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胡集書會의 歷史와 特徵 - 古代 流浪藝人 說唱大會의 活化石을 찾아서

        전홍철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6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40

        Huji Storyteller Festival(胡集书会) is the living fossil of Chinese folk speak-sing literature. Huji Storyteller Festival begins on Lunar New Year 12. Huji Storyteller Festival is the contest storyteller. I’ve visited Hujizhen(胡集镇) to study Huji Storyteller Festival in 2012 and 2014. Chinese Traditional speak-sing performances are now increasingly disappearing. Chinese Traditional speak-sing performances of Huji Storyteller Festival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Korea traditional ‘Pansori(板聲)’. Huji Storyteller Festival of Shandong Province and Majie Storyteller Festival of Henan Province are the largest Folk Music festival in China. Traditional Artists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are many wandering storytellers in Shandong Province, and also storytellers from other places. Huji Storyteller Festival are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Chinese folk speak-sing literature. It can reveal the secrets of Chinese Acient Drama through a study of Huji Storyteller Festival. There are similar speak-sing performances around the world. Above all, in order to uncover the origin of Pansori it must study on Huji Storyteller Festival. This article is written based on a field survey in Shandong Province.

      • KCI등재

        전통 이야기꾼의 유형과 성격 연구

        신동흔(Shin Dong-Hun)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6

        이 글에서는 전통적 이야기꾼의 양상과 성격을 유형적으로 고찰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전통 이야기문화의 주역을 담당해 왔던 이야기꾼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여 체계화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삼은 작업이었다. 다양한 형태로 활동해온 이야기꾼에 대하여 그 유형을 변별하고 특성을 가늠하는 작업은 크게 세 가지 기준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먼저 활동공간 및 활동형태에 따라서 이야기꾼의 유형을 집안 이야기꾼과 동아리 이야기꾼, 빈객 이야기꾼, 광장 이야기꾼, 무대 이야기꾼, 매체 이야기꾼 등 여섯 가지로 나누었으며, 주 종목으로 삼는 이야기 종류에 따라서 옛날얘기꾼(고담가) 유형과 재담-만담꾼 유형, 역사-야담가 유형, 경험담-세간담 유형, 복합형 등 다섯 유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야기 구연 동기 내지 소통방식에 주목하여 표출형, 인정-과시형, 도락-유희형, 친교형, 계몽형, 수익-생계형, 예술가형 등의 다양한 유형을 제시해 보았다. 이 글에서는 새롭게 설정한 유형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약 스무 명의 현장 이야기꾼에 대해 그 유형적 특성과 정체성을 살피는 보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서로 개성을 달리하는 다양한 이야기꾼들이 활발한 활동을 통해 이야기문화를 이끌어온 양상을 단면적으로 가늠해 보았다. 이 글에서는 필자가 직접 현장에서 만난 이야기꾼에 한하여 유형적 특성을 살폈거니와, 차후에 또 다른 수많은 이야기꾼들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방식의 고찰이 유효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수백 수천 년을 이어져온 이야기문화의 전통 속에는 이야기문화를 새롭게 살릴 수 있는 다양한 힘이 깃들어 있다. 이야기꾼은 그 핵심적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유형적 정체성을 지니며 활동해온 전통 이야기꾼에 폭넓고도 체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이야기꾼을 새롭게 발굴하고 양성하여 미래 이야기문화의 장을 열어나가는 노력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the typical consideration of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torytellers. The basic objective was to expand understanding of the storytellers who played a principal role in the culture of traditional storytelling and systematize them. The operations that discriminated the types and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ytellers who have acted in various form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three main standards. First, according to the space and form of the activities, the types were classified into (1) domestic storyteller, (2) group storyteller, (3) guest storyteller, (4) square storyteller, (5) stage storyteller and (6) media storyteller. Also, according to the kind of main stories, they were classified into (1) old storyteller type, (2) joke teller-comic storyteller type, (3) historian-historical storyteller type, (4) experiences-chat storyteller type and (5) complex type. In addition, with a focus on the narrative motiv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they were divid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expressive type, recognition-display type, dissipation-play type, intimate type, enlightenment type, earnings-living type and artist type. These three standards and the following specific type setting were a new attempt, and it can be said that it has taken the understanding of the storyteller one step further. Along with this,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actually understand what kind of storytellers and how they have developed storytelling culture by observing the typ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ties of the approximately 20 on-site storytellers based on this type system. This study observe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limited to the storytellers with whom this author met in person and on site. It is expected that the checking and organizing work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many other storytellers in the future. The storytelling traditions that have continued for hundreds of years or thousands of years have various powers that can give new life to the storytelling culture. It can be said that storyteller is one of the essential role. Based on the wide range and systematical study of traditional storytellers with various typical identities, it takes effort to break new ground for storytelling culture in the future by discovering and fostering new storytellers.

