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소셜기부의 사례분석을 통한 유형 분류 연구

        이혜준,임유명,성열홍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2 No.-

        The donation, which is a measure of developed countries, is gradually increasing in wholly society along with Korea’s economic growth. The awareness and consciousness of the donation culture are also insufficient compared to this external expansion, the opacity of the donation fund and the unidirectional donation cause further lowering rate of participation for donation. However, the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changes the perception of the existing donation culture, and it is spread of “social donation” using social media, then the donation is newly emerged with donation form as a transparent and interactive. Additionally, social donation is a very attractive form of donation for MZ generations who value good influence like fairness and justice etc and have altruistic values more than any other generation. However, there are very few basic data for empirical research on social donation. Hence, analyzing the case of 'social donation', which is trend of donation culture, it is classified as 3 types are major categories and 9 is sub-attribute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of social donation, and we took DI(Depth Interview) of experts to test the validity. This study will be the cornerstone of active research on social donation, such as the academic establishment of social donation and empirical effect verification study etc. through type classification and designed the type of social donation as a new donation paradigm. In practice, it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more efficient social contribution business strategies in terms of effectiveness versus implementation rather than external social contributions within a company. Finally,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the donation culture socially and culturally as well as responding to the newly emerging desire for donation following social change. 선진국의 척도라 할 수 있는 기부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사회 전반적으로 그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 한 외연 확장에 비해 기부문화에 대한 인식이나 의식 또한 부족한 실정이며, 기부 기금에 대한 불투명성과 일방향적인 형 태의 기부로 인해 기부 참여율을 더욱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발전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등장으로 미디어 환경이 변화되면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소셜기부’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투명하고 양방향적인 기부 형 태가 새롭게 대두되면서 기존 기부문화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또 어느 세대보다 공정성과 공평성 등의 선한 영향력을 중요시하고 이타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MZ세대들에게도 소셜기부는 매우 매력적인 기부 형태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소 셜기부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기부문화의 흐름이라 할 수 있는 ‘소셜기부’ 의 사례분석을 통해 소셜기부의 참여 유형에 따라 3가지 유형을 대분류로 9가지 하위 속성으로 분류하였고 타당성 검증을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DI(Depth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기부 패러다임으로써 ‘소셜기부’의 유형을 설계했다는 점과 유형 분류를 통해 소셜기부의 학문적 정립 및 실증적 효과검증 논문 등 소셜기부의 활발한 연구의 초석이 될 것이다. 실무적으로 기업 내에서의 외면적인 사회 전체 기부보다는 실행 대비 효과 차원에서 보다 효율적인 사회공헌 사업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사회변화에 따른 새롭게 등장 한 기부 욕구에 부응하고 사회·문화적으로 기부문화가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게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사회적 배제자들에게 쾌락재는 기부를 자극시키는가?

