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가 바라본 중도 장애유아와 비장애형제유아의 상호작용

        이미숙 ( Mi Suk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중도 장애유아의 어머니들이 중도 장애유아와 비장애형제유아의 상호작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유아기에 해당하는 중도장애자녀와 비장애자녀를 함께 둔 어머니 5명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 중도 장애유아와 비장애형제유아의 상호작용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정도의 심각성으로 인해 장애유아가 비장애형제유아의 상호작용 시도에 반응을 잘 보이지 못함으로써 상호작용이 잘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부족한 상호작용에서도 비장애형제유아들은 장애유아의 반응을 기대하였으며, 장애유아에게 형제로서의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주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형제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어머니 자신의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mothers` perception on the interaction between young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ir siblings in early childhood. The study included five mothers who had young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results,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young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ir siblings was pretty low, and the prevalent reason was not to show the reaction on the siblings` interaction trial. Although the level of interaction was low, however, the siblings were excited when their siblings with severe disabilities showed the reaction. As well, the siblings showed constant interests to young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s the siblings. They insisted their important roles for th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siblings.

      • KCI등재

        효과적인 비장애형제지원의 실행요소 탐색 - 문헌분석과 경험에 따른 심층면담 분석을 중심으로

        강성리 ( Seong Ri Kang ),이병인 ( Byoung In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비장애형제지원 실행요소와 적용방안을 알아보고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비장애형제와 관련한 국내 문헌을 분석하였고, 6명의 비장애형제들을 심층면담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비장애형제지원을 위한 실행요소로 정보 및 대처기술, 심리ㆍ정서적 지원, 가족기능성, 사회적 인식, 지역사회 활용자원이 도출되었으며, 각 실행요소들은 유기적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따른 적용방안으로는 가족의 기능성에 기초한 지원, 지역사회자원의 활용, 대상자의 개별적 요구와 특성반영, 관계-지향적 서비스로서의 지원, 지원활동의 지속성 확보, 사회인식 개선을 바탕으로 한 지원 등의 내용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비장애형제를 양육하는 부모와 형제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 및 특수교육전문가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plementation components and application method for effective supports for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tal 73 articles related to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Focusing on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stant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five implementation components for support of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formation and coping skill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family functioning, social perception, resources on community-use. It is followed the conclusion based the result which six applications for supports of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1) supports based on family functioning, (2)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3) reflection of siblings siblings’ needs and characteristics, (4) supports based on relationship orientation, (5) sustainable support, (6) improvement of social perception. The results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eachers and professionals who want to implement the sibling program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개방성과 형제자매의 장애에 대한 지각이 비장애형제자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서진실,박혜준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opennes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erception about disabilities, and self-esteem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gender, age, and perceived family income) and disability related factors(severity of disabilities and support program participation),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parent-child communication, perception about disabilities,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with siblings with special needs. Subjects were one hundred and eighty-three 10- to 18-year-old adolescents who have siblings with special needs.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means, percentages,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12.0 for Window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Female adolescents' perceived openness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perception about disability related communication were more positive than that of male. 2. Adolescents who perceived their family income as 'high' reported more opennes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lower levels of fear about disabilities and higher self-esteem. 3. Adolescents with siblings with severe disabilities reported significantly low self-esteem. 4. Adolescents who had participated in support program perceived that they could talk to parents, friends, and other adults about disabilities more openly than adolescent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any program. 5.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openness of father-child communication, perception about disabilities, perceived family income and severity of disabilities. The strongest factor affecting self-esteem was the openness of father-child communication. 이 연구는 가족체계론적 관점에 근거하여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개방성과 형제자매의 장애로 인한 상황에 대한 지각이 비장애형제자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비장애형제자매 183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장애 관련 변수에 따른 부모-자녀간의사소통의 개방성, 장애에 대한 지각, 자아존중감의 차이 및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각 변수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정의 소득수준에 대한 지각과 형제의 장애등급,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의 개방성, 장애에 대한 지각이 비장애형제자매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의 개방성과는 달리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의 개방성은 비장애형제자매의 자아존중감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 KCI등재