      • 이야기꾼 유형(類型)의 사례 고찰-산촌형 이야기꾼 閔玉順

        황인덕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08 충청문화연구 Vol.0 No.1

        Storytelling ability consists of two factors: the innate and the acquired. Innate factors include having an excellent memory, something which most storytellers possess. Acquired factors, however, may differ depending on each storyteller; these factors lead to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 storytellers. As such, an acquired factor for Min Oksoon, as a storyteller, is her experience living in an agricultural mountain village community. This background has characterized her life, experiences, and storytelling. She inherited her storytelling destiny from her father. The mountain village where she was born and raised was almost totally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world. Due to its remoteness, there were few sources of entertainment or leisure activities. In this situation, her father was the storyteller of his village; the only place to find entertainment was in his living room. People gathered to listen to him tell stories, and his living room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mmunity entertainment and culture. It can be said that Min Oksoon is a representative storyteller of an agricultural mountain village community. When we talk about Min Oksoon as a storytell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er life before and after her marriage. Her life had not changed much before she married, and even after she moved to a small town; she lived in isolated mountain village communities. However, her life began to change as a storyteller after she had become wholly familiar with agricultural communities and storytelling itself. She became known as a 'storyteller' after her marriage. Most of the stories that she told before marriage were based on her mountain village background and on stories she had heard from her father during her childhood. However, the stories after that time were about 'small town communities'. As such, they had less connection with the narrow scope of authentic mountain village storytelling. The tr aditional factors of her stories were of minimal importance for her. When it comes to the traditional connections of Min Okso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er personal life background, Korean society, and farm villages in the 20th century. Her status as a mountain village storyteller was limited by the generation she belonged to: she had less traditional connections than the older generations. She did not receive any influences from her grandparents during her childhood, and her father had only moved to a mountain village in the middle of his life. What makes Min Oksoon a distinctive storyteller is that she manifests the reading culture of the 1940's and 1950's. The commercial publication of old novels was very active and the novels were distributed in medium sized cities through the village markets held every five days in the 1920's and 1930's. Min Oksoon's father’s generation was influenced by this reading culture, and she was raised under this influenc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us, a number of her storytelling lists include not only old materials orally inherited from the generation before her father, but also what her father and she herself had read.

