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와 공유경제

        김민호,박주희 미국헌법학회 2018 美國憲法硏究 Vol.29 No.3

        지능정보사회에서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경제형태가 확산되고 있다. ICT플랫폼을 매개로 공급자 간 차량이나 숙박시설 등 유휴자산을 거래하는 ‘공유경제’가 바로 그것이다. 보유자산을 활용한 개인 간 거래는 이미 익숙한 문화로서 새롭지는 않으나, 네트워크망과 사물인터넷이 그 거래량을 대폭 증대시킴으로써 공유경제가 우리사회 중요한 축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자원의 효율적 활용, 소비자후생 증대, 지역경제 활성화 등 이미 공유경제의 경제적 가치는 높게 인정받고 있다. 또한 사회 구성원들의 협력적 관계,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사회적 신뢰도 향상은 우리가 눈여겨 볼 공유경제의 핵심 가치이다. 하지만 공유경제의 대표적 분야인 차량 공유와 숙박 공유 서비스는 국내 진입과 동시에 법제도 또는 이해관계자들의 집단 반발에 가로막혀 있다. 공유경제의 본질과 그 내재된 가치를 사회적으로 충분히 공론화하기도 전에, 국내 공유경제 이슈는 이미 실종된 듯하다. 물론 법제도는 혁신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기술혁신과 규제는 끊임없는 긴장관계에 놓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혁신을 대하는 규제의 자세’는 혁신에 대응하여 적극적으로 기존 규제를 재검토하고 이를 제도권내로 흡수하려는 태도이어야 한다. 이미 미국, 유럽 등 해외 주요 국가들은 공유경제가 갖는 잠재력과 소비자 보호, 기존 사업자와의 마찰 등을 고려하여 지역 단위로 개별 서비스별로 규제하면서, 비교적 유연한 규제로 제도권내에 정착시킬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본 논문은 공유경제 규제사례를 통해 혁신을 대하는 우리나라의 규제 자세를 진단하면서,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해 여러 갈등을 조정하고 위험을 방지할 법제도적 방안들을 찾고자 하였다. 먼저, 혁신산업이 겪는 첫 갈등의 관문인 진입규제 문제이다. 현재 공유경제도 국내의 사전진입규제에 막힌 상황이다. 사전진입규제에 대한 여러 개선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공유경제는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적용해 볼 수 있다. 실제 국회 규제프리존법안은 숙박공유형태의 공유민박업이 기한제한을 전제로 허용되는 내용을 담고 있고, 차량공유도 운행범위를 지역적, 시간적 측면에서 제한하는 형태로 도입할 수 있다. 두 번째 중요한 과제는 소비자 보호 측면이다. 미국과 EU 논의에서 시사점을 얻는다면, 우리나라도 다양한 평가도구를 담은 평판 시스템을 통해 정보 비대칭 문제를 해결하고, 이용자 거래에서의 환불이나 피해보상 등 보증ㆍ보험의 도입을 고민해 볼 수 있다. 세 번째는 과세 문제인데, 납세자에 대한 조세형평성 원칙에 따라 공유경제에 대한 합리적인 과세기준과 과세집행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마지막 과제로 공유경제에 대한 전체적인 규율 방법의 논의이다. 이는 공유경제 관련 모든 논의에서 빠질 수 없는 위치에 놓인 플랫폼의 역할과 책임성의 논의이기도 하다. 공유경제 플랫폼은 협력적 공유사회 실현과 사회적 상호작용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함께 조성해가는 공유경제 구성원이다. 따라서 공유경제 플랫폼에 강한 규제와 법적 책임부터 묻기 보다는, 우선 자율규제를 통해 플랫폼의 자정능력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공유경제 메카니즘이 형성되는 것이 공유경제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합리적 방안이다. New economic forms are spreading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is is the ‘Sharing economy’ of trading idle assets such as vehicles or accommodation between suppliers through ICT platforms. Although the personal transactions using the idle assets are already familiar, the Sharing economy has become an important axis in our society because the network and the Internet of Things have greatly increased the transaction volume. The economic value of the Sharing economy is already highly recognized, such as efficient utilization of resources, increase in consumer welfare, and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lso, social trust is the core value of the Sharing economy, it is created through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members of society. However, vehicle sharing and accommodation sharing services, which are representative areas of Sharing economy, are obstructed by legal system or collective reaction of stakeholders at the same time as entering Korea. Sharing economic issues seem to have already disappeared in Korea before society can fully publicize the essence of Sharing economy and its inherent value. Of course, because the legislation can not keep up with the pace of innovation, technology innovation and regulation are bound to be in constant tension. However, ‘regulatory attitude toward innovation’ should be an attitude to actively review existing regulations in response to innovations and absorb them into the system. Already, US and Europe are trying to set up a relatively flexible regulation in the system by regulating individual services on a regional basis considering the potential of the Sharing economy, consumer protection, and friction with existing operators. This study tried to find legal system to prevent conflicts and to adjust conflicts in order to revitalize the Sharing economy by diagnosing domestic regulatory attitudes on innovation through shared economic regulation cases. First, it is the entry regulation issue, which is the gateway to the first conflict experienced by the innovation industry. Currently, the Sharing economy is also blocked by domestic pre-entry regulations. There are many discussions on the improvement of pre-entry regulation, but among them, the ‘regulatory sandbox’ system can be applied to the Sharing economy. Actual ‘Regulation Free Zone Bill’ contains contents allowed to share the type of lodging business on the premise of time limit, and vehicle sharing can also be introduced in a form of limiting the range of operation in terms of region and time. The second major subject is consumer protection. As in the US and EU discussions, Korea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information asymmetry through the reputation system that includes various evaluation tools, and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guarantee and insurance such as refund or damage compensation in user transactions. The third subject is the tax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tax equality for taxpayers, we must consider reasonable taxation standards and taxation enforcement methods for the Sharing economy. The final subject is the discussion of the overall discipline approach to the Sharing economy. This is also a discussion of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platform that can not be excluded from all discussions about the Sharing economy. A Sharing economic platform is a member of a Sharing economy that brings together the social values ​​of collaborative shared social realization and social interaction. Therefore, rather than asking for strong regulatory and legal responsibilities in a platform, in the first place, it is a reasonable way to promote the activation of the Sharing economy by forming the Sharing economic mechanism to be formed by the self-regulation.

