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甲骨文專字現象研究

        高俊霞,鄧飛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3 한자연구 Vol.- No.37

        The so called “special characters”, is the characters that intended to represent a particular meaning. The concept of “special characters”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and as early as the Southern Tang Dynasty, Xu Kai’s (徐锴) interpretation of “lang (郎)” in the “Shuowen Jiezi Xizhuan 《( 說 文解字繫傳》)” already had the meaning of “special characters”. The Qing dynasty scholar Wang Yun (王筠) also discussed “special characters” many times. “Special characters” are exist more or less in various periods of Chinese characters, and “special characters” have appeared as early as the existence of oracle-bone inscriptions. This paper preliminarily sorts out the “special characters”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and then groups these “special characters” and briefly sorts out the configuration of each group of characters, in order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special characters”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ir use in combination with the example and context, the “special characters”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are compared with the “special characters” in Dongba script, and it is found that these “special characters”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hen used. The “special characters” in the oracle-bone inscriptions are often accompanied by partial changes in the shape structure, and the frequency of their use is unbalanced. When “special characters” are used, there is often a situation where a character represents a phrase, the use of “special characters” is often limited by superordinate level semantics and it will gradually be unified into a glyph in the later stage. Finally, combined with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we find that the production of “special characters” is a natural manifestation in the process of writing develop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text of the use of oracle-bone inscriptions and the thinking habits of primitive ancestors.

      • KCI등재

        新增類合 통용자 고찰

        정연실 중국학연구회 2019 중국학연구 Vol.- No.88

        “SinjeungYuhap(新增類合)”is a Chinese character textbook for the Joseon period. and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textbooks. Therefore, this textbook is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study of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Joseon period.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first part is the introduction, which mainly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the book “SinjeungYuhap(新增類合)” and 109 groups of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The second part mainly analyzes the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and classifies them. The third part mainl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The last is the conclusion. Through analysis, this paper recognizes that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title characters and interchangeable characters of “SinjeungYuhap(新增類合)” can be divided into variant characters, phonetic loan characters, specialization characters, in which the variant characters predominates. The title characters are analyzed from the point of variant characters, phonetic loan characters, specialization characters. Most of the title characters belong to the standard characters, the original characters, and the specialization characters, but there are exceptions. We estimate that the titl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popular characters, the phonetic loan characters, and the mother characters are more commonly used at the time than the standard characters, the original characters, and the specialization characters, so they are selected as the title characters. 이 논문은 新增類合에서 제시한 109개의 통용자를 대상으로 표제자와 통용자의 관계를 분석한 논문이다. 논문은 서론, 표제자와 통용자의 관계, 표제자와 통용자의 특징, 결론 네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新增類合의 표제자와 통용자는 이체 관계, 가차관계, 분화 관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이체 관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둘째, 정자와 속자, 본자와 가차자, 모자와 분화자의 관점에서 표제자와 통용자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표제자는 정자, 본자, 분화자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셋째 표제자가 속자, 가차자, 모자인 경우는 新增類合 당시에 이 글자들이 정자, 본자, 분화자에 비해 더 상용되었을 것으로 추측한다.

