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치성보상과 두개안면골격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전영진,박수병,손우성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상하악절치의 치성보상 양상과 골격형태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정상교합자 59명, 미약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91명 그리고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5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특히 미약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전치부 반대교합의 유무에 따라 반대교합이 없는 군과 반대교합군으로 세분하여 연구하였다.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15개의 골격형태 계측항목과 16개의 상하악절치 경사도 및 위치 계측항목으로 분석한 뒤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의 상하악 전치부 치성보상 양상을 보면 II-B군에 비해 II-A군과 III군의 상악 중절치는 순측경사 되어 있으며 II-A군이 III군 보다 크게 순측경사 되어 있었다. 하악절치는 II-A군과 II-B군에 비해 III군이 설측경사 되었으며 II-A군과 II-B군의 차이는 없었다. 2. II-A군과 II-B군 사이의 수직적인 골격형태 차이는 크지 않았고 하악절치 보다는 상악절치 위치 및 경사도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3. II-A군의 하악절치와 II-B군의 상악절치 계측항목이 골격형태와 상관성이 높았으며 특히 하악절치 계측항목중에서는 ∠IMPA, ∠FMIA, 상악절치 계측항목중에서는 ∠U1-FH, ∠U1-SN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4. 하악절치 계측항목중 ∠IMPA, ∠FMIA는 모든 군에서 골격형태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상악절치 계측항목중에서는 ∠U1-SN, ∠U1-FH, U1-facial plane(mm)이 다른 계측 항목에 비해 상관성이 높았다. This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analyze the degree of dental compensation according to horizontal components of craniofacial skeleton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dental compensation and craniofacial pattern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material select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standard lateral cephalogram of 59 subjects in normal occlusion group, 91 subjects in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nd 58 subjects in sever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e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was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anterior crossbite group and the other was class III malocclusion with anterior crossbite group. 1.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anterior crossbite group showed the most labial inclination of upper incisors, followed by sever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nd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anterior crossbite group, the latter showing the least. The amount of lingual inclination of lower incisors was the largest in sever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anterior crossbite group and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anterior crossbite group. 2.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vertical skeletal structure between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anterior crossbite group and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anterior crossbite group,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pper incisors measurements. 3. The measurements of lower incisors in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out anterior crossbite group and upper incisors in mild skeletal class III maloclusion with anterior crossbite group represented a high correlation with skeletal structure. Especially, ∠IMPA and ∠FMIA of lower incisor measurements, and ∠U1-FH, ∠U1-SN of upper incisor measurement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skeletal structure in each group. 4. ∠IMPA and ∠FMIA of lower incisor measurement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skeletal structure in all groups. ∠U1-FH, ∠U1-SN and U1-facial plane(mm) of upper incisor measurements represented higher correlation with skeletal structure than any other upper incisor measurements.

      • KCI등재

        III급 부정교합 어린이의 수완부 골성숙과 하악 3대구치 발육에 대한 연구

        강근영,양규호,최남기,김선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2

        본 연구는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 어린이의 수완부 골성숙 단계와 하악 제3대구치 발육을 비교 ·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들로 8세부터 15세 사이의 Angle I급 부정교합을 지난 남자 149명,여자 155명 그리고 Angle III급 부정교합을 지닌 남자 153명,여자 155명,총 6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성숙 단계 평가를 위해 수완부 사진을 이용한 Fishman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하악 제3대구치의 발육 단계를 평가하기 위해 Orthopantomogram을 이용한 Gat 등의 New Six-Developmental-Stage 방법으로 판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성숙 단계는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군 모두 전반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빠르나(p<O.05) 하악 제3대구치의 석회화 단계는 성별 차이가 없었다. 2. 남녀별 골성숙 단계와 하악 제3대구치의 석회화 단계는 I급과 III급 부정교합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수완부 골성숙 단계와 하악 제3대구치 석회화 단계 사이의 상관관계는 두 군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O.O1). 4.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하악 제3대구치 석회화 단계와 연령사이의 상관관계는 두 군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O.O1). 이상의 결과로 수완부 골성숙도와 하악 제3대구치 발육은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skeletal maturity of hand-wrist and the development of mandibular third molar in subjects with class I and class III malocclusion.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304 children(149 boys, 155 girls) with class I malocclusions and 308 children(153 boys, 155 girls) with class III malocclusions, ranged from 8 to 15 years of age. Hand-wrist radiographs and panoramic radiographs were used to evaluate the stage of skeletal maturity and teeth development. Fishman s method for the skeletal maturity stages of the hand-wrist and new six-developmental-stage method for the calcification stages of mandibular third molars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subjects with class I and class III malocclusion, skeletal maturity of the hand-wrist occured earlier in females than in ma1es(p<0.05), while the calcification stages of mandibular third molars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hen comparing the skeletal maturity stages of the hand-wrist and the calcification stages of mandibular third molars between subjects with the class I and the class III malocclusion. 3.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calcification stages of mandibular third molars and the skeletal maturity stages of the hand-wrist in subjects with class I and class III malocclusion showed a high interrelationship(p<0.01).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calcification stages of mandibular third molars and chronological age in subjects with class I and class III malocclusion showed a high interrelationship (p<0.01). As a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lass I and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for skeletal maturity of the hand-wrist and third molar development.

