sustainable design course is start from fall semester of sophomore to senior class, five semester, 5 class. Industrial design is also a part of economic activities, thus marketing conscious of practice mass production and public consumption must be considered in the design. Bu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methods of approaching design must also be attempted in various ways.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research applying such methodology i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and aming to let students attempt various recognition and attempts regarding value. Confront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Industrial Design education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an society, environment, economic issues. As a result, Industrial Design education by restoring its inherent principles and expanding its external values, has become encountered today with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mplementing ESD is primarily to share the values and cooperate together between education and sustainable brand in the market. This study is focused,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possibility of sustainable design business. The current paper is to discuss practical strategies to effectively offer Industrial design major class what is connecting with ESD. At the same time, another goal is establishing School-based Enterpriseand create brand which is networking with education. Therefore, this is a board report and further study will be in concrete strategy like School-based Enterprise progress, practical curriculum structure. The phenomenon of confusion in the value system deepens as a country becomes more developed, a various kind of critical mind must be had. When considering the values methodology of design, the definition of the value of life could be reinterpreted from many angles.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이란 세계의 사회, 환경과 경제 발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살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하는 교육이다. 이러한 개념은 산업디자인이 지향하는 목적과 유사하다. 연구는 4년제 대학교의 산업디자인 교육을 대상으로 하여 2학년 2학기부터 4학년 2학기까지 5개 학기, 각각 한 개 총 다섯 개 강좌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하는 교과연구를 목표로 수행되었다. 산업디자인은 경제활동의 일부이기도 하므로 생산의 합리적 양산성과 대중 소비를 의식한 마케팅을 고려해야 했다. 그러나 또 다른 관점에서 디자인에 접근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시도 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최종목표는 다양한 방법론을 산업디자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표현을 갖추게 하는 것에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원리와 가치가 사회, 환경, 경제, 그리고 산업디자인교육에 있어 필요하다는 당위성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를 기반삼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지속가능 사고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 교육과정과 브랜드 창출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의 내용은 지속가능발전 교육, 지속가능 디자인의 가능성 및 사례연구, 교과과정 설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ESD교육을 대학의 산업디자인전공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교육과 연계된 학교기업, 브랜드 창출을 목표로 하는 기초연구이다. 물질적 풍요만이 디자인과 경제, 경영을 형성하는 전부는 아니다. 가치관의 혼란을 겪는 현상은 선진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심화되기에 다양한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 디자인의 다양한 접근방법을 고려할 때, 생활의 가치라는 정의를 여러 각도에서 해석할 수 있었다.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a goal what is finding solution of Social, Environment, Economic problem in the world. At the same time it is a education for the sustainable life. This point have similar goal of industrial design. This study is for industrial design major in four year course in university. The sustainable design course is start from fall semester of sophomore to senior class, five semester, 5 class. Industrial design is also a part of economic activities, thus marketing conscious of practice mass production and public consumption must be considered in the design. Bu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methods of approaching design must also be attempted in various ways.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research applying such methodology i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and aming to let students attempt various recognition and attempts regarding value. Confront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Industrial Design education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an society, environment, economic issues. As a result, Industrial Design education by restoring its inherent principles and expanding its external values, has become encountered today with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mplementing ESD is primarily to share the values and cooperate together between education and sustainable brand in the market. This study is focused,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possibility of sustainable design business. The current paper is to discuss practical strategies to effectively offer Industrial design major class what is connecting with ESD. At the same time, another goal is establishing School-based Enterpriseand create brand which is networking with education. Therefore, this is a board report and further study will be in concrete strategy like School-based Enterprise progress, practical curriculum structure. The phenomenon of confusion in the value system deepens as a country becomes more developed, a various kind of critical mind must be had. When considering the values methodology of design, the definition of the value of life could be reinterpreted from many angles.

      • KCI등재

        Z세대가 인식하는 디자인에서의 지속가능성의 의미에 관한 연구

        성소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4 조형미디어학 Vol.27 No.2

        본 연구는 미래 시대를 이끌어가는 Z세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들이 정의하는 디자인에서의 지속가능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디자인이 나가가야 할 방향성을 제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시대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디자인 개념에 대해 이해하였다. 둘째, 연구의 대상이 되는 Z세대의 특성과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Z세대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정리하였다. 셋째, Z세대 30명을 대상으로 1:1 인뎁쓰 인터뷰를 진행하여 감성 언어와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들이 생각하는 디자인에서의 지속가능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경험요소를 도출하였다. 사용자 조사를 통해 도출된 경험 요소는 형태적 완성도가 있는 미학적 디자인, 지속가능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디자인, 사람, 동물, 환경 모두가 공존하기 위해 다양성을 존중한 디자인, 다양한 감각으로 지속가능한 가치 경험을 확장시키는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이들에게 지속가능성은 사회적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닌 자신의 삶에 투영되어 자신의 삶을 이롭게 할 뿐 아니라 감성적인 만족감을 채우는 중요한 경험요소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디자이너는 지속가능한 가치를 경험을 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을 수립을 위해 지속가능한 가치를 가장 상위에 두고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를 선택하여 완성도 있는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하는 노력이 필요로 하다. 본 연구가 지속가능한 디자인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sustainability in the design they defin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Generation Z leading the future era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design should go for a sustainable society. Firstly,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 understanding of sustainable design concept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era.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s of Generation Z,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the theoretical concepts of Generation Z and sustainability are summarized. Thirdly, a 1:1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30 people from Generation Z to analyze emotional language and images. Based on the analyzed data, the meaning of sustainability in the design they perceived was considered, and the experience elements of sustainable design were derived. The experience factors derived from the user survey are as follows. Aesthetic Design with Morphological Completion, Design that enables sustainable use, Design that respects diversity to coexist with people, animals, and the environment and Design that expands the sustainable value experience with various sense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sustainability, for these individuals, goes beyond societal issues and is reflected in their lives. It not only contributes to their well-being but also serves as a significant experiential element filling emotional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 variety of design strategies that can experience sustainable values, designers need to put sustainable values at the top of the list and select absolutely necessary elements to derive complete design results.

