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경림 시에 나타난 마을 서사의 지향성 연구

        송지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3 No.-

        본 연구는 신경림 시 세계의 연속성을 마을 서사에서 찾고, 그것이 시인의 인생 단계마다 형성되는 삶의 지향성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파악한다. 신경림 시에 나타난 마을은 그가 실제로 거주하거나 체류한 곳으로 그의 장년, 중년, 노년에 걸친 인생 단계가 반영되어 있다. 에릭 에릭슨은 개인의 삶을 공동체와 역사에 연결해 인생 단계마다 특정한 의식화가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장년기의 친화적 의식화, 중년기의 이상적 가치에 대한 의식화, 노년기의 삶의 유한성에 대한 의식화를 말하는 에릭슨의 관점은 신경림의 시의 마을 서사의 지향성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구체적으로 에릭슨이 말하는 장년기의 친화적 의식화는 신경림의 시에서 마을 광장의 집단성을 통해 드러난다. 중년기의 이상적 가치의 전달자로서 갖는 의식은 여행지 마을의 자본화로 발생하는 경관의 혼종성에 대해 고민하는 시인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노년기의 삶의 유한성에 대한 의식화는 집과 고향의 의미를 성찰하고 이승을 떠난 선대의 가족을 비로소 이해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에릭슨의 인간 발달 단계를 통해 살펴 본 신경림 시의 마을 서사는 단지 시인의 예술적 성취로서만이 아닌 인생 단계에 따라 인간이 지향하는 영역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보여준다. 신경림은 민중 시인으로서 입지를 크게 다진 만큼, 민중 시인으로서 그가 가진 아우라는 크다. 그러나 독자들이 그의 시에 몰입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마을 서사와 같은 생생한 현장성 때문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마을의 광장성, 경관성, 유일성은 시인의 현장 경험을 통해 재현된 기층민의 삶이 담겨 있다. 따라서 신경림 시의 마을 서사는 시인의 인생과 시적 세계관이 구축된 장소성을 함축한다. 시인의 인생 단계와 작품의 현장성을 결합한 본 연구는 신경림 시 연구의 민중적 프레임을 벗고 새롭게 접근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searches for the continuity of Sin Gyeong-rim's poetry world in a village narration and finds out how it demonstrates changes depending on the directivity of life established in each life stage for the poet. The village appearing in the poems of Sin Gyeong-rim are the places where he actually resided or stayed and they reflect the life stage through his prime of life, midlife and advanced age. Erik H. Erikson states that an individual life is connected to the community and history to have the specific awareness each life stage. The perspective views of Erikson who speaks on the friendly awareness of the prime of life period, the awareness on the ideal value of the midlife period and the awareness on the finitude of life for the advanced age period help understanding of change in the directivity of village narratives in Sin Gyeong-rim's poems. In details, the friendly awareness for the prime age, as stated by Erik H. Erikson, appears through the collectivity of the village square in the poetry of Sin Gyeong-rim. The consciousness held as the conveyor of the ideal value for the midlife period appears in the poet's appearance for contemplating on hybridity of lower class and landscape arising from the capitalistic features in the villages in his journey. Lastly, the awareness on the finitude on life in the advanced age period is appeared in the appearance of profound contemplation on home and hometown as well as ultimately understanding those early ancestors who have left the earthly world. Through the human development phase of Erikson, it is easily found out that the village narration of Sin Gyeong-rim's poetry would be the general directivity and process of maturity on human villages following the life stage, not simply an artistic accomplishment of a poet. Sin Gyeong-rim has laid down his own foundation as the people's poet that his aura as a people's poet is immense. However, the greatest reason for his readers to deeply fall into his poetry is attributable to the lively field sensitivity like the village narration. Through the field experience of the poet, the features of square, landscape and uniqueness of the villages as discussed in this article contains the lives of the lower class as reproduced through the field experience of the poet. Therefore, the village narration of the Sin Gyeong-rim's poetry implies the well-structured venue with the life story and poetic view on world for the poet. This study that combines the life stage and field sensitivity of the poet will be a turning point of new approach toward the studies on Sin Gyeong-rim's poetry after breaking away from the frame of character of masses.

