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규모 국제 체육행사로서 올림픽 경기가 국가의 법규범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김종호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5 스포츠와 법 Vol.18 No.3
Mega sporting events can be defined by their impacts on the society and state and complexity in organization and delivery channel. I challenge the events which include its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economy, culture, law, politics and they must not be treated as just typical single and simple sports event. The top of the ideology and value system of Olympic games may be deduced from the philosophy of Olympicism. The games are organized under the framework that made by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and Olympic spirits as driving forces are strongly impact on the growth of the events. The paper concludes that while the prospect of economic growth is the driving force behind bids for hosting the mega sports event (i.e., Olympic Games), the legacies that follow their hosting are difficult to quantify, prone to political interpretation and multifaceted. Single and multi-sport events of all natures are multiplying, an increasing number of cities and countries want to host such events, and sponsorship is on the rise both in terms of the number of business organizations wanting to be involved as well as the dollar amounts associated with sponsoring event. These statements are especially true for mega sporting events. Such events are traditionally defined as events designated as being a ‘must-see’ event able to attract worldwide publicity. Countries and cities vigorously compete to host sports mega-events because they perceive that doing so will enhance their image and stimulate or boom-up their economies.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necessarily require substantial expenditures on infrastructure, organization and security and critically depend, therefore, on public subsidization. Accordingly, careful attention is paid to the presence of constraints on interest and concerns on the goods and service and on the sources of many side of Olympic business and capital investments. One of the reasons for the increased popularity of mega sporting events is the supposed legacies the events can bring to the host region. These legacies are thought to change or impact the host region arguably for the better.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 inner and exterior elements of the event, size of the festival, certain degree of intervention of government or private corporation, and public entities, etc. These range of the political, social, economical, physical and cultural effects comes from sports event can be negative as well as positive.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ture on the features of such events and, drawing particular examples from recent Olympic Games which was held over the world cities, it identifies the nature and extent of their impacts on the host country and community. This work analysed many kinds of effect on the society that stemming from the sports and especially legal side of the effects were narrowly examined. Furthermore, my arguments are focused on the review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int of view of the impacts of the mega sports events. 대규모 스포츠 행사로서 올림픽은 경제, 문화, 법, 정치 등의 영역에서 다양한 특징들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올림픽 경기를 하나의 전형적이고 단순한 대규모 체육행사로서만 취급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분석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올림픽 경기들은 올림픽주의라고 하는철학으로부터 최고의 이념이나 가치가 도출된다.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정한 엄격한 틀 내에서 경기가 조직되고 올림픽주의라는 정신이 그 성장과 발전에 원동력으로서 영향을 미친다. 대규모 스포츠 행사의 유치는 다양한 혜택을 가져오게 되고 이것은 본질적으로 도시나 지역개발을 위한 정부의 주도권에서부터 사경제 영역의 이익을 얻기 위한 주도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범위에 걸친 이해관계와 관련되어 있다. 그 결과 조직위원회는 갈등이 배제된 다양한 이해관계를다루어야 하는 바 이것은 그들이 아주 복잡한 업무를 수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대규모 스포츠 행사를 개념 정의함에 있어서 우리는 이 행사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추가할 필요가 있고 내부적인결정인자들은 조직적인 측면에 있어서 복잡성뿐만 아니라 그 행사의 규모와 기간도 포함하고 정부와 사기업, 그리고 공공단체와 같은 다양한 단체의 개입정도도 고려해야만 한다. 대규모 스포츠 행사가 그와 같은 순기능을 실제로 발휘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에의해서 논쟁이 제기되었다. 대규모 스포츠 행사가 유치도시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그 정도가 크고 범위가 다양하며, 이와 같은 행사는 어느 국가이든지 긍정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는 생각이 여러 문헌들에 의해서 지지를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대형 스포츠 행사가 우리사회에 미치는다양한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는데 특히 법규범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스포츠 행사가 미치는 영향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반론에 대해서도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Construction of Sports Event Standard System in the Context of Big Data and Internet of Things
