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Business Stakeholders Identified on Income Statements

        장근배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9 로고스경영연구 Vol.17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business stakeholders indicated on income statements and how they are viewed from the perspectives of shareholder theory, stakeholder theory, and the Christian Holy Bible. An income statement generally shows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customers (sales), suppliers (material and other costs), employees (labor costs), creditors (interest), governments (taxes), and shareholders (net income). Shareholder theory treats shareholders differently from stakeholders on the basis of ownership, residual claimants, and non-renewal of contracts. Contrastingly, stakeholder theory regards shareholders as only a type of stakeholder given that the owner of a company is the corporation itself and not its shareholders. The latter also assume only limited liability and bear low exit costs. A biblical perspective maintains that stakeholders are to be treated justly, fairly, and with integrity, as the Bible asks us to give special consideration to the weak and the poor.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stakeholders from shareholder theory, stakeholder theory, and biblical perspectives. The results can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how practitioners can deal with different entities with a stake in the finances of a business, especially between the corporation and suppliers and between employers and employees.

      • KCI등재후보

        기업지배구조와 고용관계-이해관계자 관점과 주주 관점의 비교와 향후 연구방향의 제언-

        김동주 한국기업경영학회 2008 기업경영연구 Vol.15 No.3

        It is certainly import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workplace employment relations has been a growing interest. Several studies suggest that the vari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change employment relations in country level analysis. On the other hand the variation within country of corporate governance were not enough atten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workplace employment relations is reviewed drawing on the recent analysis and policy developments. And this paper considers researches on this topic with stakeholder perspective and shareholder perspective. Then recommend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workplace employment relations in South Korea are outlined, and it is suggested that these provide several opportunities for more advanced analysis in this area.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irm level researches are required on the basis of implications in country level analysis to find the variation within country of the corporate governance and workplace employment relations. Second,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 and industrial property of South Korea should be considered in abstracting strategy and environment factors as control variables. Third, this paper presents the integrative approach of two perspectives on corporate governance and employment relations. For executing the integrative research on the orient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the empirical model and measurement should be more specified by considering recent studies using various proxy variables on stakeholder perspective and shareholder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firm-level empirical analyses for searching the width and depth of the change in corporate governance orientation and employment rel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지배구조와 고용관계에 관한 최근의 연구경향을 살펴보고, 기업지배구조의 특성을 주주 관점과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비교한 후에 바람직한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고에서는 1990년대 이후 여러 국가에서 증가하고 있는 주주 중심적인 기업지배구조로의 변화경향과 고용관계와의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기존의 두 이론적 흐름인 이해관계자 이론과 주주 중심 이론에 기반한 최근의 주요 연구들을 비교해 보았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던 기업수준에서의 기업지배구조와 고용관계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관련된 국내외 문헌들의 논의를 종합하고, 이에 기초하여 이해관계자(stakeholder) 관점과 주주(shareholder) 관점의 통합적 고찰을 통한 향후의 연구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기업지배구조와 고용관계간의 관련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국가수준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국가 내 다양성을 고려한 기업 수준의 연구가 증대되어야 한다. 둘째, 환경변수 및 전략변수의 설정에 있어서 산업특성 및 한국의 역사적ㆍ제도적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이해관계자 관점과 주주 관점의 통합적 고찰을 위해서는 기업지배구조 관련 변수들을 이해관계자지향성과 주주지향성의 범주로 구분하고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주주이익보호제도와 종업원경영참여제도 간의 이익상충관계(trade-off)의 존부 및 기업성과에 대한 상호작용효과의 검증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업지배구조 연구에서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이해관계자 모델과 주주 모델의 혼재 내지는 융합화 현상이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에 관해서 상당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주주자본주의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에 대한 성경적 관점에서의 분석