        오민정(Oh, Min Jung),박기경(Park , Kikyung),박종철(Park, Jong Chul)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배제 vs. 통제)조건에서 제품유형이 준거기준으로 제시되었을 때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과 동시에 수혜자의 표정(슬픔 vs. 기쁨)에 따라 기부자의 기부설득에 미치는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였다. 즉 기존 선행연구에 따르면, 쾌락적 제품을 구매한 기부자들의 부의도가 높았으며, 수혜자의 슬픈 표정이 기부자들의 동정심을 자극하여 기부행동을 높여주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회적 배제상황에서의 제품유형과 수혜자의 표정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본 연구가 없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제품유형을 준거기준으로 제시하여 선택맥락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연구결과 사회적 배제 조건에서 제품유형은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수혜자의 표정 역시 조절변수로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조절상황을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 제품이 실용적인지 쾌락적인지, 또한 수혜자의 표정이 슬픈 표정인지 기쁜 표정인지에 따라 기부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삼원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흥미롭게도 제품유형과 수혜자의 표정이 동시에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특히 사회적 배제 집단에게서 그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적배제집단의 기부자들이 실용적 제품을 준거기준으로 제시받았을 때는 수혜자가 웃는 표정을 보일 때 기부의도가 높아진 반면, 쾌락적 제품을 먼저 접한 기부자들의 경우는 슬픈 표정의 수혜자에게 높은 기부의도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duct type on the donation intention when the product type is presented on the basis of social exclusion(exclusion vs control) and to examine the attitude toward donor`s donation persuasion according to the recipient`s facial expression(sadness vs happy).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donors who purchased hedonic products had a high degree of donation intention, and the sad facial expression of the recipient stimulated the sympathy of the donors and increased donation. However, there is no study on the effect of product type and recipient"s facial expression on social exclusion. Especially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effect of selective context by presenting product type as reference. But, in the social exclusion condition, the product type did not affect the donation intention and the recipient"s expression did not affect as a moderating variable either. However, in order to analyze the moderating situation more deeply, we examined the effect of 3-way interaction to test whether the product is utilitarian or hedonic and whether the recipient`s facial expression is sad or happy. As a result, interestingly, the product type and the recipient`s expression influenced donation intention at the same time, especially in the social exclusion group. In particular, donors of the social exclusion group a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the recipient shows a smiling face when the utilitarian product, but in the case of donors who have first experienced hedonic products a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the recipient shows a sad expression.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배제 vs. 통제)조건에서 제품유형이 준거기준으로 제시되었을 때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과 동시에 수혜자의 표정(슬픔 vs. 기쁨)에 따라 기부자의 기부설득에 미치는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였다. 즉 기존 선행연구에 따르면, 쾌락적 제품을 구매한 기부자들의 부의도가 높았으며, 수혜자의 슬픈 표정이 기부자들의 동정심을 자극하여 기부행동을 높여주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회적 배제상황에서의 제품유형과 수혜자의 표정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본 연구가 없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제품유형을 준거기준으로 제시하여 선택맥락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연구결과 사회적 배제 조건에서 제품유형은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수혜자의 표정 역시 조절변수로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조절상황을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 제품이 실용적인지 쾌락적인지, 또한 수혜자의 표정이 슬픈 표정인지 기쁜 표정인지에 따라 기부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삼원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흥미롭게도 제품유형과 수혜자의 표정이 동시에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특히 사회적 배제 집단에게서 그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적배제집단의 기부자들이 실용적 제품을 준거기준으로 제시받았을 때는 수혜자가 웃는 표정을 보일 때 기부의도가 높아진 반면, 쾌락적 제품을 먼저 접한 기부자들의 경우는 슬픈 표정의 수혜자에게 높은 기부의도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duct type on the donation intention when the product type is presented on the basis of social exclusion(exclusion vs control) and to examine the attitude toward donor`s donation persuasion according to the recipient`s facial expression(sadness vs happy).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donors who purchased hedonic products had a high degree of donation intention, and the sad facial expression of the recipient stimulated the sympathy of the donors and increased donation. However, there is no study on the effect of product type and recipient"s facial expression on social exclusion. Especially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effect of selective context by presenting product type as reference. But, in the social exclusion condition, the product type did not affect the donation intention and the recipient"s expression did not affect as a moderating variable either. However, in order to analyze the moderating situation more deeply, we examined the effect of 3-way interaction to test whether the product is utilitarian or hedonic and whether the recipient`s facial expression is sad or happy. As a result, interestingly, the product type and the recipient`s expression influenced donation intention at the same time, especially in the social exclusion group. In particular, donors of the social exclusion group a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the recipient shows a smiling face when the utilitarian product, but in the case of donors who have first experienced hedonic products a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the recipient shows a sad expression.

      • KCI등재

        사회적 자본이 기부지속성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영숙(Seo young suk),진관훈(Jin gwan hu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7

