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시티를 구성하는 주요 분야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스마트 시티 선정

        박경종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스마트 시티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결과로 인식되고 있다. 스마트 시티를 구축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시티의 주요 분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 시티의 주요 분야를 6개(Smart Economy, Smart People, Smart Governance, Smart Mobility, Smart Environment, Smart Living)로 가정하고, 스마트 시티를 구성하고 있는 6개의 주요 분야를 속성(attributes)으로 간주한다. 이 속성들이 가지는 불확실성과 모호성을 퍼지니스 개념이 포함된 Grey numbers로 계산하여 최적의 스마트 시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기법은 Grey theory이며, 이 기법은 속성이 가지는 정성적 특성들을 정량화된 값으로 산출하여 정량적 특성 및 정성적 특성을 동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4곳의 스마트 시티를 선정이 가능한 대안(alternatives)으로 삼고, 스마트 시티를 구성하는 6개의 주요 분야에 대해 스마트 시티의 전문가들의 평가를 통해 최적의 스마트 시티를 결정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The importance of smart city continues to grow and is recognized as a key resul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build and manage smart c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ain areas of smart city. This study assumes 6 main areas (Smart Economy, Smart People, Smart Governance, Smart Mobility, Smart Environment, Smart Living) of smart city and considers 6 main areas constituting smart city as attributes. This paper proposes an optimal smart city by computing the uncertainty and ambiguity of these attributes with Grey numbers including the concept of fuzziness. The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is the Grey theory. This technique calculates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attributes as quantified values, so that it can reflec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considers the four smart cities as alternatives that can be selected and suggests the results by determining the optimal smart city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experts of smart city for the six major areas that make up the smart city.

      • KCI등재

        프레임워크 기반 스마트시티 사이버 보안 메트릭스

        김성민(Sung-Min Kim),정혜선(Hae-Sun Jung),이용우(Yong-Woo Lee) 한국산업융합학회 2020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3 No.2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smart city-cyber-security-grid-matrix methodology, as a result of research on overall cyber security of smart cities. The identified cyber security risks that threaten smart cities and smart-city-cyber-security-threat list are presented. The smart-city-cyber-security-requirements necessary to secure the smart city cyber security with the developed smart city-cyber-security-grid-matrix are given in this paper. We show how the developed smart city-cyber-security-grid-matrix methodology can be applied to real world. For it, we interlocked the developed smart city-cyber-security-grid-matrix methodology with the cyber-security-framework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and developed a framework-based smart city-cyber-security-grid-matrix. Using it, it is easy and comfortable to check the level of cyber security of the target smart ciy at a glace, an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smart city security system is systematized.

      • KCI등재

        U-City의 국제 경쟁력 구축을 위한 Smart City와의 차이점 비교 분석 연구 - Smart Cities Index의 평가지수와 국내 지자체 수립 유비쿼터스도시계획의 비교분석을 통해

        신우재,김도년,조영태,박신원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6 No.5

        U-City 산업은 10년 이상 국내에서 경쟁력을 쌓았지만 해외 Smart City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 택지개발촉진법의 폐지에 따른 신도시건설 사업 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U-City의 해외진출은 U-City산업의 성장을 위한 중요한 과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U-City의 해외진출을 위해 Smart City와 U-City의 추진 방향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고 국내 U-City 산업이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U-City와 Smart City의 구축 방향성 비교를 위해 유비쿼터스도시계획과 Smart City Index를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U-City와 Smart City의 구축을 위한 계획 및 평가의 주체는 공공과 민간으로 구분된다. U-City는 교통 및 방범ㆍ방재의 집중에서 벗어나 지역의 개성과 다양성을 추구하며, Smart City는 환경을 우선으로 다양한 영역을 고려한다. 이에 U-City 구축을 기업이 주도할 수 있는 기반조성과, 환경, 행정 등 타 분야와 적극적인 융합을 바탕으로국제경쟁력을 구축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변화에도 대응이 필요하다. Although the U-City industry has gained competitiveness domestically for over ten years, it has been difficult to export to the global market. Experts expect that the promotion of new town construction projects will be difficult due to the denunciation of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Promotion Act. Therefore, the future global expansion of U-City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for the growth of the U-City industry. Accordingl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solution to strengthen U-City’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Smart City and U-City’s promotional direction. The promotional direction for Smart Cities and U-Cities can be found through the Smart City Index and the U-City Plan. The main actors in U-City Plans and Smart Cities Index are divided into public and private. U-City pursue regional character and diversity, depart from concentrations of traffic and crime, and seek disaster prevention. Smart Cities’ first consideration is the environment. Therefore, the U-City industry needs to create a basis for changing the existing main actor to enterprise, fuse other field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espond to change through continuous research.