Jin Zha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Vol.20 No.3
It is a complex project to construct the standard system of sports events. Sports events standard system coversfrom the implementation plan to the evaluation work after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sports events,involving many links. Large-scale sports events have extremely high media value. However, the successful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large-scale sports events face many problems to be overcome, especially in termsof event safety. Although the organizers and organizers of large-scale events have invested many resources forthe safe holding of sports events, violence similar to "football hooligans" in Europe is endless. At present,compared with Western countries, the standardization of sports events in China is low, and there is a problemof a late start and huge difference with Western developed countries. Knowing the construction of thestandardization system's situation in China, we have summarized the data related to 15 sports events held inChengdu is the last 5 years. By analyzing the problems in the process of holding these 15 events and thereflections of participants on the experience of sports events, the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system of sports events are discussed in depth. The final conclusion is that the system structure of China's sportsevents is not so good and athletes have a poor experience. China's sports event system still has many problems. Finally, we built a sports event standardization model using Internet of Things, and after a practical test wefound that it has a good effect. Finally, we comb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sports event standardization systemin China and put forward the following suggestions: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standard system ofsports events must be formulated at the national level. The implementation level must strengthen the degree ofintegration of sports events and technology.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in the management ofsports events. The article puts forward targeted solutions, which play a great role in promoting the perfectionand completeness of China's standard system for sports events. At the same time, it also promotes economicdevelopment and improves China's international status.
스포츠이벤트의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민간경비 운영 전략
박영만,원동현 한국민간경비학회 2024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3 No.2
이 연구의 주제는 스포츠이벤트의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민간경비 운영 전략으로서 연구방법은 체계적 문헌고찰로 설정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스포츠이벤트에서 민간경비의 역할은 어떠한가?, 둘째, 스포츠이벤트에서 민간경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스포츠이벤트에서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민간경비 운영 전략은 무엇인가?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인 문제점은 첫째, 스포츠이벤트에서 민간경비의 역할 현황, 둘째, 스포츠이벤트에서 민간경비의 문제점으로 구성되었으며 스포츠이벤트에서 민간경비의 역할에 대한 가치적 한계, 스포츠이벤트에서 민간경비에 대한 필요성 인식 부재, 민간경비 산업의 전문 역량 강화 환경 마련 항목이 세부적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스포츠이벤트에서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민간경비 운영 전략으로 구성되었으며 안전 매뉴얼의 적극 해석, 민간경비 산업의 브랜드 강화, 민간경비 산업의 전문 역량 강화 환경 마련 항목이 세부적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private security operation strategy to spread the safety culture of sports events, and the research method wa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first, what is the role of private security in sports events?, second, what are the problems of private security in sports events?, and third, what is the private security operation strategy to spread safety culture in sports events? It consisted of: What is it? The problems as a result of the study consisted of,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role of private security in sports events, and second, the problems of private security in sports events, the value limitations of the role of private security in sports events, and the recognition of the need for private security in sports events. Item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strengthening professional capabilities in the absence and private security industry were structured in detail. Third, it consisted of a private security operation strategy to spread safety culture at sports events, and detailed items included actively interpreting safety manuals, strengthening the brand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and creating an environment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capabilities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오현택,김영구 한국체육철학회 200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6 No.3
