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

        문은식,차옥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0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t examined the differences in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s a function of children's gender and age, and whether young children did or did not have siblings. Subjects consisted of 495 2 to 6-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sampled from 15 kindergartens in Samcheok and Uljin, Korea. A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Scale and a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was not significantly dependent either on her young children's gender or whether her children had siblings. However, advice/support and monitoring in the sub-factor of the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young children's ages. Seco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their gender and age,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being with or without siblings. Final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dvice/support sub-factor of the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her young children's peer social skills and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Also,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monitoring for sociability and young children's peer social skills,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and the total score of the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mothers' guidance for sociability and its role in the social 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규명하고, 아울러 이 두 변인은 유아의 성별, 외동아.형제아, 그리고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2~6세 유아 495명(남 242명, 여 253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에게는 사회성 지도 검사를 실시하고, 유아교사에게는 담당 유아들의 사회적 유능감을 평정하게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는 유아의 성별 및 외동아.형제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의 경우에는 하위 요인(조언/지지, 감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총점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동아와 형제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조언/지지는 유아의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 이해와 유의한 상관이 있으며, 어머니의 감독은 유아의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이해, 사회적 유능감 총점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아동의 사회성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

        성정혜(Jung-Hye Sung),허무녕(Moo-Nyung H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여 예측요인으로서 아버지의 신경증과 정서조절곤란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잠재프로파일 별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으로 한국아동패널(PSKC)의 13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아동과 아버지 각각 59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Mplus 8.7과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아동의 사회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은 살펴본 결과 ‘사회성 중수준 집단’과 ‘사회성 하수준 집단’, ‘사회성 상수준 집단’ 등 3개로 분류되었다. 둘째, 아동의 사회성 프로파일 분류에 아버지의 신경증과 정서조절곤란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은 잠재집단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폭력 감수성은 아동의 사회성 프로파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성 하수준 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사회성 중수준 집단’과 ‘사회성 상수준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성을 사람 중심적 접근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분류하여 아동의 사회성을 높여주기 위해 집단별로 상이한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으며, 이를 통해 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개입의 초점에 관한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 based on sociability among children in Korea, to explore effects of father’s neuroticism and emotional dysregulation as predictors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yber violence susceptibility by these latent profiles. Methods Questionnaire data from the 13th wave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the three-profile model that include ‘normal sociability group’, ‘low sociability group’ and ‘high sociability group’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Second, the predictors of latent profile were father’s neuroticism and emotional dysregulation.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yber violence susceptibility by the profiles. ‘low sociability group’ showed the lowest cyber violence susceptibility. Meanwhile, the difference between ‘high sociability group’ and ‘normal sociability group’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classified children's sociability by using LPA, and found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for each latent profile can be effective to enhance children's sociability. Our findings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to help children to get sociality.

      • KCI등재

        유아기질 및 모애착과 유아 사회성의 관계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

        전유진 ( Jhon Youjin ),유미숙 ( Yoo Meesook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유아기질 및 모애착과 유아 사회성의 관계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ㆍ경기도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9곳에 재원 중인 만 4세∼6세 유아의 어머니 40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PROCESS macro ver. 3.2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 및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서성 기질은 유아의 사회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놀이성을 통한 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활동성 기질은 유아의 사회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놀이성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성 기질은 유아의 사회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놀이성을 통해서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모애착은 유아의 사회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놀이성을 통해서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활동성, 사회성 기질, 모애착과 유아의 사회성의 관계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결과는 유아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주요요인과 그 영향을 규명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lay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child sociability, maternal attachment and child sociability.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aire method from 404 mothers whose 4-6 years old children attended nine differen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analyzed by SPSS 24.0 and PROCESS macro ver. 3.2 and the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and bootstrapping was done by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temperament affected child sociability but mediating effect through playfulness wasn’t effective. Second, the activity temperament didn’t affect child sociability directly but it is effective indirectly through playfulness. Third, the social temperament affect child sociability directly and it is effective indirectly through playfulness. Fourth, the maternal attachment affect child sociability directly and it is effective indirectly through playfulnes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lay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ctivity, social temperament, maternal attachment and child sociability. This result has great significant for identifying influence on important factors for improvement of child sociability.

