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분묘기지권에 관한 비판적 고찰- 대법원 2017. 1. 19. 선고 2013다17292 전원합의체 판결 -
권태상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論集 Vol.22 No.3
This paper examines the case in which the validity of custom recognizing acquisitive prescription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was discussed. (1) Considering that the Act on Funeral contains provision to rule out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t is not desirable to allow legal relations to which the Act on Funeral does not apply after the enforcement of this Act. Supplementary provis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light of content and intent of the Act. Therefore, as to those graves for which the prescriptive period of 20 years have not elapsed as of January 13, 2001 when the Act on Funeral was enforced, acquisitive prescription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should be denied. (2) According to civil law, acquisitive prescription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can be allowed when the possessor of graveyards have thought that he have permission of the land owner and he have possessed graveyards as the holder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f the possessor of graveyards have installed the grave on the land of another person and he have known that there was no permission of the land owner, acquisitive prescription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should be denied. The validity of custom recognizing acquisitive prescription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can not be maintained. Considering that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s a limited real right, consent of the land owner is an essential element to acquire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The fact that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can be acquired without registration does not influence this element. The supplementary opinion of majority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pointed out that denial of custom recognizing acquisitive prescription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can cause social turmoil. These concerns can be reduced by means of finding of fact, interpretation of intention, the distribution of the burden of proof. 이 글에서는 분묘기지권의 시효취득을 허용하는 관습의 효력에 대한 대상판결의 판단이 타당한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장사법(법률 제6158호) 제23조 제3항은 적극적으로 분묘기지권을 배제하기 위한 규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입법취지를 고려하면 장사법 시행 이후에도 장사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법률관계가 여전히 존재한다고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물론 장사법 시행 이전에 이미 분묘기지권이 성립하였다면 그러한 지위는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장사법 부칙 제2조는 이처럼 이미 분묘기지권이 성립한 경우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으로 보아야 한다. 이와 달리 장사법이 시행될 때까지 아직 분묘기지권을 취득하지 못한 경우도 보호된다고 해석하는 것은, 장사법 제23조 제3항을 둔 입법취지를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법률의 부칙은 그 해당 법률의 내용과 취지를 고려하여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장사법 부칙 제2조도 그 문언 그대로 해석하기보다는 장사법의 내용과 입법취지를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 결국 장사법 시행 이전에 분묘를 설치했더라도 장사법이 시행될 때까지 분묘기지권을 취득하지 못한 경우, 장사법 시행일 이후에 분묘기지권을 시효취득하는 것은 장사법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2) 민법 규정에 의하면 소유권 이외의 재산권의 점유취득시효의 경우 각 해당 권리자로서 점유 또는 준점유한다는 의사가 요구되므로, 분묘기지권의 취득시효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분묘 설치자에게 토지 소유자의 승낙을 받은 것으로 생각하고 분묘기지권자로서 점유를 한다는 의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타인 소유의 토지에 소유자의 승낙이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 무단으로 분묘를 설치한 경우 즉 악의의 무단점유에 해당하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분묘기지권의 취득시효를 부정해야 할 것이고, 분묘기지권의 시효취득을 허용하는 관습은 이 범위 내에서 효력을 상실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분묘기지권이 제한물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분묘기지권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토지 소유자와의 합의가 필요하다고 보아야 한다. 분묘기지권을 등기 없이 취득할 수 있다는 점은 그 공시방법의 특징일 뿐이므로, 물권설정 합의와 이에 기한 점유 의사라는 요건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없다. 시효취득에 관한 관습법의 효력을 부정할 경우 분묘의 이장 및 개장으로 매우 큰 사회적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있으나, 이는 사실인정 내지 의사표시 해석의 방법이나 악의의 무단점유에 대한 증명책임 분배의 방법으로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
박용석(Park Youn-Sug)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법학연구 Vol.50 No.2
