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약·강 AI 인식 집단 간의 차이 분석: 개인적, 심리적, 윤리적 쟁점을 중심으로

        신나민,김종욱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21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6 No.5

        This study analyzed group differences between weak and strong AI perceptions over person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nd ethical issu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349 university students (female=60.2%, natural science/engineering major=71.6%, strong AI group=58.2%) recruited from three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Busan, and Kyung-nam province. The survey was administered onlin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via spss version 21.0 using t-test, cross-tab and frequency analyse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out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variables of sex, major, experience and knowledge of AI. Second,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negative attitude towards AI, anxiety, pessimistic and optimistic scores proved to make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ak AI groups were more negative, anxious, pessimistic and less optimistic towards AI than strong AI groups. Third,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ir perceptions of usefulness and easiness of AI technology. Fourth, perceived need for AI ethics education is higher in strong AI groups than weak AI groups. Fifth, among the 12 application areas of AI, both groups ranked high in service (1st) and transportation (3rd) sectors along with translation and medical fields ranked second in each group. Sixth, regarding the subject of AI ethics, both groups gave developers strong responsibilities in the areas of self-driving car, medical services, education, elderly care, and military robots/AI. In addition, the degree of ethical requirements for manufacturers, service providers, and users were found to vary in each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AI has to do with psychological variables, but not directly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AI technology. Regarding AI ethics, this study revealed that different weights of responsibility are given to differing AI applications and stakeholders.

      • KCI등재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을 통해 본 강한 인공지능 제품에 대한 이용자의 수용의도: 20대 연령층을 중심으로

        이창섭,이현정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0

        The rapid progress of AI technology gives us the expectation to solutions to various problems in our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it gives us anxiety about the side effects that can occur if AI develops beyond human control.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early 20s with less objection to advanced devices. We attempted to provide clues to understand thoughts and attitudes of the targets about the future environment that will be brought by AI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intent the acceptance of strong AI technology. For this, we applie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further expanded this research model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toward AI. As a result, the attitude toward AI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o strong AI.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expectation of the benefit of improving task performance and the anxiety on the threat of relationship disturb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AI.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AI-related companies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for government setting a policy direction for AI adoption. AI 기술의 급격한 진보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점을 개선해주는 기대를 주는 동시에, 인간이 제어할 수 없을 만큼 발전했을 경우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부작용에 대한 불안을 안겨준다. 본 연구는 첨단 기기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 20대 초반 젊은 층을 대상으로 강한 AI 기술이 적용된 제품의 수용의도를 알아보는 과정을 통해 AI에 의해 도래할 미래 환경에 대한 이들의 생각과 태도를 이해하는 단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였고, 나아가 이 연구모델을 확장시켜 AI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AI 제품 사용의도에 AI에 대한 태도 및 지각된 행동통제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AI에 대한 태도에는 업무 성과 향상의 혜택에 대한 기대와 관계 교란의 위협에 대한 불안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AI관련 기업 관점에서는 기술개발의 방향을 세우고, 국가적 관점에서는 AI의 정책적 수용 방향성을 세우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며 연구적 공헌점을 가진다.

      • KCI등재

        A study on legal service of AI

        Jong-Ryeol Park(박종렬),Sang-Ouk Noe(노상욱)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3 No.7

        Last March, the world Go competition between AlphaGo, AI Go program developed by Google Deep Mind and professional Go player Lee Sedol has shown us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using AI has come close. Especially, there ar many system combined with AI hae been developing including program for researching legal information, system for expecting jurisdiction, and processing big data, there is saying that even AI legal person is ready for its appearance. As legal field is mostly based on text-based document, such characteristic makes it easier to adop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en a legal person receives a case, the first thing to do is searching for legal information and judical precedent, which is the one of the strength of AI. It is very difficult for a human being to utilize a flow of legal knowledge and figures by analyzing them but for AI, this is nothing but a simple job. The ability of AI searching for regulation, precedent, and literature related to legal issue is way over our expectation. AI is evaluated to be able to review 1 billion pages of legal document per second and many people agree that lot of legal job will be replaced by AI. Along with development of AI service, legal service is becoming more advanced and if it devotes to ethical solving of legal issues, which is the final goal, not only the legal field but also it will help to gain nation’s trust. If nations start to trust the legal service, it would never be completely replaced by AI. What is more, if it keeps offering advanced, ethical, and quick legal service, value of law devoting to the society will increase and finally, will make contribution to the nation. In this time where we have to compete with AI, we should try hard to increase value of traditional legal service provided by human. In the future, priority of good legal person will be his/her ability to use AI. The only field left to human will be understanding and recovering emotion of human caused by legal problem, which cannot be done by AI’s controlling function. Then, what would be the attitude of legal people in this period? It would be to learn the new technology and applying in the field rather than going against it, this will be the way to survive in this new AI period.