      • KCI등재

        수공예 섬유기법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연구 -산학연계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박현주 ( Park Hyun J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제조 산업 중 텍스타일디자인제품의 과정과 생산은 복잡한 산업적 고리로 얽혀있고 이는 직물에 대한 이해도와 축적된 기술력, 노동력등과 자원 등이 뒷받침되어야한다. 또한 텍스타일섬유의 수요는 현재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팽창하는 시장을 주도하는 주요 섬유들은 면과 폴리에스테르가 대표적이다. 다양한 종류의 수작업을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유형의 고급텍스타일 디자인과 생산을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생산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와 디자인 전개방법이 가장 먼저 필요로 할 것이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방법의 디자인표현과 실제적 적용을 위한 연구를 위해 섬유디자인전공 교과목을 통한 벤더 업체와 협력하여 브랜드의 여성용 텍스타일디자인개발을 목표로 R&D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텍스타일디자인 표현연구에 있어 업체와 교류를 통한 수업방식은 학생들과 업체 양쪽 모두에게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흥미로운 진행이 될 수 있었다. 환경적 이슈와 지속가능성을 바탕으로 본 디자인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개념을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소비 문화적으로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직접실제 텍스타일디자인의 제품화로 개발 연구하였다. 목적에 맞는 현대 텍스타일디자인 개발 응용에 지속가능한 표현방법을 확장해 나가고자 본 연구는 수공예섬유기법을 활용한 텍스타일디자인 개발로 시도하였다. 프로젝트과목을 통한 사례연구로서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미래 이 산업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섬유디자인의 기본지식과 함께 산업시스템을 경험하여 지속 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개발의 중요성을 깨닫고 실제 현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사례연구과정을 통해 지속 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제품에서 지향할 디자인 연구를 위해서 독창적 표현의 패턴디자인연구, 수공예의 조형성을 넘어선 섬유디자인의 시도, 다양한 층의 소비자와 함께 발전하는 개발연구가 될 수 있도록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소비 문화적 필수요소 외에도 창의성, 연속성, 건전성, 친환경성 등 선택적 요소를 제안하여 지속가능한 유형의 텍스타일 디자인연구 확산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미국업체에서 국내 벤더 업체에게 요구한 것은 제작현실은 같은 상황에서 새로운 지속가능한 디자인방향성을 요구하였기 때문에 짧은 시간동안 수업에서 문제를 다루어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새로움을 추구하고 산업체들은 경제적 가치창출을 위해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텍스타일디자인 개발에 따른 다양한 섬유기법에 있어 친환경적이며 동시에 제작환경을 고려한 범위의 독창적 표현 방법으로 산업현장에서도 활용되어질 수 있는 예술적 가치를 지닌 수공예 표현 기법의 아트텍스타일연구를 대중적 텍스타일제품에도 적용하는 연구의 확산이 계속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rocesses and manufacture of textile design product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have been intertwined with complex industrial chains, which needs to be supported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textiles and technology, labor, resources, etc., which have been accumulated over many years in concerned sectors. Moreover, the demand for textile fiber has been on a constantly upward trend, as witnessed in the fields of cotton and polyester which represent the textiles used most widely in the expanding market. For design and production of sustainably premium textiles which involve various kinds of manual works, the top priority would need to be given to understanding of sustainable production systems and design development methods.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R&D with an aim to develop brand textile design for women’s apparel in collaboration with vendors through the subjects of textile design majo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sign expressions rendered by sustainable methods and practical applications. As a result, the method of class based on interchange with enterprises in the process of research into the textile design expressions arose attention which helped make up for inadequate parts in both students and enterprises. The research into the design based on environmental issues and sustainability focused on theoretical examination of sustainable textile design concept from environmental, economic, social, and consumer cultural perspectives, and led to the research into product development achieved by turning the textile designs directly into commodities. This study, which was intended to expand sustainable expression methods for contemporary textile design application in such a way suited for the purposes, was conduc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using handicraft fiber techniques. By adopting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in the case study which was carried out through project subject, this study created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who would become the pillars of future industry, to gain basic knowledge of textile design and hands-on experience with industrial systems, realize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textile design development, and increase understanding of real sites. Through the process of case study, selective elements, such as creativity, continuity, soundness, and eco-friendliness, etc., were proposed in addition to essential elements including environmental, economic, social, and consumer cultural elements, to promote the research into pattern designs of unique expression and to spur development research that could promote the attempt of textile design, transcending the formative artistic features of handicraft technique and developing hand in hand with consumers of various classes, in order to lay cornerstone for the design research to be pursued for sustainable textile design products, so that the sustainable textile design research could be expanded. As the U.S. companies had required domestic vendor enterprises to set new courses of sustainable design, there was some difficulty in handling the issues quickly during the class. To ensure novelty in the design for consumers and competitive advantage for enterprises in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 it would be necessary further to expand the researches on the art textiles incorporating the handicraft techniques of artistic value and applicable to industrial sites based on eco-friendly textile techniques of various kinds increasingly available amid advancement of textile design and unique expressions in light of production environment, thus broadening the applications of such art textile to textile products for the public.

