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행의 전문화: 3 가지 방법의 비교

        이상문 한국공안행정학회 201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8 No.2

        Offending specialization is one of the debatable topics theoretically and methodologically in the criminology. This study examines juvenile offending specialization comparing three methods: the forward specialization coefficient, the diversity index and the regression model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Three-wav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are used to test juvenile offending specialization. The results of the forward specialization coefficient method suggest that the offending specialization varies over time; the tendency of offending specialization is found in status offense and the tendency of offending versatility is found in status/property offense. The results of the diversity index method demonstrate that higher frequency of offending leads to higher diversity; the tendency of offending versatility is decreasing over time. The regression model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shows that the highest offending category of specialization is status offense; offending specialization predicts the future offending. The results of overall methods are summarized that the evidence of both offending specialization and versatility is found; the tendency of offending specialization is much stronger than that of offending versatility; the highest offending category of specialization is status offense; the tendency of offending specialization is increasing over time. Comparing three methods for offending specializ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gression model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is much flexible to measure specialization than other two methods. 전문화는 범죄학에서 이론적으로나 방법론적으로 논란이 있는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전방전문화 계수, 다양성 지수, 항목반응 이론에 근거한 회귀 모형의 3가지 방법을 비교하여 청소년 비행의 전문화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청소년 비행의 전문화에 대해 검증하였다. 전방전문화 계수를 이용한 결과는 전문화의 시기별 차이가 있으며 지위 비행의 전문화 성향과 지위/대물 비행의 다면화의 성향을 제시한다. 다양성 지수를 이용한 결과는 비행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다면화의 성향이 나타나며, 청소년의 성장에 따라 다면화의 성향이 감소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항목반응 이론에 근거한 회귀 모형을 이용한 결과는 지위 비행의 전문화 경향과 전문화가 비행을 설명하는 요인이 됨을 제시한다. 비행의 전문화 또는 다면화를 측정하는 3 가지 방법의 분석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청소년의 비행은 전문화 성향과 다면화의 성향이 나타나고 있다. 전문화의 성향은 다면화의 성향보다 높게 나타난다. 전문화의 성향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범주는 지위 비행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문화의 성향이 증가하며 다면화의 성향은 감소한다. 이 연구는 전문화에 관한 3가지 방법을 비교할 때 항목반응 이론에 근거한 회귀 모형이 전문화를 측정하는 가장 유연한 방법임을 제시한다.