      • KCI등재

        Analysis of Component Technology for Smart City Platform

        Chulsu Park,Jaesang Cha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7 No.3

        In order to solve the urban problems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urban population, the construction of smart city applying the latest technology is being carried out all over the world. In particular, we will create a smart city platform that utilizes data generated in the city to collect and store and analyze, thereby enhancing the city's continuous competitiveness and resilience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However, existing smart city platforms are not enough to construct a platform for smart city as a platform for solution elements such as IoT platform, big data platform, and AI platform. To complement this, we will reanalyze the existing overseas smart city platform and IoT platform in a comprehensive manner, combine the technical elements applied to it, and apply it to the future Korean smart city platform.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smart city platforms used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analyze the technology applied to smart city to study smart city platforms that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city such as environment, energy, safety, traffic, environment.

      • KCI등재

        스마트시티 판의 전환: 순환 도시 베를린을 중심으로

        오민정,이아름 한독경상학회 2023 經商論叢 Vol.41 No.1

        The current economic structure is a linear one that follows a production, consumption, and disposal system. Since the sustainability of modern civilization is threatened, the introduction of a circular economy is a request of the times. The introduction of such an economic structure would help slow down the acceleration of the linear economy and change the linearity that leads to other production, not discarding, and a circular one after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a circular economy, the subject is the citizen an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tizens is important. Reuse and new use of resources at the level of citizens can be practiced on a local basis as well. This is because resources are connected through citizens. In addition, citizens can create a new culture with circulation as the core with activities to participate in the circulation of resources. To create this new culture, members of a city must share and discover methods of resource circulation. Also, a “smart governance platform” where all members of a city can gather is needed.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Metavercircular LivingLab as a “smart person platform” that enables citizens’ participation in the circular economy to be accessible through open access to city information and connects city data and citizens’ activities. Citizens, subjects of the city and the economy, can engage in ecological and cultural activities with the Metavercircular LivingLab Platform. A smart circulation city can be achieved through this community cultural activity. The city of Berlin, which aims to be a circular city, has begun to move toward a smart city version with citizen participation in a circular economy as its core. Digital transformation is important in the movement. In particular, the use of a virtual reality space called the metaverse guides the transition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e Metavercircular LivingLab Platform is an innovation platform for transforming behavior towards a circular economy city. Social innovation is achieved by recognizing what citizens themselves are aiming for and what they need, and putting it into action. This practice is possible through cooperative governance for a smart circular city Smart Person Platform Metavercircular LivingLab. A new version of the smart city can be achieved with the Smart Person Platform Metavercircular LivingLab, which leads critical reflection on the human desire for technology and fosters a co-creative citizen participation type circulation culture. This can ultimately approach a smart circular city. 자원의 순환이 아닌 생산과 소비 그리고 폐기로 이어지는 구조는 현대 문명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자원 폐기의 가속성을 늦추고, 생산과 소비 다음으로 폐기가 아닌 또 다른 자원 순환으로 이어지는 선형을 원형으로 전환하는 순환 도시의 도입은 시대적 요청이다. 그리고 자원 순환에서 그 주체는 시민이며, 시민의 자발적 참여는 중요하다. 시민들의 차원에서 이뤄지는 자원의 재사용 및 새사용은 로컬을 기반으로 실행할 수 있고, 자원과 자원은 시민들을 통해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민은 자원의 순환에 참여하는 활동을 통해 ‘순환’을 핵심으로 하는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 이 새로운 문화 창조를 위해서는 도시의 구성원이 자원 순환의 방법을 공유하고 발굴하는 작업을 행해야 한다. 그리고 이 행위를 위해서는 도시의 모든 구성원이 모일 수 있는 ‘스마트 거버넌스 플랫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원 순환을 위한 시민의 참여를 도시 정보를 오픈하여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생활에 밀착한 도시 문제를 발굴하는 등, 도시 데이터와 시민의 활동을 연결하는 ‘스마트 인(人) 플랫폼’으로서 ‘메타버서큘러 리빙랩’ 개념을 창안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메타버서큘러 리빙랩 플랫폼’을 통해 도시의 주체, 자원 순환의 주체인 시민이 생태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고, 이 공동체 문화 활동을 통해 스마트 순환 도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순환 도시를 지향하는 독일 베를린시는 이 시민참여형 자원 순환을 핵심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판(板)의 이동을 시작했다. 판의 이동에서 디지털 전환은 중요하다. 특히 메타버스라고 하는 새로운 가상현실 공간의 활용은 판의 전환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인도한다. 그리고 다양한 행위자들이 자율성을 가지고 참여하는 협력 활동인 거버넌스 플랫폼, ‘메타버서큘러 리빙랩’은 순환 도시로의 전환 행동을 위한 혁신 플랫폼이다. 사회의 혁신은 시민 자신이 지향하는 것과 필요한 것을 인식하고, 이를 행위로 실천하는 것을 통해 이뤄진다. 그리고 이 실천은 스마트 순환 도시를 위한 협력형 거버넌스, ‘스마트 인(人) 플랫폼 메타버서큘러 리빙랩’을 통해 가능하다. 따라서 기술을 향한 인간의 욕망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이끌고, 문화적 인간 존재로서 공동 창조적인 시민 참여형 순환 문화를 다지는 ‘스마트 인(人) 플랫폼 메타버서큘러 리빙랩’을 통해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판의 전환을 실현할 수 있고, 스마트 순환 도시에 다가갈 수 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스마트시티 서비스 적용 경향 분석