The reason of attraction and host of sports events in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the economical values such as the promotion of tourism, the expansion of civil infrastructures, expenditure increase and job creation, and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such as the public information to local community and enhancement the community image. In this study, on the assumption that utilitarianism had supported the host of sports events with theory, the limits of that approach would be indicated. It was a basic premise of utilitarianism that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Sports events had been opened for the purpose of the greatest happiness to the local resident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ides on that premise. The present sports events was justified with utilitarianism in the economical efficacy, social and cultural sides as popularity and universality. The limits of the utilitarian approach to sports events were considered in three directions. First, was it possible to measure the happiness from sports events? Second, how the happiness from sports events was divided? Third, was the good of the happiness from sports events justified the right of sports events? In the utilitarian approach to sports ev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at approach.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스포츠이벤트 유치 및 개최에 몰두하고 있는 이유는 관광 활성화, 기반시설 확충, 소비 증대 및 고용창출과 같은 경제적 가치와 지역에 대한 홍보 및 이미지 개선과 같은 사회․문화적 가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포츠이벤트 개최를 뒷받침 해 주는 이론을 공리주의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 하에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공리주의적 접근의 한계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리주의의 기본 전제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다. 스포츠이벤트는 이러한 공리주의적 전제에 따라 양적이고 질적인 측면 모두에서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최대한의 쾌락을 선사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대의 스포츠이벤트는 경제적 효용성 측면에서, 대중성과 보편성이라는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공리주의적으로 정당화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공리주의적 접근에 있어서의 한계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스포츠이벤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쾌락은 측정 가능한 것인가라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둘째, 스포츠이벤트를 통해 얻은 쾌락은 어떻게 분배될 수 있는가라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셋째, 스포츠이벤트를 통해 얻은 쾌락이 좋다고 해서 그것을 옳다고 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 공리주의적 접근과 함께 그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접근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권하나(Hana Kwon),최성관(Sung-Goan Choi) 한국경제통상학회 2021 경제연구 Vol.39 No.1
성공적인 스포츠이벤트는 개최지역의 위상을 높일 뿐만 아니라, 지역 인프라 개선, 지역소득 및 고용창출 등 다양한 지역경제효과를 유발한다. 그리고 지방정부는 스포츠이벤트를 통하여 스포츠 연관산업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지역경제 발전의 유효한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스포츠이벤트의 지역경제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분석방법의 체계적 검토나 그 타당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경제성에 관한 객관적인 검토없이 막연하게 경제효과를 기대하며 스포츠이벤트를 개최할 경우, 개최 후 지역경제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스포츠이벤트의 지역경제효과를 다루고 있는 기존 연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객관적이고 검증 가능한 분석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지역 스포츠이벤트의 경제효과를 분석한 선행연구의 다수가 정량적인 지역경제효과 추정에서 이론적⋅실증적 근거가 취약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향후 지역 스포츠이벤트 개최에 따른 경제파급효과를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는 분석방법에 대한 체계적 검토, 분석결과의 타당성 검증, 사례연구 등이 수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Successful sports events not only raise the status of the host region, but also induce various regional economic effects such as improving local infrastructure, creating regional income and employment. Since local government can create new demands for sports-related industries through sports events, we intend to use them as an effective means of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validity or systematic review of the analysis metho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sports events. Therefore, if a sports events is held in anticipation of a vague economic effect without an objective and sufficient review of economic feasibility, it can act as a considerable burden on the regional economy after the ev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existing studies dealing with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sports events, and to propose an objective and verifiabl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ports events showed that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is for quantitative regional economic effect estimation was weak. It also implies that in order to more objectively and accurately estimate the economic effect of regional sports events, precise review of analytical methods, validation of analysis results, and case studies should be followed.