민법 제185조에서 "물권은 법률 또는 관습법에 의하는 외에는 임의로 창설하지 못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대법원이 인정하고 있는 관습법상 물권중의 하나가 분묘기지권이다. 분묘기지권은 타인의 토지에 분묘를 설치한자가 그 분묘를 수호하고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 분묘를 소유하기 위하여 분묘의 기지주위의 공지를 사용할 수 있는 지상권 유사의 물권을 의미한다. 분묘는 보통 자기 소유의 토지위에 설치한 후 계속하여 토지를 소유하기도 하지만, ① 자기소유 토지위에 분묘를 설치한 이후에 토지를 타에 양도하면서 분묘에 대한 특약이 없는 경우와 ② 타인의 토지에 그 토지소유자의 승낙을 얻어 분묘를 설치한 경우 ③ 타인 토지위에 그 토지소유자의 승낙 없이 분묘를 설치한 후 20년간 평온 · 공연히 분묘의 기지를 점유함으로써 시효 취득 하는 경우가 있으며, 대법원은 위 3가지 유형의 경우에 판례로 관습법상의 분묘기지권이 있다고 하여 인정하고 있고, 학설상으로도 지지되고 있다. 그런데 2000.1.12.에 제정된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토지소유자의 승낙 없이 설치된 분묘에 대하여는 '토지사용권 기타 분묘의 보전을 위한 권리를 주장 할 수 없다’고 규정하므로 위 3가지 유형 중에서 ③번째 유형의 분묘기지권을 인정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종전부터 인정되어 오던 분묘기지권의 내용 중에서도, 장사 등에 관한 법률규정에 위배되지 않도록 분묘기지권의 범위를 축소하고, 분묘의 존속기간을 60년으로 제한하고, 지료를 지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분묘기지권의 내용을 학설과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제정과 시행에 따른 분묘기지권의 존속여부를 검토한 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Following the Korean Civil Law article 185, the real right, in general, can't be created at one's disposition without conforming the customary Law. The Korean Supreme Court authorizes many real right on the customary law, and one of them is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s the real right looks like the surface rights that people who use graveyards have the right for that site whether it's one's own or not. This right has been fixed and secured by the customary law, and the judical precedents have conformed it.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s generally classified three cases; ① selling the land including the tomb after establishing without a special contract for tomb site. ② establishing the tomb in the land of others with a owner's permission. ③ acquiring a legal prescription with using the site for 20 years freely, even though not obtaining owners' permission. However,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ought to change a little because of establishing of the law of the funeral in 2000. The law of the funeral shows that people who establish the tomb without owners' permission can't claim the right to the site. Therefore, it's time to discuss to reduce the range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to impose restrictions on the contract year as 60years, and to pay land rent for the site of graveyards due not to be against the law of the funeral.
김상용 교수 정년 기념 분묘기지권의 인정근거와 효력에 관한 약간의 고찰
전경운 ( Kyoung Un Chu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法學硏究 Vol.25 No.1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s to allow a person who made a tomb in another’s land to use the tomb site, which can be defined as a real right similar to superficies, a kind of customary laws. In regard to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judicial precedents have granted it unquestioningly, but in recent times more have raised strong opposition against the customary law, citing ‘Act of the Funeral(funeral act)’ and socioeconomic changes in Korean society as the ground. Ordinarily,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s granted in three cases - where a tomb has been made with the permission of the land owner (permissioned right), where the right has fallen under acquisitive prescription (right with acquisitive prescription), and where a tomb and a land owned by the same person have been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belonged to different persons (transferred right).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has usually been acknowledged with customary laws. The permissioned right is a good example. On the other hand, it is unreasonable to regard the right with acquisitive prescription and the transferred right as customary, and moreover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custom as obsolete. In the case of the permissioned right, there is the need to compare those days and our times. In our times, thus, the custom is counted as passed away. In addition, the right with acquisitive prescription is problematic because it may wrongly infringe upon others’ land ownership and, by extension, may protect malicious and illegal occupants. Likewise, the transferred right is problematic given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increasing criticism of statutory superficies and that land that purchasers have had problems. Taken altogether, it may be rational to conclude that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has lapsed subsequent to the enforcement of the funeral act. Meanwhile, in terms of public confidence and legal safety, it is unadvisable to retrospectively apply the newly-enacted Funeral Act to tombs made under the former requirements, notwithstanding the lapse of the right. It may be advisable to grant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n the case of tombs made under requirements, provided that the term of duration is determined with ground rent. Additionally, a review needs to be conducted even on rightful cases, inclusive of right holders. With this proposal,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s expected to be gradually rearranged as the restricted real right to lapse gradually.