      • A Study on the Sharing Economy Apartments and It’s Ubiquitous Monitoring System

        Han Yeon-sun,Kwon Chang-Hee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10 No.10

        This paper is to study of the sharing economy that is based on Collaborative Consumption by trying to rent or borrow th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 which promotes the spirit of intercommunity. It has appeared as the new concept of economy which is compared with the capitalistic economy originated from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based on the materialism. Preventing the potential crimes and the disaster which may be caused from the frigidity of safety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among the neighbors, and it’s management with the unit of apartment cluster has emerged. This study suggested monitoring system of sharing economic apartment online platform called " ACMP(Apartment Continuity Management Planning) " as a key idea of the sharing economy. This study also proposes a new model of the innovative ubiquitous based monitoring system for the smart apartments adopting sharing economy system.

      • KCI등재

        소비자의 공유경제 서비스 이용태도 및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

        이승신 ( Seung Sin Lee ) 대한가정학회 2017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5 No.2

        The recent global economic crisis has resulted in increased discussion and attention on the sharing economy, a form of economic activity where individuals share currently available products.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 sharing economy usage attitudes and usage intentions by applying rational choice theory. For this study, an investigation that had 400 adult consumers from across Korea answer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 statistical approach using SPSS ver. 22.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study found that the consumer`s sharing economy value and participation levels were higher than usual. Higher than usual consumption patterns were seen for the construct of rational behavior theory.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regarding sharing economy usage intention also found that usage intention was higher for those who had experienced using a sharing economy services rather than those who did not have experience. In addition, the sharing economy usage intention also increased along with the values for subjective norms, sharing economy usage attitudes, sharing economy participation, sharing economy emotional benefits, and increased values. This study found that fundamental materials for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made to eliminate difficulties that consumers have when they use sharing economy services. It is also expected that economic policy will develop to stimulate the sharing economy in a stable manner, that sharing economy-related information will be provided to consumers, and that consumer policies will be prepared to prevent consumer problems before they occur.