      • KCI등재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민웅,김태훈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general teacher character factors that are required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and based on this, develop and validate an evaluation tool that can measure the teacher character factors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his purpose, firstly, we have derived teacher character factors for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s through investigating the literatures, and after ensuring the validity on the contents, and we have ensured the construct validity through a factor analysis process, and lastly we have conducted a reliability test. The recruited group for this study are students who attend the related departments of vocational education nationwide and graduate students who attend vocational education related graduate schools nationwide.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400 pre-service teachers for specialized high school from 3 universities of located in Daejeon, Chungnam, and Jeonnam, and have used the 210 responded surveys as our analysis data after excluding unresponsive and insincere responses from the 350 collected surveys. As for evaluation tool development, after developing the first evaluation tool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s, we have restructured or added question items to fit the real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s by asking for advices from 10 currently working teach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addition, the content validity test was conducted by one vocational education professor and seven masters or doctoral degree holders with more than 15 years of professional career experiences of teaching at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s a result, 77 question items were develop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secur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ool, 59 items of 10 factor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Additionall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order to test the model validity, NC(Normed Chi square) value of 1.871, CFI value of .889, RMSEA value of .65 and RMS(SRMR) value of 0.45(.717) were shown to confirmed that this study model was appropriate. Finally,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test of the questionnaire tool, ‘negative teacher character’ item showed a value below the threshold level, so we have excluded from the final evaluation tool. As a result, finally 56 question items consisting of 9 factors were developed for teacher character assessment tool for pre-service teach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일반적인 교직 인성 요소들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요소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고찰을 통해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 구인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확보한 다음,요인분석 과정을 거쳐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였고, 마지막으로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직업교육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과 직업교육 관련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이다. 이에 대전, 충남, 전남 소재 3개 대학의 특성화고 예비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가운데 회수된 350부의 설문지 중 미응답 및 불성실 응답 설문지를 제외한 210부를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평가 도구 개발은 문헌고찰을 통한 1차 평가 도구 개발 후, 특성화고 현직 교사 10인에게 자문을 구하여 특성화고 현실에 맞도록 문항을 재구성하거나 추가하여 2차 평가 도구를 개발 하였다. 또한 직업교육 교수 1인, 특성화고 교직경력 15년 이상의 석사 혹은 박사학위 소지자 7인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77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설문도구의 구인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0개 요인의 59개 항목이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사한 결과, NC(Normed Chi square)값은 1.871, CFI값은 .889, RMSEA값은 .065, RMR(SRMR)값은 .045(.0717)로 나타나 본 연구 모형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설문도구의 신뢰도 검증 결과, ‘부정적 교직 인성’ 항목이 임계치 이하의 수치가 나타나 최종 검사도구에서 제외하였다. 이에 최종적으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평가 도구는 9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56문항이 개발되었다. 교사는 단순히 자신의 교과지식을 전달하는 자가 아닌 교과를 매개로 하여 인간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자이다. 이때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것은 지식만으로는 부족하며, 교사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앞으로 특성화고 예비교사의 교직 인성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는 그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에서 발견학습을 활용한 캐릭터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왕미영 ( Miyoung Wang ),김관배 ( Kwanbae Kim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8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2 No.1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캐릭터디자인 교육은 학생들이 창조성을 바탕으로 캐릭터 특유의 새로운 개념과 스타일을 경험하고 자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시 말하면, 과제 진행을 중심으로 실기 위주로 진행되는 캐릭터디자인 교육의 특성상 학생들이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개발해 나가는 태도와 자세를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내용적으로는 학생들이 캐릭터 특유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독창적인 조형성을 부여할 수 있는 디자인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캐릭터디자인 교육에서 교육적 효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하여 발견학습을 활용하여 캐릭터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캐릭터디자인 교육의 목적을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를 수행하고 있는 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의 기본 방향을 정립하고 기초를 마련하였다. 또한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캐릭터디자인 교육과정의 개선에 활용할 발견학습에 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캐릭터디자인 교육과정에 발견학습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도입, 자료 관찰, 추가 자료 제시 및 관찰, 일반화 추리, 적용, 확장의 총 6단계로 이루어진 ‘발견학습을 활용한 캐릭터 디자인 교육과 정’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현장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캐릭터디자인 교육과정을 교육현장에서 실행하고 사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평가한 결과,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아 그 실효성이 검증되었다. Character design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s aims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experience new character-specific concepts and styles based on their creativities and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learn attitudes to develop design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clas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design education which focuses on practice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for the students to develop their design ability to identif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nd to give original formality to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esent the character design education program using discovery learning in order to more efficiently bring educational effects to the character design education in specialized High Schools. First, it was tried to establish the basic direction and the ground of this study by examining the purpose of character design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rvey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discovery learning which will be used for improvement of existing character design education course was reviewed theoretically. Based on these researches, it was explored how to use discovery learning in character design education course. Through this, Character Design Educational Curriculum using Discovery Learning which consists of six stages such as introduction, data observation, presentation and observation of additional data, generalization reasoning, application and expansion, was developed and presented. Next, the character design education course developed through the field study was conducted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evaluated through post - questionnaire survey. In the survey,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hich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 KCI등재후보

        新莽時期的特殊用字研究

        何余華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16 한자연구 Vol.0 No.15

        The Wangmang’s Xin dynasty is the special period in Chinese history, the Wangmang’s governing philosophy and cultural awareness had great influence on both the structure and the usage of the Chinese characters. We make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these script materials. This paper has reviewed the special usage of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Wangmang’s Xin dynasty from three points of view: the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the construc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functions and usages of Chinese character. Further, we hold the opinion that the reform of writing system was the Xin dynasty’s basic policy. And the special usage of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Wangmang’s Xin Dynasty is important references for division of cultural relic and literature history into periods.