      • KCI등재

        신경림 시에 나타난 여성의 예속적 주체화 방식 연구

        송지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5 No.-

        Examining the ways of women’s subordinated subjectivation appearing in Sin Gyeong-rim’s poems, this study presents that the poetic embodiment of females (femininity) forms the field to reveal the non-discoursed power and strategy of androcentrism. Concerning Sin Gyeong-rim’s poems of the people, it does not seem that the poet separates women from ‘us’ or reproduces them as trivial and light beings intentionally. In fact, female readers, too, so far have been accepting such expressions without much refusal. The ground that allows readers to understand the writer’s expressions unconsciously made naturally is the sociopolitical dispositif shared between the writer and readers. The works dealt with in this study include his poems of the people created in the 1970’s to 80’s and relatively recent works produced in 2014, too. Considering the world of his works lasting for about 40 years, this author has found that the poet and society’s gaze about women has not changed that much. In his works, sometimes, women still become a sexual object and soon get otherized by the male poet’s gaze while being the most persecuted beings in the problematic scene of the time. It cannot be understood just as the limitation of a male poet, and we cannot exclude the dispositif of hierarchical gender in our society internalized in his gaze. In the world of Sin Gyeong-rim’s poems, women keep being reproduced superficially. Here, we should figure out why they are reproduced diversely in such ways and what sort of unconsciousness is involved in it. When femininity is recorded in multi-sexuality of the people and the semantic network of society mingled with the reproduction of females (femininity) can be comprehended, Sin Gyeong-rim’s pomes can be freed from the limitations of previous uni-layered history of literature and show us a new-dimensional world of works to exhibit multilayered capabilities. This is the task to record females (femininity) in the constitution of the people as subjects and ask about the meaning of it, and it will also broaden the spectrum of Sin Gyeong-rim’s literature of the people by reinterpreting it and ask again about the current issues of females mediated by it at the same time. 본 연구는 신경림 시에 등장하는 여성의 예속적 주체화 방식을 통해 여성(성)의 시적 구현이 비담론화된 남성주의의 권력과 전략을 드러내는 장(場)이 되고 있음을 말한다. 신경림의 민중시에서 여성이 ‘우리’에서 분리되거나 하찮고 가벼운 존재로 재현된 것은 시인의 의도로 보이지 않는다. 여성 독자 또한 이러한 표현을 그동안 별 거부감 없이 수용한 것이 사실이다.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 작가의 표현을 독자가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는 기반에는 작가와 독자 사이에 공유된 정치사회적 장치 때문이다. 연구의 대상이 된 작품 중에는 1970-80년대에 창작된 민중시도 있고 2014에 창작된 비교적 최근의 작품도 있다. 약 40년에 걸친 그의 작품 세계에서 여성을 바라보는 시인과 사회의 시선이 크게 달라진 점은 없어 보인다. 그의 작품에서 여성은 여전히 성적으로 대상화되기도 하고 시대의 문제적 현장에서 가장 핍박받는 존재이면서도 남성 시인의 시선에 곧 타자화 되기도 한다. 이것을 남성 시인의 한계로만 이해하기에는 그의 시선에 내재된 우리 사회의 위계적 젠더 장치를 배제할 수 없다. 신경림의 시세계에서 여성은 피상적으로 수없이 재현된다. 그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하게 재현되는 이유와 거기에 담긴 무의식은 무엇인지 찾아야 한다. 민중의 다성성에 여성성을 기록하고 여성(성) 재현에 얽힌 사회적 의미망을 독해할 수 있을 때, 신경림의 시는 그간의 단층적인 문학사적 한계에서 벗어나 다층적 역량을 발휘하는 새로운 차원의 작품 세계를 보여줄 수 있다. 이는 민중의 주체 구성에 여성(성)을 기록하여 그 의의를 묻는 작업으로 신경림의 민중문학을 재해석하여 스펙트럼을 넓히는 동시에 그것과 매개된 현재의 여성 문제를 되묻는 일이 된다.