        김민주,정승현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Recently, it is emphasized that the approach towards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as a driving force of sustainable economic growth of the city. Governments and municipalities are expected to expand the support for the smart city industry promotion, as the needs for smart city technology and service development, and investment for smart city industry increases. In order to promote the smart city policy as the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servic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Governments and municipalities need a credible reference for their decision making on which smart city policy should be prioritized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by deploying certain smart city services according to the local industrial condition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trends of smart city services and suggest a reference data for decision making for the promotion of smart city industry. 최근 스마트도시 조성을 도시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동력으로 접근하는 시각이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시티를 통한 산업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술과 서비스 개발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지원 확대가 예상된다. 도시 성장 동력으로써의 스마트도시서비스 활성화와 스마트도시 산업의 지원을 위한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스마트시티 서비스 개발과 적용 현황 분석을 통해 서비스 개발 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 서비스 추진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산업 활성화와 스마트도시 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과정에서의 근거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 KCI등재

        스마트 빌딩 관련 법제도적 전략 - 영국에서의 관련 정책을 참고하여

        김용훈(Kim, Yonghoon)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64 No.-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말미암아 많은 국가들은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바로 스마트시티이다. 도시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민이 본격화됨에 따라 등장한 이슈가 바로 당해 스마트시티인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스마트시티에서 나아가 이에 대하여 필수적으로 연계되어 설계되어야 하는 스마트빌딩에 대한 관심 역시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도시 관리는 인구의 유입과 이로 말미암은 형식적 문제의 해결 그리고 건설, 시설 등 주로 하드웨어적인 사항에 집중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도시로의 인구 유입의 폭발적인 증가와 이로 말미암은 도시 관련 문제의 복잡한 양상 나아가 도시 운영에 있어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 등 전혀 새로운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도시의 실효적인 관리와 운영을 위한 개념으로 스마트시티라는 것이 등장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를 통하여 실제적으로 도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적인 운영체제를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고 있으며 나아가 범죄의 효과적인 예방과 같은 안전 관련 쟁점도 중요해지고 있다. 우리 역시 스마트시티 정책의 추진을 위하여 법률을 제정하였는데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이 그것이다. 스마트시티의 개념을 전제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 당해 법률 제정 자체의 의의를 인정할 수 있지만, 당해 법률 상 정부가 관련 정책의 주요한 행위자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다른 정책에 있어서의 입장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즉 당해 법률에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관련 사업을 주도하고 스마트시티와 관련한 이슈들을 나열식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민간 기술 활용 방안을 확보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당해 지점에서 스마트시티 나아가 스마트빌딩의 도입과 관리를 위하여 보다 다각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영국의 경험을 참고할 수 있다. 영국은 스마트시티 혹은 스마트빌딩의 도입기에 있어 거시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가운데 민간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고민을 거듭 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활용이 중요한 영역의 경우 정부가 주도권을 가지는 가운에 민간 업체의 제한적인 참여를 규정하는 법률에서의 기존 입장은 극복될 필요성이 상당한 것이다. It is true that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countries are taking many active actions for the revolution. In particular, it is ‘Smart City’ that has recently attracted much attention in this regard. The issue of smart city has emerged as primary concerns about how to make the use of the city more efficiently. Recently, however, interest in ‘Smart Building,’ which must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smart cities policy, has also increased considerably. And it is reasonable to argue that urban management has so far focused mainly on hardware issues such as the adoption of construction/facilities technology and settlement of formal problems due to the influx of population into the cities. However, the explosive increase in population inflow into cities has led to the necessity of the smart cities as a tool for effective management of cities, as the important means to deal with urban-related problems and completely