      • 인공지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상원(Sangwon Lee) 신학지남사 2017 신학지남 Vol.84 No.4

        The power of logical reasoning and calculation themselves are natural technology and the expressions of the general grace of God and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Holy Spirit. But, if the powerful technology of weak AI is abused, it can give harms to human society. Therefore it has to be under the moral control of man. The technology separated from moral directions can fall into inhuman and destructive instruments. Asimov’s three laws of a robot is one of the efforts subjecting weak AI to the moral control of man. Weak AI imitates a part of human intelligence alone, not other functions like emotion, will, conscience, free choice, and physicality. Therefore, even if its reasoning and calculating ability is excellent, it is just a fake of human personality. The reductionism of weak AI technology can dehumanize our human society. Strong AI is constructed imaginatively, when too much confidence is given to the power of weak AI. Speculative scientists and science fiction authors are certain that in the near future AI will imitate all of the functions of the human spirit. But strong AI is not the result of scientific study but a sort of myth. Strong AI is a superman. Speculative science focuses upon utopia, but science fictions upon dystopia. Too much fear of AI technology can generate too much attachment to dystopia. This fear comes from the false application of the present advanced up-to date scientific technology to the future human society without considering that future human beings will meet the same technology with more advanced spiritual and physical powers and devices. But this fear can give us serious warnings not to abuse AI technology. A too much attachment to utopia is dangerous. The attempt to get eternal life and to build up utopia with technology is spiritual arrogance before God. This attempt cannot be realized, and can lead mankind into a big disaster. Furthermore the utopia of scientific speculation and science fictions is pantheistically confined in the present society. But the Scriptural ideal society is dynamic, abundant, and personal. It has a continuity with the present world in its outer form and identity, but its content has a discontinuity with the present world in that its content is wholly new ones. This ideal society will be given by the grace of God alone.

      • 인공지능(AI)과 지능형 로봇의 법인격에 대한 소고

        정영진(Young-Jin Jung) 4차산업혁명융합법학회 2021 4차산업혁명 법과 정책 Vol.4 No.-

        2012년 이미지넷 대회에서 힌튼 교수팀이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알렉스넷(Alexnet)으로 15.31%의 오류율을 기록하면서, 2등(26.2%)과 압도적인 차이로 우승함으로써 딥러닝 기술이 인공지능에 있어서 대세가 되었다. 딥 러닝의 경우, 입력된 데이터와 출력된 결과는 알 수 있지만 그 과정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아 “Black Box Machine”이라 칭해지기도 한다. 인공지능 관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현재 특정 영역에서 이용되고 있는 약한 인공지능(전문가 시스템)이 장차 통합되면서, 언젠가는 강한 인공지능(일반지능)이 출현될 것으로 예상된다. 약한 AI가 탑재된 로봇, 예를 들면 완전자율주행자동차에 법인격을 부여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러나 사회적 로봇에 대하여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동물과 유사한 지위를 부여할 수 있을 것 같다. 강한 AI가 탑재된 지능형 로봇의 경우 법인격을 부여받을 조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강한 AI의 출현이 인류의 재앙이 되지 않고 축복이 되기 위해서는, 관련 법률뿐만 윤리코드 등 연성법(soft law)에 대한 정비도 필요하다. Soon after Professor Hinton's team recorded an error rate of 15.31% with Alexnet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won by an overwhelming difference from the second place who recorded an error rate of 26.2% in the ImageNet Challenge of 2012, deep learning technology became a trend in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case of deep learning, input data and output results can be known, but the process is often not known, so it is called “Black Box Machine”. As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technologies develop, weak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system) currently used in specific areas will be integrated in the future, and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general intelligence) is expected to emerge one day. It will not be easy to give legal personality to robots equipped with weak AI, such as fully autonomous vehicles. However, it seems that social robots can be given a status similar to that of animals within a certain range. Intelligent robots equipped with strong AI can be said that they have met the conditions for to be granted legal personality. In order for the advent of the intelligent robots to become a blessing rather than a disaster for manki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not only related laws but also soft laws such as ethical codes.