      • SCOPUSSCIEKCI등재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저작운동형태의 비교

        성기혁,성재현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5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저작운동형태를 비교연구하기위해서 30명의 정상교합자와 20명의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츄잉검을 사용하고 BioPAK system을 이용하여 전두면상에서 저작운동을 기록, 분석하였다. 각 개체마다 대표하는 저작경로를 정하여 저작폭경, 개구거리, 개구각, 폐구각, 최대개구속도, 최대폐구속도를 알아보았다. 또 저작경로의 형태에 따라 특징적인 7가지 패턴으로 분류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좀 더 다양하고 수직적인 저작양상을 나타내었다. 2. 저작폭경의 비교에서는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군이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더 좁게 나타났다(P<0.01). 3. 개구거리에서는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군이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더 작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 4. 개구각과 폐구각에서는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군에서 정상교합자군보다 더욱 예각으로 나타났다(P<0.01). 5. 최대개구속도, 최대폐구속도에서는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골격성Ⅲ급 부정교합자군에서 느리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 6. 저작운동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정상교합자군에서는 Type Ⅱ가 73.4%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Type Ⅲ가 35.0%, Type Ⅱ가 30.0%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7. 저작운동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군에서는 Type Ⅳ(chopping type)가 25.0%로 정상교합자군 3.3%에 비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A comparative study was made on the chewing movements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Thirty normal occlusion subjects and twenty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patients were given chewing gums for the study ; using BioPAK system, the chewing movement on the frontal plane was recorded and analyzed. With a typical chewing path chosen representing each subject, chewing width, opening distance, opening and closing angle, maximum opening and closing velocities were observed. Seven characteristic pattern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types of chewing path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1. Compared with the normal occlusion group, th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showed more varied and vertical chewing patterns. 2. In comparision of chewing widths,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showed narrower path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P<0.01). 3. In opening distanc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appeared shorter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4. In opening and closing angles,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showed more acute angles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P<0.01). 5. In maximum opening and closing velocities,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was slower than the normal occlusion group but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6. In the classification of chewing movement pattern, the normal occlusion group had TypeⅡ as the highest rate at 73.4%; in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the highest rate was TypeⅢ at 35.0%, followed by TypeⅡ at 30.0%. 7. In the classification of chewing movement pattern, Type IV(chopping type) of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group showed a higher rate with 25.0% over 3.3% of normal occlusion group.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계측학적 특징