new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which are essential for city operation. Thus the discussion concerning with the smart city provides a foundation for securing a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operating system for cities in practice, and it is possible to discuss safety-related issues such as the effective prevention of crimes which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roughout the discussion on smart city. Furthermor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the adoption of smart city is the smart building, it is inevitable to discuss the issues on smart city concerning with the smart city policy. We also enacted laws to promote smart city policies, such as the Act on the Creation of Smart Cities and the Promotion of Industry. Although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 Act itself, which secures the relevant policies on the premise of the concept of smart city, it is possible to assess that the government is following its position like other existing policies in that they are emerging as major actors in the relevant policies. In other words, it cannot be sai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secured effective ways to utilize private technologies, given that the law stipulate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primary actors to monopolize the related projects and issues related to smart city. In this regard, it is reasonable to refer to the British experience of sticking to a more diverse position for the introduction and management of smart city and building. This is because the UK is repeatedly considering the active use of private technology whilst the government presents only comprehensive direction in the introduction of smart city or smart building. In areas where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new technologies are important, the existing position in the concerned law that limits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entities needs to be overcome even though it is necessary to admit that the government should have the leadership.

      • KCI등재

        스마트시티 주민 체감도 영향요인 분석: 신도시와 기성도시 비교를 중심으로

        김병준,하현상 한국도시행정학회 2019 도시 행정 학보 Vol.32 No.3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the citizens’ perceptions of public services of smart city and identifies the actual influential factors of perception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e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factors on public services of the smart city an considering not only the influence of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on smart technologies emphasized in the exist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city's process (identification of local residents' needs, reflec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cooperation of stakeholders), and the participants (residents,’ corporations’ and governments’ initiative and participation) as well.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perceptions of smart city public services by classifying new and established cities. The results of this analyses confirmed that the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n smart city and familiarity on smart technologies, as well as the provisions of public services of smart city by reflecting local characteristics had significant impacts in improving citizens' perceptions on public services of smart cit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empirically that the participation by the government initiative had negative impacts on citizens’ perceptions on public services of smart city, and the cooperation among stakeholders had significant influences toward the perceptions on pubilc services of smart city in the established cities.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공공서비스의 체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기존 연구에서 간과하였던 체감도의 실질적인 영향요인을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자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의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에서 강조하는 기술에 대한 이해도 및 친숙도에 의한 영향뿐만이 아니라, 스마트시티의 추진과정의 특성(지역 주민요구 파악, 지역특성 반영, 이해관계자의 협력)의 영향, 그리고 참여주체 (주민주도와 참여, 기업주도와 참여, 정부주도와 참여)를 함께 고려하여 스마트시티 공공서비스의 체감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신도시와 기성도시를 구분하여 스마트시티 공공서비스의 체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보면, 스마트시티에 대한 이해와 기술에 대한 높은 친밀도,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스마트시티 공공서비스 제공이 시민들의 체감도를 높이는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정부주도의 참여는 오히려 체감도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며, 기성도시에 있어서는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시티: 최근 문헌에 대한 리뷰