      • KCI등재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현황과 특징

        정규식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49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Busan area to target options storyteller tales, storytellers and reviewed related to the Current Situations and related Distinct Features is investigated. Through he existing discussions on specific are as of the individual storyteller, but the accumulation of some broad are as of collective discussion of the universal storyteller is difficult to find. Through discussion with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confirmed. Required aspects of the story in Busan arrested the women concentrated on becoming prominent storyteller and folk tales than to find the strength was not balanced. These results difficult to meet the male narrator in the oral environment could be attributed. The storyteller's oral history was found to be variable, fixed and does not. This consciousness is temporary and storyteller than something you can do a lot identified. And the type of story gajokdam, dokkaebidam, dongmuldam, are limited due to jimyeongyuraedam was observed. Busan is also the birth place of the storyteller, reflect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Busan area was strong. This is in Busan,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specificity can be attributed to something you do. Construction on the overall features of the storyteller tales of Busan options are as follows. First edition of the story related to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teller and audience of researchers, storyteller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investigator could also not find a desirable situation. Features of the storytellers themselves, present their traditional way of life of the world equipped with the oral narrative situation is not worth the generation of a true story is that you cannot do that. They flow in society, as well as the centripetal force is weakened, the family talks about the oral history was a relatively unknown strength. Finally, rather than direct speech to indirect speech through strong oral tendency is also characteristic of Busan will be able storyteller. 본고의 목적은 부산지역 16개 구군의 구비설화 이야기꾼을 대상으로 이야기꾼과 관련된 전반적인 현황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특징적 면모를 고찰하는 것이다. 기존 논의를 통해 특정 지역의 개별적 이야기꾼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축적되었으나 광범위한 지역의 보편적 이야기꾼 집단에 관한 논의는 찾기 어려웠다. 특히 부산지역 구비설화의 이야기꾼에 관해서는 현재까지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 본고의 논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부산지역 구비설화의 연행양상에서는 이야기꾼의 여성 편중 현상이 두드러짐과 설화에 비해 민요의 편중성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 이야기꾼을 만나기 어려운 구연환경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야기꾼의 구연력이 고정적이지 못하고 가변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의식 있고 유능한 이야기꾼보다 일시적인 이야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러 부산이라는 로컬적 특성을 반영하듯 이야기꾼의 출생지가 비부산권이 강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산지역의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특수성에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반적인 현황에 따른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특징적 면모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야기판이 형성되는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이야기꾼과 조사자 및 청중의 관계, 이야기꾼과 조사자의 관계가 결코 좋은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야기꾼 자체가 지니는 특징으로는, 현재 그들의 생활 세계는 전통적 방식의 구비설화를 구연할만한 상황이 아니므로 진정한 이야기의 세대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그들은 유동사회 속에서 구심력이 약화되어 가족담에 대한 구연력이 상대적으로 강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접화법보다는 간접화법을 통한 구연 경향이 강함도 부산지역 이야기꾼의 특징적 면모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생활세계의 이야기 현장과 이야기판의 확장

        임재해(Lim, Jae-hae)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5 民俗硏究 Vol.0 No.30