      • 사용빈도에 기반한 스마트폰의 문장부호 및 특수문자 입력 레이아웃의 개선

        정연주(Yeonjoo Jung),방지현(Jihyun Bang),김신우(ShinWoo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통한 텍스트 입력 작업 또한 빈번하게 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은 기존의 물리적인 입력 디바이스들과 달리 상대적으로 큰 제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빈번한 오류를 범하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 기종마다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한글, 영문 텍스트보다 문장부호나 특수문자의 입력에서 오류가 자주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문장부호 및 특수문자가 더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입력되려면 텍스트 레이아웃이 어떠한 구조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기호 사용 패턴을 조사하여, 문장부호 및 특수문자의 사용빈도 자료를 획득하였다. 더불어 입력 레이아웃을 몇 가지 세부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서 CPS(초당 문자 입력 수)를 구하여 가장 입력속도가 높은 영역이 어디인지를 지정한 다음, 이에 배치하여야 하는 기호들은 어떤 것들인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재구성한 대안적 레이아웃과 기존 제품의 레이아웃을 CPS를 비교분석하면서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입력 레이아웃을 제안하였다. Recent popularity of smartphones resulted in frequent use of touchscreen for text input. However, touch-based input has a number of limitations compared with previously used physical input methods. As a result, users tend to make more errors when they enter text using those devices which adopt more advanced technology. In particular, more errors appear to occur when people enter punctuation marks and special characters compared with Korean/English characters which has similar layout across different smartphones.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how the input layout has to be arranged in order to support more efficient and accurate input of punctuation marks and special characters. Using survey of smartphone users’text input pattern, we obtained frequency data of punctuation marks and special characters. Then we divided input layout into three areas in which each area has different CPS(input per second) in order to assign different marks and characters based on their frequency. We propose an alternative input layout while comparing previous vs. our newly designed input layout in this research.

      • KCI등재

        인물중심 한국 특수교육의 역사적 고찰

        김병하 ( Byung H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3

        본 연구는 인물중심으로 한국 특수교육역사를 정립하기 위해 시대구분을 태동기(15세기이후), 성립기(1894-1909), 과도기(1910-1944), 전개기(1945-1960년대)로 설정하고 각 시기마다 대표적 인물로 세종대왕(본명 李.), R. S. Hall(許乙), 박두성(朴斗星), 이영식(李永植)을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먼저 인물중심 한국 특수교육역사 시대구분 설정 기준과 각 시대구분에 따른 인물선정 이유를 논의하였다. 이어 선정된 각인물의 생애사적 개관과 그들의 주요특수교육 업적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면서 논평을 가했다. ‘태동기’에 세종은 훈민정음 창제를 통해 후에 한글점자에 의한 맹교육의 길을 터주었고,한글지문자(指文字)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농교육에 도움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1445년(세종27년)에는 맹인들을 모아 서운관(書雲觀)에서 음양학을 중심으로 점복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전근대사회에서 명백한 맹교육 실천 사례(史例)를 남겨주고 있다. 19세기 말 근대적 문명개화에 편승하여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에 의한 신교육과 서양의술이 도입되는 과정에서 R. S.Hall에 의해 평양에서 근대 특수교육이 성립된다. 일본 식민통치하(과도기)에 박두성은 조선어말살 정책에도 불구하고 맹인들을 위해 ‘훈맹정음’을 창안(1926)하였으며, 그는 일생을 통한 애맹(愛盲) 정신으로 맹인들에게 신약성서 점역 보급과 점자통신교육을 실시하였다. 광복후(전개기)에 이영식은 국가에서 장애아동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전무 한 상황에서 1946년 대구에서 맹교육과 농교육을 시작한 이래, 10년 후에는 특수교육 지도자양성을 위해 고등교육기관을 설립하였고, 그로부터 다시 10년 후(1966)에는 정신지체아교육과 지체부자유아교육도 처음 시작하였다. 이처럼 이들은 모두 당대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선구적 개척자였기에, 한국 특수교육 역사정립의 중심인물로 선정ㆍ평가될만하다. Korean history in special educatio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four different ages, the quickening period (after 15th century), the beginning period (1894-1909), the transitional period (1910-1944), and the developing period (1945-1960’s). In this paper, four historically critical characters, the Great King Seojong, R. S. Hall, Duseong Park, and Youngsik Rhee,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s of each above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d the rationale for making the criterion of choosing periods and historical characters and then the characters’ overall lives and achievements that finally contributed to Korean special education. The Great King Seojong at the quickening period opened a road for Braille point in Korean language as he created the Korean alphabet “Hangul”, which was the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And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fingerspelling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Further, he provided divinatory education for the blind at Seounkwan(書雲觀), which was the government office in 1445 (27th year of Seojong in charge). Since the era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had begun and thus Protestant missionaries brought modern education and Western medicine into Korea at the end of 19th century, R. S. Hall initiated special education of the modern age at Pyeongyang. Duseong Park created ‘The Korean Braille point’ for the blind in 1926 even when Japan tried to erase Korean language under the colonization of Japan. He also provided the Bible, which was made in Braille point of the Korean language for the blind and devoted his whole life to education for the blind by using the Korean Braille point. Youngsik Rhee started education for people with deaf and with blind at Daegu in 1946 when governmental supports and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totally absent. He established an institute of higher educatio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professional preparation in 1956. He also bega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with physical disabilities at the very first in Korea in 1966.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 believe that these four people are historically invaluable characters for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because they all were the pioneers who greatly contributed to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러시아어에서 인물지칭 접미사의 사용 변화