김상찬,조두환 한국토지법학회 2011 土地法學 Vol.27 No.1
It is a precedent in legal system that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should be protected over the absolute principle of ownership in terms of the ancestral worship. However, recent years witness that there is a great change in such legal precedent due to the change in funeral system, reform of grave system, change of civic attitude toward funeral ceremony. The question arise regarding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because of the restriction to land use rights and blockage of effective use of land around the country. For this, the law on funeral (Article 19) which has been enforced since Jan., 2001 introduced the Periodic Burial Regulation. Article 27 of the same law specified that it is possible to open the grave which was established without a previous permission of land owner. Because of this kind of change, it is necessary to make a new approach to the principle of law on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However, the supplementary provision of the same law regulates that the Article 19 and Article 27 can not be applied to the previously established graveyard. This leads to various understanding on the terms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regarding the previously established grave. This means that several problems might pop up in the process of enforcing the law on funeral. The present paper review the terms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before and after the law on funeral was enforced focusing on theory and precedent. Looking over some problems which is related to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this paper propose some interpretative and legislative improvements on the terms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The present paper argues that Article 27 and Article 2 of supplementary of provision on the law on funeral should revised so that the terms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could be unified whether the tomb was established before the law on funeral or not. 분묘기지권은 조상숭배에 대한 전통적 사상을 소유권절대의 원칙에 우선하여 보호해야 한다는 법의식이 판례에 의해 확인된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화장 등 장례문화의 변화, 묘지제도의 정비, 국민의식의 변화 등으로 인해 그 의미가 상당히 상실되었으며, 개인의 토지소유권 행사의 제약과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의 저해라는 이유로 분묘기지권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한가 하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2001. 1.부터 시행되고 있는 ‘장사 등에 관한 법률’ 제19조는 시한부 분묘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동법 제27조에서 토지 소유자의 승낙 없이 해당 토지에 설치한 분묘 등에 대하여 토지 소유자 등이 일정한 절차를 거쳐 개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분묘기지권 전반의 법리에 대하여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동법 부칙에서 기존에 설치된 분묘에 대해서는 위의 제19조나 제27조의 적용을 받지 않도록 하고 규정하고 있어서, 기존에 설치된 분묘의 분묘기지권의 존속기간 등에 대하여 각기 다른 해석론이 전개되고 있어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 점은 앞으로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을 시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상당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각을 바탕으로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의 시행 전과 시행 후의 분묘기지권의 존속기간에 대한 학설과 판례를 살펴보면서 그 문제점을 검토하고, 분묘기지권의 존속기간에 관한 해석론적·입법론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쟁점이 되고 있는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의 제27조와 부칙 제2조를 개정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분묘의 경우에도 분묘기기권의 존속기간을 통일시킬 것을 주장하고 있다.
