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지역권의 재고

        이덕승(Lee, Deok-Sung) 한국재산법학회 2010 재산법연구 Vol.27 No.2

        According to article 302 of the Korean Civil Law , it's called as 'special servitude' for local resident group to get profit from wild edible green, sap, pine mushroom, abalone, conch, seaweed, manila clam in other's land & sea as body corporate without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legal property of special servitude is prescribed as near as servitude in article 302 of the Korean Civil Law. Originally servitude is a sort of real right include usufruct using other's land for specific purpose that is set in action of establishment between parties. It is also about relationship of utilization between dominant estate and servient estate. It can't be called as servitude for person in specific area to get profit from other's land. Even though conflict of theories, intrinsic property of local resident group is body corporate without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If body corporate without capacity of enjoyment of rights own right, then ownership form is called as quasi-Gesamteigentum32). Therefore term of 'special servitude' should be substituted for beneficiary right of land with property of a sort of quasi-Gesamteigentum Establishment by custom is prerequisite for validity of special servitude, according to article 302 of the Korean Civil Law & most of theories. It is common case that special servitude is established by contract(agreement about preservation of forest) rather than custom in publicly owned or government owned forest land. Most of theories insist that establishment of special servitude with custom is not needed a registration but establishment of special servitude with contract is needed a registration to claim to the third party. I think that establishment of special servitude with contract is not needed a registration to claim to the third party. Legal property of special servitude is limited real right as joint beneficiary right of local resident group. Ownership form of special servitude is quasi-Gesamteigentum and special servitude has property of a sort of personal servitude rather than servitude. Intrinsic validity of special servitude is for local resident group to get profit from specific land through custom & contract. If special servitude is established by agreement about preservation of forest, local resident group has a duty to preserve forest and to give some amount of money to owner of forest in some cases. Also in such case, special servitude is being given in 5 years and rent, disposition, transfer and inheritance is not allowed. It is mistake to perceive special servitude as outdated right that making devastated forest and diminished profit. According to research, local resident group, government and local self-governing body are trying to improve profit of farming & fishing community. Also local resident group has a role to preserve forest well. In standpoint of local resident group, special servitude is not a extinctive right but a strong recommended right in consideration of harvesting on the premise of effectiveness of income and redistributing to senior people lack of labor force in farming & fishing community. Article 302 of the Korean Civil Law should be amended considering the situation described above. It is one example of amendment like below, "If there is a right of local resident group as aggregate, Code of Gesamteigentum should be applied except application of custom and regulation".