      • KCI등재

        신경림 시에 나타난 로컬의 혼종성과 탈중심성 연구

        송지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2 No.-

        Research on local hybridity and post-centrality manifested in Sin Gyeong-rim’s poems postulates a return to locality underpinning one’s life by characterizing not a homogeneous space but a non-homogeneous place. Sin Gyeong-rim’s travel poems represent local place-ness at home and abroad. The context influencing his place representation is that he is a Korean born in Chungju. The poet represents places towards locals in overseas destinations as a traveler from a semi-peripheral country and in domestic destinations as the same type of person as locals. That is, in tourist destinations, he is a tourist with some capital power and at the same time a semi-peripheral person who observes and reports a central view of others towards locals. Thus, Sin Gyeong-rim’s poems capture a dual mechanism, i.e. the local centrality and the periphery. The local hybridity and post-centrality manifested in Sin Gyeong-rim’s poems constitute the very research on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globalization on locals. Current capital globalization has emerged as a critical factor affecting the local. The local are characterized by the hybridity of their placeness-based culture and the capitalization-based western culture attributable to cross-border capital flows. Also, cross-border globalization underscores the likelihood of the local to gain further autonomy and to settle as independent segmented units. The culture based on the local forms the place-ness that constitutes democracy involving freedom, happiness, rights and sovereignty where the local stand against the central power. Moreover, the place-based culture empowers the peripheral subjects and communities that used to exist as sub-subjects far from the center of capital to emerge. The poet’semi-peripheral aspects manifested in his poems serve as some food for thoughts over the issues of capitalization the local are subjected to, the binary- opposition components with inherent centralism, and the locals’ orientation towards coping with the foregoing trends in life. The real challenges facing the local, e.g. a sense of alienation of the local resulting from the state-oriented ideology, expanding capitalism or mammonism, the envy and jealousy of the local towards the central, and the identity crisis of the local ascribable to globalization, should no longer be addressed with economic or political logics only. Instead, given such challenges are associated with human life and identity, they need be rectified from a fundamental and integrated perspective conveyed by literature. 신경림 시에 나타난 로컬의 혼종성과 탈중심성 연구는 균질적인 공간이 아닌 비균질적인 장소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삶의 근본이 되는 로컬로의 회귀를 전제한다. 신경림의 기행시는 국내·외 로컬의 장소성을 재현한다. 그가 장소를 재현하는 데 영향을 끼치는 컨텍스트는 충주출신의 한국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시인의 위치는 국외 여행지에서는 반(半)주변국의 여행자로서, 국내 여행지에서는 지방 사람들과의 동일한 처지에서 로컬인을 지향하는 장소를 재현한다. 즉 여행지에서 그는 자본력을 가진 관광객이지만 로컬에 대한 중심의 타자적 시선을 관찰·고발하는 반(半)주변인인 것이다. 따라서 신경림의 시에는 로컬의 중심성과 주변성의 이중적 메커니즘이 포착된다. 신경림 시에 나타난 로컬의 혼종성과 탈중심성은 세계화가 로컬에 미친 부정적·긍정적 측면에 대한 연구이다. 오늘날 자본의 세계화는 로컬에 영향을 끼치는 결정적 요인으로 등장하고 있다. 자본의 탈경계로 로컬은 그것의 장소성에 기반한 문화와 서구의 자본화에 기반한 문화가 혼종된 성격으로 점철된다. 또한 세계화의 탈경계화는 로컬의 보다 많은 자율성 획득과 독자적 분절 단위로 자리매김 할 가능성을 제공하기도 한다. 로컬에 기반한 문화는 로컬이 중심 권력에 대항하는 자유, 행복, 권리, 주권 등 민주주의를 구성하는 장소성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장소 기반적 문화를 통해 자본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하위주체로 존재하던 주변부적 주체 및 공동체들이 새롭게 부상하게 된다. 작품에 드러난 시인의 반(半)주변성은 로컬이 겪는 자본화 문제, 중심주의가 내재한 이항 대립적 요소, 그리고 그에 대처하는 로컬인의 삶의 지향성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성찰하게 한다. 국가 중심주의가 배태한 로컬의 소외의식과 자본 팽배주의, 중앙에 대한 로컬의 선망과 질시, 세계화에 따른 로컬의 정체성 위기 등 로컬이 당면한 현실 문제는 더 이상 경제나 정치적 논리에만 기대어 접근할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삶과 정체성의 문제로 연결되기에 문학이 갖는 근원적이고 통합적인 시각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 KCI등재