      • KCI등재후보

        공유경제 법안에 대한 고찰

        이병준 한국소비자법학회 2018 소비자법연구 Vol.4 No.2

        The emergence of the platform economy has led to a rapid development of sharing economy and collaborative consumption. Despite many advantages of the sharing economy model,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the illegal nature of the participants in the sharing economy market due to the lack of proper legislation reflecting the economic phenomenon. In this paper, the Sharing Economy Basic Law Bill, which was proposed in March 2018, and the draft Special Law on Sharing Economy Stimulation that has not been proposed yet, are introduced and evaluated. The Sharing Economy Basic Law Bill, which contains the basic contents of a sharing economy, is a faithful bill that contains core issues to be addressed in a sharing economy, except for a few partial problems. The bill uses especially the concept of 'supplier' and 'user' rather than the concept of business and consum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sharing economy are mainly peers. In addition, the supplier is divided into the 'regular supplier' and the 'temporary supplier' because the business and the peers are mixed in the market and the differentiation is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application of law. In addition, the bill establishes an intermediary provider designation system for the regulation of large-scale platforms, in which platform operators design a self-regulatory model and take a co-regulatory approach guided by administrative authorities. In the case of sharing economic regulations, it is reasonable that minimum entry requirements and imposition of duty should be regulated by law, and others should be lead by self-regulation. Specifically, it seem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on regulatory model in which regulators are appropriately involved in the compliance of the self-regulation model of the business for the performance of obligations. In this perspective, the Sharing Economy Basic Law Bill provides unlike the draft Special Law on Sharing Economy Stimulation a good example of the appropriate regulation direction of the sharing economy. 플랫폼 경제의 등장으로 공유경제 내지 협력적 소비 모델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경제 현상을 반영한 적절한 입법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공유경제 시장참가자들이 불법성 시비에 휩싸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8년 3월에 발의된 공유경제기본법안과 아직 상정되지 않은 공유경제 촉진에 관한 특별법안을 소개 및 평가하였다. 1. 공유경제기본법안은 공유경제를 반영한 기본법으로서 몇 가지 부분적인 의문을 제외하고는 공유경제에서 해결해야 할 핵심쟁점을 담고 있는 충실한 법안이다. 즉, 법안은 공유경제의 공급ㆍ수요의 주체가 주로 개인인 점을 고려해 사업자, 소비자 개념이 아닌 ‘공급자’, ‘수요자’ 개념을 사용한다. 또 플랫폼 공급자로서 사업자ㆍ개인의 구별문제는 법 적용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점을 고려해 ‘상시공급자’, ‘일시적공급자’를 구분하고 있고, 더 나아가 개인인 일시적공급자의 규제를 완화한다. 그리고 대규모 공유 플랫폼의 규제를 위한 중개사업자 지정제도를 마련함으로써, 의무를 부담하는 사업자의 자율규제 모델 준수 범위에서 행정기관이 지도ㆍ조언하는 공동규제적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2. 공유경제 촉진에 관한 특별법안은 ‘상시공급자’와 ‘일시적공급자’의 구분을 포기함으로써 진정한 공유경제 촉진법으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고 있다. ‘중개사업자’ 지정제도가 폐지됨으로써 스타트업 플랫폼 등 모든 공유 플랫폼에 규제가 확대될우려가 있다. 또한 적정한 자율규제를 유도하고 그 준수에 대하여 행정기관에 의한 공동규제를 도모하는 지정제도의 목적을 ‘우수중개사업자’ 지정제도를 통해서는 살릴 수 없다. 숙박공유 및 자가용승차공유에 대한 특례규정을 마련하고 있으나, 이미 존재하는 특별법과의 관계가 문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유경제 내의 참가자인 공급자와 플랫폼의 규제에 대하여 합리적인 이유 없이 상이한 접근을 하고 있다. 3. 공유경제 규제는 최소한도의 진입요건 및 의무부과가 법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밖의 사항은 자율규제를 유도하는 것이 타당하다. 구체적으로는 의무이행을 위한 사업자의 자율규제 모델이 설계된 후 그 준수에 대해 규제기관이 적절히 관여하는 공동규제모델 정립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공유경제기본법안이 공유경제의 규제 방향을 잘 제시해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공유⋅구독경제관련 입법동향 및 입법정책의 과제에 관한 연구