김상명(Kim Sang-Myeo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07 土地公法硏究 Vol.35 No.-
Graveyards, in general, are established on the land of the its owner. However there are some cases that they are established on the land of owner with the permission or without it. The owner of the graveyard has the site right of the graveyards, many realistic problems such as damage of nature, inefficiency of national land, and infringement of ownership have been happened and to regulate these a funeral law was enacted. The site right of the graveyards is not against to the principle of realty in Civil Law, and although funeral law excludes the existence of the site of graveyards expressively, it is reasonable that the exclusion will be recognized only in the case, among the precedents which courts have acknowledged, of prescribing the site of graveyard by establishing a graveyard in the land of others without permit of the owner. However the site right of the grave superficies which had been recognized by the judical precedents has been threatened recently. One of the maim reasons is to enact the new law on the land. The law does not permit the other person, such as the owner of the grave, to occupy the right of grave having established without the owner"s permission of to land. The law of the funeral explains the content related to the right of the grave. So the right of preservation of the grave superficies and the right of the land may be abolished.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plain the theories and the former judical precedents on the right. After studying on the funeral law and the future of the grave superficies, I would like to make view for the desirable targets.
이성진(Lee Sung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0
토지에 대한 경제적 가치 상승과 장묘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로 인해 다수의 국민은 납골당이나 수목장 등의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간편하고 용이하며 위생적이고 저렴한 비용의 장묘문화가정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타인의 토지 위에 분묘를 설치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일반적으로 용인되는현상으로 여길 수 없으며, 분묘기지권의 시효취득은 우리 사회에서 더는 허용될 수 없다고 볼 것이다. 다만 승낙형이나 양도형 분묘기지권에 있어서 분묘기지권 존립은 허용될 수 있다. 분묘가 존속하는 한 성립된 분묘기지권은 소멸하지 않기 때문에, 취득시효형 분묘기지권의 부담을 안고 있는 토지소유자가 그 분묘기지권자에게 지료조차도 청구할 수 없다는 것은 불합리적이며 형평에 반하는 것이다. 이러한부당함은 장묘문화와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도 관계있다고 볼 것이다. 그리고 승낙형 분묘기지권의 경우에도 지료에 관한 약정이 없더라도 유상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므로 취득시효형 분묘기지권의 경우에는 당연히 지료는유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대법원은 양도형 분묘기지권의 경우에도 토지소유자의 지료지급 청구시가 아니라 분묘기지권이 성립한 때부터 지료를 산정한다고 한다. 결국 분묘기지권의 성립 유형 중 취득시효에 의한 분묘기지권의경우에만 토지소유자의 지료지급 청구가 있는 날부터 지료를 산정하도록 해석하는 것은 승낙형이나 양도형 분묘기지권의 지료 산정시기와 비교하여도 타당하다고 볼 수 없다. Due to the increase in the economic value of land and the change in social perception of theburial culture, many people are using methods such as the ossuary or the natural burials. It canbe judged that the new method is simple, easy, sanitary, and low-cost funeral culture has beenestablished. Therefore, it cannot be regarded as a generally accepted phenomenon in our societyto install a graveyards on someone else’s land, and it will be seen that the acquisition of thesite right of graveyards by prescription is no longer acceptable in our society. As long as thetomb remains, the established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does not expire. It is unreasonablethat a landowner who bears the burden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due to the prescriptionfor acquisition cannot even claim a fee from the owner of the tomb site. This injustice is alsorelated to changes in funeral culture and social perception. I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s established, it is reasonable to pay the fee even if there is nocontract regarding the fee.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calculate the rent from the time whenthe site right of graveyards is established, not when the landowner requests for payment of therent. It is unreasonable to interpret the rent calculation from the date on which the land ownerrequests the payment of fees only in the case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that is establishedby the prescription of acquisition.