스포츠 경기의 저작물성 및 중계 영상의 이용 관계에 관한 논의
송동수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21 Law & technology Vol.17 No.5
코로나-19 감염증 사태가 일상화됨에 따라, 문화⋅예술, 스포츠 분야에서 비대면 방식을 통한 소통이 일상화되었다. 특히 대규모 관중이 운집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 경기는 코로나-19 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스포츠 경기 및 스포츠 경기 영상에 대하여 저작물성이 인정되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축구, 야구와 같은 프로스포츠 및 육상, 수영과 같은 기초 종목 등에 대하여 저작물성이 부인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저작권 학계의 다수설이다. 싱크로나이 즈드스위밍이나 리듬체조와 같은 선수의 표현력이 중시되는 종목의 경우 저작물성이 인정된다는 견해가 있으나 판정기준에 따라 선수가 기량을 발휘하는 행위에 대해 저작물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IOC, FIFA와 같은 국제기구나 KBO, KBL과 같은 경기주최자로서는 경기를 개최하는데 막대한 비용을 투자한 까닭에 스포츠 이벤트 가치가 훼손되는 행위를 방지할 필요가 있으나 법적으로 구제할 수 있는 방안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브라질 저작권법상 인정되는 ‘스타디움 권리’를 도입 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스포츠 경기 중계 영상의 중계 기법이 발전해 가는 현실 속에서, ‘클린피드’ 그 자체에 대하여도 저작물성이 인정된다고 할 것이며 해당 저작 물의 저작권은 방송사에 귀속된다 할 것이다. 스포츠 중계 영상의 이용관계에 관하여 여러 권리주체 간의 충돌 문제가 발생하는데, 특히 블로그, SNS 및 유튜브 등을 통한 소통이 일상화 된 현실 속에서 스포츠 중계권 고유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다면 저작권법상 공정이용 규정을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할 것이다. As the COVID-19 infection situation has become commonplace, non-face-to-face communication has become commonplace in the fields of culture, art, and sports. In particular, sport events sport events with with large crowds have been affected directly by COVID-19. Regarding whether copyright is recognized for sports games and sports video, it is considered that copyright is denied for professional sports such as soccer and baseball, and sports such as athletics and swimming. Some believe that copyright should be recognized for events that emphasize the expressive power of athletes, such as synchronized swimming or rhythmic gymnastics. Others believe that it is hard to acknowledge the copyright for the act of displaying the athlete’s skills according to the judgment standar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IOC and FIFA, or event organizers such as KBO and KBL, need to prevent acts that damage the value of sporting events because they have invested huge amounts of money in hosting games, but there is no legal remedy.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stadium rights’ recognized under the Brazilian copyright law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broadcasting technique of sports broadcasting video developing, the copyright of the ‘Clean Feed’ itself is being recognized, and the copyright of the work now belongs to the broadcasting company. In relation to the use relationship of sports broadcasting video, conflicts between rights subjects arise. In particular, in the reality where communication through blogs, SNS, and YouTube has become commonplace, if the inherent value of sports broadcasting rights is not damaged, the fair use regulations under the Copyright Act would be applied.
남기연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3 스포츠와 법 Vol.26 No.1
As e-Sports is selected as an official or demonstration event in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such as the Olympics and Asian Games, its status is rising day by day. In addition, looking at the selected events, not only traditional games, but also VR sports using software, electronic devices, and special equipment are included in e-sports events.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the law defining e-sports recognizes it as e-sports only when games are used as a medium, so it is difficult to flexibly respond to the diversification of e-sports event selection. In addition, since games are excluded from the law defining sports facilities, sports facilities using games are not recognized as sports facilities, and users are not guaranteed the minimum safety prescribed by the relevant laws.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discuss ways to expand the legal definition of e-sports, ways to recognize e-sports facilities as sports facilities,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governance for the promotion of the e-sports industr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e스포츠는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과 같은 국제 스포츠 이벤트에서 정식 또는 시범 종목으로 선정되면서 그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또한 선정된 종목을 살펴보면, 전통적인 게임물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전자기기 그리고 특수 장비 등을 이용하는 VR 스포츠도 e스포츠의 종목에 포함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법률상 e스포츠에 대한 정의를 게임물을 매개로 하는 경우로 한정하고 있어, 날로 다양해져 가고 있는 e스포츠 종목의 선정에서도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체육시설을 법률상 정의 내리고 있음에도 게임물은 제외하고 있어 게임물을 이용하는 체육시설의 경우에는 체육시설로도 인정받지 못해, 이용자가 관련 법에서 정하는 최소한의 안전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스포츠가 갖는 개념과 법적 정의를 현행 법률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e스포츠의 개념에 대해 재분석해 보고, 국제 올림픽 위원회와 아시아올림픽평의회가 e스포츠를 대하는 상황을 통해 올림픽, 아시안게임 등 각 단체에서 주최하는 국제 스포츠 이벤트에서 e스포츠의 역할 및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이스포츠법상 e스포츠의 정의에서 스포츠라는 