      • KCI등재

        자발적 복종과 의지적 자유: 라 보에시와 몽테뉴의 우정

        서종석(Soh, Jongse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1

        본 논문은 몽테뉴와 라 보에시 간의 우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정신적 교감과 관계를 다룬다. 보다 자세히 말하자면, 라 보에시가 몽테뉴에게 미쳤던 영향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그 성격이 어떤 것이었는지, 두 사람의 텍스트인 『자발적 복종론』과 『에세』를 통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라 보에시가 『자발적 복종론』 속에서 묘사하는 우정의 모습은, 폭군에 대항하는 자유와 평등이라는 가치와 보편애로서의 ‘형제애’와 연결됨으로써, 정치적이며 공적인 성격을 띤다. 반면 『에세』에 나타난 몽테뉴의 우정은 운명적이고 배타적이며 내밀한, 사적인 성격을 갖는다. 우리는 특히 라 보에시의 ‘자발적 복종’과 몽테뉴의 ‘의지적 자유’ 간의 차이성과 친연성에 주목하면서, 두 개념이 어떻게 대립적인 의미를 지니는 듯 보이면서도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는 소통이 가능한 것인지 관찰한다. 사실 이러한 관찰은, 몽테뉴의 생각 속에 라 보에시의 것과 같으면서도 다른, 다르면서도 같은, 정신적 차원의 강한 연대감을 드러내주는 것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것은 동일한 것을 다른 방식으로 진술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또 다른 차원으로 승화시켜 고결한 어떤 것으로 변화시키려는 몽테뉴만의 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이와 같이 두 사람의 텍스트들을 비교하면서, 몽테뉴가 『에세』를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삶은 과거의 시간 속에서 경험했던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라 보에시를 만나 새로운 자아로 살아가며 그 속에서 겪은 한 인간의 치열했던 삶 자체였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몽테뉴가 라 보에시를 통해 체험한 ‘완전한 우정’은 한순간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몽테뉴의 삶 마지막 순간에 확인되는, 삶의 과정으로 드러나는 전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mmunion and relationship between Montaigne and La Boetie based on their friendship. By examining La Boetie’s Discours de la servitude volontaire and Montaigne’s Essais, it is discussed in what way and to what extent La Boetie influenced Montaigne. The friendship described in Discours de la servitude volontaire assumes a political and aggressive character by being connected with the values of liberty and equality against tyrants and with the fraternal affection as universal love. On the contrary, the friendship in Essais assumes a fatal, exclusive, intimate, and private character. Focused on the difference and the affinity between the concept ‘voluntary servitude’ of La Boetie and the concept ‘voluntary liberty’ of Montaigne, it is investigated how the seemingly oppositive concepts can be communicated on a more fundamental level. That investigation shows that in Montaigne’s mind there is a strong feeling of solidarity which is expressed in a ‘dissimilar similar’ way as in La Boetie. That can be considered as Montaigne’s own way of expression: he does not attempt to paraphrase the same thing, but sublimate it to loftiness. Montaigne’s Essais is not just a documentation of his past, but his intense life itself in which his ego is changed and the ‘perfect friendship’ with La Boetie is experienced as a whole process of life. 본 논문은 몽테뉴와 라 보에시 간의 우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정신적 교감과 관계를 다룬다. 보다 자세히 말하자면, 라 보에시가 몽테뉴에게 미쳤던 영향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그 성격이 어떤 것이었는지, 두 사람의 텍스트인 『자발적 복종론』과 『에세』를 통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라 보에시가 『자발적 복종론』 속에서 묘사하는 우정의 모습은, 폭군에 대항하는 자유와 평등이라는 가치와 보편애로서의 ‘형제애’와 연결됨으로써, 정치적이며 공적인 성격을 띤다. 반면 『에세』에 나타난 몽테뉴의 우정은 운명적이고 배타적이며 내밀한, 사적인 성격을 갖는다. 우리는 특히 라 보에시의 ‘자발적 복종’과 몽테뉴의 ‘의지적 자유’ 간의 차이성과 친연성에 주목하면서, 두 개념이 어떻게 대립적인 의미를 지니는 듯 보이면서도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는 소통이 가능한 것인지 관찰한다. 사실 이러한 관찰은, 몽테뉴의 생각 속에 라 보에시의 것과 같으면서도 다른, 다르면서도 같은, 정신적 차원의 강한 연대감을 드러내주는 것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것은 동일한 것을 다른 방식으로 진술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또 다른 차원으로 승화시켜 고결한 어떤 것으로 변화시키려는 몽테뉴만의 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이와 같이 두 사람의 텍스트들을 비교하면서, 몽테뉴가 『에세』를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삶은 과거의 시간 속에서 경험했던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라 보에시를 만나 새로운 자아로 살아가며 그 속에서 겪은 한 인간의 치열했던 삶 자체였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몽테뉴가 라 보에시를 통해 체험한 ‘완전한 우정’은 한순간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몽테뉴의 삶 마지막 순간에 확인되는, 삶의 과정으로 드러나는 전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mmunion and relationship between Montaigne and La Boetie based on their friendship. By examining La Boetie’s Discours de la servitude volontaire and Montaigne’s Essais, it is discussed in what way and to what extent La Boetie influenced Montaigne. The friendship described in Discours de la servitude volontaire assumes a political and aggressive character by being connected with the values of liberty and equality against tyrants and with the fraternal affection as universal love. On the contrary, the friendship in Essais assumes a fatal, exclusive, intimate, and private character. Focused on the difference and the affinity between the concept ‘voluntary servitude’ of La Boetie and the concept ‘voluntary liberty’ of Montaigne, it is investigated how the seemingly oppositive concepts can be communicated on a more fundamental level. That investigation shows that in Montaigne’s mind there is a strong feeling of solidarity which is expressed in a ‘dissimilar similar’ way as in La Boetie. That can be considered as Montaigne’s own way of expression: he does not attempt to paraphrase the same thing, but sublimate it to loftiness. Montaigne’s Essais is not just a documentation of his past, but his intense life itself in which his ego is changed and the ‘perfect friendship’ with La Boetie is experienced as a whole process of life.

