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주(晋州) 평거동(平居洞) 유적(遺蹟)

        김기민 ( Ki Min K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6 石堂論叢 Vol.37 No.-

        진주 평거동유적은 경상남도 진주시 평거동 532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주택공사 경남지사에서 계획중인 진주 평거 3택지 개발사업지구에 포함되어 발굴조사를 실시중으로 조사면적은 약 68,000㎡이다.(조사기관: 경남문화재연구원) 발굴조사는 2005년 2월에 착수하여 현재 삼국시대 취락유적을 중심으로 진행중이며, 본고는 2006년 1월 문화재 발굴조사 지도위원회의 당시까지의 조사결과를 정리하여 유적의 성격을 간략히 언급한 것이다. 평거동유적은 잘 알려진 진주 남강댐 수몰지구 유적군의 하류에 인접하여 남강댐 수몰지구 유적군과 동일한 입지 환경을 가지고 있다. 유적이 입지한 곳은 남강이 북동쪽으로 곡류하는 point bar 약간 남쪽의 하안 충적대지이다. 조사지역 내에는 중앙에 자연제방, 북쪽에 배후습지, 남쪽에 하안단구가 형성되어 있고, 청동기시대 취락관련유구는 자연제방의 서편에, 삼국시대 취락관련유구는 자연제방의 동편에 밀집하며, 청동기시대 매장유구는 Ⅰ구역 동단에서 서단까지 자연제방의 북사면을 따라 4개의 군으로 분리되어 일정간격의 열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자연제방 북서단 일부 지역에서 신석기시대 문화층이 확인되고 있으며, 하안단구에는 청동기시대에서 삼국시대에 이르는 대규모 밭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유구는 청동기시대 취락관련유구 214기, 매장유구 11기 및 삼국시대 취락관련유구 179기 등 총 404기이다. 청동기시대 취락관련유구는 수혈건물지, 지상식 건물지, 수혈유구, 대상유구, 주혈군 등이다. 수혈식 건물지의 평면형태가 말각방형, 원형인 점과 내만구연 발형토기편, 송국리식 토기, 삼각형석도, 일단경식 석촉 등 수습된 유물로 보아 청동기시대 중기의 송국리형 주거지로 추정된다. 청동기시대 매장유구는 지석묘와 상부에 장방형, 또는 타원형의 묘역시설을 갖춘 매장유구 등으로 매장주체부는 약 1m 지하에 축조되었고, 묘역 주변 일정공간에 다량의 유물이 산포되어 있어 의례 행위가 이루어졌음을 추정할 수 있다. 삼국시대 취락관련 유구는 수혈건물지, 지상식 건물지, 수혈유구, 대상유구 등으로 수혈건물지가 자연제방 정상부를 중심으로 밀집되어 있고, 수혈건물지군의 외곽에는 고상창고로 추정되는 지상식 건물지가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제방 정상을 중심으로 취락이 위치하고, 그 남단에 고상창고군이, 고상창고군의 남쪽에는 대규모 경작유적이 배치되어 당시의 취락구조와 지형의 이용양상을 이해할 수 있다. 삼국시대 수혈건물지는 자연제방과 직교한 남-북향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대형을 중심으로 중·소형 수혈건물지와 1~2동의 지상식 건물지가 주변에 배치되어 있다. 수혈건물지는 내부시설 및 유물 출토상황 등을 통해 건물지 내부의 공간활용을 유추하면, 부뚜막의 북쪽은 침숙, 부뚜막 주변은 취사, 출입구 주변은 출입공간, 중앙의 여유공간은 주 생활공간으로 추정된다. 무투창의 팔자형 대각이 부착된 외절구연고배나 승석문 단경호 등의 특징으로 보아 4세기를 중심연대로 볼 수 있다. 현재까지 조사된 평거동유적의 양상은 청동기시대 취락유적의 경우 대평면 일대의 청동기시대 중기 유적과 동일하며, 매장유구는 마산 진동유적을 비롯한 서부경남과 호남지역 일대에 집중 분포한 대형 묘역을 조성한 청동기시대의 사회구조 이해에 좋은 자료가 될 것이며, 특히 하안 단구에는 광범위한 경작유적이 분포하고 있어 묘역과 생활역, 생산역의 구획양상이 뚜렷하게 확인되고 있어 당시의 생활과 의례를 복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시대 취락유적의 경우 서부경남 일대에 집중 분포하며, 타원형 수혈건물지의 구조와 내부의 공간분할을 포함한 개별 건물지의 구체적 생활상 복원이 가능하고, 이를 주체로 하는 취락유적들의 전반적인 구조와 생활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진주를 중심으로 하는 가야 영역을 구분하는 중요한 고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Pyeonger sites in Jinju city is located in the area of 532 Pyeonger-dong the Jinju city Gyeongsannamdo of South Korea, and it is being excavated; included in the Jinju Pyeonger land for housing 3rd develop ing project by korea natinal housing corporation Gyeongnam branch. The excavating site area is about 68,000㎡. Starting in Feb. 2005, this project is currently on the process around a village site of ancient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era. This paper is about results the advisory committee of a culthure property investigation found until Jan. 2006, and we are mentioning about it briefly. Since Pyeonger-dong sites is near the submerged district of Jinju Namgang dam downstream, a very well known place, the location environment is similar to the Namgang dam submerge area. This sites is located near southern riverside floodplain where Nam-river winds to the Northeast. In the excavating site, there is a natural levee in the center, a swamp in the North, and river terrace in the South. The Bronze Age village remains are in the West of the natural levee; mentioned earlier, and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village remains are gathered in the East of the natural levee. Burial remains of The Bronze Age are placed along the North side of the natural levee from east side to the west