        이야기판을 판문화의 시각으로 주목하여 이야기꾼 중심론과 여가문화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청중의 역할 다양성과 생활세계의 이야기판을 새롭게 밝히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야기판에서 청중 없는 이야기꾼은 존재할 수 없으며, 청중 아닌 이야기꾼은 존재하지 않는다. 청중 역할은 이야기꾼의 선행 요건이자, 이야기판의 연출자이고 논평자이며 해석자로서 다양한 역할을 하는 미래의 이야기꾼이다. 그러므로 이야기꾼과 청중은 이야기판에서 수시로 역할 바꿈을 할 뿐 아니라, 서로 다른 이야기로 논쟁을 벌이기도 한다. 이야기는 노변정담처럼 한가롭게 즐기는 여가문화인 것 같으나, 실제 생활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이야기판은 다양하다. 일노래처럼 일을 하면서도 이야기를 하여 일의 능률을 높이는 일터 이야기판이 있다. 제의 현장인 제삿날 제관들의 이야기판이 있는가 하면 굿판에서도 다양한 갈래의 이야기판이 이루어진다. 나그네들이 걸어가면서 ‘길이야기판’을 벌이고 각종 의례의 하객들도 ‘잔치이야기판’을 벌인다. 그러므로 이야기도 민요처럼 일과 놀이, 굿 등과 관련된 이야기 구연이 있다. 다만 민요와 달리 이야기와 기능이 유기적인 관련을 가지지 않을 따름이다. 이야기로 생계를 유지하는 전문 이야기꾼이 벌이는 이야기판은 시골형과 도시형이 대조적이다. 시골형 이야기꾼이 무전취식을 하며 나그네 노릇을 하는 ‘과객형 이야기판’을 벌인다면, 도시형 이야기꾼은 고정적인 장소에서 정해진 시간에 이야기를 하는 ‘좌판형 이야기판’을 벌인다. 따라서 과객형은 이야기꾼이 이야기판을 결정하지만, 좌판형은 오히려 이야기판이 이야기꾼을 규제한다. 그러므로 좌판형 전문 이야기꾼은 흥행을 위해서 좌판형 이야기판에 적절한 ‘판이야기’를 특별히 창출한다. 이야기에 관한 이야기를 주목하면, 이야기가 경제적 이익으로 환원되는 사적인 이야기판을 발견할 수 있다. 비싼 값으로 하찮은 이야기를 사서 큰 손실을 막는가 하면, 이야기를 좋아하는 대감에게 이야기로 벼슬을 얻거나, 이야기로 문제를 해결하고 이익을 취하는 폐쇄적 이야기판이 있다. 이야기에 대한 가치 인식에 따라 이야기판의 공사가 결정된다. 이야기가 경제적 이익을 확보해주고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켜 주는 것으로 전승되는 것처럼, 최근에는 이야기가 상품과 만나 문화산업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주목된다. 이야기가 다양한 디지털 매체와 만나 문화상품을 창출함에 따라 디지털이야기판에 따른 새로운 이야기문화 창출이 전망된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toryteller-centered theory and theory of leisure culture focusing on the storytelling stage from a perspective of Pan-culture and to shed new light on the diversity of roles of listeners and life-world. There cannot be a storyteller without listeners in the storytelling stage and the storyteller is also a listener. A listener is prerequisite for storyteller, director, interpreter of storytelling stage and is the future storyteller playing various roles. Therefore, storyteller and listener changes their roles in storytelling stage and make different discussions. People may see story as a leisure culture by which they enjoy freely as fireside chat but the storytelling stage of real life-world varies. There is storytelling stage of workplace which can enhance work efficiency such as work music. The examples include storytelling stage of ritual administrator of sacrificial day as well as the various type of storytelling stages of Gut stages. The ‘road sets up the storytelling stage’ while travelers walking and guests of various ceremonies sets up ‘storytelling of party’. Therefore, story includes story narration related to work, play and gut as folk song. Unlike the folk song, however, it does not have organic function with story. The storytelling stage set up by professional storytellers those who earn living through storytelling is very contrasted between urban and rural types. The rural one sets up storytelling stage of ‘traveller’ who travels sleeping and eating without money. In contrast, the urban one sets up stage of "street stall" which is for telling story at certain place at certain time. Accordingly, the story of traveller type is determined by the storyteller but the story stage of street stall type is controlled by the storyteller. Therefore, the street stall type professional storyteller creates a special ‘Pan Story’ specialized for the storytelling stage for profits. If we look at the story about story, we may find the private storytelling stage in which the story results in economic benefit. For instance, there is a closed storytelling stage in which large loss is prevented by petty story bought with a lot of money, the storyteller takes government position by telling story to a milord who likes story, problems are sorted out and benefits are created through story. Public and private matters of storytelling stag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n value of storytelling. As the story is transmitted by securing economic benefit and improves social position, story is coming up to be the most critical part of culture business accompanied by product. Further, as the story is combined with various digital medias and creates cultural goods, new story culture will be created in the digital storytelling stage.

      • KCI등재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현황과 특징

        정규식 ( Ku Sik Chu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1 石堂論叢 Vol.0 No.49