      • KCI등재

        초등학생의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도가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정유미,이정화,정연옥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3

        The effects of child’s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y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bility, this paper conducts a survey of self-administration to 320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living in 5 cities and 5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 Gyeongsangnam-do. Regarding the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y, as students have high interest in plants, or have experience in planting, they show higher averages. Regar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s students have higher interest in plants, they show higher averages in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expression, empathy,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availability. And students having experience in planting show higher averages in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y; this implies interest in plants and experience in planting will improv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Regard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bility, as students have higher interest in plants, they show higher averages in responsibility, stability, sociability, law-abiding spirit, and cooperation. And students having experience in planting show higher averages in stability, sociability, emotionality and cooperation; this implies interest in plants and experience in planting will improve their sociability. It has been found that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y positively affects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bility. 이 연구는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도가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고자 경상남도 5개 도시지역과 5개의 농어촌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32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법 방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도는 식물에 대한 관심이 있는 학생 또는 식물재배 경험이 있는 학생일수록 평균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에 관심이 있는 학생일수록 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이입, 정서조절 및 정서활용 영역에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식물재배 경험이 있는 학생들에서 정서인식, 정서표현 및 정서이입에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 식물에 대한 관심을 가지거나 식물재배 경험을 통하여 정서지능을 함양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식물에 관심이 있는 학생일수록 책임성, 안정성, 사교성, 준법성 및 협동성에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식물재배 경험이 있는 학생들에서 안정성, 사교성, 정서성 및 협동성에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 식물에 대한 관심을 가지거나 식물재배 경험을 통하여 사회성 발달을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도가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함양과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정서지능 함양에는 원예활동에 대한 인지적 관심과 심리적 관심이 관여하고 있는 반면에 사회성 발달에는 원예활동에 대한 정의적 관심과 인지적 관심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성 기질을 매개로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송소아,남기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effect of mothers’ soci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sociability on children’s social skills which is an important aspect of life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m.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150 families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explored the longitudinal changes of mothers’ soci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sociability and the effect of these changes on children’s social skills including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oc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social parenting behavior diminished slightly from children aged 0 to 3 years. And the higher its initial value was, the lower its change rate was. Second, children’s sociability was stable from 2 to 4 years. Third, the high initial value of mothers’ social parenting behavi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children’s sociability in two year olds and children’s social skill in six year olds. Further, children’s sociability in two year old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 skill in six year olds. However, the change rate of mothers’ social parenting behavior had no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 skills. Fourth, children’s sociability mediates partially the effects of mothers’ social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social skills. These results indicated the longitudinal influence and the importance of mothers’ social parenting behavior in early life. 본 연구는 삶의 질 측면에서 중요한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성 기질의 종단적인 영향과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2,150가구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성 기질이 시간에 따라 어떠한 변화 궤적을 갖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 궤적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와 유아의 사회성 기질의 매개효과에 대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은 만 0-3세 동안 다소 감소하며 만 0세 때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변화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사회성 기질은 만 2-4세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 0세 때 어머니의 높은 사회적 양육행동 수준은 만 2세 때 사회성 기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만 6세 때 사회적 기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만 2 세 때 높은 사회성 기질은 자녀가 만 6세일 때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의 변화율은 자녀의 사회적 기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유아의 사회성 기질은 생애 초기의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생애 초기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의 종단적인 영향력과 그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보육교사에 의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가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전아정,김태은 한국보육지원학회 2018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4 No.6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led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on young children’s sociability. The changes of sociability in the therapeutic process were also examine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young children who were five years old and attended a child care center in Gangwon-do.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5 early childhood teacher-led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sessions twice a week. The sociability scale was used for pre-post tes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Every session was video-taped and recorded verbatim.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changes in sociability. Results: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led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ociability. During the therapy sessions, children's expressions and behaviors associated with sociability gradually increased.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pports the use of early childhood teacher-led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for young children to improve their sociability.