      • KCI등재

        공예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디자인 기업 사례연구

        김종선 ( Kim Jong S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디자인 제품 중 상당부분 공예품이 차지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공예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공예산업으로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산업적 방향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지속가능한 디자인 활동 요인`이라는 분석틀을 구축하였고 이를 토대로 12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기업을 사례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산출된 통계수치를 토대로 공예관련 전공자로 구성된 13명의 연구원의 집단토의와 심층내용분석 단계를 거쳐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공예 특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사례분석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 주요관점과 활동요인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그 중요성의 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각 기업의 활동요인과 주요이슈에 대한 평균값의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공예는 소품종 소량생산의 체제의 생산방식을 추구하며, 장인정신이 깃든 핸드메이드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공예철학을 가지고 있어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경제적관점에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둘째, 공예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구성하는 결정적인 요소인 환경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재료와 기법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셋째,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지역문화의 환경에서 찾은 재료, 만드는 지혜, 그리고 만드는 사람에 의하여 제품을 만들게 됨으로 사회적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공예와 깊은 연관성 있다. 결과적으로 공예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공예산업으로서 발전시킬 수 있는 산업의 장르임이 분명하다. 공예만이 가지고 있는 핵심역량, 즉 공예의 지식과 기술, 그리고 공예의 활동을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했으때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가치를 보다 극대화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fact that craftwork is a significant part among the sustainable design products and additionally propose a justifiable reason for the industrial direction of the craftwork industry as a sustainable desig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design and craftwork. In order to carry out this process, this study employed an analytic frame called `Factors for Sustainable Design Activities,` and twelve different design companies as cas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is frame. In addition, based on the statistical figures drawn from the analysis aforementio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able design and craftwork features was investigated by going through numerous steps including group discussions and in-depth analysis of 13 researchers who are all craftwork-related majors. Through case studies, the main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sign was compared with the average value of activity factors, and the importance of it was verified. Furthermore, this study compared the upper group and lower group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each company`s activity factors and major issues. The first result of the analysis is: craftwork seeks the small quantity small production system, and since it has its own philosophy of creating high value products through handmade craftsmanship this can act as an important success factor in the economic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sign. Second, it has a significantly deep correlation with sustainable design in terms of its ability to propose materials and techniques which can heighten the environmental value, which is one of the decisive factors that forms sustainable design. Third, it also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craftwork in the way that sustainable design can maximize its social value depending on which materials from the local culture were used to make the product, the technique and know-how put into making the product, and by who makes the produc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raftwork plays a critical role for sustainable design. It is evident that sustainable design is an industrial field which can be developed into craftwork industry. We can maximize it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values by utilizing the core capabilities such as craftwork knowledge, techniques, and activities when sustainable designs are applied.

      • 순환경제를 위한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활성화 연구

        조지혜,김영희,신동원 한국환경연구원 2022 기본연구보고서 Vol.2022 No.-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 순환경제는 기존의 선형경제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자원 사용과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고, 생산 패턴 및 소비 행동 변화 등을 통해 제품의 수명과 가치를 최대한 지속시키는 경제 시스템임 ㅇ 제품 생산 단계부터 소비, 폐기물 관리, 재생에 이르기까지 각 밸류체인 간 연결고리를 생성하여 자원이 원활하게 순환하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순환경제의 핵심임 □ 순환경제로 전환해 나가기 위해서는 이미 발생한 폐기물의 사후관리에서 더 나아가 제품의 전주기로 확장하여 자원이용 효율성과 순환성을 고려해야 함 ㅇ 특히, 제품과 관련한 환경영향의 80% 이상이 ‘설계’ 단계에서부터 결정되는 것으로 보고되는 만큼 제품 사용의 지속가능성과 수리용이성을 높이고, 폐기 이후의 순환이 용성을 높여 나가는 것이 중요함 □ 제품 기획 시부터 사용 단계(소비)와 폐기 이후 단계(재제조·재활용 등)의 자원 순환성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를 활성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함 ㅇ (기존) 유해물질 사용 저감, 에너지 효율성 제고, 재활용률 제고 → (확장) 자원순환성을 고려한 원료(脫플라스틱, 바이오소재, 재생원료 등), 재사용/재활용 등이 가능한 제품, 사용 단계의 수명을 고려하여 내구성 강화 및 수리 가능성을 고려한 제품 등 제품 서비스 영역을 포함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순환경제 이행을 위해 원료 단계부터 폐기 및 재생 단계에 이르기까지 제품 설계 시 중점요소를 고려하도록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ㅇ 현재 기업의 노력으로 재질·구조를 개선하여 개발한 우수제품에 대한 정책적 유인책이 미흡하며, 산업 측면에서 확산 정책이 필요함 ㅇ 또한 기존 제품의 개선 및 순환경제 비즈니스 모델에 적합한 친환경제품 개발을 위해 설계 방법을 유형화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연계하여 확산될 수 있는 제품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야 함 2. 연구의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순환경제 이행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를 지원하고 촉진하기 위해 제품 설계 시 주요 요소를 도출하고, 사례 조사를 통해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ㅇ 방향 설정: 자원순환성을 고려한 원료, 재사용/재활용 등이 가능한 제품, 내구성 강화 및 수리 가능성 고려, 소비자 및 수요자를 고려한 제품 설계(정보 제공) ㅇ 기업의 제품 재질·구조 개선 활동을 촉진하도록 기존의 순환이용성 평가, 전기·전자제품 재질·구조지침 등을 개선하고, 제도 간 연계방안을 검토하고자 함 ㅇ 녹색공공조달을 통한 친환경설계 제품에 대한 수요 확대, 제품 라벨링과 연계한 정보 제공, 우수 평가제품 및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기술혁신, 녹색금융 및 재정 투자, 기업 ESG(환경·사회·거버넌스)와 연계된 지속가능경영 지표 개선 등 시장 추진력을 동반한 지원정책을 제시하고자 함 - 지속가능한 제품 정책을 강화해 나감으로써 탄소중립 이행 및 순환경제 사회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함 Ⅱ. 