        본고의 목적은 부산지역 16개 구군의 구비설화 이야기꾼을 대상으로 이야기꾼과 관련된 전반적인 현황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특징적 면모를 고찰하는 것이다. 기존 논의를 통해 특정 지역의 개별적 이야기꾼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축적되었으나 광범위한 지역의 보편적 이야기꾼 집단에 관한 논의는 찾기 어려웠다. 특히 부산지역 구비설화의 이야기꾼에 관해서는 현재까지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 본고의 논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부산지역 구비설화의 연행양상에서는 이야기꾼의 여성 편중 현상이 두드러짐과 설화에 비해 민요의 편중성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 이야기꾼을 만나기 어려운 구연환경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야기꾼의 구연력이 고정적이지 못하고 가변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의식 있고 유능한 이야기꾼보다 일시적인 이야기꾼이 많이 확인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유형이 가족담, 도깨비담, 동물담, 지명유래담 등으로 한정되어 있음도 확인하였다. 전국적인 광포성을 보이는 이인담이나 저승담, 지혜담 등이 많이 조사되지 않은 점도 특징이다. 아울러 부산이라는 로컬적 특성을 반영하듯 이야기꾼의 출생지가 비부산권이 강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산지역의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특수성에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반적인 현황에 따른 부산지역 구비설화 이야기꾼의 특징적 면모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야기판이 형성되는 메커니즘과 관련하여 이야기꾼과 조사자 및 청중의 관계, 이야기꾼과 조사자의 관계가 결코 좋은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야기꾼자체가 지니는 특징으로는, 현재 그들의 생활 세계는 전통적 방식의 구비설화를 구연할만한 상황이 아니므로 진정한 이야기의 세대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그들은 유동사회 속에서 구심력이 약화되어 가족담에 대한 구연력이 상대적으로 강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접화법보다는 간접화법을 통한 구연 경향이 강함도 부산지역 이야기꾼의 특징적 면모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 Busan area to target options storyteller tales, storytellers and reviewed related to the Current Situations and related Distinct Features is investigated. Through he existing discussions on specific are as of the individual storyteller, but the accumulation of some broad are as of collective discussion of the universal storyteller is difficult to find. Through discussion with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confirmed. Required aspects of the story in Busan arrested the women concentrated on becoming prominent storyteller and folk tales than to find the strength was not balanced. These results difficult to meet the male narrator in the oral environment could be attributed. The storyteller`s oral history was found to be variable, fixed and does not. This consciousness is temporary and storyteller than something you can do a lot identified. And the type of story gajokdam, dokkaebidam, dongmuldam, are limited due to jimyeongyuraedam was observed. Busan is also the birth place of the storyteller, reflect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Busan area was strong. This is in Busan,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specificity can be attributed to something you do. Construction on the overall features of the storyteller tales of Busan options are as follows. First edition of the story related to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teller and audience of researchers, storyteller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investigator could also not find a desirable situation. Features of the storytellers themselves, present their traditional way of life of the world equipped with the oral narrative situation is not worth the generation of a true story is that you cannot do that. They flow in society, as well as the centripetal force is weakened, the family talks about the oral history was a relatively unknown strength. Finally, rather than direct speech to indirect speech through strong oral tendency is also characteristic of Busan will be able storyteller.