side of 1 district in the four clusters in a line with a certain space. And, The Neolithic Age occupation layer is being found in some places in the Northwest of the natural levee. In the river terrace, huge agricultural field is widely distributed; of from The Bronze Age to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era. The confirmed number of features up to now are all together 404, which is 214 village features of The Bronze Age, 11 burial features, and 179 village of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era. The village features of The Bronze Age are digged structures, structures of ground facilities, pits, narrow strips, postholes and so forth. A digged structure is estimated that it is Songkuk-ri style dwelling site from the fact that the surface is An obtuseangled squerds and circular, and from those remains for example pot, Songkuk-ri style pottery, a triangle stone blade, a stone arrowhead, ect. Burial remains of Bronze Age include dolmen, a rectangle in the upper side, or some burial remains`s with grave facilities, and they were constructed underground about 1m downwards. We assume that some kind of ceremonies were done as many of those related remains are placed around the grave facilities. Village remains of the period of the Three kigdoms era include digged structures, structures of ground facilities, pits, narrow strips, etc and digged structures are distributed surrounding the top of the natural levee. In the outer block of digged structures cluster, there are structures of ground facilities which is estimated warehouses Therefore, we can figure out the village structure and the land usage aspects from the village clusters placed surrounding the top of natural levee, warehouses in the south of that, and a huge cultivating remains located in the south. The period of the Three kigdoms digged structures is constructed in the direction of South to North crossing at right angles with natural levee, middle and small sized digged structures are placed surrounding big-sized with structures of ground facilities near there; which are 1~2. When we think of the inner space usage aspect of building, digged structures, from the inner facilities, and excavated sate, we assumed that its north of the kitchen is for bedroom, near the kitchen is for dining, around the entrance is for entrance, and the center space might be a main living room. Seeing the feature of the mounted cup that become opened the bottom is attached, cordmark Jar and, the time was around 4 century. The aspect of Pyeonger-dong remains studied so far, especially the village remains, is the same is with middle The Bronze Age remains around daepyeong-myeon, and burial features would be good study. Materials to understand the social structure of The Bronze Age when the large gave sites were built around westen Gyonam where Masan jindong remains are, and Honam area. Especially, we expect that we can study about the life and ceremony style of that time, because we can see distinctly the greave sites, living sites and the producing districts from the huge cultivation field placed in the river terrace. In the care of the period of the Three kigdoms era village remains, compacted around western Gyeongnam area, the oval digged structures structure and specific life style of each building can be restored. For the more, we joyfully expect the period of the Three kigdoms era village case would be a very important material to comprehend the overall structure of village remains and the life style search more distinctively than ever. Moreover, it will be a meaningful evidential document helpful to dividing Gaya area of which center is Jiniu.