        이정길(Lee Jeonggil)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2 로고스경영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주주자본주의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의 이론과 영향에 대한 성경적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우선, 주주자본주의는 인간의 합리성과 가격기구에 대한 지나친 신뢰위에 구축된 이론으로서 이러한 전제가 성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 이론이 주장하는 바를 실행하고자 할 경우 인간의 탐욕에 의해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과도한 고액배당과 유상감자, 과잉 구조조정, 단기 업적주의 등을 통해 구체화된다. 둘째,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는 주주자본주의에 비해 보다 성경적인 관점에 가까운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기업에 대한 언약공동체로서의 이해 결여, 수탁자로서의 이해 결여라는 점에서 한계를 안고 있다. 실제적으로 경영현장에서도 효율성 문제, 이해관계자간의 대립 문제 등을 안고 있기도 하다. 셋째, 성경적 관점에서 그리스도인은 기업을 언약적 공동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기업의 사회적 목적이 실현될 수 있는 경영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관심은 과잉 구조조정, 과도한 고액배당과 유상감자 등에 대한 제한, 사회책임투자활동, 사회적 기업에의 참여 등을 통해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reviewed shareholder capitalism and stakeholder capitalis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 limitations of shareholder capitalism is the absolute trust in the price mechanism and the rationality of human. However, according to the Bible, human is distorted by sin. This means that the rationale of shareholder capitalism is rejected. Second, when the theoretical assumptions are not met, the application of shareholder capitalism can cause many side effects. Third, stakeholder capitalism seems to be closer to the biblical perspective than shareholder capitalism. But this theory doesn't understand company as a covenant community. Fourth, because of limited rationality and greed of human, stakeholder capitalism requires a variety of control device, too.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of all, shareholders and other stakeholders must recognize themselves as the trustees of God. And based on the above recognition, they have to manage their companies and share the resources and profits. Furthermore, we have to study various systems to protect unemployed persons. Financial statements are complemented to reflect other stakeholders. As christians, we can participate in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or social enterprise movement.

      • KCI등재

        생태계 관점에서의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구조 연구

        조지연(Jiyeon Cho),김예진(Taisiya Kim),박건철(Keon Chul Park),이봉규(Bong Gyou Lee) 한국IT서비스학회 2012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big data structure and various objects in big data industry based on ecological perspective. Big data is rapidly emerging as a highly valuable resource to secur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 and government. Accordingly, the main issues in big data are to find ways of creating economic value and solving various problems. However big data is not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hard to utilize as it constantly expands to related industry such as telecommunications, finance and manufacturing.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crucial to understand range of big data industry and to which stakeholders are related. The ecological approach is useful to understand comprehensive industry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confirming big data structure and finding issues from interaction among objects. Results of this study show main framework of big data ecosystem including relationship among object elements composing of the ecosyste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n initial study on big data eco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ful guidelines to the government for making systemized big data ecosystem and the entrepreneur who is considering launching big data business.

      • KCI등재

        2009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에 대한 평가 연구

        백순근(Sun-Geun Baek),유예림(Ye-Lim Yu)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관점을 반영하여 2009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여,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의 공급자, 수요자, 전문가, 교육당국별로 정책의 ‘기존안’(2008학년도까지 시행)과 ‘변경안’(2009학년도부터 시행)에 대한 상대적 선호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선호도 평가 영역은 ① ‘시험 내용’, ② ‘시험 방법’, ③ ‘정책 수립 및 시행 절차’, ④ ‘정책 효과’의 네 가지로 구성되었으며, 총 228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때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의 공급자는 중등교원양성기관의 교수 40명, 수요자는 예비 중등교사 119명, 전문가는 교원정책 및 평가 전문가 39명, 교육당국은 교육과학기술부, 시?도교육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실무 담당자 30명이다. 연구 결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은 전반적으로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의 변경안(67.5%)을 기존안(32.5%)보다 선호하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14.35, p<0.01). 다만 ‘정책 수립 및 시행 절차’ 영역에 대해서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경우 기존안과 변경안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의 수립 및 시행 절차를 더욱 투명하게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policy of the 2009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with different stakeholder’s perspectiv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4 different kinds of stakeholders (① ‘provider’, ② ‘user’, ③ ‘professional’, and ④ ‘authority’) evaluated the relative preference between ‘the present policy’ and ‘the new policy’ for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This preference evaluation includes four evaluation criteria: ① examination contents, ② examination methods, ③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dure, and ④ policy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8 stakeholders. Results indicated that those stakeholders generally preferred ‘the new policy’ (67.5%) to ‘the present policy’ (32.5%), and the difference of these preferences between two polic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14.35, p<0.01). However, in the case of ‘provider’ and ‘us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dure’ between the present policy and the new policy. It suggests that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dure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should be open and clear in the future.