        고형석 한국소비자법학회 2019 소비자법연구 Vol.5 No.3

        E-commerce, which has developed with the advent of the Internet, is becoming a major trading methods to trade goods. However, e-commerce is one of the ongoing development forms of transactions, not the completed form. Therefore, as time goes by, new types of e-commerce are emerging, one of which is the sharing economy or the subscription economy. The sharing economy maximizes the value of use for limited resources, and unlike other e-commerce, suppliers and consumers are not specified. Therefore, a business operator or a individual can become a supplier. However, the growth of the shared economy causes conflicts with existing industries and consumer protection problems. Therefore, various legislation is being promoted to solve these problems. However, the direction of legislative promotion is not being promoted comprehensively and consistently by setting up the basic policy direction for the shared economy, but being promoted by each field. Of course, it is not reasonable to pursue legislation uniformly as a shared economy. However, the sharing economy is a trend of the time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asic policy direction at the national level. In this respect, although the Framework Act of the Sharing Economy was proposed, the concept of sharing economy in this Act is narrow, and the whole sharing economy can not be included. In addition, the revised bills to solve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shareong economy are also valid, but these are also a reality that it causes new problems. In particular, the fundamental problem is that only one party's opinions are collected in promoting legislation. In addition, the sharing economy is based on an online platform, and the status of a platform operator, which can be called a broker, is superior to all trading parties. However, bills on these does not fully reflect the changed market environment because it adopts regulation methods for the 20th century brokerage. Therefore, policy direction at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established to foster or revitalize the sharing economy,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related laws based on this. In addition, legislations on these should be promoted in a way that imposes appropriate responsibility on the status and role of a platform operator who is leading the sharing econom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ring economy. 인터넷의 등장과 함께 발달한 전자상거래는 재화를 거래하는 주된 거래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는 완성된 형태가 아닌 계속 발전하는 거래형태 중 하나이다. 따라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새로운 유형의 전자상거래가 등장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공유경제 또는 구독경제이다. 이러한 공유경제는 한정된 자원의 사용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이며, 다른 전자상거래와 달리 공급자와 수요자가 특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업자 또는 일반 개인도 공급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다. 이러한 공유경제는 도입된 지 얼마되지 않았지만,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다만, 공유경제의 성장은 기존 산업과의 충돌 및 소비자보호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전 세계 국가의 공통점이며, 우리나라 역시 공유경제의 활성화에 따라 다양한 법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입법이 추진되고 있다. 즉, 공유경제기본법의 제정부터 시작하여 각 영역에서 발생하는 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행법의 개정 또는 통합하는 방식으로 입법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입법추진방향은 공유경제에 대한 기본정책방향을 설정하여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되는 것이 아닌 각 분야별로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의 기본방향을 찾기 곤란하다. 물론, 공유경제라고 하여 일원적으로 추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공유경제는 시대적 흐름이며, 이에 대한 국가 차원에서의 기본정책방향의 수립은 필요하다. 이러한 차원에서 공유경제기본법안이 제안되었지만, 동법안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유경제의 개념은 협소하기 때문에 전체 공유경제를 포섭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공유경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정법안은 일면 타당한 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로 인해 새로운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특히, 이러한 입법을 추진함에 있어 모든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았다는 점은 근본적인 문제이다. 또한 공유경제는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중개사업자라고 할 수 있는 플랫폼 운영자의 지위는 모든 거래 당사자보다 우월적이다. 그러나 이에 관한 법은 20세기형 중개에 대한 규율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변화된 시장환경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공유경제를 육성 또는 활성화하기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는 국가차원에서의 정책방향이수립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기초로 관련법의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법제를 정비함에있어 공유경제의 특징을 감안하여 이를 주도하고 있는 플랫폼 운영자에 대해 그 지위 및 역할에적절한 책임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유경제 매력적 특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의 차량공유서비스 중심으로

        배기봉,全香花,강대석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19 Journal of China Studies Vol.22 No.4

        Sharing economy is now becoming a crucial economic activity for individuals in all parts of China. As a leader in sharing economy, China is undergoing rapid growth with the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plays an active role in the nation‘s economic development. Many companies in China enter the sharing economy market every year, however, not all are successful. This demonstrates that the boom in sharing economy does not guarantee success for new entrants. Unfortunately, many companies that participate in a sharing economy focus only on strategies and business models that have shown success and ignore the factors behind why some companies fail. Such logical errors foster a dangerous belief that a sharing economy provides high returns for all participants. The two main factors that determine whether a business is successful or not are consumer satisfaction and sustainable intension. This study examines the attractiveness of a sharing economy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intention to use car-sharing service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sharing econom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48 users of China's vehicle-sharing services in Tianjin and five surrounding areas, which was followed by an empiric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user convenience, economic benefits, social relationships, and ecological environment affected sustainable usage intention, whereas the risks perceived by service users did not seem to have noticeable effect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benefits of a sharing economy outweighs the potential security and safety risks of using sharing services, such as the potential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or the risk of physical harm. In addition to convenience and economic benefits, a sharing economy offers social and ecological benefits to collaborative consumer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proposes alternative suggestions for the sound development and qualitative growth of sharing economy.