전경운(Chun, Kyoung-Un) 경희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51 No.3
A real right is one of property rights and thus can be legally transferred. Although a person concerned entered into a special agreement not to transfer a real right, the agreement should be null and void. Nevertheless,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usufructuary real right cannot be transferred, and moreover, there is a wide variation in them. Above all, the civil law shows that superficies is an independent real right and thus is transferable undisputedly. In fact, it provides that superficies can be transferre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many of persons with superficies do not transfer their superficies but reserve it when transferring their buildings. At any rate, it is a principle that superficies should be transferred except in cases where a special agreement has been made between persons concerned. This legal principle is applied even to divided superficies. Meanwhile, special superficies such as statutory superficies, customary law-based statutory superficies and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are separated from property on the ground, and therefore they should not be transferred. In particular,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should not be transferred along with the graves. As regards collateral superficies, some precedents regarded it as a kind of superficies, but at the same time as appendant to mortgage. It means that collateral superficies should be separated from mortgage and thus should not be transferred. The servitude, granted for the convenience of a dominant tenement, is a real right. Regarding the dominant tenement, however, servitude alone should not be transferred, being separated from ownership. It is because ownership and appendant nature are recognized by law. In addition, it is involved in ownership or usufruct when one of them is transferred. This is because concomitant nature is recognized. With regard to the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it can be transferred without the consent of the lease settler except in cases where transfer is prohibited in the act of establishment. Specifically, the lease creditor can transfer his or her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or can put it up as collateral, and furthermore can sublease the object within the duration of the right. According to a precedent, the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is like a real right granted by way of security, and therefore involves appendant and concomitant natures. Thus, the claim to the repayment of lease deposit alone should not be transferred irrevocably, independently from the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while being retained. 물권은 재산권으로서 당연히 양도성이 있으며, 당사자가 양도금지특약을 하여도 무효라고한다. 하지만실제용익물권의종류에따라서물권의양도성에관한일반적인설명이그대로 적용되지 않고, 용익물권의 종류에 따라 양도와 승계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민법상일반지상권은독립된물권이므로당연히양도성이인정되고, 민법제282조는지상권의 양도성을 명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상권의 목적물인 건물을 양도할 때, 지상권자는 지상권을 유보하고 건물을 양도할 수 있지만, 당사자간의 반대특약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지상권도함께양도한것으로보아야한다는입장이다수의견해로주장되고있고, 판례도 이를 일부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법리는 구분지상권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그리고 특수지상권으로서 법정지상권·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분묘기지권은 지상물과분리하여그권리자체의양도성이인정되지않는다고할것이다. 또한분묘기지권은분 묘와 함께도 양도성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판례에 의하여 인정되는담보지상권은 일반지상권이지만, 판례에 의하면 저당권에의 부종성을 인정하고 있으므로저당권과 분리하여 별도로 양도할 수 없다고 해야 할 것이다. 요역지의 편익을 위하여 인정되는 지역권은 독립된 물권이지만, 요역지 소유권과 부종성이 인정되어 요역지 소유권과 분리하여 지역권만을 양도할 수 없으며, 또한 수반성이 인정되어 요역지의 소유권 또는 이용권이 이전되면 이에 수반해서 이전된다. 끝으로 전세권의 경우에는 설정행위에서 금지되어 있지 않는 한 전세권설정자의 동의없이전세권을자유로이양도할수있다. 즉전세권자는그의전세권을양도하거나담보로제공할 수 있고, 또한 그 존속기간내에 그 목적물을 타인에게 전전세하거나 임대할 수 있다. 하지만 전세권은 전세권설정행위에서 금지되지 않는 한에서 양도성이 인정된다는 점에서지상권과차이가있다. 지상권의경우에는당사자의양도금지특약은무효이기때문이다. 그리고판례에의하면전세권은담보물권적성격도가지는이상부종성과수반성이있으므로,전세권이존속하는동안전세권을존속시키기로하면서전세금반환채권만을전세권과분리하여 확정적으로 양도할 수 없다고 한다.