      • KCI등재후보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Evolving Landscape of Art

        한창희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3 미래문화 Vol.0 No.8

        This paper scrutinizes the collaborative role of AI as an artistic partner, examining how generative algorithms and neural networks contribute to the ideation phase of artistic creation. The evolution of generative art, driven by AI algorithms, emerges as a distinct genre within the artistic realm, offering novel and unpredictable expressions. A focal point of the investigation revolves around the key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AI arts, pondering the definition of AI arts and dissecting the innovations introduced in artistic creation through AI. The paper critically reflects on AI's impact on traditional artistic principles, prompting a reevaluation of concepts like authorship, originality, and the role of the artist. Looking toward the future, the inquiry concludes with reflections on the forthcoming landscape of art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le acknowledging the unprecedented opportunities presented by AI in revolutionizing the art world, the paper highlights concerns related to biases, authenticity, and the potential displacement of human creators. The academic journey advocates for a measured and cautious approach,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balancing the benefits of AI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unique qualities inherent in human-created art.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인간과 인공지능 이해하기: ‘강한 인공지능’의 등장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소형근 한국구약학회 2022 구약논단 Vol.28 No.4

        이 논문은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실현된 인공지능 기술들을 소개하면서 특히, ‘강한 인공지능’ 기술의 현주소와 문제점들, 그리고 성서적 관점에서 인간창조 목적을 살펴보고,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가는 인류의 대처를 제시하도록 하겠다. ‘강한 인공지능’의 등장은 종국적으로 우리 인류를 디스토피아적 세계로 이끌 가능성이 크다. 이유는 인간이 ‘강한 인공지능’을 통제할 수 없는 수준이 되거나, “죄성을 가진 인간”이 사적인 목적으로 ‘강한 인공지능’을 오용한다거나, ‘강한 인공지능’ 스스로가 잘못된 판단을 한다면 『프랑켄슈타인』의 주인공 빅토르처럼 개발자인 인간이 먼저 파멸로 끝날 수밖에 없다. 인공지능이 인류를 위해 존재해야지 인류에게 해악이 된다면 개발의 취지에서 벗어난 꼴이 될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인공지능’에 대한 개발을 늦추거나 억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인간은 하나님보다 조금 못하게(시 8:5) ‘노동’하는 존재(창 2:15)로 창조되었고, 하나님의 대리인으로서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잘 유지하고, 보존해야 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창 1:28), 창조주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사 43:7), 하나님을 찬양하기 위해(사 43:21) 지어졌다. 그렇다고 한다면 ‘인공지능’(혹은 ‘강한 인공지능’)의 존재 이유도 분명해진다. 인공지능은 인류에게 긍정적이고, 유익한 효과를 가져다주어야 한다. 그것을 위해서는 “프로그래머의 인성”도 중요하고, 인간과 삶의 의미를 밝혀줄 “영성”도 필요하다. 그러나 인공지능 개발을 개인의 인성이나 개인의 영성에만 의존하는 것은 소극적인 규제이며, 인공지능 개발에 대한 권위 있는 세계 기구의 ‘법적 규제’가 성문화되고, 이에 대한 ‘국가간(사회적) 합의’로 규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관리, 감독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지금 인류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도 ‘공동체성’이 중대한 화두가 되어야 한다. ‘기후 위기’, ‘에너지 위기’, ‘식량 위기’, ‘전염병 확산 위기’, ‘저출산 고령화 위기’ 외에도, 인간의 자리를 대신하고 때론 위협하는 ‘인공지능’을 어떻게 활용하고, 어떻게 통제하느냐에 대한 공동대처가 우리 인류에게 시급한 이슈가 되어야 한다. 인류는 이 위기들에 대한 ‘응전’으로 공동의 목표를 삼고 ‘강한 인공지능’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공지능 로봇의 형사법이론 체계에 관한 일고