      • KCI등재

        공유경제 과세문제에 대한 연구 ― 숙박공유업을 중심으로 ―

        신규환,이예지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조세와 법 Vol.11 No.2

        공유경제(Sharing Economy)란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하여 쓰는 협력적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을 의미 한다. 과거에 공유경제는 거래비용과 신뢰성의 문제로 벼룩시장, 두레처럼 일회성이거나 소규모 공동체에 제한되어 있었다. 최근 공유경제는 플랫폼 사업자의 등장, 스마트폰의 보급, SNS의 발달 등의 이유로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다. 플랫폼 사업자는 기존에 문제가 되던 거래비용을 사실상 0원으로 만들었다. 스마트폰의 보급은 누구나 언제든지 플랫폼 사업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고, SNS의 후기는 거래의 문제가 되는 신뢰성을 상당부분 해결하였다. 2015년 4월 PWC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공유경제의 세계 시장규모를 2013년 150억 달러에서 2025년 3천350억 달러로 전망하였다. 대표적인 공유숙박업체 에어비앤비의 주가는 2015년 세계 제일의 호텔 체인업체 메리어트를 뛰어넘는 가치로 평가 받았다. 계속되고 있는 글로벌 경제위기와 환경오염 등의 이유로 앞으로의 경제성장을 지금의 소비적 경제발전이 아니라 자원 등을 재활용하는 공유경제에서 해답을 찾고자 하는 여러 움직임들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유경제 공급자들에 대한 과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과거에는 규모의 영세성, 일회성 거래 등의 이유로 과세의 필요성이 크지 않았다. 최근 공유경제는 급격한 성장을 하여 숙박업체의 매출을 감소시키거나, 주택임대료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런데 공유경제 공급자들에게는 과세를 하지 않고 현재 세금을 납부하고 있는 숙박업체의 매출이 감소하면 이는 세수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 된다. 또한, 계속적ㆍ반복적으로 공유경제 참여를 하는 공급자들은 사업자와 경제적 실질이 전혀 차이가 없게 되어, 공유경제 참여자들을 방치하면 과세형평을 저해하게 된다. 다만, 공유경제가 적은 비용으로 기존의 자원을 재활용하여 사회 전체적인 후생을 증가시킨다는 측면에서, 조세제도가 공유경제 규제로 작용하여 공유경제 발전을 저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은 해외의 공유경제 과세 사례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공유경제 과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유경제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2017년 12월 노영훈이 우리나라 주택임대소득의 기준과세제도의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였고, 세원 관리차원에서 관광세, 숙박세 명칭의 지방개별소비세적 성격의 소액부과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2016년 12월 Zervas외 3인은 에어비앤비와 기존의 숙박시설을 비교하여 에어비앤가 성장하면 기존의 호텔 등의 숙박산업 매출이 감소하게 되어 과세당국은 세수감소에 대한 대비를 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캐나다 맥길대학이 2014년 9월부터 3년 동안 조사한 결과 장기 주택임대시장에서 사용하여야 할 주택 7천에서 1만3천5백채가 에어비앤비의 숙박공유시장에 이용되어 뉴욕의 주택임대료를 상승시켰다는 발표를 하였다. 일본의 경우 에어비앤비로 인하여 숙박업체의 숙박료가 9%인하되었다고 발표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유경제에 대한 과세가 전혀 되지 않고 있는데, 공유경제로 인하여 기존 산업의 매출이 감소하게 되면 세수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긴급한 대응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유경제에 대한 과세 방안으로는 첫째, 공유경제 공급자들을 대상으로 일정 기준금액 이상이 되면 간단하게 세금을 신고ㆍ납부할 수 있는 새로운 제도를 만들거나, 둘째, 현행 ... The Sharing Economy means an economic system based on cooperative consumption in which several products are shared by people. In the past, the sharing economy was limited to one-time or small-scale communities, such as flea market and durae, due to the transaction costs and reliability. There has been a dramatic growth in the sharing economy led by the emergence of platform operators, smart phones, and the development of SNS. Platform operators have made the transaction costs zero. The spread of smart phones allows us to access platform operators at any time. Also the review of the SNS considerably resolve the reliability. According to a report released by PWC in April 2015, they predict the global market size of the sharing economy from $ 15 billion in 2013 to $ 335 billion in 2025. For example, the share price of Airbnb, one of the most popular sharing platform of accommodation, was evaluated higher than Marriott hotel in 2015, the top of the world hotel chain. There are many moves to find answers in the sharing economy where focusing on recycling not consumption out of the ongoing global economic crisi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However, in the sharing economy system there is an issue on taxation for the shared product suppliers. In the past, it was not necessary that imposing taxes on the sharing economic suppliers as transactions are the small-scaled and temporary. Recently, as the sharing economy has grown rapidly, causing a decrease in the sales of the lodging, or raising up the housing rent fee. however, the tax authorities do not impose taxes on the sharing economic supplier and the lodging as well. This will result in reducing the sales of the lodging industry, which leads to decline of the tax revenues. The bottom line is that this situation leaving the sharing economy suppliers on tax exemption will cause taxation inequality. Even though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the sharing economy suppliers who constantly participate in the market and existing tax payers in the consumption economy. Taxes should not be a means to interfere with the sharing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sharing economic increases the welfare of society by recycling existing resources at low cost. Thus, this paper examines the cases of sharing economic taxation in foreign countries and suggests proper taxation of the sharing economic in Korea. In the related study, Noh(2017)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the standard taxation on Housing Rental Income. Also He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ose a small amount of tax on housing Rental Income called tourism tax, lodging tax. Zervas et al.(2016) argues that the growth of Airbnb will cause the reduction in the sales of existing hotel sector, so the tax authorities should prepare for the decrease in tax revenue. McGill University surveyed for three years, showing that between 7,000 and 13,500 houses to be used in the long-term housing rental market were used in the Airbnb's accommodation sharing market, raising housing rent in New York. In Japan, housing rental ratio was reduced by 9% due to Airbnb. In Korea, there is no taxation on the sharing economy. If the sales of existing economy decreases due to the sharing economy, it will lead to a reduction in tax revenue. So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taxation on the sharing economy. Thus, this paper suggests the taxation on the sharing economy following.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new tax system that taxes on sharing economy income when related income exceeds a certain amount. Secondly, it needs to impose modified taxes by using existing related taxes such as simplified taxation system of VAT, filing tax return under estimation of income taxes system. Thirdly, if it is difficult to create a new tax system for the sharing economy for now, tax withholding system for platform operators can be considered such as Netherlands, France etc.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consider legislation that ...