      • KCI등재

        프랑스민법상 상린관계

        정다영 한국민사법학회 2013 民事法學 Vol.63 No.2

        Le Code civil français précise que la servitude dérive soit de la situationnaturelle des lieux, ou des obligations imposées par la loi, ou desconventions entre propriétaires. Les servitudes qui dérivent de la situationdes lieux et les servitudes établies par la loi concernent les relations devoisinage. Les servitudes légales permettent une meilleure coexistence entreles propriétaires des lieux. Nul ne doit causer à autrui un trouble excédantles inconvénients normaux de voisinage. La majorité des servitudes ne donnent pas lieu à une indemnitélorsqu'elles sont réciproques. Par servitude réciproque, on entend le plussouvent des interdictions réciproques susceptibles en même temps de pesersur l'un et l'autre fonds. Par contre, les servitudes unilatérales sontexceptionnelles, et elles sont les servitudes de passage et d'écoulement deseaux. Les servitudes qui dérivent de la situation des lieux incluent la servituded'écoulement des eaux, le bornage et la clôture. Les servitudes établies parla loi ont pour objet l'utilité publique ou communale, ou l'utilité desparticuliers. L'État ou les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ont créé diverses servitudesd'utilité publique. Les servitudes d'utilité publique profitent à une personnepublique ou sont instituées en vue de satisfaire l'intérêt général. Elles neconcernent pas les relations de voisinage. Les servitudes d'utilité privée comprennent les murs et les fossésmitoyens, les distances de plantation, de construction ou d'ouverture et lespassages pour cause d'enclave. Le Code civil pose quelques règles de distances à respecter pour planter,construire ou faire des ouvertures donnant sur le fonds voisin. Lesplantations ne peuvent être faites qu'à la distance prescrite par lesrèglements, ou par les usages locaux, ou à défaut par la loi. Ces distancesprévues par le Code civil sont supplétives. Si les distances ne sont pasrespectées, le voisin peut obtenir l'arrachage ou la réduction, sans avoir àjustifier d'un quelconque préjudice. Les constructions peuvent en principe être érigées en limite du fonds. Le législateur a voulu marquer une différence entre le jour et la vue. Lesjours sont opaques et non ouvrants. C'est pourquoi, le propriétaire du murpeut les établir même si le mur est à la ligne séparative, sans avoir besoindu consentement de son voisin, à la seule condition que ce soit à unehauteur dissuasive. Concernant la vue, la loi prévoit alors des distances etdistingue entre les vues droites et les vues obliques. Le Code civil permet au propriétaire de réclamer, contre indemnité, àses voisins un passage suffisant vers la voie publique. Cela correspond audroit d'accès à la voie publique. Une enclave est une situation danslaquelle un fonds, environné par d’autres fonds appartenant à d’autrespropriétaires, n’a aucune issue ou une issue insuffisante sur la voiepublique. Elle s'explique par la nécessité de permettre l'utilisation normaledu fonds enclavé. L'indemnité due est proportionnée au dommage que lepassage peut occasionner. La loi devrait organiser certains rapports entre particuliers, ces rapportspouvant être liés au voisinage, aux servitudes et pouvant mêler les droitset les obligations afin de permettre une meilleure utilisation du fonds et derépondre aux exigences de l’époque.