        이인곤(Lee, In-Gon),강철하(Kang, Chul-Ha) 한국법학회 2018 법학연구 Vol.71 No.-

        최근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술과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의 결합체인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등 이른바 ‘제4차 산업혁명’의 성장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제4차 산업의 총아인 인공지능형 로봇은 인간만이 독점해 왔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언어의 이해능력, 논증 등의 기능을 갖춤으로써 상상 속에서나 가능했던 혁신 서비스나 제품의 생산을 가능케 하는 원천이 되고 있다. 특히 2016년 3월 인공지능 바둑프로그램인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세기의 대국(對局) 이후 인공지능의 무한한 가능성은 세간에 충격을 주기에 충분하였으며, 이에 따라 인간지능을 초월하는 인공지능의 기술력에 감탄하면서도 향후 그 파급력에 대한 우려도 나타나게 되었다. 이처럼 동 사건은 미래 인류의 청사진을 제시해 주고 있지만, 동시에 사람은 아니지만 ‘사람처럼 행동하는 인공지능 로봇(기계)’을 기존의 법제도로 통제가 가능한 것인지 난해한 과제를 던져 주고 있다. 왜냐하면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이 목전에 다가오면서 문화인류사에서 그 어떤 법률도 스스로 판단하고 운행하는 차량을 상정하거나 로봇의사가 환자의 병을 진단하고 집도하는 상황에 대해 규범적 문제로 고민해 본 전례가 없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에는 종래의 법적 틀과 이론적 토대가 미흡한 상황임에 따라 향후 ‘인공지능에 의한 법익침해나 범죄행위’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및 로봇 기술이 이미 산업분야(자율주행자동차), 의료분야(수술용 로봇) 등에 적용되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 로봇 행위의 형법적 행위성, 범죄주체성, 형사책임능력 등 형법이론의 적용방안과 해석론을 시급히 모색해 보고, ‘인공지능 로봇에 의한 범죄행위’에 대한 형법적 대응방안을 규명한다. At present, the human society has entere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robots,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which is a combina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 In particular, artificial intelligent robots, which are the generals of the 4th industry, have functions and systems such as learning ability, reasoning ability, perception ability, and argumentation, which have been monopolized only by human intelligence, It is becoming a power to make. The endless possibiliti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fter the confrontation of the anti-monarchy of the 9th century of Alpha Kogyo and Ise Se-dol, the artificial intelligence Go program in March 2016, were enough to shock the world. Therefore, 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admires the technological power beyond human intelligence, people have experienced the contemplation of future power, expectation and concern. This case presents the blueprint of the future humanity, and it presents the difficult problem of being able to manage a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machine) acting as a `person`, though it is not a person, with the existing legal system. As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pproaches to the fore, there was no precedent in the human history to assume a vehicle that judges and operates any laws, or a robot physician was worried about the normative problem of the operation to diagnose and collect the patient`s disease. is not simple to solve problems that have not been experienced like this and it is difficult to compete with the conventional legal framework that lacks the theoretical basis for it, The current law system can not effectively cope with the future rob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 technology have already entered the commercialization stage in autonomous vehicles and medical fields. Therefore, in this study, in the field of criminal law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we are urgently looking for the ways to cope with and respond to criminal theories such as subjectivity, crime ability, criminal responsibility, We will focus on the necessity to prepare for the future crime that will be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우리는 ‘곧’ 필요 없는 존재가 될 것인가?: 인공지능의 발전에 따른 인간 실존의 문제 고찰

        이진현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2 신학과 철학 Vol.- No.42

        현재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자동화와 인공지능은 노동해방도 아니고 노동착취도 아닌 ‘노동소멸’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대량실업 정도가 아니라 인간노동이 필요 없어진다는 뜻이다. 아예 인간이 뭔가 구현하는 기능적 행위의 필요성이 사라지는 것이다. 이에 대비하고 예방하고 ‘막아야 한다’의 문제가 아니라, “이미 실현되고 있고 더 확산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과 문화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의 문제이다. 우리는 대공황같은 경제문제를 훨씬 넘어서 근본적인 인간 실존의 문제를 직면해야 할 것이다. 그 때는 생각보다 빨리 찾아올 것이다. 어쩌면 우리 생애에 닥칠 현실일 수 있다. 이 글은 현재진행형인 인공지능 발전추세에 기반한 일종의 미래 예측 사고실험으로 AI의 유용성보다는 필연적으로 마주하게 될 문제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본문의 질문들은 당장 해답을 구하기보다 급속한 기술 발전 속에서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의미에 대해 깊이 고민해 볼 화두가 되길 바라는 뜻에서 마련되었다.