국외 주요국의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관련 순환경제 정책 및 추진 동향 분석 □ EU 등 국외 주요국의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관련 순환경제 정책 동향 ㅇ (EU) 2001년, ‘EU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을 채택하면서 제품의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통합제품정책(IPP: Integrated Product Policy)을 발표하였으며, 이는 세금·보조금 지원, 자발적 협약 유도 및 표준화, 녹색공공조달, 녹색기술, 유관 법률 제·개정을 주요 수단으로 설정함 - 유럽기후변화 프로그램(ECCP: European Climate Change Programme)과 통합제품정책(IPP)에 기초하여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목적으로 2005년 에너지 사용 제품(EuPs: Energy using Products)에 대한 에코디자인 지침이 제정됨. 이후 에너지 관련 제품(ErPs: Energy related Products)으로 대상 품목을 확대함 ㅇ 2015년에 발표된 『순환경제 행동계획(CEAP: Circular Economy Action Plan)』에서는 기존의 에너지 효율 중심으로 시행되던 에코디자인 지침에 자원 효율 항목을 추가할 것을 명시함. 이후 2016년 『에코디자인 워킹플랜(2016-2019)』에서 자원 효율을 반영한 이행규정 수립 계획이 마련됨 ㅇ 2019년 EU 그린 딜(Green Deal)의 후속조치로 2020년 3월 『순환경제 신행동계획(CEAP2: Circular Economy New Action Plan)』을 발표하면서 순환경제를 온실 가스 감축에 기여할 핵심 도구로 제시하였음. 또한 ‘지속가능한 제품 정책(SPP: Sustainable Product Policy)’을 강조하고, ‘지속가능한 제품 이니셔티브(SPI: Sustainable Product Initiative)’를 위한 입법 제안을 하겠다고 발표함 - 이는 기존 에코디자인 지침에서 규제대상의 범위와 내용을 확대한 새로운 법안이며, 제품 내구성, 재사용성, 업그레이드 및 수리가능성, 유해화학물질의 존재, 에너지 및 자원 효율, 재생원료 함유, 재활용 가능성, 자재 회수 가능성, 탄소 및 환경발자국 등 환경영향 등을 에코디자인 요구사항으로 제시함 - 또한 디지털 제품 여권(product passport)을 통해 제품의 지속가능성 및 친환경성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가 이를 파악하여 제품을 선택하도록 지원함 ㅇ 이와 함께 3∼4년마다 『에코디자인 워킹플랜(working plan)』을 수립하여 산업계 및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규정 및 지침에 반영함(그림 3 참조) - 제품 전주기를 고려한 에코디자인(2009∼2011년) →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에코디자인(2012∼2014년) → 내구성 및 수리·재사용·재활용 용이성을 고려한 에코디자인(2016∼2019년) → 제품의 수리 및 품질 표준화, 정보 제공을 고려한 에코디자인 및 에너지 라벨링(2020∼2024년) → 글로벌 정책 유도 방안, 유럽제품등록부(EPREL: European Product Registry for Energy Labelling)를 추가한 에코디자인 및 에너지 라벨링 워킹플랜(2022∼2024년) ㅇ (미국) ‘지속가능한 물질 관리(SMM: Sustainable Materials Management)’ 로드맵19)을 바탕으로, 환경영향이 적은 제품 구매를 촉진하는 종합 조달 가이드라인(CPG: Comprehensive Procurement Guideline)20)을 수립함 - (EPEAT 인증제도) 컴퓨터 및 디스플레이, 영상 장비, 텔레비전, 휴대폰, 서버, 태양광모듈 및 인버터, 네트워크 장비를 대상으로 각 품목별로 세부 항목을 점수화하여 만족하는 비율에 따라 금(Gold), 은(Silver), 동(Bronze)으로 등급을 부여함 - (제품 수리권) 뉴욕 주에서는 광범위한 전자제품을 대상으로 장비 제조업체가 OEM업체와 소비자에게 수리 도구, 부품, 수리 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디지털공정수리법(Digital Fair Repair Act)」이 의회를 통과함 ㅇ (프랑스) 순환경제를 위한 친환경 소비를 유도하기 위해 제품 수리가능성 지수를 표기하도록 함. 이는 기술문서, 제품 분해, 예비 부품 가용성, 예비부품 가격, 하위기준 등 5가지 지표를 바탕으로 10점 만점으로 점수화하는 제도임 - 2021년 1월 1일부터 5가지 제품(스마트폰, 노트북, 텔레비전, 잔디 깎는 기계, 드럼 세탁기)에 적용하며, 2022년 11월 4일부터 4개의 새로운 제품 카테고리(세탁기, 식기세척기, 진공청소기, 고압청소기)에도 추가 적용할 예정임 ㅇ (일본) 「순환형사회형성추진기본법」을 중심으로 「자원유효이용촉진법」, 「가전리사이클법」 등이 시행 중이며, 환경배려설계를 규정함 - 『순환형사회형성추진기본계획』에서는 생산자로 하여금 자원과 에너지 이용 효율화를 고려하여 제품을 설계하도록 유도함 - 자원 절약·장수명화, 재사용 대책, 사업자 회수·리사이클, 분별 회수를 위한 표시 의무 등의 제품 대책과 산업폐기물 발생 억제·재활용의 부산물 대책으로 구분하여 3R 대책을 마련함 □ 국외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관련 지원수단은 환경경영시스템(EMS) 국제표준, ESG 표준, 녹색금융을 비롯한 지속가능금융 정책 등이 있음 ㅇ ISO 14009(환경경영시스템 - 물질순환을 위한 설계 가이드라인)에서는 ① 제품·물질 유형 및 수량, ② 제품 수명 연장, ③ 제품, 부품 및 물질 회수를 위한 전과정 단계별 세부 전략을 제시함 ㅇ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지원하기 위해 ISO 26000(사회적 책임), GRI G4 가이드라인 등 국제 표준을 확립함. 또한 UNEP 금융이니셔티브(UNEP FI) 설립을 통해 순환 경제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자금 마련을 위한 ESG 투자, 녹색금융 등 지속가능금융을 제시함 ㅇ EU는 2021년 7월, 「지속가능한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자금 조달 전략(Strategy for Financing the Transition to a Sustainable Economy)」을 발표함. 이에 대한 후속조치로 2022년 3월, 유럽집행위 ‘지속가능한 금융 플랫폼(Platform on Sustainable Finance)’은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포함하여 4가지 주요 목표에 초점을 맞춘 EU 분류법의 기술 심사 기준에 대한 권장 사항을 발표함 Ⅲ. 자원순환성을 고려한 제품 설계 관련 국내 정책 및 현안 분석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이하, 탄소중립기본법), 「환경정책기본법」, 「자원순환기본법」 전부개정법률안(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법안) 등에서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와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ㅇ 「탄소중립기본법」은 순환경제 활성화를 위해 자원 사용의 최소화, 원료 순환성 강화, 지속가능한 제품 기반 구축 등의 정부 시책을 수립·시행하고, 「환경정책기본법」은 사업자로 하여금 환경오염 예방 차원에서 제품 전과정의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도록 함 ㅇ 「자원순환기본법」 전부개정법률안은 순환경제 사회로 전환해 나가기 위해 제품의 전과정에 걸친 자원 및 에너지 효율, 순환이용성, 내구성, 탄소 배출 등의 환경영향에 대한 규정을 마련함 □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와 관련성이 높은 국내 정책은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을 중심으로 제도화되었으며, 순환이용성 평가제도, 전기·전자제품 재질·구조 평가제도,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제도 등이 있음 ㅇ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은 제품의 생산-소비-관리-재생 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 세부과제를 제시하고 있으며, ① 재활용 저해 제품의 순환이용성 개선, ② 포장재, 전기·전자제품 등 자원순환형 생산 확산, ③ 자원순환형 소재·디자인 개발지원을 세부 이행계획으로 설정하고 있음 ㅇ 하지만 현재 기업의 노력으로 재질·구조를 개선하여 개발한 우수제품에 대한 정책적 유인책이 미흡한 실정임 - 제품 재질·구조 개선에 관한 기업의 노력 및 제품 친환경 특성이 소비자에게 인식되고, 해당 제품이 널리 보급·확산될 수 있도록 우수 평가제품 및 기업에 관한 정책적 인센티브 및 제도 설계가 필요함 - 공공조달 등 소비영역과 연계되지 못하며, 새로운 유형의 모델(대여, 재사용 등)을 반영하고 있지 않음 ㅇ 이를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의 개념, 중점요소, 방향, 목표 등의 전략을 담은 프레임워크를 우선 마련해야 함. 또한 현시점에서 순환이용성 평가제도 및 전기·전자 제품 재질·구조 개선지침 등 기존 제도를 재검토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음 □ 자원순환성을 저해하는 설계 요소 등 산업계 설문조사 및 의견수렴을 진행한 결과, 해체 정보 부족, 소규모 재생원료 시장, 관련 전문가 및 교육 부재 등으로 나타남 ㅇ (제조사 의견) 대표적인 애로사항을 살펴보면, ① 재생원료 사용을 위한 자가 회수 시 비용·인프라 부족 문제, ② 재질·구조 개선 평가 항목의 세분화 필요(현행 항목은 평가자 역량에 따라 평가 결과에 영향을 줌), ③ 관련 전문가 및 교육을 찾기 어려움, ④ 시장에서 재생수지를 취급하는 업체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음 ㅇ (재활용업체 의견) 재활용 촉진을 위해 제품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① 분해용 공구 사용 최소화, ② 해체정보 공유(설계도면, 해체 방법), 접착제 사용 최소화, ③재질의 표기(부품 표면에 각인) 등을 제시함(표 1 참조) ㅇ (현장방문 및 사례 조사)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및 재활용업체의 추천을 받아 전기차 배터리 및 평판디스플레이를 대표 제품 사례로 조사함 - 특히,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경우 재사용 및 재활용을 위한 첫 단계인 배터리팩 해체에 어려움이 있으며,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됨. 또한 단자 표기가 미흡해 방전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의견이 제시됨에 따라 배터리 설계 시부터 해체 용이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이와 함께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를 유도해 나가기 위해서는 ESG 경영지표, 공공조달, 녹색금융 등과 연계하여 순환경제 활동을 하는 기업이 시장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야 함 ㅇ (ESG) 매년 ESG 투자 규모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대기업을 중심으로 ESG 생태계가 조성 중임. 