        정송우,홍성규,김정기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3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석에 있어서 삼차원적인 골격부조화의 양상이나 안면부조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계측학정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정상교합자 60명을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한 Ⅲ급 부정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측모와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안면 폭경, 고경, 각각의 비율, 측모계측치에 대응되는 정모계측치의 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계측치와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는 정상군보다 상악골길이(Cd-A)가 짧은 것보다는 하악골길이 (Cd-Gn)가 긴 것에 기인하였다. 2.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는 정상교합자보다 긴 안모를 가지는데, 이는 상안면고경(Cg-ANS)보다는 하아면 고경(ANS-Me), 특히 하악골 고경(Cd-Me)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3.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폭경은 단지 여자의 상·하악 대구치간 폭경(U6-U6, L6-L6)과 하악폭경(Ag-Ag)만 정상교합자보다 컸을 뿐, 이외 어떤 폭경항목도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4.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길이의 증가는 안모의 고경 특히 하안면 고경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하아골 폭경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In proper diagnosis of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it was important to know the pattern of three dimensional skeletal & facial disharm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P-A cephalometrice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comparing with normal occlusion. The samples were consisted of 120 subjects, divided into four groups : Male normal occlusion, Female normal occlusion, Mal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Femal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Posteroanterior and lateral cephalogram were taken from the subjects with a x-ray apparatus(ASHAI CS90SP, Japan) and traced on acetate paper with routine manner. The transverse and vertical values from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the sagittal values from lateral cephalometry and their ratio were obta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nteroposterior discrepancy in skeletal ClassⅢ group was not due to short maxillary length(Cd-A), but to longer mandibular length(Cd-Gn) than normal occlusion group. 2. The faces of skeletal ClassⅢ group were lon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It was not due to increase of upper face height(Cg-ANS) but to increased of the lower face height(ANS-Me) especially mandibular height(Cd-Me).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cial width values between normal occlusion group and skeletal ClassⅢgroup, except upper molar width(U6-U6), lower molar width(L6-L6) and mandibular width(Ag-Ag) of female skeletal ClassⅢ group which were lar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4. The increase of mandibular length of skeletal ClassⅢ group was reflected in the increase of lower facial height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mandibular width.

      • KCI등재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경추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양규호,최남기,최봉선,이영준,류선열,김선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1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간의 성장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8-12세 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단 석고 모형과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기준으로 정상교합자 172명 ,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191명 총 363명을 분류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수직·수평 길이의 비를 측정해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2~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는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제3~6경추의 수직·수평 길이의 비도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모두에서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3. 제2~6경추의 하연의 만곡도와 제3~6경추의 수직·수평 길이의 비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교합자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간의 경추골성숙도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성장에 차이가 없음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differences of the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Normal occlusion (172 girls) an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191 gir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diagnosis stone model and lateral cephalogram of Korean girls aging from 8 to 12 years.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vertico-horizontal ratio of cervical vertebrae were observed and measured according to age. Differences of the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were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of the 2nd to 6th vertebrae of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had uniformly increased with age. 2. The vertico-horizontal ratio of the 3rd to 6th vertebrae of girls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had uniformly increased with ag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between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in the concavity of inferior border of the 2nd to 6th vertebrae and in the vertico-horizontal ratio of the 3rd to 6th vertebrae. The results in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ervical vertebral skeletal maturity between girls with normal occlusion and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 SCOPUSSCIEKCI등재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계측학적 특징

        정송우(Song-Woo Chong),홍성규(Sung-Gyu Hong),김정기(Jong-Ghee Kim)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정확한 진단과 분석에 있어서 삼차원적인 골격부조화의 양상이나 안면부조화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 상에서 나타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계측학적 특성을 파알하기 위하여, 양호한 안모와 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정상교합자 60명과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한 III급 부정교합을 가지는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측모와정모 두구규격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여 안면폭경, 고경, 각각의 비율, 측모계측치에 대응되는 정모계측치의 비율을 구하였고, 각각의 계측치와 비율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골격의 전후방적 부조화는 정상군보다 상악골길이(Cd-A)가 짧은 것보다는 하악골길이(Cd-Gn)가 긴 것에 기인하였다.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는 정상교합자보다 긴 안모를 가지는데, 이는 상안면고졍(Cg-ANS)보다는 하안면 고경(ANS-Me), 특히 하악골 고경 (Cd-Me)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폭경은 단지 여자의 상•하악 대구치간 폭경(U6-U6, L6-L6)과, 하악폭경(Ag-Ag)만 정상교합자보다 컷을 뿐, 이외 어떤 폭경항목도 정상과 차이가 없었다. 4.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이 하악골 길이의 증가는 안모의 고경 특히 하안면 고경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하악골 폭경에서는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In proper diagnosis of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it was important to know the pattern of three dimensional skeletal & facial disharmon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P-A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comparing with normal occlusion. The samples were consisted of 120 subjects, divided into four groups : Male normal occlusion, Female normal occlusion, Male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Female skeletal ClassⅢ malocclusion. Posteroanterior and lateral cephalogram were taken from the subjects with a x-ray apparatus (ASHAI CX90SP, Japan) and traced on acetate pater with routine manner. The transverse and vertical values from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the sagittal values from lateral cephalmetry and their ratio were obta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anteroposterior discrepancy in skeletal ClassⅢ group was not due to short maxillary length(Cd-A), but to longer mandibular length(Cd-Gn) than normal occlusion group. 2. The faces of skeletal ClassⅢ group were lon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It was not due to increase of upper face height (Cg-ANS) but to increase of the lower face height(ANS-NE) especially mandibular height(Cd-Me).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cial width values between normal occlusion group and skeletal ClassⅢ group, except upper molar width(U6-U6), lower molar width(L6-L6) and mandibular width(Ag-Ag) of female skeletal ClassⅢ group which were larger than normal occlusion group. 4. The increase of mandibular length of skeletal ClassⅢ group was reflected in the increase of lower facial height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mandibular width.