      • KCI등재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에 나타난 명승자원 연구

        이창훈 ( Lee Chang-hun ),이원호 ( Lee Won-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7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초기에 한반도 내 명승지를 소개할 목적으로 발간된 나루시마 사기무라[成島鷺村]의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에 수록된 명소들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책을 집필한 의도와 과정을 살피기 위해 서문(序文)과 예언(例言)의 내용을 해석하고, 본문에서 소개하는 약 1700개소의 명승지의 유형, 분포,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문경관이 자연경관의 2배 이상 소개되고 있으며,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경관유형으로는 불교유적, 누·정, 명산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 『조선명승시선』은 우리나라 선인이 작성한 시문(詩文)의 내용을 활용하여 전래 명승지로써의 개념을 확장하고자한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일제강점기라는 전환기적 상황을 배경으로 근대 성격을 갖는 근대공원, 근대기념물, 해수욕장, 기차역 등이 사람들에게 새로운 명소로 소개되는 시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범위 선정에 있어 명승지의 인식이 변모하는 일제강점기 전과 후 사정을 전체적으로 다루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이 시기에 한반도 내 명승이 소개되는 여타 문헌에 대한 비교·분석의 연구 등은 추후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cenic sites depicted in the 『Joseon MyungSeung SiSun(Collection of Poems on Joseon Dynasty Scenic Sites, 朝鮮名勝詩選)』 written by Narushima Sakimura(成島鷺村)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to introduce the scenic sites of the Korean Peninsula. Introduction and forewords are construed in order to define the purpose of the Collection, and thorough analysis are conducted on category, location,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pproximately 1,700 scenic sites described in the body. From the study, it is identified that there are twice as many cultural landscapes introduced in the Collection than natural landscapes, and the most frequently introduced sites are historical Buddhist sites, pavilions, famous mountain in the respective order. Further, the study reveals that the Collection makes reference of the verses written by virtuous Korean scholars in order to broaden the significance of the scenic sites, and also that the Collection marks the time period when the new scenic sites with symbolic implications of the modern period at the turn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began to be introduced. Such new scenic sites include modern parks and commemorative structures, beaches, train stations, etc. Nevertheless, the scope of study presents limitation as its scope of analysis does not take the changing perceptions of people on scenic sites before and after the colonial period into consideration, and also further comparative analysis on other documentations made record on the scenic sites of the Korean Peninsula will need to be continued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입지유형별 미기후가 천연 활엽수림의 임목 생장에 미치는 영향

        신만용 ( Man Yong Shin ),정상영 ( Sang Young Chung ),한원성 ( Won Sung Han ),이돈구 ( Don Koo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8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0 No.1

        입지유형별 미기후 특성이 임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연구 대상지의 입지유형을 사면방향, 해발고, 그리고 지형특성 등의 총 36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후, 각 입지유형별 평년 기후값을 지형기후학적 방법으로 추정한 후, 평년 기후값으로부터 임목생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17개 기후변수를 입지유형별로 도출하였다. 한편 입지유형별 직경생장, 수고생장, 재적생장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임분조사를 실시했으며, 직경생장량, 수고생장량, 재적생장량의 추정에 적합한 회귀추정식을 17개 기후변수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입지유형별 직경생장량은 건조지수에 의하여 최적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건조지수는 총강수량에 대한 연 평균기온의 비에 의하여 계산되기 때문에 강수량이 많아 수분조건이 양호한 입지조건에서 직경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고생장량은 건조지수와 월 평균 일조시수의 두 기후변수의 조합에 의해 잘 추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적생장량 추정식에 포함된 기후변수는 건조지수와 월 평균 상대습도로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입지유형별 직경생장, 수고생장, 그리고 재적생장을 추정하기 위해 사용한 17개 기후변수 중에서 공통적으로 건조지수가 포함되어 입지유형별 임목생장에는 수분조건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microclimatic conditions on tree growth in different site types for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Korea. First, we classified all the sites into 36 types according to their aspect (east, west, south, and north), elevation (higher than 1,000 m, 700~1,000 m, and lower than 700 m), and topographical conditions (ridge, slope, and valley). For each site type, we measured diameter growth with increment borer, and then estimated periodic annual increment of diameter, height and volume. We applied a topoclimatological technique for estimating microclimatic conditions, and produced monthly climatic estimates from which 17 weather variables (including indices of warmth, coldness, and aridity) were computed for each site type. The periodic annual increments of diameter, height, and volume were then correlated by regression analysis with those weather variables to examine effects of microclimate on tree growth by site type. We found that the correlation of diameter growth by site typ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st weather variables except daily photoperiod. Water condi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height growth. For volume growth, on the other hand, the conditions such as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low humidity provided favorable environment. Our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aridity index is a good predictor for tree growth including diameter, height and volume increments.

      • KCI등재

        현장 계측에 의한 단층구조 전통목구조물의 고유주기 추정

        황재승,황종국,이영욱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6

        구조물의 고유주기는 구조물이 보유하고 있는 내력 뿐만아니라 내진 안정성 평가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계측을 통하여 정밀하게 구조물의 고유주기(진동수)를 예측하는 기법을 다수의 전통목구조물에 적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통목구조물에 대한 고유주기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진동계측은 상시계측과 강제가진기법을 이용하였으며, ICA기법에 기반하여 계측된 가속도 응답을 모드 분해하고, 분해된 모드응답에 대한 진동수영역 고유진동수 예측기법을 적용하여 도리방향, 보방향의 고유진동수를 추정하였다. 고유진동수 추정결과, 접합부 개수가 많은 도리 방향이 횡강성이 크기 때문에 보방향의 고유진동수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접합부의 횡강성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써 기둥과 접합면적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고유진동수와 비교함으로써 강성모델로부터 고유진동수(고유주기)를 추정할 수 있는 상관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붕층의 단위면적당 질량도 산정되었는데 이를 제안된 고유주기 추정식과 함께 사용하면, 추가적인 계측없이도 전통구조물의 초기강성예측에 활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