      • 법조일원화 시대의 법관전문화 방안

        윤찬영 ( Yoon Chan Young ) 사법정책연구원 2021 연구보고서 Vol.2021 No.3

        전통적인 사법부 역할은 중립적이고 독립된 법관에 의한 공정한 사법심사를 통해 국민의 침해된 권리를 구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경제성장과 더불어 여러 분야가 급격히 발전하고 법률분쟁이 복잡해짐에 따라, 사법부도 전문화를 통하여 재판의 질과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국민의 재판받을 권리를 실질적으로 실현할 책임을 안게 되었다. 2011년 법원조직법 개정으로 법조일원화 방식의 법관 임용제도가 도입되면서, 재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서 기존 법관에 대한 연수 등을 통한 ‘양성’보다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갖춘 법관을 ‘임용’하여 그 전문성을 활용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문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춘 우수한 법조인의 법관임용 지원을 유도하고 그 전문성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실제로 전문성 있는 법관이 전문법원이나 전문재판부에 배치되어 계속 근무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는 전문분야별로 선발된 법관이 동일법원에서 장기 근무할 수 있도록 법관인사제도가 변화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는 기존의 인사제도와 관행 나아가 전반적인 사법제도를 고려하여 정밀하게 설계되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우리 법원은 재판의 전문화를 위하여 특허법원, 가정법원, 행정법원, 회생법원 등 전문법원을 설치하고, 각급 법원에 다양한 전문재판부를 두며, 전보인사의 방식으로 가사소년사건 전문법관제도를 시행하는 한편, 소액사건과 같은 특정 사무분담만을 담당하는 전담법관제 도입을 통한 법관의 다양화를 시도하고 있다. 나아가 개별 전문법원별로 그 특수성에 맞게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해 왔다. 그럼에도 개별 법원별 선발이 아닌 집단적 선발 방식으로 인해 전문분야별 법관 선발이 쉽지 않고, 원칙적으로 순환근무제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법관의 동일법원 장기근무 및 지속적 사무 분담 보장이 어렵다. 이처럼 전문법관제도의 운용이 근본적으로 쉽지 않은 환경이다. 즉시임용제에서 법조일원화로 나아가고 있는 우리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면, 영국 등 법조일원화 국가는 물론 즉시임용제를 택한 유럽 국가의 재판의 전문성 확보 방식을 두루 살펴 제도설계의 기초로 삼아야 한다. 법조일원화 국가인 영국의 직무별 법관선발제도와 이를 뒷받침하는 비상근법관제도, 전보금지원칙 등을 통한 유럽 국가의 동일법원 장기근무 및 사무 분담의 연속성 보장, 예비판사나 부판사 제도와 같은 법관종류의 다양화와 법관양성제도 등이 우리의 법관 전문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법원은 전문화를 통하여 재판의 질적 향상과 효율성 증대를 위해 노력하여야 하지만 전문화가 국민의 재판청구권 보장을 위한 수단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전문화로 인하여 재판의 독립과 공정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그로 인한 효용뿐만 아니라 필요한 절차비용 등 제반사정을 신중히 감안하여야 한다. The primary role of the judiciary is to adjudicate disputes that come before it and provide legal remedies for those whose rights were infringed through fair trials overseen by impartial and independent judges. In modern society, where legal disputes are more complicated due in part to enormous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ctors in society, the judiciary is also responsible for the full realization of the people's right to a fair trial by enhancing quality and efficiency of justice through specialization. With the revision of the Court Organization Act in 2011, South Korea introduced a new judicial appointment system, modelled after the common law appointment system, that unified the legal profession by selecting judges from practicing lawyers and prosecutors who possessed sufficient legal experience. The need to “appoint” judges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experience to ensure expertise in trials has, therefore, become more important than the need to “train” existing judges to become specialized. In order to encourage excellent legal professionals with special knowledge and experience to apply for judgeships, the judicial system should assign judges with specialized knowledge to specialized courts or divisions where they could continue working within their area of expertise. This would be possible only when the current personnel system for judges is reformed so judges selected for each specialized field could work for a long time at the same court or division. Such required reform can be achieved effectively only when the reform is carefully designed considering the entire judicial system, as well as the existing personnel system and the judicial practice of case assignment among judges. In order to provide more specialized judicial service, the Judiciary of Korea has established specialized courts, such as patent court, family court, administrative court, insolvency court, and other various specialized chambers in general courts. In addition, in order to diversify judges, the Judiciary of Korea has implemented a system of appointing specialized judges, via personnel transfer, who can serve long periods of time in family courts, and a system of judges in charge who ar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specific types of cases, such as small claim cases in general courts. Individual specialized courts have also been developing internal systems to strengthen their own specialities. Despite all of these efforts for specialization, the current personnel systems for judges have caused limitations in improving the specialization of the judiciary. That is, the current centralized method of appointing judges nationwide without giving individual courts the discretion to select judges makes it difficult to recruit professional judges in each specialized field. Moreover, under the current system, judges rotate every 2-3 years between courts, making it impossible for judges to continue their work on similar types of cases for a long time at the same court. These systems have been fundamental barriers to the judicial specialization in Korea. Systems for recruiting and appointing judges varies among different legal systems. Since the judicial appointment system of Korea is in a state of transition from the European civil law system (where judges are appointed immediately following a judicial training program) to the English common law system (where judges are selected from practicing lawyers and prosecutors who possessed sufficient legal experience), it would be helpful to examine different ways for the specialization of judiciaries of both common law countries and European countries to lay groundwork for institutional designs. This research thus conducts comparative legal research on the judicial specialization in both civil law countries (i.e., Italy, France, the Netherlands, Austria, Germany, Denmark, and Sweden) and common law countries (i.e., the United Kingdom, Canada,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lessons can be drawn from the English judicial selection process, by which judges were appointed for each particular area, and from their system for diversification of judges, by which fee-paid part-time judges were utilized in various specialized areas. Implications could be also found from the European countries’ systems that are based on the non-transferability provisions, under which judges may remain in their post to work on similar types of cases continuously at the same court. It is also noteworthy that some European countries have adopted assistant judge or deputy judge system for areas that require specialized knowledge; this system contributes to the diversification of judges and the effective training of judges with special knowledge.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comparative legal analysis may shed light on how Korean courts could enhance judicial specialization. The Judiciary of Korea should endeavor to improve quality and efficiency of trials through specialization; however, it should not forget that specialization is a means for the full realization of the people’s right to a fair trial. It should be also kept in mind that the specialization of judges shall not damage the impartiality of judges and independence of trials, and other necessary costs and existing judicial conditions of specialization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as well as its effectiveness.