      • KCI등재후보

        스피노자의 정서 이론에서 사회성과 반사회성

        정선우 서양근대철학회 2020 근대철학 Vol.15 No.-

        In Spinoza’s philosophy, human servitude is an essential issue. He raises tw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cause and effect of servitude: One is, “Why are human beings to be subjected that they know what is better but they follow the worse?”, the other is, “Why do human beings desire their servitude just like their own salvation?” Human irrationality and passivity are important subjects for Spinoza. I will focus on this point and research why it is difficult for humans beings to be freed from servitude. In Particular, I will search for the reason into the social aspect of servitude, that is, the perversion of inter-human relationship by passions. Human beings want to reach agreement with others. They also desire others to feel the same affects as they do. However, it is hard to agree with each other, because those who are subjected to passions are contrary to others and become to hate each others. The conflicts necessarily occur due to passions. Consequently, they can neither form a community nor bond with each other. This is the social aspect of servitude. 스피노자 철학에서 예속의 문제는 핵심을 이룬다. 그는 예속의 원인과 영향을 해명하는 과정에서 두 가지 물음을 제기하는데, 하나는 “어째서 인간은 더 좋은 것을 알면서도 더 나쁜 것을 따를 정도로 예속되는가?”이고, 다른 하나는 “어째서인간은 마치 자기 자신의 구원이기라도 한 듯 스스로의 예속을 욕망하는가?”이다. 이와 같이 스피노자에게 인간의 비합리성과 수동성은 주요 분석대상이다. 나는 이 점에 주목하여 어째서 인간이 예속으로부터 해방되기 어려운지를 탐구한다. 특히 그 이유를 예속의 사회적 측면, 곧 정념에 의한 인간 상호관계의 왜곡으로부터 찾을 것이다. 인간은 다른 이들과 일치하기를 원하며, 다른 이들이 자기 자신과 동일한 정서를느끼기를 원한다. 하지만 인간은 서로 합치하지 못하는데, 정념에 종속된 인간은상반되고 또한 서로를 증오하기 때문이다. 정념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갈등이 발생한다. 결국 인간은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할 수도 상호간의 유대관계를 맺을 수도 없다. 이것이 바로 예속의 사회적 측면이다. 이처럼 현실상의 인간이 자유롭기보다 예속되어 있고 자기 자신의 지복을 원하기보다 슬픔과 증오에 사로잡힌 까닭이 분석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스피노자에게 예속의 문제설정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을 고찰하고 나아가 합리주의와 주지주의 철학 또는 순수 긍정과 기쁨의 철학이라는 외피 아래 감춰졌던 스피노자 철학의 진면목을 드러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산삼 심마니 채삼 관습과 민법상 특수지역권

        배병일 고려인삼학회 2023 인삼문화 Vol.5 No.1

        This study looks at the origin of a wild–ginseng, Korean ginseng, and traces the origin of associated wild–ginseng digging customs back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se historical customs helped Korea gain control over its wild ginseng resources following Japanese colonization acts, Korea‘s present– day forest laws, and Korean Civil Law. Prior to Japanese colonial rule in Korea (1910–1945), ginseng digging was a common custom, but Imperial Japan distorted Korea’s own legal principles of the public rights of wild–ginseng digging during this colonial period. Distorted legal principles concerning digging customs continued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and were maintained until the enforcement of the Korean Civil Law in 1960, when legal principles of the right of common were changed to special servitude. The origin of the right of common can be found in the Sichojang of the Joseon Dynasty. The Sichojang, a place where local residents jointly collected firewood and fed livestock, was the minimum right to life and interest at the time. Since the right of common was the right to life, Imperial Japan attempted to abolish it, but it was never successful. In addition, distorted legal principles have been maintained in present– day forestry–related laws and regulations. Over 75 years since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in 1945, it is imperative to break away from the distorted legal principles and acknowledge that digging custom rights have changed from common customs to a special servitude under Korean Civil Law. Hence, an organization of wild–ginseng diggers is an unincorporated association, and their wild–ginseng digging customs can be constituted as a special servitude. Hence, their practices should be considered valid under customary law.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clarify the legal nature and grounds for ginseng–related wild–ginseng digging activities, as well as the civil responsibility for the activities of wild–ginseng diggers.