정부 차원에서 K-ESG 가이드라인이 마련38)되었으나, 세부 항목에 순환경제 요소가 담겨질 필요가 있음 ㅇ (녹색기업 펀딩) 순환경제 분야에서 폐기물 재사용, 재제조, 재활용 등의 분야에 직접 투자, 벤처캐피털 연계 투자 등의 지원 사업이 확장될 필요가 있음 Ⅳ.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안 □ 본 연구에서는 제품 기획 시부터 사용 단계와 폐기 이후 단계에서의 순환성을 고려하도록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개념 및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자 함 ㅇ (개념)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제품 전주기에 걸쳐 부정적인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 시 환경, 사회, 경제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접근방식이며, 기존 에코디자인을 순환경제 측면에서 확장한 개념임 ㅇ (방향성) 제품의 지속가능성 제고 및 자원 측면의 탄소발자국 감축과 함께 시장 인센티브(market incentive)를 통해 시장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있음 - 지속가능성을 포함하는 제품 설계 프레임워크(framework) 개발 - 개별 제품 단위 → 제품(서비스 포함) 영역으로 대상 확대 - 단순 재설계 → 혁신으로 개념적·기술적 전환 - 생산 관점 → 생산·소비의 연계 관점으로 확대 - 기업의 개별 접근 → 사회적·시스템적 접근으로 전환 - 개별 제도의 분산적 운영 → 제도 간 연계성 및 통합성 강화 □ 우선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프레임워크를 마련하여 방향과 목표를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음 ㅇ 기존의 순환이용성 평가제도, 전기·전자제품 재질·구조 개선지침,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 등에 관한 기준 등 개별적인 평가제도보다 더 상위적, 통합적인 측면에서의 프레임워크를 수립하여 앞으로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 촉진을 위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어떠한 중점요소를 고려해야 할지 등의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함 - 여기에는 기업의 순환경제 활동을 실질적으로 촉진하도록 자원효율등급제 도입, 녹색공공조달 및 K-ESG 가이드라인과 연계, 세제 지원, 녹색금융 지원, 인증제도 개편, 온실가스 감축분 산정 및 평가체계 마련, 그린워싱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등 다양한 지원정책이 포함되어야 할 것임 ㅇ (프레임워크) 환경, 사회, 경제적 관점에서 핵심요소 설정 - (환경)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자원효율성 제고, 제품의 내구성, 수리성, 유지·보수, 업그레이드성, 재사용·재활용성 강화, 소비자의 수리할 권리 강화 등 - (사회) 제품의 안전 측면을 고려하여 제품-소비자 간 안전성 강화, 순환성을 저해하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제한 조치 등 - (경제) 신규 순환경제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및 신산업 확대 고려 등 □ 친환경적으로 설계된 제품의 시장경쟁력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 녹색공공조달 및 K-ESG 가이드라인과 연계, 세제 및 녹색금융 지원, 인증제도 개편, 온실가스 감축분산정 및 평가체계 마련 등 다양한 지원수단을 제시함 - 자원순환성 및 순환이용성 향상 기술·제품 개발 지원, 세제 지원 및 재정투자, 탄소발자국 감축 인정, 녹색공공조달의 강화 등을 관련 법률과의 정합성을 고려하여 제시 □ 친환경설계 제품에 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그린워싱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 소비자의 제품 수리권 강화 및 안전 보장, 디지털 기반 통계 이력 관리 및 추적, 소비자 및 재활용업자에게 정보 제공, 거버넌스 협의체 구성 및 운영, 신뢰성 향상을 위한 품질 표준화 등 측면에서 제시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1. Background of the research □ The circular economy is a concept that contrasts with the existing linear economy, minimizes resource use and waste generation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consuming products, and maintains the life and value of products as much as possible through changes in consumption behavior and reuse and re-manufacturing. ㅇ The core idea of the circular economy is to create a system in which resources are well circulated by creating links between value chains from cradle to grave (production, consumption, wast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ecycled raw materials). □ Transitioning to a circular economy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resource efficiency and circularity throughout the entire product life cycle, going beyond the post-disposal phase of a product. ㅇ In particular, as more than 80% of the environmental impact related to a product is reported to be determined from the ‘product design’ stag 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and repairability of a product and increase the recycability after disposal. □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sustainable product design’ by taking into account resource circulation in the ‘in use’ and ‘post-disposal’ phases when first planning a product. ㅇ (traditional) environmental design → (extended)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design ㅇ (traditional) reduce the use of harmful substances, increase energy efficiency, and increase recycling rates → (extended) include service areas such as raw materials that can promote resource circulation (e.g. plastic-free, bio-material, recycled materials, etc), reusable and/or recyclable products, and product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and repairability □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mote ‘sustainable product desig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domestic circulation system and to suggest system improvement measures so that major factors in product desig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rom raw material stage to disposal and recycling stage. ㅇ Currently, policy incentives for excellent products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and structures improved through manufacturers’ efforts are insufficient, so policies to expand incentives are needed for the industry. ㅇ In addition, to improve existing products and develop eco-friendly products suitable for the circular economy business model, produdct design methods should be categorized, and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create a product ecosystem that can be expanded by linking products and services. 2. Purpose of the study □ In order to support and promote ‘sustainable product design’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circular econom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key elements in product design and improve the system through a case study ㅇ Direction setting: Raw materials that promote resource circulation, reusable and/or recyclable products, considering durability enhancement and repairability, and product design that takes consumers into account (information provided) ㅇ We aim to improve the existing Assessment of Circular Utilization of Products, Guidelines for Improvement of Materials and Structur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so on, so that they will encourage manufacturers to actually improve product material and structure. We also aim to review how to connect the systems together. ㅇ Furthermore, we aim to present market-driving support policies, including expanding demand through public procurement,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product labeling, providing incentives to excellent products and companies, innovating