전경운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42 No.3
A real right is one of property rights and thus can be legally transferred. Although a person concerned entered into a special agreement not to transfer a real right, the agreement should be null and void. Nevertheless,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usufructuary real right cannot be transferred, and moreover, there is a wide variation in them. Above all, the civil law shows that superficies is an independent real right and thus is transferable undisputedly. In fact, it provides that superficies can be transferre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many of persons with superficies do not transfer their superficies but reserve it when transferring their buildings. At any rate, it is a principle that superficies should be transferred except in cases where a special agreement has been made between persons concerned. This legal principle is applied even to divided superficies. Meanwhile, special superficies such as statutory superficies, customary law-based statutory superficies and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are separated from property on the ground, and therefore they should not be transferred. In particular,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should not be transferred along with the graves. As regards collateral superficies, some precedents regarded it as a kind of superficies, but at the same time as appendant to mortgage. It means that collateral superficies should be separated from mortgage and thus should not be transferred. The servitude, granted for the convenience of a dominant tenement, is a real right. Regarding the dominant tenement, however, servitude alone should not be transferred, being separated from ownership. It is because ownership and appendant nature are recognized by law. In addition, it is involved in ownership or usufruct when one of them is transferred. This is because concomitant nature is recognized. With regard to the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it can be transferred without the consent of the lease settler except in cases where transfer is prohibited in the act of establishment. Specifically, the lease creditor can transfer his or her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or can put it up as collateral, and furthermore can sublease the object within the duration of the right. According to a precedent, the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is like a real right granted by way of security, and therefore involves appendant and concomitant natures. Thus, the claim to the repayment of lease deposit alone should not be transferred irrevocably, independently from the right to lease on a deposit basis, while being retained. 물권은 재산권으로서 당연히 양도성이 있으며, 당사자가 양도금지특약을 하여도 무효라고 한다. 하지만 실제 용익물권의 종류에 따라서 물권의 양도성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지 않고, 용익물권의 종류에 따라 양도와 승계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민법상 일반지상권은 독립된 물권이므로 당연히 양도성이 인정되고, 민법 제282조는 지상권의 양도성을 명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상권의 목적물인 건물을 양도할 때, 지상권자는 지상권을 유보하고 건물을 양도할 수 있지만, 당사자간의 반대특약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지상권도 함께 양도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이 다수의 견해로 주장되고 있고, 판례도 이를 일부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법리는 구분지상권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그리고 특수지상권으로서 법정지상권·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분묘기지권은 지상물과 분리하여 그 권리 자체의 양도성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또한 분묘기지권은 분묘와 함께도 양도성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판례에 의하여 인정되는 담보지상권은 일반지상권이지만, 판례에 의하면 저당권에의 부종성을 인정하고 있으므로 저당권과 분리하여 별도로 양도할 수 없다고 해야 할 것이다. 요역지의 편익을 위하여 인정되는 지역권은 독립된 물권이지만, 요역지 소유권과 부종성이 인정되어 요역지 소유권과 분리하여 지역권만을 양도할 수 없으며, 또한 수반성이 인정되어 요역지의 소유권 또는 이용권이 이전되면 이에 수반해서 이전된다. 끝으로 전세권의 경우에는 설정행위에서 금지되어 있지 않는 한 전세권설정자의 동의없이 전세권을 자유로이 양도할 수 있다. 즉 전세권자는 그의 전세권을 양도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있고, 또한 그 존속기간내에 그 목적물을 타인에게 전전세하거나 임대할 수 있다. 하지만 전세권은 전세권설정행위에서 금지되지 않는 한에서 양도성이 인정된다는 점에서 지상권과 차이가 있다. 지상권의 경우에는 당사자의 양도금지특약은 무효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판례에 의하면 전세권은 담보물권적 성격도 가지는 이상 부종성과 수반성이 있으므로, 전세권이 존속하는 동안 전세권을 존속시키기로 하면서 전세금반환채권만을 전세권과 분리하여 확정적으로 양도할 수 없다고 한다.