      • KCI등재

        우크라이나와 한국 문화 속 전통적 여성 이미지: 민족지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리나 즈비르(Iryna Zbyr)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6

        본 논문은 우크라이나와 한국 문화 속 여성의 이미지를 우크라이나 민속에 대한 이반 프란코의 관점과 한국의 여성 운명에 관한 민요를 기반으로 분석했다. 본 기고는 우크라이나와 한국의 가정 내 여성의 핵심적인 사회적 역할과 기능에 대한 비교와 우크라이나와 한국 민족의 민족 문화적 고정관념에 대한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에 있어 이반 프란코의 여성의 종속(The servitude of women) 과 한국의 한(恨) 이라는 용어에 초점을 맞췄으며, 또한 이러한 용어 형성에 영향을 끼친 주요 원인들에 주목하였다. 이와 더불어 결혼 후여성의 가장 힘든 측면(고부 갈등, 새로운 가정에서의 어려운 삶, 남편과의 삶(특히 남편이 아내를 사랑하지 않거나 아내를 배신하였을 경우), 이별, 과부 신세) 을 잘 보여주는 민요 분석을 통해 위 용어를 풀이하였다. 상대적으로 우크라이나 여성의 가정 내 높은 지위는 종속을 탈피하 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여성의 예속적 상태는 기본적인 사회내 사회-경제적 문제들과 주로 연관되어 있었고, 이반 프란코를 인용 하자면 비록 부부끼리 사랑하지 않지만, 아내는 남편에게 영원히 속박 되어 있었다. 그러나 한국 여성에게 한 은 삶에 대한 순종뿐만 아니라, 인생에서의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는 모습을 의미한다. The article analyzes the image of women in the Ukrainian and Korean cultures by investigating Franko’s viewpoint on Ukrainian folklore as well as Korean folk songs about women’s fate, in order to compare main social role and function of women in the family, and also to identify some ethno-cultural stereotypes of Ukrainian and Korean people. The author pays much attention to Franko’s term “women’s servitude” and to the Korean “han”, and to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d their formation. Also the author reveals the meaning of these terms, analyzing folk songs, which show the most difficult aspects of women’s life after marriag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in-law, the difficult life in a new family, life with her husbands, especially as women were not loved, widowhood and divorce). The comparatively high position of Ukrainian women in the family did not them to avoid the “servitude” that has been connected mainly with socioeconomic problems of the society and forever “attracts a woman to a man, though unloved” (I. Franko). However, “han” for Korean women did not only mean the subjugation to that life situation, but also her search for balance and harmony in life.