        이 논문은 사회적 자본이 기부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사회적 자본과 기부지속성의 인식 수준을 측정하고 사회적 자본이 기부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대상을 제주지역 거주 만 18세 이상 기부 경험이 있는 도민으로 한정하여 제주시와 서귀포시 인구분포를 고려한 후 무작위 추출방법으로 제주도민 57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주요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조사 결과, 신뢰는 기부횟수, 기부금액, 기부지속 의향, 기부추천 의향, 기부지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영향력은 사회참여 다음이다. 여성, 전문관리직, 연령이 높을수록 사회규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자본의 인지적 측면인 규범 준수는 호혜성에 기반한 사회규범이어야 하며 호혜성에 기초한 사회규범은 구성원 간 책임의식을 증진하여 사회협력 수준을 높인다. 사회참여가 높을수록 기부지속성(기부횟수, 기부금액, 기부지속 의향, 기부추천 의향)이 높아진다. 연령이 높을수록, 관리직일수록, 종교가 있을수록, 정기적으로 기부할수록 네트워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 factors on the continuity of individual donations utilizing social capital. In others word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fact that individual donations can be influenced by not only individual factors such as donation intention and donation intention and donation motives but also intangible assets. And based on Putnam’s social capital index and Esser’s social capital structure chart, this study subdivided measurement indicators of social capital as trust, social norms, social participation and network, which have showed in various preceding research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more the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average income are higher, and one has Confucian belief and donates regularly, the higher their continuity of donations. Second, among the factors of social capital,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are turned out to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the continuity of donations. Namely, it turned out that the more the trust level and social participation level are high, the higher the frequency of donations, amount of donations, intention of donation continuity, intention of donations recommendation and donations continuity. Based on those positi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 practical strategies encouraging donations continuity with social capital. First, as preceding researchers lack social capital’s various organizing factors as influencing factors on donation continuity and most of the researchers only used donor’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credibility of donating organization as variables, this result can offer a new perspective to related researches. Second, through this research, it verified that the more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rate are high, the higher the donations continuity. This results suggests that social capital’s sub-components a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donations continuity.

      • KCI등재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사람들은 금전기부를 선호하는가? 시간기부를 선호하는가?

        오민정(Oh, Min Jung),박기경(Park, Kikyoung),박종철(Park, Jong Chul) 한국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연구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기부자들이 어떤 기부유형을 선호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자들은 기부유형을 금전기부와 시간기부로 구분하고, 일반적인 통제 상황의 기부자들과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기부자들 간에 선호하는 기부유형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기부유형 간 선호도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에 대한 기부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기부자들은 시간기부를 더 선호하였으며, 일반적인 통제 상황의 기부자들은 금전기부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선호기제로 사회적 배제 상황에서는 사회적 연결성이 기부의도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 상황에서는 인상관리가 기부의도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부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보면, 기부자들은 심리적 비용 때문에 시간보다 금전 기부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기부자들은 금전기부보다 시간기부를 통해 자기효능감, 자아성찰, 행복감, 그리고 심리적 웰빙과 같은 궁극적인 혜택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기부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기부자와 수혜자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기부수단이 요구되는데, 그 수단 중 하나가 바로 시간기부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해본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기부문화 확립을 위해 시간기부를 독려하기 위한 기부전략이 요구됨을 제시하였고, 나아가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기부자와 일반 기부자를 대상으로 한 차별적인 기부메시지가 필요함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또한, 고령화와 같은 사회문제의 해결책으로 기부를 접목시켜 살펴봤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focused on what type of donation would be preferred by donors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Specifically, this study classified donation types as monetary donations and time donations, and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of donation preferred between donors with general control and donors who perceived as social exclusion, and we confirmed the donation mechanism for the reason for difference in preference between donation types. As a result, donors perceived social exclusion preferred time donations, and donors with general control preferred money donations. Specifically this preference mechanism showed that social connectedness works as a donation intention mechanism in the social exclusion situation, and in the control situation, the self-image works as the donation intention mechanism. Particularly, in donation studies, donors have been found to prefer money donations over time because of psychological costs. However, donors can get the ultimate benefits such as self-efficacy, self-reflection, happiness, and well-being through time donations rather than money donation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 sustainable donation culture rather than a one-time don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donation means for both the donor and the beneficiary, and one of the mean is time donation.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a donation strategy is needed to encourage time donations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donation culture,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a different donation message is needed for donors and general donors perceived as a social exclusion. In addition we can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 from the fact that we can apply donation as a solution to social problems such as aging.

      • KCI등재

        소셜 기부 매체의 ‘좋아요’, ‘공유하기’ 클릭(Click) 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영아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8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8 No.3

        In the a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pread of donation culture should be realized by finding various donation methods that can motivate potential donors. Facebook was recently selected as the longest-running social networking site for Koreans. The study looked at the Facebook based social donation media, ShareNcare, to explore their intent to don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teractions, information values, Internet technical features, SNS characteristics, internal motives, social donation media flow(SDMF), and to explore the contribution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donation media by applying the social and technical system theor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of A university 203 students in Gyeongbuk area from December 20, 2017 to January 10, 2018.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information values,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nal motives of donation.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technological features of Internet technologies had positive effects on SDMF, whereas SNS characteristics did not. Thirdly, SDMF hav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nal motivations of the donation. Fourth, the donation's internal motivations and SDMF hav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clicking on ‘Good’ or ‘Share’ through social donation media. Finally, the overall implications, limitations of study,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Does Social Exclusion Cause People to Make More Donations?