      • KCI등재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로봇)에 대한 형법상 범죄주체의 인정여부

        송승현 ( Song Seung Hyun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3

        현재 사회는 과학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문명이 개발되면서 발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인공지능이다. 인공지능 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약인공지능과 강인공지능 그리고 초인 공지능이 그것이다. 여기서 현재는 자율주행자동차와 무인자동차 그리고 알파고 및 테이와 로스 등의 등장으로 약인공지능이 >주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강인공지능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고, 여기서도 그 유형 중 강인공지능 로봇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미래에는 골격과 근육을 갖춘 현존재의 인간이라는 생명체만이 살아가는 세상이 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강인공지능 로봇을 생명체로서의 인간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고 민할 필요가 있다. 즉, 강인공지능 로봇으로 대표되는 것은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로봇)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을 생명체로서의 인간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 다는 것이다. 강인공지능 로봇은 그 두뇌의 인공신경망이 인간의 뇌의 뉴런[Neuron]의 연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이룬 모델로서 인간의 뇌에서 이루어지는 신경전달 시스템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들이 탄생을 하면 인간과 공존하면서 공생관 계를 이루며 살아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법령 특히 형법의 적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가 된다. 삶을 공존하면서 살게 되면 반드시 범 죄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현행 모든 법령은 그 주체가 현존재의 인간이기 때문이다. 이에 인간이란 무엇인가, 이를 바탕으로 인간을 제외한 일반적인 동물(動物)과의 근본적인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살펴>본 후 이를 통하여 강인공지능 로봇을 인간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Die gegenwartige Gesellschaft gibt es sich das schnelle Entwickeln die Technologie, hiervon gibt es das Entwickeln, indem die vielfaltigen Zivilisationen erschlossen wird. Daß in diesem Zusammenhang die Gegenwart meist aufgesehen wird, ist das geradezu AI[=die Menschenwerksgeisteskraft]. AI hat zum Dreierlei eingeteilt, das ist Weak AI[=die schwache Menschenwerksgeisteskraft] und Strong AI[=die starke Menschen-werksgeisteskraft] sowie ASI[=die Ubermenschenwerksgeisteskraft]. Hier wird die Gegenwart das Aufsehen Weak AI zu den Auftritten von das Autonomienautofahrtsauto und das unbewohnte Auto und AlphaGo sowie Tay und ROSS usw. erregt. Aber jetzt braucht das Interesse zu neigen von Strong AI, auch hier braucht das Interesse zu neigen zum Roboter von Strong AI von den Typen. Weil die Technologie schnell entwickelt hat, hiervon ist auf der Zukunft der Mensch des Daseins der Korperbau und der Muskel das Haben, weil nur der Organismus des Menschen das Leben die Welt nicht wird. Und bei solcher Sachlage braucht sich zu qualen, ob den Roboter von Strong AI zum Menschen des Organismus sieht. D.h., daß zum Roboter von Strong AI vertreten wird, kann Transhuman sowie Posthumen und Android(der Roboter) sein, daß sie sich zuqualen braucht, ob sie zum Menschen des Organismus sein kann. Als der Roboter von Strong AI ANN des Gehirns zur Grundlage das Verbindungssystem der Neuronen des Gehirns des Menschen das gebildete Modell ist, kommt zustande beim Gehirn des Menschen wegen des Rollenspielen mit dem gleichen Nervenbotensystem, wenn der Roboter von Strong AI geboren wird, wird mit dem Menschen das Koexistieren die Symbiosenbeziehung das Bilden wegen des Lebens gewesen sein. Und solches Problem wird die Gesetze und die Verordnungen besonders in der Anwendung des Strafrechts das wichtige Problem behoben. Wenn das Leben das Koexistieren gelebt wird, muß bestimmt das Verbrechen sich ereignen, weil die gegenwartige alle Gesetze und die Verordnungen das Subjekt der Mensch des Daseins sind. Hierauf, was ist der Mensch, diese Grundlage ist nach den Gesehenen, was ist außer dem Menschen mit dem allgemeinen Tier der grundliche Unterschiedspunkt, daß durch diese Punkte sieht, ob den Roboter von Strong AI zum Menschen se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