        신경림 시의 로컬리티적 관점에서 본 여성성 연구

        송지선 ( Song Ji-se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9 No.-

        세계화로 국가의 경계와 정체성이 희미해지고 더불어 로컬의 정체성도 잃어가는 것이 일반적 추세이긴 하지만, 그 정도는 지구촌 전역에 걸쳐 동일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중심의 시선에서 멀어 질수록 로컬은 그만의 고유성과 일상성으로 제3의 공간을 형성하기도 한다. 제3의 공간은 국가와 자본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 일상의 탈중심적 공간이다. 그곳의 주체는 장소와의 유기적 관계 맺음을 통해 뿌리를 깊이 내린 장소감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대상과의 관계지향적인 원리는 여성성을 관통하는 특징인 동시에 여성성이 지향하는 세계관이다. 신경림 시의 로컬리티적 관점에서 바라본 여성성 연구는 로컬의 정체성을 지키는 숨은 주체로서 여성을 복원하는 작업이다. 그리하여 로컬리티와 여성성이 중심 이데올로기를 벗어난 대안 사회의 가치가 될 수 있음 보여주고자 한다. 신경림의 시는 가부장제 하에서 피억압기제로 있던 여성이 중심 이데올로기에 밀려 주변으로 치부된 로컬에서 어떻게 세계를 포용하며 생명력을 부여하는 지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자연과 유기적 관계에 있는 여성의 몸을 통해 여성이 주체적으로 로컬에 생명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여성이 가진 모성은 근대의 중심적 논리가 가져온 폐해를 극복하는 절대적 가치로서 로컬 특유의 따듯함과 순박함을 영속시키는 뿌리로 나타나기도 한다. 궁극적으로 신경림은 시를 통해 로컬이 자본의 균질화 위협을 불식시키고 차별성을 보이려면, 그럼으로써 중심에 결핍된 잠재력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주체자로서의 여성의 정체성이 회복되어야 함을 역설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권력이나 이데올로기에 의하여 억압받는 로컬의 문제에 하나의 대안 영역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On account of globalization, borders between nations and their identity are getting unclear, and along with that, the identity of locals is also getting lost. But the degree of it is not identical worldwide. When they are farther from the sight of the center, the locals rather get to form the third space with their own uniqueness and dailiness. The third space is the daily space of decenteredness that is not defined by the state or the capital. The subjects in it have organic relations with the place and establish the placeness deeply rooted. The principle oriented to relationship with object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penetrating femininity and also the view of the world pursued by femininity at the same time. The study on femininity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ity in Sin Gyeong-rim’s poems is a work to restore women as hidden subjects guarding the identity of locals. It intends to show locality and femininity can be the value of alternative society alienated from central ideology. Sin Gyeong-rim’s poems embody literarily how in the patriarchal system, women under the mechanism of the repressed depart from their status as peripheral locals pushed out from central ideology and embrace the world and provide vitality. It is concretely shown as women giving vitality to locals subjectively through their body in organic relations with nature. Also, the maternal instinct of women is shown as roots perpetuating locals’ unique warmness and plainness as absolute value to overcome the evils resulted from the central logic of the modern times. Ultimately, with his poems, Sin Gyeong-rim paradoxically says that it is needed to recover women’s identity as subjects in order to have locals get rid of the threats of capital to bring homogenization and reveal its discrimination and accordingly exert the potentials that are deficient in the cent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n alternative area to the matter of locals repressed by power or ideology.