      • KCI등재

        네트워크 모형과 경찰활동, 그리고 경찰 - 주요 쟁점과 분석 -

        김상호 한국경찰연구학회 2016 한국경찰연구 Vol.15 No.1

        오늘날 경찰이 대면하는 문제들은 경찰이 보유한 지식이나 역량, 자원만을 통해 해결하기 어려우며 공․사 참여자들 사이의 수평적 상호작용을 통해 해소하고자 한다. 명령과 통제를 중시하던 관료제 모형, 가격과 경쟁이 주축이 된 시장 모형을 넘어 신뢰와 호혜성을 강조하는 네트워크 모형으로의 관심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모형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통해 경찰활동에의 적용 가능성과 그 과정에서 제기될 수 있는 주요 쟁점들을 탐색적인 수준에서 분석해 보았다. 경찰활동네트워크는 신뢰와 호혜성에 기초하여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복수 주체들의 집합체로 경찰활동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으며 다양한 내․외 요인들이 참여자들 사이의 협력에 영향을 미쳐 네트워크의 성패를 좌우함을 알 수 있었다. 성공적인 경찰활동네트워크는 경찰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며 경찰 또한 네트워크 수혜자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찰활동네트워크 또한 다중이해관계자 관점을 통해 성과를 평가할 수 있으며 경찰활동의 공공성 등을 고려하여 네트워크나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성과를 보다 강조할 것을 지적했다. 경찰활동네트워크의 민주성과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필요한 관리모형으로는 별도의 관리기구 설치와 그 속에서 경찰관리자의 적극적 역할을 제시하였다. 논의를 마무리하면서 경찰활동네트워크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들과 함께 다양한 후속 과제들을 제시해 보았다. Most security problems in present society are hard to be tackled through the knowledges, capacities, and resources of the public police alone. Much innovation has taken place stressing partnerships among public and private actors. It reflects increasing changes in interest from bureaucracies characterized by command and control and markets by prices and competition to network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on networks, this study examined some issues about the applicability of networks to policing in Korea on an exploratory level. Policing network is a set of interconnected participants(nodes) whose culture is characterized by trust and reciprocity. Various factors impact the circumstances that promote and sustain policing networks. Contrary to the participants' positive attitudes to partnerships, institutional relations and policy traditions in Korea are found to negatively impact the cooperations among actors. Considering vas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expert knowledges, and legal authorities, the police should be an active actor in the networks. The police are required to speak for democratic principles. For the governance form of the policing networks, independent network management organization in which the police take active roles is preferred. Policing network effectiveness can be evaluated with a multiple-stakeholder perspective. Network participants, the network itself, and the community are found to be three stake holder groups in the network and key criteria are suggested 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analysis, some rational measures for successful evolution of policing networks are suggested.

      • KCI등재

        국내 바이오연료 보급정책의 Q방법을 활용한 이해관계자별 인식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임찬수(Chansu Lim)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5 신재생에너지 Vol.11 No.1

        Biofuel has brought out a lot of controversy, whether the biofuel has a role of diversifying energy source and possibly reducing green-house gas or has been a cause of deforestation and famine. In this study, Q-methodology is used to investigate stakeholder’s perspectives on biofuel policy in Korea. The targeted stakeholders were biofuel/petroleum/government officials and energy policy researchers. As the result, they were classified as several representative groups such as tendency of “inevitable biofuel”, “limited supply of biofuel”, “priority on technology” and etc. The study finds out that there are several recognition types and various conflict types in biofuel policy in Korea.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se types of recognition, the paper implies some considerations like establishing public-private, academic-industrial joint committee for biofuel policy and fostering arbitral biofuel policy groups for the government.