용어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스포츠의 본질적 개념을 담고 있지 못하다는 점, e스포츠의 수단에 있어 게임물에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점과 이 때문에 e스포츠 종목을 선정함에 있어 게임물만을 종목으로 선정할 수 밖에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e스포츠가 갖고 있는 한계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고 국제적으로 게임물 외에 AR·VR 스포츠에 이르기까지 다변화하는 e스포츠 종목의 선정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e스포츠의 법적 정의를 확대하여 개정하고 e스포츠가 체육시설법상 체육시설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하며 e스포츠 관련 당사자들의 협력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거버넌스 구축 등의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천호준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veloped case of archivingon Mega Sport Event for searching effective method on a documentation ofMega Sport Event.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methodwas using about book, thesis and data of internet homepage for exploringthe stage on Mega Sports Event and case of Mega Sports Event recordmanagement. The field study was conducted about institute related toOlympic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 for analysing Mega Sports Eventrecord mana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Firstly, 2012London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scase(The People’s Record Project) is useful to ex-ante event phase. Secondly,2000Sydney Organizing Committee of the Olympic Games’s case(OlympicGames Knowledge Management Project) is useful to event operation phase. Thirdly. LA84Foundation’s case(Olympic Oral History Project) is useful toex-post ev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ich came up with the study resultabove can be present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assumed that three case for documentation about Mega Sports Event. Last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useful to Mega Sports Event recordmanagement institution. For the more, it will be conducted to study law of Mega Sport Event record management, humane and Material resource and method related torecord management of the Mega Sports Event organizing committee. 현대 사회에서 메가 스포츠이벤트는 한 지역이나 국가의 스포츠 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키워드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메가 스포츠이벤트를 효과적으로 기록화 하여 후대에 전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1986년서울아시안게임을 시작으로 1988년서울올림픽대회 그리고 2002FIFA월드컵대회 등과 같은 메가 스포츠이벤트가 다수개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체육·스포츠 현장에서는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재로 이를 체계적으로 기록화 하여 후대에 전달하려는 방법론에 대한 논의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최할 예정인 메가 스포츠이벤트를 효과적으로 기록화 할 수 있는 방법론을 탐색하기 위하여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진행 단계별로 기록화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위해 문헌고찰을 통해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진행단계를 이벤트이전단계, 운영단계 그리고 이후단계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단계별로 참고할 수 있는 기록화 사례를 선정하였다. 이후 문헌고찰을 통해서 각 단계별로 선정된 사업의 개요를 파악하였고, 이를토대로 현지 방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체적인 사업내용을 분석하였다. 각 단계별로 선정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이벤트 이전단계는 국민의 기록(The People’s Record)사업, 운영단계는 올림픽대회지식관리(Olympic Game Knowledge Management)사업 그리고 이후단계는 올림픽 구술사(Olympic Oral History)사업이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의 기록 사례는다양한 계층의 경험을 포착하여 기록화 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이벤트 이전단계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올림픽대회 지식관리 사례는 대회운영을 위한 조직위원회의 업무 활동과 지식을 기록화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벤트 운영단계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셋째, 올림픽 구술사 사례는 이벤트의 전 단계에서 발생한 결락기록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벤트 이후단계에서 적용이가능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개최가 예정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화에 일정한 역할을 할 것이며,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기록을 관리하고 있는 기관에서 기록관리 방법론을 마련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국제스포츠이벤트 테러리즘의 분석과 향후전망 - 한국과 독일사례를 중심으로 -
전대양,이대성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1 스포츠와 법 Vol.14 No.3
In modern society,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improved with the shortened working hours and economic affluence. As the leasure time is getting more important in our lives, it becomes a culture, and accordingly the interest in sports is getting higher. The interest in sports became expanded to direction participation and watching, which brought the improvement of health and the development of sports events. Participating sports give the public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sports themselves. Such social atmosphere can help the participants to establish self-identity, to resolve stress and tens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maintaining mental and physical health. It becomes a general phenomenon to consider sports a part of the life of the civilized. Sports watching gives the public the opportunity to release their everyday stress or realize themselves through various sports events or sports