김진(Kim Jin) 한국재산법학회 2007 재산법연구 Vol.24 No.1
In old traditional Korean society, they had to make their ancestors" tombs by Confucian ideas and the theories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but every real estate which could make tombs belonged to only distinguished families and wealthy people those days.<BR> On the other side most common people couldn"t have any lands to build tombs, so they couldn"t help building their ancestor"s tombs on the other"s land. Considered with all things like this, Korean case law has recognized the real rights similar to the surface rights called "the right of grave and graveyard", even though they built their tombs without acceptance about their tombs from owners during 20 years freely.<BR> However it is wondered if Korean case law ought to recognize the right to make tomb without acceptance for 20 years even today.<BR> Especially considering with the law on funeral and the like first, under the item 1 and 3, the article 23, the same law, and the supplementary article 2, in the case of building the tomb without getting acceptance from the owner after coming into effect this rule, the right of grave and its graveyard can"t be recognized any longer today, second, the grave keeper must preserve and serve the tomb for the existing period of the right of grave and its graveyard, but it doesn"t mean he has the right of grave and its graveyard. It can just be seen as restricted for 60 years by the respect of private ownership and the law on funeral and the like.
정조근,송영민 한국토지법학회 2004 土地法學 Vol.20 No.-
This thesis have prepare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on Funeral Law of Korea through comparing and analysing funeral systems and laws of China and Japan similar to Funeral Custom in Korea.The common problem of cemeteries in Korea, China and Japan is the erosion of national land, so the cremation is being recommended to solve these problems, however the propagation degree on the ratio of cremation seems to be a difference of time.Furthermore recently China has been actively regulating the erosion of national land caused by cemeteries through establishing “Funeral Management Regulations”. “Cemetery, Burial and etc. Act” in Japan has been recommended relatively early in the aspect of public sanitation, and it was strongly influenced by religion.The existing law "Funeral and etc. Act” has totally amended the former law "Burial, Cemetery and etc. Act”, and simultaneously changed even the name of law. It shows indirectly the practical will of the existing law and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former law.However the law policy of country can't solve all of the problem over burial, it's about the law emotion of people, especially I think it needs theoretical grounds to Funeral and etc. Act Clause 23 over abolishing the site right of graveyards.The precedent from the High Court of Justice of Chosun had admitted being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although it has been occupied the grave calmly and publicly in case of creating grave in other's land without consent.The Collection of Answers on Civil Custom, which is the collection of questions and answers over existing of local custom, has denied its custom nature.Thus, in these parts, the thought there was not our custom from the beginning is more convincing theoretically to analyse "Funeral and etc. Act”, Clause 23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장사관습과 비슷한 중국과 일본의 장사제도와 법제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장사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한국중국일본의 묘지문제의 공통성은 묘지로 인한 국토의 침식이다. 3국 모두 이러한 문제해결방안으로 화장을 권장하고 있다. 다만 화장율의 보급정도는 시기의 차이로 보인다. 더 나아가 중국의 경우 최근에는《葬禮管理條例》를 제정하여 묘지로 인한 국토의 침식을 적극적으로 규제하고 있다. 일본의《묘지, 매장등에 관한 법률》은 비교적 일찍부터 공중위생의 차원에서 화장을 권장하였고, 특히 종교적 영향이 강했다. 한국의 현행《장사등에 관한 법률》은 종전의《매장 및 묘지등에 관한 법률》을 전면적으로 개정함과 동시에 법의 명칭까지 바꾸었다. 이것은 종전의 법과의 차별화와 현행법의 실천의지를 간접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葬事問題는 국가의 법정책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것은 국민의 법감정에 대한 것이다. 특히 분묘기지권의 폐지에 대한《장사등에 관한 법률》 제23조에 대해서는 이론적 근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조선고등법원의 판례에서는“타인의 토지에 승낙없이 분묘를 설치한 경우에는 20년간 평온 공연하게 분묘를 점유”하더라도 분묘기지권의 성립을 인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고등법원 판결의 기초가 된 관습의 존재여부에 대한 질의회답집인 민사관습회답휘집에서는 그것의 관습성을 부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애초에 우리의 관습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이《장사등에 관한 법률》 제23조의 분묘기지권을 해석하는 것에 이론적으로 더욱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