        Min-Jung Oh,Jin Chul Jung 한국유통과학회 2018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5 No.2

        The present paper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and donation intention among specific social groups in Korea. Social exclusion refers to non-participation in social experiences by the socially disadvantaged. Data were analyzed using two sources; first was the evidence of behaviors arising from social exclus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hen socially excluded reactions of the elderly responses from the survey were compared with the first research findings. The reason of using multi-sources of data is that the outcome from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university student is imperative to clarify what the conclusions will be the same result with the other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the elderly. The research design was three excluded elderly individuals of a self-excluded group and two other excluded groups divided such as “ignored” and “rejected” individuals to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of different sources of exclus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ose with high social exclusion exhibited a more negative donation intention than those with lower social exclusion, but that those who perceived themselves as self-excluded were more likely to give donations than those excluded by others,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ir social exclusion.

      • KCI등재후보

        기부와 사회적 소속감이 소비자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리녕,김경민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6 專門經營人硏究 Vol.19 No.4

        Recentl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very important. Donations are crucial in the typ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 difference based on donation types, donation involvement and social connection regarding consumers’ happiness was studied. Donation types were classified by material donation and time donation and the relevance between social connection and donation involvement to consumers’ happiness was analyzed in detail. The hypothesis was mad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on donation and the happiness and followed by the experiment. It was shown that donation types did not affect directly to consumers’ happiness. The main effect of donation types was not demonstrated, while the interaction effect was clarified in social connection and donation involvement on donation types as expected. In other words, Consumers who feel more sense of social belonging appeared to show happiness when they performed time donation.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consumers who 're high-involved in donation, They Concluded that time donation males more happier than monetary-don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nsumers’ happiness will be optimized when company’s new marketing strategy in new promotion is employed on time.

      • KCI등재후보

        기부(Donation) 연구에 관한 문헌고찰 및 향후 연구방향

        조익권(Ikkwon Cho),권익현(Ickhyun Kwon)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17 경영과 사례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기부문화가 나아가야할 방향과 향후 추진할 기부연구의 추진과제를 살피고자 과거의 선행연구 중심으로 이론적 문헌고찰을 통해서 개인적, 사회적 기부의 저변확대를 괘하고 기부행위의 전략적 연구추진방향을 제시토록 하였다. 이를 위한 접근으로 먼저 기부의 개념과 유형을 정의하였고 기부자 설득위한 기부 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크게 5가지로 분류하였고 이에 대해 1.기부동기에 따른 심리적 영향요인, 2.기부자의 개인적 성향요인, 3.기부 환경에 관한 영향요인, 4.기부 메시지의 프레이밍 영향요인, 5.기타 죽음의 현저성에 의한 요인 등으로 구분하여 기부자 설득에 미치는 구성개념들을 요약 정리하였다. 아울러 이들 구성개념들과 향후 추진될 연구과제와의 연관성유지로 기부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토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rategic direction of personal donation participation by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 s donation culture and new subject of donation research.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factors as psychological influences on donation motivation. compensatory psychology, and happiness. 2. The factors that influenc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havior according to the regulatory focus and Construal-level theory. 3. Effects of temporal, spatial, and social distance as influence factors on the construal level by donation environment. 4. Different Persuasion Effects according to Message Types with Positive, negative, gain and loss. influence factors of donor. 5. Reversed factors when mortality is made salient are summarized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donation persuasion. Based on the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 donation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future direction of donation research. First. expanding to support individual donation activities through the direct participation method of individuals. Second. study the expansion from the individual need donation to the social need focused dona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trategic donation marketing in Korea in the future, we set up research direction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projects. Until now. research on focused donations of the social needs has not been studied relatively in comparison with individual needs focused donation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focus of future research should be focused on raising the participation rate of personal donation with more attention and interest in the don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 need issues.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studies will be supported by proving hypothesis that the factors affecting donation behavior in previous studies will exist a moderating role in relation to donation type Respectively.