      • KCI우수등재

        스키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

        이문진(LeeMunji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제시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 모형이 한국의 스키 참여자들에 적용될 수 있는 지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스키 참여자들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키 활동에 있어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를 다양한 수준으로 경험한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개별면담과 집단면담을 실시하고 면담의 내용을 전사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구성 단계를 도출하였으며, 각 단계를 모형으로 구조화하여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를 통해 제안된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은 스키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 유사하나 구체적인 단계의 구성과 내용에서 차이가 있다. 스키 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는 관심, 진입, 유지, 전환경험, 활성, 쇠퇴의 6개 단계로 구성되며,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과정에서 전환경험과 활성현상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수준 향상에 결정적인 작용을 한다. 6개 전문화 구성 단계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서대로 재구성한 결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서 전환경험과 활성을 통한 전문화 수준의 향상 과정은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순환모형의 형태로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creational specialization process model proposed in the preceding study can be applied to the ski participants in Korea and to organize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process of ski participa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 personal interview and a group interview for th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various level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in ski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th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is process, the stage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are derived and each step was structured as a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proposed recreation specialization process was similar to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process experienced by skiers, but they differ i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concrete steps. Recreation specialization of skiers consists of six stages of interest, entry, maintenance, turning point, activation, and decline. In the course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turning point and activation phenomenon play a decisive role in improving the level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As a result of reconstructing the 6 specialization stages in sequenc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specialization level through the conversion experience and activity in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can be repeated and presented in the form of a circulation model.

      • KCI등재

        지역의 제조업 특화수준과 임금 간의 관계

        동진우,정혜진 국토연구원 2020 국토연구 Vol.104 No.-

        Regional specializ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has been attributed to wage gaps across regions. However, it is problematic that previous studies have been disregarded the extent of specialization of manufacturing. To address the limitation, this study measures the degree of specialization in manufacturing by three methods,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specialization of manufacturing and wage. Using a panel data of 16 metropolitan areas and provinces from 2007 to 2018, the results from the dynamic panel method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ization and wage varies depending on the measurements of specialization. More specifically, it turns out that absolute specialization and the average firm sizes in specialized industrie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age, as specialization can positively affect productivity via rich labor markets and knowledge spillover effects. In contrast, relative specializa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wage, which implies that concentration in particular low-tech manufacturing industries can negatively affect wage.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그동안 제조업의 특화산업은 지역 간 임금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관련 선행연구들은 지역의 특화수준을 다양하게 측정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 논문은 제조업내에서 지역별 특화수준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측정하여, 특화수준과 제조업 근로자들의 임금 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추정하였다. 2007년부터 2018년 기간의 광역시도 자료를 구성하여 동적 패널 방법을 통해 추정한 결과 제조업의 특화도를 어떻게 측정하는지에 따라 지역의 소득에 서로 다른 영향력을 미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절대적 특화수준과 특화산업의 평균기업 규모는 지역 내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임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이는 노동력 및 지식 전이성에 따른 긍정적 외부효과에 의한 생산성 증가의 긍정적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상대적 특화수준은 오히려 임금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특정 산업의 높은 특화 비중이 임금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추구-회피동기 수준에 따른 여가만족,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행복의 관계: 야구동호인을 대상으로