        강덕수(Kang Duck Soo),정연우(Jeong Yeon Wo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2

        러시아어에서 인물지칭 어휘들은 기저 어간에 접미사를 결합시키는 접미화를 통해 파생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접미사의 수는 매우 광범위할 뿐 아니라, 다의어 혹은 유의어의 관계를 형성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어휘론, 조어론, 의미론적 관점에서 시도되어 왔다. 인물지칭 명사들은 기저 어간이 동사인지, 명사인지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저 동사의 동작 주체가 되는 동작주(nomina agentis)와 대상을 나타내는 기저 명사에서 파생되는 행동주(nomina actoris)로 구분 짓는 것이 더 유용할 수도 있다. 그것은 동일한 형태의 접미사가 동사 어간과 명사 어간 모두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타당성이 있다. 본 연구의 3장에서는 일부 인물지칭 접미사들의 어원적 의미부터 시작해서 사용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먼저 동작주의 접미사로 생산성이 높은 -щик/-чик의 어원으로부터 접미사가 사용된 범위, 그리고 그 변이형들을 살펴보고, 명사 тело에서 문법화 하여 접미사로 기능하고 있는 -тель이 어원어로부터 전이를 일으키어 동작주를 지칭하게 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접미사 -ник은 과거에는 매우 생산적이었지만, 현재는 전문성을 나타내는 데는 소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오히려 어원어의 의미가 투명하여 문법화가 덜 된 -вед, -лог등도 전문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접미사 -ун을 통하여는 대상에 대한 능력이나 애정 등이 표현된다. 행동주의 의미로 사용되는 명사 기저 인물지칭 접미사 가운데 -ник은 대상의 행위를 수행하는 인물을 지칭한다. 접미사 -щик은 동사 기저 뿐 아니라, 명사 기저의 인물지칭에서도 파생의 기능을 매우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접미사 -ист는 원래 라틴어 접미사인데 프랑스어를 통하여 러시아어에 유입되어 18세기까지는 차용어에서만 주로 사용되다가 점차 대상을 나타내는 러시아어 어간과도 결합하게 되었다. 접미사 -ан(ин)는 정해진 장소나 집단에의 소속을 나타내는 형성소로 주민을 나타내는 접미사로 전문화되었다. 접미사 -ец는 어원적으로도 지소형, 출신, 소속을 나타내는 접미사의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현재에도 어떤 집단이나 기관에 소속된 인물지칭 접미사로 전문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인물지칭 접미사들 가운데 더 원형적인 의미를 가진 것과, 반대로 더 주변적인 의미나 용법을 가진 것들이 함께 공존하는 층위화 속에서 특정 접미사가 특정 의미로 사용되는 전문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러시아어에서 인물지칭의 의미로 파생에 관여하고 있는 많은 접미사들은 아주 새로운 것은 없고,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접미사들이 시대에 따라서, 즉 언어사용자들에 따라서 분포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그리고 현 언어단계에서도 이전과 다르게 영역별로 생산성에서 증감의 변화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In Russian many nouns of designating characters are derived by suffixation, which combines suffixes with base stems. But suffixes with function of nominalization is extensive in number, forming relations of polysemy or synonyms. It is useful to classify nouns of designating characters into two groups: nomina agentis and nomina actoris, because the same form of suffixes can be used to verbal and nominal stems. The chapter Ⅲ examines suffixes -щик/-чик, -тель, -ник, -ун. It analyzes the suffix -щик/-чик, one of the most productive suffixes for nomina agentis, explaining its etymological process and range of usage and variants. The suffix -тель is a result of grammaticalization of a noun тело, which has derived from a combination of a root *t?- with a suffix -lo, acquiring a meaning of nomina agentis. The suffix -ник, once productive, is not yet classified into a category of specialization. In the aspect of specialization the less grammaticalized suffixes -вед, -вод, -лог ensure their usage of designating specialists. The suffix -ун represents a meaning of expressing ability or affection. The borrowed suffix for nomina agentis -ист, originally from Latin through French, is now combined with stems of Russian origin. The suffix -ан(ин), a formant of designating attachment to a place or an organization, is now used as a specialized suffix for residents. The suffix -ец, which has an etymological meaning for a diminutive, origin, attachment, is specialized as a suffix of designating characters. In conclusion, suffixes of designating characters coexist in various layers, irrespective of divergences in their original or peripheral meanings and their usages, and are simultaneously in the process of specialization to limit specific meanings to specific suffixes. Further, from the aspect of specialization. it is worthwhile studying usages and productivity of suffixes in the process of gradual change.