      • KCI등재후보

        군집분석을 통한 한국인 성인 골격성 제 II급 부정교합의 아분류

        안광석,백형선,김경호,김백일,이기준 대한구순구개열학회 2011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Vol.14 No.1·2

        Skeletal malocclusion is the result of abnormal dimension and alignment of each skeletal component. Understanding on these mechanisms may help to elucidate the etiology of skeletal malocclusion and to establish population-oriented treatment plans. Attempts to subdivide the Angle s classification have been performed for Class III malocclusion, while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Class II malocclusion despite recent growing interests in Class II malocclusion. 200 adults (88 male, 112 female) with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were collected and subdivided using cluster analysis, using the measurements representing the dimension and the alignment of each facial skeletal component. The properties of each cluster was grouped within the subjects and a comparison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control group (38 male, 35 female) with normal occlusion was performed. Six clusters were finally recognized in each male and female groups. The clusters in both genders were mainly characterized by the cranial base alignment, dimension of the posterior cranial base, dimension of the mandibular ramus and the degree of mandibular rotation. The results implicate that active treatment of mandible rather than the nasomaxillary complex may be primarily considered for the correction of Korean Class II skeletal pattern.

      • KCI등재후보

        Directional force와 skeletal anchorage를 이용한 골격성 Ⅱ급 1류 부정교합 환자의 치험례

        채종문 대한치과교정학회 200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4 No.2

        골격성 Ⅱ급 부정교합을 치료 하는데 있어서, Tweed-Merrifield directional force technology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양호한 골격적 변화 및 균형 잡힌 안모를 얻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는 적절한 방향으로의 J-hook을 통한 headgear force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환자의 협조에 대한 의존이 절대적이므로 약간의 문제점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skeletal anchorage를 이용하여 환자의 협조를 최소화 하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원 보강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어 이를 보완 할 수 있게 되었다. 저자는 HPJH(high pull J-hook)과 skeletal anchorage를 병용하여 directional force를 적용한 결과 상악 구치부에서의 고정원 보강과 상악 전치부의 토크 조절 및 mandibular response를 얻음으로써 양호한 안모의 균형을 얻을 수가 있었다. 이 치료 결과로 보아 skeletal anchorage는 HPJH을 대신하여 상악 견치 및 전치부 견인시 상악 구치부의 전후적 및 수직적 고정원 보강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악 전치부 견인시 상악 전치부의 토크 조절, 압하 및 치체이동을 위해 HPJH을 사용하였지만, 이 또한 mini 혹은 microscrew로 대체한다면 환자의 협조를 최소화 하면서도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weed-Merrifield directional force technology is a very useful concept, especially for the treatment of Class Ⅱ malocclusion. It has contributed to creating a favorable counter-clockwise skeletal change and balanced face, while head gear force using high pull J-hook (HPJH) in an appropriate direction is also essential to influence such results. Clinicians have encountered some problems concerning patients' compliance; however skeletal anchorage has been used widely of late because it does not necessitate patients' compliance, yet produces absolute anchorage. In this case, a good facial balance was obtained by Tweed-Merrifield directional force technology using HPJH together with skeletal anchorage, which provided anchorage control in the maxillary posterior area, torque control in the maxillary anterior area, and mandibular response. This indicates that skeletal anchorage can be used to reinforce sagittal and vertical anchorage in the maxillary posterior area during the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The author used HPJH for torque control, intrusion, and the bodily movement of maxillary anterior teeth during en masse movement. However, it is thought that such a result may also be achieved by substituting mini- or microscrews for HPJH. Consequently, Tweed-Merrifield directional force technology using skeletal anchorage for the treatment of Class Ⅱ malocclusion not only maximizes the result of treatment but can also minimize patients' compliance.