technology, making a financial investment, and improving sustainability management indicators linked to a company’s ESG factors. -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accelerating the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circular economy society by strengthening sustainable product policies. Ⅱ. Analysis of ‘Sustainable Product Design’ Policies and Trends in Other Major Countries 1. Circular policies on ‘sustainable product design’ in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EU □ (EU) In 2001, the ‘EU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was adopted and the Integrated Product Policy (IPP) was announced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products. - Tax reduction and granting subsidies, encouraging and the standardization of voluntary agreements, green public procurement, green technology, and the enactment/revision of related laws are set as the main means. - The Eco-design Directive of energy-using products (EuPs) was established in 2005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based on the European Climate Change Program (ECCP) and the Integrated Product Policy (IPP). After that, the target items were expanded to include energy-related products (ErPs), and Energy labeling guidelines are in place to ensure reliability. ㅇ The Circular Economy Action Plan (CEAP) announced in 2015 states that resource efficiency items will be added to the Eco-design Directive that has been implemented focusing on energy efficiency. After that, in 2016, through the Eco-design Working Plan (2016-2019) a plan to establish implementation regulations reflecting resource efficiency was prepared. ㅇ As a follow-up to the 2019 EU Green Deal, the Circular Economy Action Plan 2 (CEAP2) was announced in March 2020, presenting Sustainable Product Policy (SPP) as a key tool to contribute to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proposing legislation for sustainable product initiatives by 2021. - It is a new law that extended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regulations in the existing Eco-design Directive, and suggests eco-design requirements such as product durability, reusability, upgradability and maintenance, repairability, presence of SocS (Substances of Concern), energy and resource efficiency, recyclability, potential for material recovery, carbon and environmental footprint. - It also provides product sustainability information with a digital product passport to help consumers understand and choose products. ㅇ The Eco-design Working Plan is established every three to four years and reflected in the regulations and guidelines after collecting opinions from industry and stakeholders as an action plan. - Eco-design taking product life cycle into account (2009-2011) → Eco-design taking energy efficiency into account (2012-2014) → Eco-design taking durability and potential for repair, reuse, and recycling into account (2016-2019) → Eco-design and energy labeling taking product repair and quality standardization into account (2020-2024) → Plans for implement eco-design and energy labeling with the European Product Register (EPREL) (2022) □ (U.S) Based on the ‘Sustainable Materials Management (SMM)’ roadmap, the Comprehensive Procurement Guidelines (CPG) were established to promote the purchase of products with low environmental impact. - The EPEAT certification system scores detailed items for computers and displays, imaging equipment, televisions, mobile phones, servers, photovoltaic modules and inverters, and network equipment, and classifies them in Grade Gold, Silver, or Bronze according to ‘satisfactory’ proportions. - More than 25 states have proposed and passed the relevant legislation, and New York State has passed the Digital Fair Repair Act, which calls for equipment manufacturers to provide OEMs and consumers with information on repair tools, parts, and the repair process. □ (France) To build a roadmap for a circular economy and promote better consumption, the ‘product repairability index’ must be marked. - The repairability index is a system that gives a score out of 10 points based on five indicators: technical documentation, product decomposition, availability of spare parts, price of spare parts, and sub-criteria. - Since 2021, it has been applied to five types of products (smartphones, laptops, televisions, lawn mowers, drum washing machines), and also washing machines, dishwashers, vacuum cleaners, and high-pressure cleaners since October 2022. □ (Japan) With the aim of forming a circular society, the Act on the Promotion of Efficient Use of Resources and the Home Appliance Recycling Act are in effect, and the environmental design is stipulated in these acts. - The Basic Plan for the Promotion of Circular Society Formation requires the manufacturers to increase efficiency in the use of resources and energy with aim of promoting environmental design. - 3R measures were developed, including product measures (resource saving, longevity, reuse measures, recovery and recycling by manufacturers, and labelling obligation for separate recovery), and by-products (reduction of industrial waste generation and recycling). □ Support measures related to overseas ‘sustainable product design’ include international standards o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MS), ESG standards, and sustainable financial policies including green finance. - ISO 14009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 Design Guidelines for Resource Circulation) was established to present detailed strategies for ① Product material type and quantity, ② Product life extension, and ③ Product, parts, and material recovery. -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ISO 26000 (social responsibility) and GRI G4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to support sustainable management of companies, and these are cited in EU laws. - The UNEP Financial Initiative (UNEPFI) proposes sustainable finance such as ESG investment and green finance to raise funds for the transition to a circular economy. - EU announced the ‘finance strategy to transition to a sustainable economy.’ It includes establishing the EU taxonomy and standards for EU green bonds, promoting sustainable project investment, integrating sustainability into financial advice, and developing sustainability benchmark regulations. Ⅲ. Analysis of Domestic Policies and Pending Issues Related to Product Design That Takes Resource Circulation into Account □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to Cope with Climate Crisis,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a bill to completely revise the Framework Act on Resource Circulation (Act on Promotion of Social Transformation in the Circular Environment System) include matters regarding sustainable product design. ㅇ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to Cope with Climate Crisis establishes and implements government policies, such as those on minimizing resource use, strengthening raw material circulation, and establishing a sustainable product base.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requires business operators to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entire product process. ㅇ A bill to completely revise the Framework Act on Resource Circulation307) established regulations on environmental impacts including those on resource and energy efficiency, recyclability, durability, and carbon emissions throughout the entire product process in order to transition to a circular environmental society. □ Domestic policies related to ‘Sustainable Product Design’ were institutionalized centered on the First Basic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and there are the recycability evaluation system, the evaluation system for materials and structur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the evaluation system for materials and structure of packaging, and support projects for the prototype development of uni-materialized products. ㅇ The First Basic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presents detailed tasks in stages of production, consumption, management, and regeneration of products. The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includes ① improving recycability of products, ② expanding the production that takes resource circulation into account for products such as packaging materials and electronic products, and ③ supporting for developing resource-circulationtype materials and design. ㅇ However, the current policy incentives for excellent products with improved materials and structure through manufacturers’ efforts are insufficient. - Policy incentive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help consumers recognize companies’ efforts to improve the material and structure of a product and its eco-friendly characteristics and to ensure the wide dissemination of good products. - Strategies regarding the concept, key elements, direction, and objectives of sustainable product design should be established. - Existing systems, including the recycability evaluation system and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material and structur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should be reviewed and improved at this time.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hinder resource circulation based on industry opinions and case analysis, a lack of information on dismantling, the small size of the market for recycled materials, and a lack of related experts and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problems. ㅇ (Industry opinion) Manufacturers are of the opinion that there is insufficient infrastructure for product recovery and a lack of specialists and promotional means, and the recycling industry pointed out the difficulty in disassembling products and a lack of information on decomposition and materials of parts as problems. ㅇ (Case analysis) As it is difficult to disassemble the battery pack when recycling a wast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and it takes a long time to discharge due to insufficient terminal mark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for battery pack product design considering recycling. □ In order to support ‘sustainable product design’ in the future, the expansion of ESG management and green finance must be linked. ㅇ (ESG) ESG investment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ESG ecosystem is being created mainly by large companies. K-ESG guidelines have been prepared at the national level, and measures to expand ESG management and link the systems are being considered. ㅇ (Green Enterprise Funding) Impact Climate Fund is a representative example. Support projects such as direct investment and venture capital-linked investment are carried out in areas such as waste reuse, re-manufacturing, and recycling in the field of circular economy. Ⅳ. System Improvement Plan for ‘Sustainable Product Design’ □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Sustainable Product Design’ are to be established as follows: ㅇ The ‘sustainable product design’ should be promoted by considering circulation in the stage of use (consumption) and post-disposal stage (re-manufacturing, recycling, etc). ㅇ ‘Sustainable product design’: An integrated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approach to design with the aim of reducing negative environmental impacts throughout the product cycle, and the extended concept of the existing ‘eco-design’ in terms of the circular environment - Reduce the use of harmful substances, increase energy efficiency, and increase recycling rates → (expansion) Includes product service areas such as raw materials (plastic-free, bio-material, recycled materials, etc), reusable/recyclable products, and products designed taking into account durability and repairability - (Direction) Secure market competitiveness by providing market incentives to improve product sustainability and reduce carbon footprint in terms of resources ㆍ Business unit → Product cycle approach ㆍ Redesign →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and technology based on innovation ㆍ Production perspective → Link two perspective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ㆍ Individual approach of enterprises → Transition to social and systematic approach ㆍ Individual decentralized operation of the system →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s □ First, a ‘sustainable product design framework’ needs to be established. ㅇ Guidelines should include the directions for promoting ‘sustainable product design’ from a higher and more integrated perspective than individual evaluation