        비장애 형제 심리적 지원 서비스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의 요구

        주지은,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6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nee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for siblings without disabilities in order to provide systematic services for them. The survey was developed by the 108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raised siblings of ages, under 12 years ol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jority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79.6%) recognize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at their children have, and also among them, 82.4% recognized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services for their children. Second, comprehensive nee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are more influenced by developmental steps of siblings rather than their order of birth or sex. Consequently,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for sibling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provided by consumer-driven development & implementation of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within family support systems. 본 연구는 비장애 형제 심리적 지원 서비스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체계적인 서비스 지원이확대되기를 바라는 데 목적을 두고, 비장애 형제 심리적 지원 서비스에 대한 장애아동부모들의 요구를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대상자 중 만12세 이하 장애아동 부모 중 일반 형제자매를 함께 양육하고 있는 장애아동 부모 108명을 대상으로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장애아동 부모들(79.6%)이비장애 형제가 경험하는 심리적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중, 82.4%는 비장애 형제 심리적 지원 서비스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아동 부모들이 요구하는 비장애형제 심리적 지원 서비스의 종합적인 의견은 비장애 형제의 출생순위와 성별보다 비장애형제의 발달단계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폭넓게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비장애 형제 심리적 지원 서비스는 가족 지원 체계 속에 수혜자 중심의 발달단계별 심리적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이 제도적 차원에서 확대가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아동의 손아래 형제자매가 지닌 장애인관에 대한 질적 연구

        엄진명,전혜인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view points of the non-disabled who have the elder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to find out the right directions of Korean children with disabilities’s family support and welfare policies. The research subjects are 7 non-disabled brothers or siste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go to special schools in Dae Jeon Metropolitan City.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bo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lower classes and of higher classes. And the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student subjects. The results of the collected materials analysed qualitatively; themes like (1)beings who they want to hide, (2)precious beings, (3)beings who they think need their help (4)beings who break their heart and 10 subsidiary themes were drawn. According to the 4 themes, there are differences in viewing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nd the view points of the students of lower class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tudents of higher classes. As for the individual view points, lower class students view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s ‘beings who they want to hide’ and higher class students view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s ‘beings who break their heart’. As a family, both the higher class students and the lower class students view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s ‘precious beings’ and ‘beings who they think need their help’. Lastly, as for the social view points, The higher class students feel that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re ‘beings who they want to hide’ and ‘beings who they think need their help’. However, as for the social view points of the lower class students, they aren’t aware of anything. Which direction family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tak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as discussed in this thesis.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손위 형제로 둔 비장애 형제자매의 장애인관에 알아보고, 우리나라 장애아동 가족지원과 복지정책이 지향해야 할 바를 모색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비장애 형제자매 중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1) 감추고 싶은 존재, (2) 소중한 존재, (3) 도움이 필요한 존재, (4) 가슴 아픈 존재로 주제와 10개의 부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주제를 살펴보면 개인, 가족, 사회 내에서 장애형제를 바라보는 장애인관에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에서도 장애인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개인적 관점에서는 장애형제를 ‘감추고 싶은 존재’로, 고학년의 경우 ‘가슴 아픈 존재’로 바라보고 있었으며, 가정 내에서는 저․고학년 모두 ‘소중한 존재’,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바라보고 있었다. 사회에서 바라보는 장애형제에 대한 관점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감추고 싶은 존재’,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느끼고 있었으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사회에서 바라보는 장애형제에 대한 인식은 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가족지원이 지향해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형제관계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이은진 ( Eun Jin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을 형제로 둔 비장애형제자매의 형제관계와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발달장애아 20명과 그들의 비장애형제자매 20명, 총 40명을 중재집단으로 선정하여 2개 그룹으로 나누어, 주 1회 60분씩 3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후, 결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거나 중간에 탈락한 자, 결석률이 높은 8명을 제외한 32명의 결과를 사전·사후 변화 차이를 비교,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 형제자매를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형제관계지각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발달장애아 형제자매를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형제자매의 상호작용의 효과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형제자매의 형제관계와 상호작용 개선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지원한다면, 발달장애아 당사자는 물론, 그들의 형제자매 교육과 양육, 사회적응 등에 바람직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observed what influenc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gave on the sibling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in non-disabled sibling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an Group Art Therapy Program intervention program involved as many as 32 non-disabled sibling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ducted. This results are follows: This result significantly means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pos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up of sibling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in non-disabled sibling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creases. In bldition to that, the sibling relationship from child`s traits reported a strong tendency to decrease nearly at.10 level, though it was a sta watically significant resulth ilthough this result was confined to sibling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are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worth being studied bect,se therthoas difference at least to be noticed and therthoas increased influence. To sesuup, the study found ot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ntervention program could difference at t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improvem proof the sibling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On the platat moof this result, the study suggests the panthed support in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r improving the sibling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in non-disabled sibling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미술치료가 장애아 형제자매를 가진 비장애 아동의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박수정 ( Park Soo-jung ),김지영 ( Kim Gee-young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0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4 No.-