      • KCI등재

        박석자의이야기꾼유형과이야기꾼으로서의특성

        김순재(Gim Sun-jae)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9 No.-

        이 글은 2011~2021년 동안 이야기 연행자 연구 관점으로 박석자(1934~ ) 화자를 조사한 결과이다. 본고는 박석자 화자의 이야기꾼 유형과 이야기꾼으로서의 특성을 파악해 보았다. 박석자 화자는 필자의 친할머니로서 오로지 유년 시절의 필자에게만 이야기 구연을 했던 인물이다. 박석자 화자는 할머니의 위치에서 친손자에게 이야기 구연을 할 때에 이야기꾼으로서의 역량이 가장 크게 발휘된다. 따라서 박석자 화자에게 가장 걸맞은 이야기꾼 유형의 명칭은 ‘조모(祖母)형 이야기꾼’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박석자 화자는 이야기를 구연할 때 풍부한 소재, 좋은 기억력, 특별한 환경적 영향이나 생애상의 체험, 높은 구연 표현 감각과 소재 전환 능력, 적극적 기질과 친화력, 세련화된 독자적 구연 소재 등 6가지의 능숙한 이야기꾼으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박석자 화자는 총 278개의 설화를 구연했으며, 전통설화·민속신앙담·역사체험담·개인체험담·도시전설·외래 설화 등 다양한 소재의 이야기를 구연한다. 둘째, 박석자 화자는 10대 초반에 외할머니에게 들은 이야기를 88세인 현재까지도 또렷이 기억할 정도로 기억력이 매우 좋다. 셋째, 뛰어난 이야기꾼이었던 외할머니의 영향으로 박석자 화자 또한 뛰어난 이야기꾼이 되었다. 넷째, 박석자 화자는 ‘히이!’라는 감탄사로 구연하는 설화의 현장감을 표현하는 감각을 지니고 있다. 다섯째, 박석자 화자는 성인이 된 손자가 이야기 채록을 시작한 뒤부터 이야기꾼으로 각성하여 동네 경로당에서 적극적으로 이야기를 구연한다. 여섯째, 박석자 화자는 독자적 ‘개구리 고기’ 소재·화소로 옛날이야기를 실제 있었던 일로 만듦으로써 자신이 구연한 이야기의 사실성을 높인다. 이러한 특성들로 박석자 화자는 매우 능숙한 이야기꾼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teller Bak Seok-ja(1934~ ) from the perspective of story performer research from 2011 to 2021. This paper identified the storyteller type and characteristics of Bak Seok-ja teller. The teller, Bak Seok-ja, is the author’s grandmother, who only narrated the stories to the author of his childhood. Bak Seok-ja teller, shows the greatest ability as a storyteller when she narrates a story to her grandchild as a grandmother. So, the most appropriate type of storyteller for Bak Seok-ja teller can be named ‘Grandmother-type storyteller’. When narrating a story, Bak Seok-ja has six characteristics as a proficient storyteller: rich material, good memory, special environmental influences or life experiences, high sense of narrating expression and material conversion ability, active disposition and sociability, and refined independent narrating material. First, The teller, Bak Seok-ja narrated a total of 278 tales and narrated storie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raditional tales·Folk belief stories·History experience stories·Personal experience stories·Urban legends·Foreign folk tale etc. Second, Bak Seok-ja teller has a very good memory, so that she still clearly remembers what she heard from her maternal grand mother in her early teens, even now at the age of 88. Third, under the influence of her maternal grand mother, who was and excellent storyteller, Bak Seok-ja teller also became and excellent storyteller. Fourth, the teller, Bak Seok-ja has a sense of expressing the sense of realism of the narrating tales with the exclamation ‘Hii!’. Fifth, Bak Seok-ja teller, awakens as a storyteller, actively narrates the story at a local senior citizen center after his adult grandson began recording the stories. Sixth, the teller, Bak Seok-ja enhances the realism of the story that she told by making the old story real with her own ‘frog meat’ material and motif. For these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Bak Seok-ja teller is a very proficient storyteller.