      • 게슈탈트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기 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상철,김대웅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5 미래청소년학회지 Vol.2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stalt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behavior problems. For this study, 20 students with behavior problems at a technical high school were chosen (10 students as experimental and 10 as control group).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the program ‘A Study of Art therapy for students with behavior problems; Centered on Gestalt art therapy’ developed by Yun Jin-Hee(2003) after modification. This program was applied to the subjects after regular classes on every Wednesday, for 50 minutes each unit. The tools used for the measurements of the result of the program were the test of self-esteem and the test of sociability. The test of sociability was the subsequent part of sociability from the new test of personality and emotion developed by Lee Jong Seung(1999). For the test of the self-esteem, this study used the self-esteem test developed by Yun YongJoon (1987), Rosenberg(1979) and Coopersmith(1981) and modified after the verification of reliability.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the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the Gestalt Art therapy to the experimental group. T-test was appli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fter acquiring the value of mean and SD. SPSS10.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improvement in the total self-esteem and the subsequent part of individual, family of self-esteem. Second,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improvement in the soci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Gestalt Art therapy is effective in enhancing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ith behavior problems. 본 연구는 게슈탈트 미술치료가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의 자기 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내 학생부의 협조에 의해 무단결석과 상습적인 지각 및 조퇴, 수업 이탈 등으로 특별 관리되고 있는 20명의 부적응 학생(실업계 여자고등학교)을 선정하고,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배치하였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8회기의 게슈탈트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재구성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매주 수요일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하여 매회 50분에서 80분 동안 프로그램을 처치하였다. 그 결과 게슈탈트 미술치료는 부적응 청소년들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성 모두에 의미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 결과를 확장시켜 주었다.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할 때, 게슈탈트 미술치료가 일반 집단미술치료보다 더 강력한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일탈 청소년들의 행동변화를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가정빈곤 및 주양육자와의 놀이활동이 유아기 사회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경혜,김정일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사회성 형성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이해와 조기중재변인의 탐색을 위하여 유아기 사회성(S)은 가정빈곤(HP)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정빈곤은 주양육자-아동 상호작용 놀이활동(IPA)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을 때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며 완충될 수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가수준의 종단조사인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 KCYPS)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만 3∼5세(생후 36개월부터 71개월 사이)에 해당하는 1151명의 유아와 주양육자(주로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정빈곤(총가구소득, 가구형태), 주양육자-아동 놀이활동(상상놀이, 운동/신체활동놀이, 함께 노래부르기, 책읽어주며 놀기), 그리고 사회성이 측정되어졌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가정빈곤은 유아기 아동의 사회성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주양육자-아동 상호작용 놀이활동을 통하여 사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ddressed ways in which household poverty(HP) factors are associated with infant sociability(S) and how these relationships may be mediated by parent-infant interactive play activity(IPA). To better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origins of infant sociability, and to identify targets for early preventive interven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infant interactive play activity to decrease the number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infant sociability. Data of the 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KCYPS) were used in this survey of 1,151 families. Household poverty status, parent-infant interactive play activity, sociability for infant were administered when the infants were in 3, 4, 5 years old.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infant with sociabili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parent-infant interactive play activity. Parent-infant interactive play activity is a mediator of the link(S) between household poverty and infant sociability. Thus, parent-infant interactive play activity acts to buffer the negative effect of poverty.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교육적 경쟁을 적용한 경쟁활동 수업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스포츠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백승엽(SeungYupBack),채창목(ChangMokChae)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6

        이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생각하는 ‘경쟁’의 개념이 아닌 ‘교육적 경쟁’의 개념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교육이 갖고 있는 경쟁이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Y초등학교 6학년 학생 86명을 대상으로 경쟁활동 수업을 실시한 후 교육적 경쟁이 학생들의 스포츠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리더십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활동성, 예절성, 협동성, 공감성, 사교성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모든 요인에서 평균값이 사전보다 사후에 높게 나타났으며, 면담 등을 통해 학생들의 사회성 변화를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경쟁활동 수업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경쟁의 의미를 되새겨 교사가 수업을 구안하여 적용하면 수업만으로도 학생들의 사회성을 길러 주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began from the concept of "educational competition" instead of only compet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educational competition activities sociability. Eighty-six (86) sixth grade students from Y Elementary School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to compare leadership, activity, courtesy, cooperativity, empathy and soci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adership pre and post test but the othe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average participation in leadership, activity, courtesy, cooperativity, empathy, sociability factors were higher than pre to the post. Also it showed the students' sports sociability change through the interviews, etc. In conclusion, if a teacher creates a lesson that seeks the spirit of competition from curriculum, it will help improve student's sociability.

      • KCI등재

        전문대학 학생이 지각한 정서지능과 사회성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김희수(Hee-Soo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생이 지각한 정서지능과 사회성 및 학교생활 적응 간에 어떠한 상관이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남 소재의 D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61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정서지능 척도, 사회성 척도, 학교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 t 검증,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서지능은 사회성과 학교생활 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정서지능의 하위척도들이 사회성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지능의 동기화와 정서조절이 사회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지능의 하위척도들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 정서인식과 동기화가 학교생활 적응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지능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점수 차이는 없었고 학교규칙에서만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보였다. 이에 전문대학 학생들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정서 관련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sociabilit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perceived by junior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junior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D junior college located in Gyeongsangnam-do.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the sociability scale and the school-related adjustment scale.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sociabilit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Second, motivation and emotional management predicted sociability. Third, emotional awareness and motivation predicted school-related adjustment.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gender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core according to gende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 only in school rules. Therefore, it is props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programs related to emotions to improv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junior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