systems, such as traditional recycability. ㅇ An approach that considers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in the aspect of sustainability of a product is needed. - The environmental sector should focus on product design and performance, and compliance with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the economic sector should focus on compliance with the Circular Environment Business Model (CEBM), and the social sector should focus on compliance with product safety and consumer information. □ Market incentives such as tax incentives, green public procurement, and technology support should be prepared to secure market competitiveness of product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circular economy. ㅇ Incentives for manufacturers of sustainable products include support for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 green finance and tax reduction, certifying the reduction of carbon footprint and environmental footprint, and strengthening green public procurement. ㅇ We also presented support measures in terms of digital-based tracking of statistics, providing consumer and recycling enterprises with information, organizing and operating governance consultative bodies, green finance, and quality standardization, to ensure the provision of sustainable product information and reliability.

      • KCI등재

        지속가능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패션제품디자인 개발

        우승걸(Woo, Seung Keol),정재윤(Chung, Jae Y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친환경 디자인 패러다임은 우리 사회에서 계속해서 변화하고 발전되고 있으며, 환경을 고려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사회적, 경제적 측면까지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연구 또한 더욱더 확산되어가고 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추어 수많은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는 패션 산업의 구조 속에서 자원을 절약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써 미래 환경을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필요성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에 따른 친환경 디자인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최근 시대적 흐름에 맞춰 등장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패션디자인의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되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 제품 개발에 적용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전문서적과 선행 논문연구 등을 통한 문헌연구와 인터넷 디자인사이트를 통해 지속가능디자인의 요소를 정립하였고, 요소별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제품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선행연구와 이론적 자료를 바탕으로 친환경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와 지속가능디자인의 개념을 살펴보고, 지속가능디자인의 요소를 6가지로 정립하였다. 둘째, 연구자가 재정립한 지속가능디자인의 6가지 요소(업사이클링을 통한 디자인, 감성적 연결성을 가진 디자인,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디자인, 슬로우 패션을 지향하는 디자인, 쓰레기 발생을 최소화한 디자인, 대안적 소재가 적용된 디자인)를 기준으로 요소별 사례조사를 하였다. 셋째, 본 연구자가 재 정립한 지속가능디자인의 요소 중 업사이클링을 통한 디자인, 슬로우 패션을 지향하는 디자인, 쓰레기의 최소화, 새로운 소재의 사용을 통한 대안 제시 항목을 포함한 패션제품을 개발하였다. 버려진 비닐봉지를 사용하여 제직된 원단을 사용하여 토트백을 만드는 과정은 버려진 소재에 새로운 가치를 더해주는 업사이클링을 통한 디자인에 가장 잘 부합하며 비닐봉지를 가공하여 새로운 실의 형태를 제시하는 것으로 대인적 소재가 적용된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공예기법인 직조를 사용하여 슬로우 패션을 지향하는 디자인 요소도 포함하고 있다. 지속가능디자인은 점차 악화되어지고 있는 자연환경에 대한 고려 뿐 아니라 인간사회의 여러 분야에 있어서도 꼭 필요한 시대적 패러다임이 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단순히 이론적인 고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디자인에 적용하여 실용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패션제품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지속가능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증가시키고, 디자인의 사회적인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paradigm has been constantly evolving in keeping with the needs of our society. In collaboration, diversified researches on the subject of sustainable design are expanding their parameters relating to our environment in addition to aspects in social and economic affairs. This practice of conserving the precious resources and heightening energy efficiency is especially indispensable in the structures of fashion industry, where masses of fast-coming new products are being manufactured in excess in keeping with the fast changing trend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apply the key elements of sustainable design to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products by thoroughly studying the transform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paradigms and exploring how they’ve been applied to the domain of fashion. The elements of sustainable designing were established by studying literature including prominent foreign and domestic publications in the field and previous researches, and well-founded online design websites. Sustainable fashion design products were developed based on case studies by element. As for the progression of the study, the researcher: 1) Studied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sign and change in environmental-friendly design paradigms basing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oretical data, and instituted 6 elements of sustainable designing, 2) Conducted case studies on each of the 6 elements (design through upcycling, design with emotional connectivity, design of extensive applications, design promoting slow fashion, design with minimized waste, and design employing alternative material), and 3) Developed a fashion product exploiting 4 of the 6 elements, i.e. design through upcycling, design promoting slow fashion, design with minimized waste, and design employing alternative material. The process of making a tote bag using fabric made from plastic bag waste incorporates the design through upcycling which adds a new value to waste material, and the use of plastic bag features design employing alternative material. Also utilizing the traditional craftsmanship of weaving encompasses design promoting slow fashion. Sustainable design is not just a considerate movement for the gradually degenerating natural environment, but has become an imperative paradigm in many areas of human society. This research does not merely stop at the pondering, but promotes consumer interest on sustainable design and puts forward a comprehensive guidance in regard to the social role of design by applying the concept on actual designing and developing practical fashion product design with high added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