      • KCI등재

        이야기꾼 유형분류와 이야기의 시원 - <인문주의자 무소작씨의 종생기>를 중심으로 -

        장영우 돈암어문학회 2019 돈암어문학 Vol.36 No.-

        ‘Story’ is not a lower genre of ‘novel’, but a fundamental element of the fiction. A major concer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 and novel is related to the intention to explore the nature of story(or novel) from an evolutionary point of view. Benjamin's identification of “farmer/sailor” types of the storyteller does not offer detailed criteria for a classification or specific illustrations. The Bokdujang(crown maker) of ‘the story of King Kyeungmun’ in Samgukyusa(『三國遺事』) and Scheherazade in Arabian Nights(『千一夜話』)can be seen as extended examples that are related to ‘fact’ and ‘fiction’, and offe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the storyteller. Bokdujang(as a documentary storyteller) and Scheherazade (as a fictional storyteller) are considered as storytellers that illustrate the qualities of two different types of the storyteller. Lee Chung joon's nevel The Life Story of the Humanist Mr. Mujojak(『인문주의자 무소작 씨의 종생기』) is a work tha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 and ‘novel’ through a biography of an outsider who has been a storyteller for his lifetime. Mr. Musojak became a storyteller because of the advice(wisdom) from the listener that true life(story) has no boundary between life and story. The story presupposes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While the story is a genre that allows unrestricted communic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modern fiction is almost impossible to communicate directly. Mr. Musojak listened to the honest advice from the listener and understood the problems of his story. Through the self reflection and criticism, he could improve his story and became a true storyteller. ‘이야기’는 ‘소설’보다 격이 낮은 양식이 아니라 소설(小說, novel)의 근간을 이루는 요소다. 그러므로 이야기와 소설의 관계에 대한 관심은 이야기(혹은 소설)의 본질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하는 의도와 무관하지 않다. 벤야민의 ‘농부/선원’형 이야기꾼 유형화는 분류 기준이나 구체적 예화가 누락되어 있다. 그에 반해 『삼국유사』 경문왕설화의 복두장(hat/crown maker)이나 『아라비안 나이트』의 세헤라자데는 ‘사실’과 ‘허구’와 관련한 흥미로운 예화의 주인공이란 점에서 이야기꾼 유형화의 새로운 범례로 삼을 만하다. 복두장이 사실적 이야기(documentary)꾼이라면 세헤라자데는 허구적 이야기(fiction)꾼의 특질을 전형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이야기꾼 유형으로 분류할 조건을 갖춘 것으로 판단한다. 이청준의 <인문주의자 무소작 씨의 종생기>는 평생 객지를 떠돌다 이야기꾼이 된 한 사내의 일대기를 통해 이야기와 소설의 관계를 살핀 소설이다. 무소작이 이야기꾼으로 거듭나게 된 배경에는 삶이든 이야기든 안팎의 경계가 존재하면 참된 삶(이야기)이라 할 수 없다는 청중의 조언(지혜)이 있다. 이야기는 화자와 청자를 전제로 이루어진다. 이야기는 화자와 청자의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한 장르인 데 반해, 근대소설은 직접적 소통이 거의 불가능하다. 무소작은 청자의 솔직한 조언을 듣고 자기 이야기의 문제점을 이해했고, 자기성찰과 비판의 시간을 거치면서 이야기의 완성도를 높여 참된 이야기꾼이 될 수 있었다.