      • KCI등재

        4D 특수영상에서의 캐릭터 개발과정 제작 공동 작품 연구

        조현경(Cho, Hyun-Ky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1

        영상을 통한 콘텐츠 유통 활성화는 안성지역 활성화 콘텐츠 산업에서 선순환 구조 구축의 필수조건이다. 2015년 국책 사업을 통해 안성지역 지자체에서 제작되고 있는 특수 영상 콘텐츠 제작의 애니메이션은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시에서 추진되고 있는 핵심 사업이다. 이 연구는 영상 콘텐츠 개발의 과정에서의 기획고찰과 디자인 작품 제작을 통해 시각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캐릭터 개발 과정의 창의성 및 독창성을 비롯하여 심미적인 평가와 작품의 타당성, 비평성의 연구는 매우 중요하기에,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특수 영상(3D,4D)에서의 지방자치단체의 일반 기존 제작되어진 캐릭터와는 다른 방향의 캐릭터 개발 발전 방향을 위해서 실질적 개발의 비쥬얼이 제시되어져야 할 연구 과제일 것이다, 아울러 개발 진행 단계와 각 단계별로 평가 기준과 실질적 분석의 기획단계의 과정을 통해 제안된 작품이 주요 결과로서 제시되었다. 각 캐릭터 시안의 대한 기획과정의 연구들이 본론에서 제시되고, 결론부분에서 작품 완성 디자인이 중요하게 다루어 졌으며, 개발 사례에 대한 기획방향과 제시된 특수영상의 캐릭터의 특징들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실질 개발 과정에서의 선택과 평가가 객관적이고 결과 지향적이어야 하기에 특수영상의 실질적 캐릭터 작품을 기획과 결과 과정을 제시하며 발표하는 논문은 중요한 요청을 가지며, 제시된 디자인 결과물로서 실질적 가치 개발 창출에 의미를 가짐으로서 가시적 성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Kyung–GI DO, An-sung,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developed the character design to inform the public relations and revitalize local economy and culture. consequently, These have got benefits with marketing local speciality related to their an-sung character; we call it name is arum, pung-mul, duck-bugi who korea traditional face characters. On the contrary, Most of old characters which have been fallen off their formative qualities became a reason that unfit (4D,3D) special film at local doom movie theater. This thesis aims to study on the character of ‘namsadang’group what have been produced in ansung-si, that the show up to people about an-sung 4D Contents what local actually character and to make it more competitive through 3D,4D spacial character project developing process. It is need for new various characters, that (3D,4D-VFX)-Graphics of new an-sung‘namsadang’group. that will be total different and new development. total VFX; 4-Dimantion visual graphics released in next an-sung local festival, Business prospects are bright and receiving benefits are increasing. As seen in the case of the character of in 2015, it can be a measure to earn benefits as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if it is managed in the local autonomous entities. In this thesis, I propose what the of character in the local special graphics; VFX style characters design. also I was show up to‘4D contents character;’;‘namsadang’group; creative processing including planing. It is possible to be ranged from special 4D series animation, a feature-length special effct cartoon film, character products, and even local doom Theme parks show up film. which are all expected high profits. These profits will be returned back to the an-sung local autonomous entity, who can use them to develop new contents, one of foundations in local economy. As a result, it is helpful to make local traits and effective tourist attractions.