      • KCI등재

        골격성 3급 부정교합자의 임상적 특성에 따른 심리상태

        김선옥 ( Sun Ok Kim ),진미영 ( Mi Young Jin ),유병철 ( Byeng Chul Yu ) 한국치위생학회 2015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5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patients according to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symptoms. Methods: The subjects were 200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patient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manifestation, and T score of Korean version of self-rated Symptom Checklist-90-Revision modified by Jae-hwan Ki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version 9.2 and t-test, ANOVA, and ANCOVA were used. Clinical manifestation included subjective recognition and radiological analysis. The subjective recognition of the patients consisted of self-satisfaction of the appearance, phonation, mastication, and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T score consisted of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Results: The most serious factor in 9 scales was the severe TMJ pain by ANCOVA. Male patients had a higher T score in phobic anxiety, psyochoticism, somatization and depression than female patients. Those having low appearance satisfaction had the problem in interpersonal sensitivity.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were conspicuous in phonation difficulty and temporomandibular pain. Conclusions: The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have more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pronunciation, and phonation than those with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and overjet. Proper dental treatment will improve the communication and quality of life.

      • KCI등재후보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의 악골 부조화가 구치부 치성보상에 미치는 영향

        성지현,김성식,손우성 대한치과교정학회 200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3 No.1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는 부적절한 악골 위치에서 기능 교합을 유지하기 위해 치아의 경사도와 수직적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치성보상은 전치부 및 구치부 전반에 걸쳐 일어나며, 현재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악교정수술을 위한 술전교정시 이를 제거하여 각 골격 구조내에서 치아들이 적절히 위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전치부 치성보상에 관한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졌으나, 구치부 경사도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의 전후방적, 수직적 악골 부조화에 따른 폭경 부조화 및 구치 경사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진단 모형상에서 상하악 견치, 제1소구치, 제1대구치 부위의 기저골 폭경을 측정하여 상악에 대한 하악의 비율을 구하였으며, 모형을 삭제하여 좌우 구치간 경사도를 측정하였다. 악골 부조화 심화에 따른 기저골 폭경 비율과 제1대구치 협설 경사도 변화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의 악공의 전후방적 부조화가 심화될수록 상하악 구치간 각도합이 증가하여 치성보상이 많이 일어났으며, 특히 하악 구치가 설측 경사되는 치성보상을 보였다(p<0.001). 2.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의 악골의 수직적 부조화 및 폭경 부조화와 구치부 치성부상 간에는 유의할만한 상관성이 없었다. 3. 골격성 Ⅲ 급 부정교합자의 전후방적, 수직적 부조화의 심화와 기저골 폭경 부조화는 유의할만한 상관성이 없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degree of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and skeletal discrepancy in Class Ⅲ malocclusion. The pre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and dental casts of 87 skeletal Class Ⅲ adults were selected to provide a random sampling of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Skeletal discrepancy was described with ANB angle, Wits appraisal, Sn-Mn plane angle, FMA and ratios of basal arch width. Degree of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was described with macillary intermolar angle, mandibular intermolar angle and sum of intermoloar angle. The relationships between skeletal discrepancy and degree of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were analyzed with simple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 strong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variation in the anteroposterior measure, ANB angle and the variation of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measures, sum of intermolar angle and mandibular angle and mandibular intermolar angle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tion in the vertical measures and the variation of posterior dental compensation measures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tion in the anteroposterior and vertical measures and degree of basal arch width discrep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