        마크호프만 ( Mark C. Hoffman )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정보화정책 Vol.27 No.1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새로운 정보통신기술, 도시계획, 도시경제발전, 보건 등의 다양한 분야가 스마트시티 연구 혹은 실무에 적용된다. 그래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으며 때로는 혼란도 가지고 온다. 연구자들의 전공에 따라 개별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관한 전반적인 리뷰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스마트시티라는 아이디어가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주요 구성요소 그리고 실제적으로 집행되어 왔는지 정리해 보고자 한다. 특히 최근 2016년부터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학술적 연구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전 초기부터의 연구 정리는 Albino외 (2015), Cochia(2014)연구를 참조하면 된다. 이 리뷰논문에서는 먼저 스마트시티의 다양한 정의에 대해 소개하고 논의하였다. 두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관련 용어를 정리하였다. 세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 발전정도를 측정하려는 시도인 인덱스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였다. 네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 연구의 건설적 비판(critique)으로 연구방향을 제시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다섯 번째로는 스마트시티 연구를 어떻게 분류하고 구분할지에 대한 분류 체계(taxonomy)에 대한 제시가 있다. 여섯 번째로는 최근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여섯 가지의 분야- 스마트 경제, 스마트 거버넌스, 스마트 리빙, 스마트 피플, 스마트 환경,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해 리뷰 하였다. Interest in smart cities is grow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rban planning, urban economy development, health, and many other areas are intertwined within smart city research and practice. The definition of smart city is evolving, and its vagueness is sometimes confusing. This review of the smart city literature tries to capture the big picture of this big idea. This review places into context work done since 2016, as earlier work is well reviewed in Albino (2015) and Cochia (2014). First is a review of the various smart city definitions. Second, an inventory of terms related to or subsumed by the smart city label are presented. Third, outcomes of indexes created to measure a city’s smartness are presented. Fourth, the taxonomies used to organize the disparate content that falls under the smart city umbrella are discussed. Fifth, the most recent literature associated with six commonly recognized subgenres, namely smart economy, smart governance, smart living, smart people, smart environment, and smart mobility are reviewed. Sixth, important critiques of the smart city idea are presented.

      • KCI등재

        ‘스마트’용어의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스마트시티’의 개념정립을 위한 연구

        최봉문(Bong-Moo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홈 등 스마트 공간들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공상과학이나 영화에서나 존재하는 것이 아닌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바야흐로 지금은 “스마트” 용어의 시대이다.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스마트라는 용어가 무분별하게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개념적 혼선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과 향후 스마트시티가 나아가야할 방향 등 정책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스마트 용어가 도시 및 공간에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대하여 살펴보고 스마트시티의 발전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스마트’ 용어의 적용사례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란 용어는 ‘지능화, 첨단적’의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스마트시티의 정의는 다양한 견해로 보이는 걸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스마트(smart) + 도시(city)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를 스마트하게 만들고자 하는 의미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할 수 있다. Smart scope, such as smart equipments, smart homes, and smart phones, has been appeared lately being developed. Such technology developments have been close and practical to our daily lives, not regulated in a science fiction and a movie .It is just the peak of a smart term period. However, with the result from imprudent application of the term smart in the various fields in a short term, the concept of the term Smart City has been nebulou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design the obvious concept of Smart City and figure out the political improvement how it will make the direction in the future. That is to study the Smart City which applies the term smart in its city and space,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directions. After studying the application of the term smart, we determine this word has intelligent and high-tech concepts and is used variously in the diverse fields. But we conclude that the term Smart City in these fields is defined differently. From these perspectives, the term is not a simple creature consists of smart and city. It is to be designed as the meanings of making the cities sm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