      • KCI등재

        공유경제시대의 치안논의

        박한호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4

        연구목적 : 공유경제의 성공은 공유자와 사용자 모두가 안전할 때 성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공유경제 현상과 범죄현상에 대한 상호작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 범죄현상과 구분되는 공유경제와 관련 범죄현상을 분석함으로써 공유경제와 관련한 범죄를 예방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공유경제현상에 따른 범죄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보고된 공식자료와 보도된 정보(정책 브리핑 자료 및 뉴스 기사) 그리고 전문저널 등의 문헌을 중심으로 범죄현상을 분석하는 문헌문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더불어 분석된 범죄현상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근거로 제시함으로써 분석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결론 : 공유경제현상의 안정화는 공유자, 사용자, 플랫폼 제공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공자와 공유자 그리고 사용자의 취약성은 공유경제를 이용한 범죄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또한 공유경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은 세팅 범죄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공유경제 플랫폼의 제도적 개선을 통해 공유범죄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In terms of the success of sharing economy, it can be successful when the sharer and user all are safe. Nevertheless, recently, the interactivity for the phenomenon of sharing economy and crime phenomenon are being increased. Accordingly, there is the purpose of research in preventing the crime in relation to the sharing economy by analyzing the crime phenomenon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sharing economy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crime phenomenon. Method :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analyzing the crime phenomenon focused on the reported official data, the reported information(policy briefing material and news article) and the professional journal, etc.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crime phenomenon in accordance with the phenomenon of sharing economy. Together, the basis of analysis has been presented by present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analyzed phenomenon of crime as the basis. Conclusion : The stabilization for the phenomenon of sharing economy is linked closely with the sharer, user and provider of platform. The vulnerability of provider, sharer and user has been used as the means facilitating the crime using the sharing economy. In addition, the platform enabling to provide the sharing economy has been linked closely with the setting crime phenomenon. Accordingly, the safety for the sharing economy may be raised through the systematic improvement of platform of sharing economy.