        본 연구는 장애아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미술치료를 적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남자 아동으로 어머니가 장애 형제인 누나에게 시간과 관심을 두어 심리적인 스트레스가 많다. 연구 기간은 2010년 11월부터 시작하여 2011년 7월까지 주1회, 한 회기당 50∼60분씩 24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로 스트레스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HTP 그림검사,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그리고 미술치료 회기별 활동에서 나타나는 표현변화와 행동 변화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장애아 형제자매를 가진 비장애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미술치료가 장애아 형제자매를 가진 비장애 아동의 자아탄력성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미술치료가 장애아 형제자매를 가진 비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표현변화와 행동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미술치료 과정 중 미술표현을 통해 비장애 아동의 억압되어있던 내면세계를 외부로 적절하게 표출했고 그 속에서 긍정적으로 자기를 수용하고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를 통해 장애아 형제자매를 가진 비장애 아동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아탄력성 증가의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This study wanted to learn about the effects on the stress and self-elasticity of Non-Disabled Child with Disabled siblings by applying art therap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male children who are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o are stressed out because their mother puts time and attention on her sister, who is a disabled brother. The research period began in November 2010 and lasted 24 sessions, 50 to 6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until July 2011. The study tools analyzed the response of expression and behavioral changes in the stress scale, self-elasticity scale, HTP picture test, person picture test in the rain and art therapy session-by-session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affected stress reduction of Non-Disabled Child with Disabled siblings. Second, art therapy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self-elasticity of Non-Disabled Child with Disabled siblings. Third,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s in expression and behavior of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children’s brothers in each session of the art therapy program. In conclusion, art expression during the art therapy process properly expressed the suppressed inner world of non-disabled children to the outside and helped them to accept themselves positively and express their emotions properly. This reduced stress in Non-Disabled Child with Disabled siblings and gave positive changes in self-elasticity.