      • KCI우수등재

        지역사회욕구조사에 나타난 이해관계자들의 욕구시각에 대한 비교 연구

        서인해(Seo, In-Hae),공계순(Kong, Gye-S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4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지역사회욕구조사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욕구시각이 어떻게 다르게 나 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조사방법은 군(郡)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사회복지기관의 실무자, 사회복 지전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 방법은 기술통계, 우선순위분석, 집단간차이검증통계를 함께 활용하여 욕구시각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의 문제에 대해서 사회복지 실무자들이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지역주민들은 가장 덜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지역사회의 문제보다는 문제해결 과 관련된 서비스 활동영역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욕구시각의 차별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해관계 자들의 욕구시각은 우선순위방식 및 집단차이검증 분석에 따라 주요 욕구의 내용과 집단 간의 일치정 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연구발견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와 지역사회 욕구조사활동과 관련된 실천적인 제언들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stakeholder views the community needs in a different way in the local district of Korea. The researchers delivered the 3 independent questionnaires to the three types of the community people who are residents, social service providers, governmental officials in charge of local social services. An in-depth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stakeholder toward the community needs on the basis of the combined approach with the order ranking method and two independent sample T and Z tests. As the result, the three noticeable findings were discovered as follows: First, while the social service providers reported the community needs at the most serious level, the residents expressed the community needs at the least serious level. Second, the stakeholder showed more diverse opinions for the needs of the service activities than the community problem.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 stakeholder in the degree of consensus according to the two different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the major findings in relation to the community needs assessment, and suggested the practical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needs assessment for the community welfare planning in Korea.

      • KCI등재

        어머니의 관점에서 바라본 좋은 어린이집의 의미

        표미숙,이진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5

        This study seeks to illuminate meanings of quality child care from maternal perspectives shaped by the values and experiences of nine mothers, each with a child enrolled in a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Daegu. Four major themes emerged through an analysis of semi-structured interview data.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concept of ‘quality’ child care had different and dynamic meanings which depended on each mother’s personal experiences and family situation. The participating mothers emphasized that the communal life inherent in child care centers works best when everyone involved make meanings of quality child care together. They perceived that this can take place where there would be a trust in child care providers based upon an open door policy and the publicness assuring that the child care center gives priority to young children’s well-being and is concerned with social justice and harmony. This summary of the findings indicates that, while there are diverse voices among parents, they are a major stakeholder group in the day care enterprise and must be listened to and respected. This is achieved through an open-minded meaning-making process, which, at the least, would include administrators, teaching staff and parents in comprehensive discussions of child care philosophy, curriculum, management, and practices.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좋은’ 어린이집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이들의 보육에 대한 가치관과 경험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대구 지역 어린이집 5곳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머니 9명에 대한 반구조적 면담결과를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주제가 부각되었다. 먼저, 어머니의 경험과 가족의 상황에 따라 ‘좋은’ 어린이집의 기준이 다를 수 있으며 또 변할 수 있다는 기준의 다양성과 역동성이 가장 크게 떠올랐다. 아울러 어울려 함께 의미를 만들어 가는 공동체적 삶과 보육, 사람에 대한 신뢰와 어린이집 개방을 통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믿을 수 있는 보육, 그리고 비영리 추구와 사회 평등 및 통합으로 이어지는 보육의 공공성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의 주요 관계집단 중 하나인 학부모 집단 속에도 다양한 목소리가 있다는 사실을 주지하고, 그 목소리들을 존중하면서 보육철학과 보육과정 계획 및 운영, 보육실제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함께 의미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