      • KCI등재

        공유경제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북미, 유럽,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오세환 ( Sehwan Oh ),신선영 ( Sunyoung Shin ),노성호 ( Sungho Rho ),장태석 ( Tae-seok Ja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8 질서경제저널 Vol.21 No.2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합리적인 소비문화의 확산, 디지털 기술의 발전 등으로 공유경제 플랫폼을 통한 소비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일반적인 의미의 공유경제는 소비하는 방식과 유휴 자산의 사용이 ICT 플랫폼을 통해 중개되는 경제로 정의해 볼 수 있는 가운데 공유경제가 소비 활동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비즈니스 및 경제 전반의 변화와 관련 있음을 강조하는 견해가 있다. 공유경제가 경제 전반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 변화에 주목하여 세계 각국은 민간에서 뿐만 아니라 공공 부문에서의 공유경제 활용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공유경제 모델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북미, 유럽, 중국 등 주요국에서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유경제 활용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공유경제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북미 지역의 자원 교환 공유 플랫폼, 공동체 화폐 도입 사례와 더불어 유럽의 일자리 창출 및 지역발전 네트워크 구축, 공유경제 시범도시 등을 검토해 보고 중국의 의료지식 및 의료자원 공유 플랫폼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사례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유경제의 활용방안으로 공유 플랫폼 표준의 개발 및 배포,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공동체 화폐 도입, 지역공동체 네트워크를 통한 공유서비스의 개발 및 활용, 온오프라인에서 공유 의료 플랫폼의 구축 등을 제시하는 한편 공유경제 도입을 위한 단계적인 발전 모델을 제안한다. The sharing economy has rapidly grown in recent years, in part thanks to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and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generally accepted definition for the sharing economy is that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platform mediates interactions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to exploit unused or underutilized resources. Indeed, it is often argued that the sharing economy is not limited to consumption activities but is related to changes in internet businesses and economy as a whole. Henc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potential of the business models in the sharing economy, which could be us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 In particular, the main focus is on diverse business models of the sharing economy as a way to stimulate local economies. Examples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ies via the sharing economy can be found in the regions of North America, Europe, and China. The various cases of the sharing economy models include resource sharing platforms, community currencies (North America), urban pilot projects for the sharing economy, the cooperative network for job cre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 (Europe), and sharing platforms for medical knowledge and resources (China). These cases suggest that local economies can go hand in hand with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standardized sharing platforms, the application of digital community currency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haring economy services through community network,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sharing economy platforms. Further, we suggest the need for a gradual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the sharing economy.