      • 피아노듀오중심 음악치료프로그램이 장애⋅비장애아동의 형제관계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조은별(Eun-Byul Cho),문소영(Soyoung Moon) 한국음악치료심리재활학회 2022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피아노듀오중심 음악치료프로그램이 장애⋅비장애아동의 형제관계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8세 미만의 발달장애판정을 받은 아동과 비장애아동으로구성된 형제 3쌍으로 선정하였다. 피아노듀오중심 음악치료프로그램은 단일집단으로 2017년 1월 7일부터2017년 4월 8일까지 주 1회 총 12회기씩, 한 회기 당 40분씩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전후로 사전-사후검사를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장애아동이 지각한 형제관계와 어머니가 지각한 형제관계가 전반적으로 증가된모습을 보였다. 형제 C의 어머니가 지각한 형제관계의 경우 12% 감소되는 변화율을 보였으나 하위영역으로나누어 살펴 볼 때 형제 C의 경우 경쟁의식 및 부정성 점수가 감소되어 형제간 상호작용에 변화가 나타났음을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피아노듀오중심 음악치료프로그램이 장애⋅비장애아동의 형제관계 및 상호작용에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음악치료분야에서 피아노듀오의 치료적 사용 및 장애⋅비장애아동이 함께하는 프로그램의 기초 연구로써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iano duo-based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sibling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For the research, three pairs of siblings consisting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children were selected. Using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total 12 sessions of a 40-minute the piano duo-based music therapy program were provided once a week for from Jan. 7th 2017 to Apr. 8th. Pre- and post-tes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was an general improvement in the scores for sibling relationships reported by the non-disabled children and the mothers. Sibling relationships score reported by the mothers from pair C decreased by 12%; however, pair C still showed decrease in scores for negative domains especially the sense of rivalry/competition score indicating a lower level of negativity in their sibling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study proves that piano duo-based music therapy program can influence the sibling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The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es investigating programs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s sibling relationships and the therapeutic use of piano duo-based program.

      • 집단모래놀이치료가 발달장애아동 비장애형제의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

        장정순 ( Chang Jeong Soon ),양선영 ( Yang Sun Young ) 명지대학교 아동가족심리치료센터 2019 아동가족치료연구 Vol.17 No.-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 비장애형제에게 집단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여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집단모래놀이치료에 참가하기를 희망하는 서울시내 초등학교 3-4학년 아동 10명을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에는 집단모래놀이치료를 주 2회, 6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자아강도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과 사후검사의 변화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각 척도별 사전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모수 검정인 Mann 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둘째, 집단모래놀이치료를 실시 전과 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모수 통계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투사기법인 K-HTP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여 자아강도의 질적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모래놀이치료가 발달장애아동 비장애형제의 자아강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유능성, 주도성, 탄력성, 사회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K-HTP검사를 통해 실험집단의 질적변화를 살펴본 결과, 자신감이 증가하고 자아강도가 향상된 모습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sand-play therapy on the Ego-strength in sibling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randomly assigned 10 of elementary school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in Seoul, those into experimental group of five and control group of five.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total 12sessions, which were 60minutes twice per week. The ego-strength tool was used in this study. For comparison between pre- and post-test data of ego-strength were analyzed by using an SPSS/WIN 20.0 statistical program. First, using Mann Whitney U test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data of control and examine group. Second, for non-parametric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differences data between before and after group sand-play therapy for sibling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so, to determine qualitative changes of self-strength by using K-HTP as a projection t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group sand-play therapy develops self-strength of sibling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those sub-areas of competence, initiative, resilience, and sociality had significantly changed. Second, self confidence and ego-strength of sibling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improves through the K-HTP test.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

        홍화진 ( Hwa Jin Hong ),정대영 ( Dae Young Ju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형제자매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조사, 분석, 설계, 개발, 실시, 평가의 6단계로 구성된 음악치료 프로그램 모형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심리적 안녕감의 4개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자아수용 그리고 개인적 성장을 구성요인으로 하여 총 20회기로 구성되었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은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형제자매 136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의 62%를 설명하고 있는 부모-자녀 의사소통, 정서지능 그리고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들로 구성되었다. 다음으로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형제자매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심리적 안녕감과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개발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 그리고 정서지능으로 내용이 구성되었으며,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therapy program promo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xamin its effects.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6 steps; survey,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program consists of sub-areas like parent-child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y. To test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 was made on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ir 4th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plac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consisting of 8 members. Total 20 sessions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the groups. Mann-Whitney U-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cor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whole(u=2.0, p=.001), especially even more in score for a sub-area of that well-being, that i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u=2.5, p=.001). This clearly indicates that the music therapy program developed here is effective in promo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