      • KCI등재

        부치 에메체타의 작품에 나타난 결혼의 의미: 노예상태의 메타포

        정현숙 한국영미어문학회 2017 영미어문학 Vol.- No.125

        Hyunsook Jeong. 2017. The Meaning of Marriage in Buchi Emecheta’s Works: Metaphor for Servitude, Studies in British and American Language and Literature 125, 187-206. This paper examines Buchi Emecheta’s biographical novel The Slave Girl, arguing that in traditional Igbo society, a girl’s life is teeming with lots of bondage that reduces her life to servitude. With this is mind, I will be placing an emphasis on “slave girl burial” episode that can bridge The Slave Girl and The Joys of Motherhood. The latter treats the plight of Nnu Ego, the protagonist, whose tragic life stems from marriage itself burdened with polygamy, bride price, son-preference, resulting from the cursed concept of patriarchal society and slave-like position in a traditional society. Meanwhile Ojebeta in The Slave Girl, who was sold for 8 pounds of ransom by her brother, spent 28 years as a slave at Ma Palagada’s; and although returns home free, she becomes once again a slave to her husband. It is because she considers Jacob, her husband, her ‘master’ and ‘new owner.’ Within Ojebeta the slave mentality has not been completely eradicated. She has experienced change, but not enough of it to make her absolutely free. That is what Emechta tries to point out in the novel. By paralleling Nigeria’s colonization by Britain with that of Ojebeata’s slavery both mentally as well as physically, Emecheta might have told Nigerian women’s ineluctable destiny using a slave-metaphor to dramatize women’s servitude through inhumane oppression.

      • KCI등재

        현대판 노예제(노예제, 노예 상태, 강요된 노동)에 관한 입법방안 연구 - 유럽인권협약 제4조의 해석과 판례를 중심으로 -

        심민석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원 2022 比較法硏究 Vol.22 No.3

        노예제가 실행되고 있는 나라는 현재 없다. 그러나 사람을 하나의 물건과 같이 소유권의 행사로 거래하고 노예처럼 다루는 행태는 현재 에도 나타나고 있다. 현대판 노예제에서 노예라고 불리는 형태는 일반 적으로 제도상의 노예는 아니지만, 소유권 일부로 사람을 취급하는 형 태를 말한다. 그리고 노예 상태는 소유권 일부로 다루어지지는 않지 만, 강압, 감금, 폭행, 협박, 기만을 사용하여 자유를 억압하고 심각한 노동착취를 행하는 행태를 말한다. 그리고 자유가 억압되지는 않았지 만, 임금을 전혀 받지 못하거나 거의 받지 못하고 강압으로 노동을 착 취당하는 경우를 강요된 노동이라고 한다. 즉 노예제, 노예 상태, 강 요된 노동의 개념은 강요된 노동이 가중되어 자유가 억압되고, 착취가 이루어지면 노예 상태가 되는 것이고 노예 상태에서 사람이 소유권 일 부로 다루어지고 자유와 착취가 더 심각하게 행해지면 노예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판 노예제는 노예제, 노예 상태, 그리고 강요된 노동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현대판 노예제의 형태는 우리 주위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 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입법이 미흡하고 대응 또한 부실하여 심각한 인권침해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빌라에서 추락한 청년 사건이 있 었고, 새로운 신안 염전 사건이 다시 언론에 보도된 적이 있으며, 과 로사로 사망하는 사건도 발생하고 있다. 이는 중대한 인권침해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입법과 대응 및 예방 정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 고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고 동 논문은 유럽인권협약 제4조 (노예제, 노예 상태, 강요된 노동)의 해석과 관련 판례들 분석하면서, 동 조항과 같은 규정을 헌법에 규정해야 할 필요성을 언급하였으며, 현대판 노예제와 관련한 영국의 현대판 노예방지법과 호주의 연방 형 법 및 현대판 노예방지법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면서 현대판 노예제에 관한 예방 대책, 처벌의 강화, 피해자 보호와 배상, 전담 기관 설치 등을 입법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re is currently no country where slavery is practiced. However, the practice of trading people as objects and treating them like slaves is still present. In modern slavery, the form called slavery is generally not institutional slavery, but a form of treatment of a person as part of the ownership. And servitude is not treated as part of ownership, but refers to the use of coercion, imprisonment, violence, intimidation, or deception to suppress liberty and commit serious exploitation. And if liberty is not repressed, but labor is exploited by coercion with little or no wages, it is called forced labour.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slavery, servitude, and forced labor is that when forced labor is aggravated, freedom is suppressed, and exploitation is achieved, it becomes a state of servitude. It will be. Thus, modern slavery is a concept encompassing slavery, servitude, and forced labour. This form of modern slavery is frequently occurring around us. However,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s are occurring due to insufficient legislation and poor response. Recently, there was a case of a young man who fell from a villa, and a new incident in the Shinan salt farm was reported in the media again, and there are cases of death from overwork. Although this is a serious human rights violation, legislation, response and prevention policies are not being actively implemented. This thesis analyzes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4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slavery, slavery, forced labor) and related precedents, mentioning the need to stipulate provisions such as the same in the Constitution, and discusses modern slavery and forced labor. It introduces the UK's Modern Slavery Act, Australia's Federal Criminal Act, and Modern Slavery Act in general, and proposes legislative measures to prevent modern slavery, strengthen punishment, protect and compensate victims, and establish an independent institution.