      • KCI등재

        신경림의 「쇠무지벌」에 나타난 로컬리티 연구

        송지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7 No.-

        Sin Gyeong Rim’s 「Soemujibeol」shows strong emotional affinity to the unique, local life and customs that are getting farther and farther from our interest. And it is mingled with local persons’ ideological consciousness about life of which ground is being drastically lost and dismantled in the limping process of modernization in Korea. The goal of this writing is to find the unique locality of Soemujibeol through placeness. Finding the local placeness buried in modernity, this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local placeness found to be the new value of human recovery. The local persons of Soemujibeol did find vitality for life within “the brown fields” embracing the earth there and form community spirit along with the buzzy melodies of “Madang”. Therefore, we can see that Soemujibeol people’s identity, that is,the strong vitality and community spirit, is very deeply associated with “the brown fields” of Soemujibeol and the placeness of “Madang”. Such local people’s subjectivity and independence become the driving force to preserve Soemujibeol’s dynamicity and placeness. 신경림의 「쇠무지벌」은 우리의 관심사로부터 차츰 멀어져가는 로컬 고유의 삶과 풍물에 대해 강한 정서적 친화감을 보인다. 거기에는 우리나라의 파행적인 근대화의 과정에서 급격하게 기반을 잃고 해체되어가는 로컬인의 삶에 대한 이념적 의식이 맞물려 있다. 이 글의 목표는 쇠무지벌의 고유한 로컬리티를 장소성을 통해 찾는 것이다. 근대성에 의해 매몰된 로컬의 장소성을 찾고, 그것이 인간회복의 새로운 가치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쇠무지벌 로컬인은 “황밭들”의 흙과 몸을 섞으며 그 안에서 삶의 생명력을 얻고, “마당”의 신명나는 가락과 더불어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쇠무지벌 사람들의 정체성, 즉 강한 생명력과 공동체의식은 바로 쇠무지벌의 “황밭들”과 “마당”의 장소성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로컬인의 주체성과 자주성은 쇠무지벌의 역동성과 장소성을 지키는 원동력이 된다.

      • KCI등재

        신경림 시에 나타난 수몰고향의 로컬리티 연구

        송지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3 No.-

        Sin Gyeng-Rim takes a socio-historical insight on life as the main material of his poems, rather than an exploration of his ego to the extent that he defines his works as social poetry. Thus, it is necessary to read places in his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laceness, that is, locality of the surrounding areas discriminated as others from the central power,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m as places having his personal lyricism. In other words, Sin Gyeng-Rim produced works with his reflection on the spatial view according to the state’s development-oriented view in the 1980s through the placeness of his submerged hometown. The violence of the central power destroys the placeness of the local area and becomes concrete through the various ways in which the residents experience the place. Sin Gyeng-Rim visits his hometown at the crisis of submergence and experiences his past sticking in the place on the dimension of existential internality. In addition, he, who knows the geography of his hometown and each of the situations in which the residents are placed, meets and understands the essential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identity of the area to be submerged as an empathetic insider. Here, he materializes the changes that his hometown suffers, not by the inherent and original characteristics of his hometown, but from the influence of the state power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undary. Ultimately, the locality of his submerged hometown, revealed through Sin Gyeng-Rim’s memories and representation is to make works of art with the anger and the sense of loss of the residents in the submerged area,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central viewpoint and to reinstate their lives. Currently, in the village submerged by Chungju Dam, the Namhan-gang riverside landscape, which had been beautiful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dam, was destroyed and left as a mud flat, which rather spoils its image as a tourist destination, so it experiences a deteriorated locality. Therefore, a study on the locality of the submerged hometown in his poetry becomes a realistic and practical work that puts the development plans of the central power, not considering the placeness of the local area on the brakes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submerged area because of the construction of Chungju Dam with such a series of issues. 신경림은 자신의 작품을 사회시로 규정할 만큼 개인적 자아에 관한 탐구보다는 사회·역사적 삶의 통찰을 시의 주된 제재로 삼는다. 따라서 그의 시에 나타난 장소는 개인적 서정을 담은 것으로 이해하기보다 중심권력으로부터 타자로 차별된 주변지역의 장소성, 즉 로컬리티의 시선으로 읽어낼 필요가 있다. 즉 신경림은 수몰고향의 장소성을 통해 1980년대 국가의 발전지상주의에 따른 공간관에 대한 성찰을 작품화한 것이다. 중심권력의 폭력성은 로컬의 장소성을 파괴하며, 이는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장소 경험 방식을 통해 구체화된다. 신경림은 수몰 위기에 처한 고향을 방문하여 장소에 어린 자신의 과거를 실존적 내부성의 차원에서 경험한다. 또한 고향의 지리와 사람들이 처한 상황을 면면히 알고 있는 그는 감정이입적 내부자의 상태로 수몰 지역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본질적 요소들을 만나고 이해한다. 여기서 그는 고향의 내재적이고 본원적인 특성이 아닌, 그 경계 바깥과 연결된 국가 권력의 영향으로 고향이 어떤 변화를 겪는지를 형상화한다. 궁극적으로 신경림의 기억과 재현을 통해 드러나는 수몰고향의 로컬리티는 중심의 시각에서 배제되어 온 수몰민들의 분노와 상실감을 작품화하여 그들의 타자화된 삶을 복권하는 것이다. 현재 충주댐으로 수몰된 마을은 댐 건설로 이전의 아름답던 남한강변 경관이 훼손되고 벌 형태로 남아 오히려 관광지 면모를 흐리는 등 낙후된 지역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신경림 시에 나타난 수몰고향의 로컬리티 연구는 충주댐 수몰 지역이 이러한 문제로 점철된 상황에서 로컬의 장소성을 고려하지 않는 중심권력의 발전계획에 제동을 거는 현실적·실천적 작업이 된다.