        정하나 ( Hana Jeong ),황선환 ( Sunhwan Hwang )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0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추구-회피동기 이론을 적용하여 야구동호인의 추구-회피동기 수준에 따른 여가만족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행복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 추구-회피동기 집단별 여가만족이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과정: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서 활동하는 야구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목적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400명의 야구동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이 누락되거나 일괄된 번호로 응답하거나 신뢰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한 총 380부의 설문지를 SPSS 27.0 프로그램과 AMO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야구동호인의 추구-회피동기의 수준에 따른 집단 분류를 위해 추구-회피동기를 구성하는 다양한 하위요인 모델 중 개인적 추구, 대인적 추구, 개인적 회피, 대인적 회피동기로 구성된 하위요인 모델을 선정하고 ①형 추구-히피 동기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추구동기, 회피동기, 개인적 동기, 대인적 동기로 구성된 모델을 선정하고 ②형 추구-회피동기로 명명하였다. ①형과 ②형으로 유형화된 각각의 추구-회피동기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①형과 ②형으로 분류된 유형별 추구-회피동기 수준에 따른 여가만족의 차이 검증결과 추구-회피동기 수준에 따라 여가만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야구동호인에게 있어 추구-회피동기를 구성하는 요인들이 모두 높을 때 여가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①형과 ②형 유형별 추구-회피동기 수준에 따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차이 검증결과 추구-회피동기 수준에 따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추구-회피동기의 모든 하위요인이 높을 때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①형과 ②형 유형별 추구-회피동기 수준에 따른 행복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①형과 ②형 추구-회피동기 수준에 의해 분류된 4개 집단별 여가 만족이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만족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구-회피동기 수준에 따라 분류된 모든 집단에서 여가만족이 높을수록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과적으로 야구동호인의 여가만족,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있어 추구동기, 회피동기, 개인적·대인적 차원의 모든 하위요인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여가만족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같은 여가경험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모든 차원의 추구-회피동기를 고려하여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여가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Purpose: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happin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theory about baseball club member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baseball club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baseball league, and a total of 380 people responded to the survey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data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the SPSS 27.0 and AMOS 27.0 programs. Among the various sub-factor models constituting the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four sub-factor models consisting of personal seeking, interpersonal seeking, personal escaping, and interpersonal escaping motivation were selected and named type 1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Next, a model consisting of four sub-factors: seeking motivation, escaping motivation, personal motivation, and interpersonal motivation was selected and named type 2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Each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categorized into type 1 and type 2 was used for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nd happiness.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by type 1 and type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by type 1 and type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reational specializ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Especially, when the level of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for all sub-factor was high, the level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was found to be the highest.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happin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by type 1 and type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s a results, the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that explains the reason for participating in baseball proved to be a factor that can increase leisure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pecialization. Next,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recreational specialization of the four groups classified by type 1 and type 2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level.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it was found that the leisure satisfaction of the four groups of type 1 and type 2 classified by the level of seeking and escaping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creational specialization.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isure satisfaction of baseball club members, the higher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Conclusion: As a result, all sub-factors of seeking-escaping (seeking motivation, escaping motivation, and personal and interpersonal motivation) levels appeared to be important factor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of baseball club memb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reate a leisure environment that can satisfy needs by considering seeking-escaping motivation of baseball club members.