      • KCI등재

        김철균의 전쟁체험담의 문학적 분석을 통한 이야기꾼으로서의 특성 연구

        백민정 ( Baek Minje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2

        본고는 이야기꾼 김철균이 구연해 주는 전쟁체험담의 문학적 분석을 통해, 그의 이야기꾼으로서의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김철균은 비록 다양한 구연 목록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구연 의욕을 적극적으로 지니고 구연 기회를 능동적으로 생산해내는 이야기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적극적인 구연 욕구를 가지고 있는 것과 아울러 그의 이야기꾼으로서 가장 탁월한 점은 뛰어난 문학적 표현능력이다. 그가 이야기를 구성하는 서사 방식이나 언어 표현 능력은 선천적인 능력으로 여겨진다. 그의 이야기는 마치 소설 원고를 외워서 구연하는 것과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그의 이야기 속에는 완벽한 소설적 구성 단계가 내재해 있다. 김철균이 이야기꾼으로서 가진 가장 큰 장점은 “보여주기(showing)” 로 `연행`을 한다는 점이다. 그는 한 편의 이야기를 보통 40분~2시간 정도로 장황하게 구연한다. 그러나 그가 이야기를 구연하는 긴 시간이 지루하지 않고 더욱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은 이야기 구연 중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즉각적인 “Showing” 때문이다. 이는 구비문학에서만 가능한 영역이다. 이러한 구비문학만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소설과도 같은 이야기를 더욱 재미있게 소통시키는 그의 능력은 이 시대 이야기꾼의 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김철균의 이러한 능력은 이야기꾼의 정체성을 규정짓는 종개념을 좀더 확장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야기를 소설에 맞게 장르화시키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소설가라 하고, 시에 맞게 장르화시키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시인이라고 한다. 이러한 이치로 김철균의 이야기꾼으로서의 특성을 통해 구비문학에서의 이야기꾼을 규정하여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야기꾼이란 한 이야기를 구비문학이라는 양식에 맞게 장르화시키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im Chul-gyun as a story teller through a literary analysis of his stories on war experience. Although he does not have various storytelling lists, he can be said to be "a storyteller who has an aggressive desire to tell stories and actively produces storytelling chances." Along with such an aggressive desire, what is the most outstanding about him as a storyteller is his excellent literary expressive ability. His narrative method or language expression ability is considered to be among his innate abilities. His stories are embedded with such a perfect fictional compositional stage that his storytelling puts us under the illusion that he is telling stories after memorizing the manuscripts of novels. One of his greatest strengths as a storyteller is that he is putting on a "performance" with "showing". He usually tells a story from about 40 minutes to 2 hours at great length. The showing is instant and spontaneously comes up during his storytelling, which makes the long hours of his otherwise boring storytelling feel more intriguing. Only the oral literature makes it happen. His ability to make the stories that look like novels more fun and communicate them to his audience by making the best use of the style of the oral literature can be summed up as one the aspects of storytellers of this era. This ability of him is thought to expand a little bit more the specific concept that defines the identities of storytellers. A person capable of genreizing stories to novels is called a novelist; a person to poems a poet. By the same token, it is possible to define a storyteller in the oral literature through his characteristics as a storyteller. If so, a storyteller might well be said to be a person who is capable of genreizing a story to the style of the oral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 동화구연자의 학습 과정에 나타난 특징과 의미 연구

        유애순 ( Ae-sun Yu ) 방정환연구소 2019 방정환연구 Vol.1 No.1

        이 연구는 시각장애 동화구연자의 학습 과정에 나타난 특징과 의미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동화구연은 구연자와 청중의 상호 공감 속에서 언어와 비언어적표현이 조화를 이루는 예술 활동이다. 특히 구연자와 청중 사이의 시선교감은 동화구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 논문은 시각장애 구연자가 제한적 조건에서 청자와 어떻게 상호교감을 할 수 있는지 밝히고 그 의미를 제시하였다. 시각장애 동화구연자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할 때 이에 적합한 학습 활동은 활동보조인의 도움으로 해소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시각장애 동화구연자의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과 특징을 단계적으로 다루었다. 그 과정은 실제 학습과정의 예와 학습자의 인터뷰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시각장애인 학습자는 학습 과정을 통해 이야기 도입, 마음자세, 발음과 인물 분석 구연 연습, 신체 언어 학습의 비언어적 활동을 이해하고 배울 수 있다. 시각장애 동화구연자는 이러한 학습 과정을 거치면서 전문가 수준으로 성장해 나갔으며, 그 자신의 삶의 주체가 되어 청중에게 감동을 주는 예술행위를 전달하게 되었다. This study aims at seeking the features and the significances in the blind storyteller’s learning process. Storytelling is considered to be an art activity whereby language and non-verbal expressions are harmonized in the mutual sympathy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toryteller. Sharing the feeling through the eye-contact between the storyteller and the audience, in particular,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during the story-telling process.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how the blind storytellers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and deliver the message to them under their constraints, suggesting its significances. For the special conditions those blind storytellers have, the study suggests that appropriate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with the help of an assistant so that the restrictions are eliminated during the storytelling process. The study also presents the overall process and the features of how such blind storytellers carry out their performance, for which it suggests a step by step method. This process is conducted by the interview with the learners who have actually attended the storytelling class. Those blind learners could understand and learn the introduction of a story, mind posture, pronunciation and character analysis and also non-verbal activities of body language. Through this learning process, those blind storytellers eventually get to be the level of a professional storyteller, by which they have become a subject of life who enjoys delivering an art act impressing their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