      • KCI등재

        『백구』의 인물 연구

        김정진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Yom, Sang Sub' novel ;『A white Dove』. Yom, Sang Sub was the realistic novelist whose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realized in his fiction. And his rebellious spirit reaches the very summit in his four novels like <Love And Crime(사랑과 죄)1926>, <Three Generation(삼대), 1931)>, <The Fig Tree(무화과)1932>, < A White Dove(백구) 1933>. But A White Dove(『백구』) is not regarded as a important novel. So the results of analyzing character of the text can be verified the hypothesis which <A White Dove> is not only the important work but also one of series novel succeeding to <Three Generation)> and <The Fig Tree>. The narrative fiction should have a structure and an various aesthetic element. It must, of course, stand in recognizable relation to life. Such novelist as Yom Sang Sub offers less a relation than a world. in its entirety. Especially Yom, Sang Sub has such a way to create the world which is recognizable as overlapping the empirical world but distinct in it's self-coherent intelligibility. I examined Yom Sang Sub' understanding about the character. So called the sympathizer and the socialist, they are the one of most important characters. I scrutinized such organizing elements of Yom's fiction as characters Chapter tow is a discussion about so-called Sympathizer. In this chapter I considers the relation between sympathizer and socialis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in Yom's novels, <A White Dove>. For the first time in this contemporary Korean novels, Yom created sympathizers who aid his socialist secretly. But as a matter of fact, in the novels, sympathizer's role does not accord to his original intention. so he cannot help evade a self-contradiction as the fellow-traveller novelist. Of course, we can discern in such sympathizers ironic process which also strengthens novelistic realism. In conclusion, I empathized that <A White Dove> is not only the significant novel of Yom Sang Sub as novelist, but also his characteristic technical device which is indispensable for his realism. 이 연구는 기존의 수많은 염상섭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백구』의 인물분석을 통하여 『삼대』, 『무화과』, 『백구』의 연속성의 증거를 찾아 제시하고 이 작품이 갖는 인물의 의미와 특성을 천착하였다. 『백구』는 당시의 검열을 의식한 작가의 고민과 의도된 문학적 장치들이 인물성격화에 집중적으로 형상화되었음을 밝혔다. 동정자와 주의자들의 연관성을 『사랑과 죄』에서부터 그 맥락을 살펴보면 이 작품의 의미가 드러난다. 동정자는 일제의 탄압에 의해 그 의식이 변모되고 주의자는 그 활동에 제약을 받는 인물로서, 국내에서 지지 기반을 점점 잃어 가는 지하 항일 운동가들은 자신들과의 연결점이 점점 없어져 가는 동정자들과의 관계성을 모색해야만 했다. 동정자들의 경제적 인격적 파탄과 검거되는 주의자들의 구금 현실로 말미암아 주의자들의 투쟁은 철저한 위장과 비밀 조직이 필요하게 되었다. 『백구』의 세계가 그런 양상을 정확하게 그리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사랑과 죄』, 『 삼대』, 『무화과』 그리고 『백구』로 이어지면서 인물에 나타난 항일의 형상화는 점점 미약해졌다. 『백구』에 오면 지하 항일단체는 갱단으로 호도되기에 이른다. 그것은 동정자의 부재와 주의자의 위장이라는 작가의 당대인식이 작중인물의 성격으로 형상화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