      • KCI등재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자전거이용자 세분화 및 주행환경 선호도 분석

        김현정,김남조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6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lassify cyclis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recreation specialization level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preferences for cycling environments amongst the sub-groups. The sample was drawn from 39 online cyclist clubs which comprise greater than 10,000 members.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categories of high, medium, and low specialization according to their behavioral, affective and cognitive dimensions of specialization. Fu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factors of environment preferences among three groups. The High specialization group prefers ‘connectivity with outside of cycle lane’ more than the low specialization group, while the low specialization group prefers ‘amenities’ more than the medium specialization group. The study applies recreation specialization theory towards cyclists, and measures specialization levels using multi-dimensional scales including behavioral, affective, cognitive dimensions. Consequently, the results suggest that cyclists also represents a scope of specialization.

      • KCI등재

        대학재정지원에서 대학특성화모형 적합도 분석 및 활용 방안

        김수경(Kim, Soo-Kyung),문보은(Moon, Bo-Eun),강이화(Kang, Ewha)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2

        이 연구는 현재 고등교육의 시급한 현안인 대학특성화의 효율성 제고 차원에서 재정 투입과 특성화 요인 산출의 대비를 통해 대학특성화 성과가 가장 극대화될 수 있는 대학별 특성화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대학을 중심으로 효율적인 대학 특성화 구조는 연구중심대학 6%(4개교), 산학중심대학 79%(55개교), 교육중심대학 20%(14개교)의 구조로 분석되었다. 둘째, 개별대학의 대학특성화 여건 차이에 기인한, 개별 대학의 특성화 모형별 적합도에 기여한 변수들이 도출되었다. 그 결과 연구중심 모형에 적합한 대학은 교원1인당 SCI급 논문편수, 연구비수주실적, 외국인전임교수비율, 외국인학생비율, 취업률이, 산학중심대학모형에 적합한 대학은 현장실습이수학생비율, 산학협력중점교수, 공용장비운영수익, 산학협력단 내 정규직 및 전문인력 현황이, 교육중심대학모형에 적합한 대학은 학부생비율이 각각 특성화 모형별 적합도를 높이는데 기여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학별로 대학특성화 세 모형 모두 100%의 적합도를 보인 대학이 분석되었는가 하면, 세 모형의 효율성이 모두 낮은 결과를 보인 대학도 분석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연구대상 대학은 세 가지 대학특성화모형 중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특성화모형이 도출되었다. 대학특성화모형 적합도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차원에서 대학특성화모형 적합도를 활용하여 대학특성화 구조를 수립할 수 있다. 둘째, 정부 차원에서는 대학특성화모형 적합도에 기여한 변수를 중심으로 재정지원 전략을 추진함으로써 대학특성화 재정지원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셋째, 개별 대학 차원에서 대학이 보유한 인적ㆍ물적 자원을 어느 특성화모형에 집중할 것인지 전략을 수립할 때, 데이터에 기반한 대학특성화 모형별 효율성 점수가 합리적인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a comparative analysis on fit of research-based, academic-industrial, and education-based university model of 70 universities by showing outcome of university specialization compared to maximization of financial input and output of specialization factors at the level of raising university specialization efficiency, the urgent current issue in higher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 of research-based, 79% of academic-industrial, and 20% of education-based universities were analyzed to have efficient structure of university specialization. Second, variables contributing to high model fit are derived due to strategic differences in university specialization. Variables contributing to raising efficiency of research-based university model are exposed as employment rate, research funds-winning performance, number of SCI-level papers per faculty, foreign full-time faculty ratio, and international student ratio, those of academic-industrial university model, field training-completing student ratio, number of professors working 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ublic equipment operating income, and current state of full-time academic and professional workforce with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and those of education-based university model, undergraduate ratio, respectively. Third, Only one university showed 100% fit efficiency in all three university specialization models. As most universities, however, showed relatively high fit, fit efficiency in university specialization model was able to b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new implications for university specialization structure establishment at the national level, direction establishment of government funding project for university specialization, and direction establishment of university specializ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 KCI등재

        가족 캠핑활동 참여자의 전문화 수준에 따른 장소 애착과 지각된 가치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척도 비교