      • KCI등재

        재능 기부를 통한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 사례 분석 및 활성화 방안

        홍승완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3 조형미디어학 Vol.16 No.4

        The donation culture, which has been required of only the privileged class having power and wealth with the emphasis on ‘noblesse oblige’, has been expanded into the concept of ‘Citizen Oblige’ with its linking up to voluntary citizen participation culture. The form of donation is not simply limited to the material; rather, its scope is being widened through intangible donation of one’s talent. Particularly, it can be safely said that the design talent donation has a big significance in that intangible talent donation is developed into the tangible form as its fruit is immediately completed and substantially used. On the strength of the government’s policy-oriented concern for sharing culture spread and public support, talent donation is emerging as a trend of new donation culture; in addition, companies are aggressively promoting design talent donation at a level of marketing communication in an effort for corporate image promotion and consumer preference reinforcement by perceiving ethical responsibility and enhancing social contribution. The design companies and designers, who have the concern for public good and a neglected class of people, are also playing a role of the social proper function by taking part in talent donation. Further, colleges are solidifying students’ creative idea conception and on-site practical business ability by getting them to experience talent donation through industry-university projects, and arranging a momentum to inculcate students with practical civic awareness of carrying out social responsibility. In order to expand and revitalize the talent donation more, it’s required that the leadership of society should practice sharing by leading by example, and induce citizens’ aggressive participation by creating an atmosphere for accepting social responsibility as an obligation through the wide publicity of the importance and effect of talent donation. In addition, it’s necessary to install the government level of an exclusive organ and to construct the system for systematic, sustained management through the talent donation condition analysis. Most of all, it’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the morale support and respectful treatment by minimizing the economic burden of talent donation and offering satisfaction through tangible, intangible level of fair compensation to donators.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강조하면서 부와 권력을 가진 특권 계층에게만 요구되던 기부문화는 “받은 것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개인의 자발적인 시민 참여 문화로 이어지면서 ‘시티즌 오블리주’라는 개념으로 확장된다. 기부의 형태 또한 단순히 물질적인 것에 국한되지 않고 자신이 가진 재능을 기부하는 무형의 기부로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특히 디자인 재능 기부는 그 결과물이 즉각적으로 완성되고 실질적으로 사용되어 무형의 재능 기부가 유형의 형태로 발전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나눔 문화 확산이라는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공적 지원에 힘입어 재능 기부가 새로운 기부 문화의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윤리적 책임감을 인식하고 사회적 공헌도를 높여 기업의 이미지 제고 및 소비자의 선호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디자인 재능 기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공공의 이익과 소외계층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디자인회사 및 디자이너들도 재능 기부에 동참함으로써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회적 순기능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대학에서는 산학 프로젝트를 통한 재능 기부를 학생들에게 경험하게 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과 현장 실무 능력을 강화시키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실천적 시민 의식을 고취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있다. 재능 기부를 보다 확대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지도층이 솔선수범하여 나눔을 실천하고 재능기부의 중요성과 효과를 알려 사회적 책임을 의무로 받아들일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재능 기부 실태 분석을 통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정부차원의 전담 기구 설치 및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재능기부의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고 기부자들에게 유, 무형 차원의 적절한 보상을 통한 만족감을 제공하여 사기 진작과 예우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사회단체 활동과 주관적 계층의식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

        박정훈 ( Junghoon Park ),이상무 ( Sangmoo Lee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4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기부행위를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하여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동기가 개인의 기부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사회단체 활동과 주관적 계층의식이 개인의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부문화를 확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통계청 2015년 사회조사 데이터의 31,193 사례를 바탕으로 사회단체 활동과 주관적 계층의식이 개인의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단체에 참여하거나,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기부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았다. 사회단체 유형에서는 공식적 사회단체에 참여하는 경우에 기부 참여의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사회단체에 참여하거나,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을수록, 사회단체 유형 중공식적 사회단체에 참여하는 경우 정기적인 기부의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부 참여 확대 및 기부 참여자의 정기적인 기부 참여 유도를 위한 실천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social relations and social motivation affect individual donation behavior by expanding donation behavior from the individual level to the social level. Based on 31,193 cases of the 2015 social survey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influence of social organization activities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n individual donation behavior was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social organizations or higher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was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donations. Second, the higher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class,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in a social group,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regular donation in the case of participating in an official social group among the types of social group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for expanding donation participation and inducing regular donation participation by donation participant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