programs. The expansion of sports watching brings the activation of various sports events. Such sports events have become important tools to vitalize the local and national economy as well as to activate the related sport itself being combined with tourism and cultural products. Sports event hosting enhanced national image, created added-value in economy, stimulated patriotism and gave them pride that they are number one class citizens. Korea has hosted sports events such as Seoul Olympic Games in 1988 and World Cup in 2002 successfully, and it will host World Athletics’ Competition in Daegu in August 27, 2011. Additionally, Korea will host Winder Olympic in Pyungchang in 2018 and become the fifth country that has ever hosted 4 major world sports events following France, Germany, Italy and Japan. However, it should be reinstated that there is threat of terrorism behind of the sports events hosting. The most notorious terrorism events related to sports events in international society are the kidnapping and murders of Black September under PLO on the athletics and administrators of Israel in Munich Olympics in Germany on September 5, 1972, bomb terrorism in Gimpo International Airport in Korea on September 14, 1989 a week before Seoul Asian Games, and the explosion of KAL858 aircraft over Andaman sky on November 29, 1987 to disturb Seoul Olympic Games in 1988. In this study, it was tri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terrorism cases related to sports events. Through this, it was tired to forecast the terrorism to disturb or interfere large scale sports events such as Pyungchang Winter Olympic Games in 2018, to induce the suggestions on the terrorism that can happen related to sports events in the future and to make proposals to prevent sports events related terrorism. 현대사회는 노동시간의 단축과 경제적 풍요로 인하여 생활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여가시간이 생활에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였고, 여가시간의 증대는 여가문화 정착에 기여하였으며, 그에 따라 스포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게 되었다. 스포츠에 대한 관심은 직접적인 참여와 관람으로 확대되었고, 국민 건강 증진과 스포츠이벤트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국제스포츠이벤트 개최는 국가의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경제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국민들에게 국가에 대한 애국심을 고취시켜 세계 1등 국민이라는 자부심을 갖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한국은 1988년 서울올림픽과 2002년 월드컵 등과 같은 국제스포츠이벤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이 있으며, 2011년 8월 27일 대구에서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은 2018년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을 개최하게 됨으로써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5번째로 세계 4대 국제스포츠이벤트를 모두 개최하는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국제스포츠이벤트 개최의 이면에는 테러리즘의 위협이 상존한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국제사회에서 국제스포츠이벤트와 관련하여 발생한 대표적 테러리즘은 1972년 9월 5일 독일 뮌헨올림픽에서 이스라엘 선수와 임원을 대상으로 한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산하 검은 9월단의 인질․납치․살해 테러리즘, 1986년 9월 14일 한국 서울아시안게임 1주일 전에 김포국제공항을 대상으로 발생한 폭탄 테러리즘, 그리고 1988년 서울올림픽을 방해하기 위하여 1987년 11월 29일 미얀마 안다만 상공에서 대한항공 858기를 폭파한 테러리즘 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과 독일에서 개최한 국제스포츠이벤트와 관련하여 발생한 테러리즘 사례를 분석하여,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과 같은 국제스포츠이벤트 개최를 저지하거나 방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생 가능한 테러리즘을 전망하고, 이에 대한 제언하고자 한다.
스포츠이벤트 개최지역 이미지, 관여도, 스포츠관광, 지역발전 간의 구조관계: 구이저우성(贵州省) 농촌 농구리그 “촌(村)BA”를 중심으로
증덕지,김대희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4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mage of the host region affects event involvement, focusing on the Chinese rural basketball league 'Chon BA' conducted in 2022, and analyzed how event involvement has a long-term effect on regional development and sports tourism with adult men and women over 20 years of age who have viewed the 'Chon BA' sports events at least onc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6.0 and AMOS 24.0 program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mage of the host region of a sports event had a positive effect on event involv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event involv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ports tourism. Third, hypothesis 3 was adopted a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tourism and regional developme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event involv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regional development, and as a result, hypothesis 4 was also adopted.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direct effect of event involvement on regional development was 2.136, and the indirect effect through sports tourism was 2.832. From the perspectiv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event,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 plays a pivotal role in the event's success. Considering the marketing of sports tourism packages, theme travel packages linked with sports events offer unique experience opportunities for tour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