      • KCI등재

        비상사태기의 문학과 정치 -1970년대 전반기 민중문학을 중심으로-

        조현일 ( Hyeon Il J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0 No.-

        이 글은 신경림, 염무웅, 백낙청의 비평을 대상으로 하여 1970년대 전반기의 ``민중``, ``민중문학``의 정치성에 대해 규명하고 있다. ``민중``이란 1971년 비상사태 선언 후 유신체제를 주도한 ``권위주의의 결단하는 주체``에 맞서 저항세력이 상상하고 호명해낸 고유의 정치적 주체이다. 그리고 ``민중문학``이란 이러한 정치적 주체의 형상화에 핵심 있는데, 그 특성은 김정한과 황석영의 작품, 이에 대한 비평에서 매우 잘 드러난다. 김정한의 인물들은 박정희의 권위주의적 결단에 맞서는 70년대 고유의 민주주의적인 정치적 주체라고 할 수 있다. 황석영의 인물들은 ``몫 없는 자임을 선언하는 정치적 주체``로서의 민중에서 한 걸음 나가 있다. 그들은 믿음, 사랑, 희망을 실천하는 정치신학적 차원의 민중이다. 백낙청의 관점에 따를 때, 그들은 양심에 따라 자연스럽게 역사적 사명에 이르고 사명에 정진하는 주체이다. 사명(부름)에 정진하는 그들 고유의 역설적 삶은 ``기다림``의 자세와 시간을 본질로 한다. This paper purposed to explain the politicality of ``people(Minjung)`` and ``people(Minjung) litera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1970s, focusing on the criticisms of Shin Gyeong rim, Yeom Moo woong, and Baek Nak cheong. ``people(Minjung)`` were political subjects that was imagined and called by the resistance power against ``the authoritarian resolute subject`` that had led the Yusin regime after the decision and declaration of emergency in 1971. In addition, the core of ``people(Minjung) literature`` consists in the configuration of such political subjects, and its characteristic is described well in the works of Kim Jeong han and Hwang Seok yeong and criticisms on these works. The characters in Kim Jeong han`s works are democratic political subjects specific to the 1970s who stood against Park Jeong hee`s authoritarian decision. Those in Hwang Seok yeong`s works are a step ahead of people as ``political subjects declaring to be one without share.`` They are political theological people who practice faith, love, and hope. According to Baek Nak cheong`s viewpoint, they are subjects who reach historical missions naturally according to their conscience and live for the missions. In addition, the essence of their lives is in the attitude of waiting and being ruled by waiting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