        정하늘,류성옥 한국사회체육학회 201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75

        Purpose: Previous empirical studies have paid less attention to the slfe-classification measure for assessing respondents’ level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since the multi-dimensional scale has been believed to more effectively encompass the three elements of specializ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est the measurement effectivenes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by comparing the two scales. Using the context of South Korean campers, this study also aims to better understand how campers’ place attachment and perceived values are varied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camping specialization. Method: The online interviewee of 692 people who went camping last year were chosen as subjects of the stud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lace identity and edpendence, the two domains of place attachment, increase as respondents’ levels of specialization increase. They also indicated a positive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perceived values. Most importantly, a series of tests fail to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recreation specialization measures.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paper suggests several usefl umarketing strategies to maximize camper’s satisfaction.

      • KCI우수등재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비판적 재구성 -캠핑 전문화의 방향성과 경로다양성-

        김현정,박근수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6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recreation specialization process by applying symbolic interaction theory in order to identify how recreation participants’ specialization proceeds forward in various directions and paths. For this purpose, previous studies on recreation specializ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process approach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olic interaction theory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were reviewed.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ten campers and were later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study results showed 29 subcategories and 14 upper categories.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campers do not follow a linear specialization trajectory. Findings indicated that campers’ specialization process was better characterized by stability (low and high) or decline. Also, campers’ specialization patterns progress to different paths with increased participation. Findings indicated both a “stability-seeking path” and a “diversity-seeking path.”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se directions and various path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are constantly changing. 본 연구는 레크리에이션 참여자의 전문화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다양한 방향과 경로로 변화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과정적 접근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선행연구를 살펴본 뒤,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레크리에이션 전문화간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 자료는 10명의 캠핑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9개의 하위범주가 나왔으며, 이러한 하위범주를 추상화시켜 14개의 상위범주가 추출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인 캠핑참여자들은 선형의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보하기 보다는, 일정수준 이상 진보한 후 오히려 유지(진보 후 유지, 퇴보 후 유지) 또는 퇴보의 상태로 분석되었다. 또한, 캠핑 참여자들의 전문화 경로다양성은 참여가 거듭됨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로 발전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성 추구 경로’와 ‘다양성 추구 경로’로 분류되었으며, 이 두 가지 경로에 따라 분류된 연구대상자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캠핑에 다른 의미를 부여하며 서로 다른 지향점을 지닌 캠핑방식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이 모든 경로와 방향성은 고정되기 보다는 캠핑에 부여하는 의미와 사회적 관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 KCI등재

        진지한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 스키어를 대상으로

        황선환(SunHwanHwang),이문진(MunJinLee) 한국체육학회 2009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진지한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경기도와 강원도에 위치한 스키장의 스키어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집방법으로는 군집무선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였으며, 4개의 스키장에서 374명의 스키어들이 참가하였다. LISREL 8.51을 이용하여 진지한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대한 측정 모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모델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진지한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첫째, 진지한 여가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은 .66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p <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지한 여가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전체 변량의 44%를 설명하고 있다. 둘째, 진지한 여가의 특성 중 노력, 금전적 보상 및 정체성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세부 요인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표현 능력 및 개성 요인은 과거 경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독특한 진단 윤리 요인은 인생의 구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국내 여가 분야 연구자들에게 진지한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개념을 이해하고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하기 위한 중요한 기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serious leisure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To conduct this study, a total of 374 individuals from four ski resorts in Kyongki and Kangwon province where selected by the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Using LISREL 8.51,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for serious leisure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were tested and the model fit was examined. The results described that serious leisur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accounted for 44% of variance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Of 18 dimensions of serious leisure, "effort", "financial return", and "identity" significantly positively influenced all three dimension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In addition, "self-express ability" and "self-express individual"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past experience"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unique etho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centrality-to-lifestyle"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scholars in leisure and recreation fields with more understandable concepts of serious leisure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and with important data to make their studies on serious leisure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more adv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