      • KCI등재

        공유경제 논의와 민법학

        김영희 법과사회이론학회 2019 법과 사회 Vol.0 No.61

        These days in Korea, people talk about various ‘sharing’s: ‘sharing’ ownership, ‘sharing’ economy, ‘sharing’ commons, and so on. All those ‘sharing’s have a certain contact point with the concept of sharing ownership(i.e., co-ownership) in property law of Korea. Therefore, the Korean civil law could or should intervene in regulating each sharing. When it comes to the sharing economy just at present, the ‘sharing’ generally means ‘sharing of use’ by consumers in the market. The market economy has been seeking a way for overcoming its limit through emphasizing ‘sharing of use’ by utilizing network technology, and then formulating new markets under the name of sharing economy. However, it is not easy to regulate the sharing economy under the Korean civil law, because the consumers in sharing economy hardly share of use in fact nor even share of ownership. Nevertheless, the Korean civil law could regulate the sharing economy by way of finding a new contact point with the leasing in Korean Civil Code. In addition, it could by way of introducing a new ownership-right concept in Korean civil law that is exchangeable with the right-to-use. Then again when it comes to the sharing commons, the ‘sharing’ means ‘social sharing of common pool resources’ by people. This kind of sharing looks like brand new, but it does not. From a historic perspective of the common law, the commons was a kind of property right before the modern age. Then around 1960s or 1970s, the concepts of commons have been recalled in order to correct the side effects of the ownership-focused modern property system. Moreover, Korean civil law has a historic commons related provision under the article 302 of the Korean Civil Code from the beginning until now. Thus it is possible for the Korean civil law to construct or reconstruct the sharing right in the commons of the day with some adjustments for a better tomorrow. In short, the commons-based open and collaborative sharing economy could be a desirable alternative to the present sharing economy and the market economy. 오늘날 한국 사회가 말하고 있는 공유경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물건이나 자산의 이용을 거래하는 새로운 사업 모델로서 시장 공유경제이다. 다른 하나는, 협력적 공유사회를 추구하는 커먼즈적 공유경제이다. 이 두 공유경제 중에 먼저 등장한 것은 커먼즈적 공유경제이다. 시장 공유경제의 영어 표현이 sharing economy인 것도, 시장 공유경제가 형성되는 초기에 sharing에 의미를 부여하는 커먼즈적 공유경제 개념과 접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공유경제의 주류는 시장 공유경제이다. 누군가 공유경제를 말하면 일단은 시장 공유경제를 말하는 것으로 여겨야 할 정도이다. 그런데 시장 공유경제를 공유경제라고 부르는 것에는 어폐가 있다. 시장 공유경제의 참여자들은 공유를 추구하지도 않고, 공유경제 상품인 물건이나 자산을 공동으로 소유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시장 공유경제는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방식에서 기존의 시장경제와 다르지 않기도 하다. 시장 공유경제는 기존의 시장경제에 비해 그 이익을 네트워크를 통한 소유와 이용의 연결 및 이용과 이용의 연결을 통해 창출한다는 특징을 가질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 공유경제에서 공유가 행해지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다. 이용권의 소유권성 인정에 너그러운 영미 보통법상 권리 관념으로 인해 그렇다. 영미 보통법상으로는 소유자와 소비자 사이에 소유와 이용이나 소비자와 소비자 사이에 이용과 이용을 공유로 설명하는 것이 법리적으로 별 무리가 아닌데, 바로 이 점이 시장 공유경제에 의해 유용되는 것이다. 시장 공유경제에서 행해지는 거래들은 기존의 시장경제에서 행해지는 거래들과 그 기본이 같은 만큼 기존의 소유 법리와 임대차 법리와 매매 법리 등을 변용하는 것으로 상당 정도 규율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존의 법리로 규율이 어려운 부분들도 있다. 공유경제 상품인 물건이나 자산의 상황을 연결하고 통제하는 네트워크와 관련한 부분이 대표적으로 그러하다. 시장 공유경제가 어떤 경제이든 현실이기는 한 만큼 민법학은 이 부분들에 대한 법리 보완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시장 공유경제에 비해, 커먼즈적 공유경제는 본래적 의미의 공유경제인 커먼즈에 기반을 두는 협력적 공유경제를 추구한다. 특히 오늘날의 커먼즈적 공유경제는 커먼즈에 기반을 두되 자유롭고 효율적인 소유와 이용을 통해 개인의 다양성과 공동체의 협동성을 추구하는 확대된 공유경제이다. 2008년에 sharing economy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는 레식도, 처음 사용인지 여부를 떠나, 커먼즈적 공유를 확대 추구하는 차원에서 나눔(sharing)의 경제인 공유경제를 말하였었다. 그런데 커먼즈적 공유경제는 사적소유권 체계가 가지는 강한 배타성을 완화시키고자 하고, 재산권 체계에 공동체적 의미를 반영시키고자 하는 만큼 기존의 시장경제가 수용하기를 거부하였던 경제였다. 그렇지만 오늘날 사회는 급속하고 광범한 네트워크 발전을 겪으면서 자유, 자율, 다양성, 포용성 등이 강화된 커먼즈적 공유경제를 추구하여야 함에 대한 인식을 공유해가고 있다. 영미권 법학자들이 공유경제를 말할 때 주류인 시장 공유경제보다 커먼즈적 공유경제를 강조하는 것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이다. 시장경제 내지 시장 공유경제 쪽으로 기울어 있는 운동장을 커먼즈적 공유경제 쪽으로 기울여 이 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기반으로서 균형 잡힌 공유경제를 추구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