      • KCI등재

        에티엔 드 라보에시와 자발적 예속의 문제

        이기라(Lee Gira) 한국정치사상학회 2016 정치사상연구 Vol.22 No.1

        이 글은 르네상스시대 프랑스 인본주의자 에티엔드 라보에시의 정치사상을 소개하면서 그가 제시한 ‘자발적 예속론’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라보에시는 서양 정치사상사에서 가장 명쾌하고 번뜩이는 방식으로 자발적 복종의 문제를 제기했지만 한국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사상가이다. 그의 핵심적인 통찰은 모든 전제정치가 본질적으로 전반적인 대중적 동의에 기초한다고 생각한데에 있다. 그래서 그는 전제적 지배, 그리고 암묵적으로는 정당하지 않은 모든 지배형태들에 대한 자발적 복종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었다. 라보에시는 <자발적 예속론>에서 자발적 복종에 대한 두 가지 유형의 설명을 제시했다. 첫 번째 설명은 지배가 유지되는 메커니즘으로서 관습과 군주들의 술책이다. 두 번째 설명은 지배의 원천과 토대에 대한 것으로서 개인들의 탐욕, 그리고 그것에 기초한 ‘명령과 이익의 연쇄’가 핵심이다. 라보에시는 이렇게 지배와 복종의 이중적 성격, 즉 상황적 성격과 자발적 성격을 동시에 밝혀냈다. 이 논문은 라보에시가 제시한 두 가지 설명의 위상과 관계를 재해석하면서, 그의 통찰이 인간의 비합리성을 전제하는 ‘대중심리론’이나 이데올로기 조작과 피지배자들의 세뇌를 배타적으로 강조하는 ‘지배이데올로기 테제’로 환원될 수 없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introduce political ideas of Étienne de La Boétie, a French humanist during the Renaissance, and to define the attribute of ‘Voluntary Servitude’. La Boétie has addressed the issue of the voluntary servitude with the most lucid and the most brilliant way in the history of the western political thoughts, however he is one of the least known thinkers in Korea. His acute insight lies in his discernment that all forms of despotism are essentially based on consent of the public. That enables him to raise a question on the issue of the voluntary servitude towards despotic reign and implicitly, all forms of illegitimate domination. The first reason why La Boétie suggested the voluntary servitude is custom. Here, a totally different mechanism of subordination is added onto, and ‘the chain of command and profit’ is the key in the mechanism. This study aims at demonstrating that his insight cannot be reduced to ‘dominant ideology thesis’, which exclusively emphasises on the tactics of the rulers, presupposing irrationality of the human beings, or on ideological manipulation of the rulers and brainwash of the governed, while endeavoring to connect the two types of explanations, presented by La Boétie.

      • KCI등재

        고려 중기 官服에 투영된 차등적 위계구조와 賜服의 정치적 의미

        이정란(Lee, Jung-Ran)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9

        본 논문은 고려 중기에 설계된 공복제가 ‘구별짓기’의 단초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신료들의 자발적 복종을 유발하는 수단으로 운영되었음을 밝히려는 목적에서 서술되었다. 고려 왕조는 관료사회의 상하 위계구조를 가시화하는 수단으로 공복제를 적극활용하였다. 官階만으로 관료세계에서의 위계를 적확하게 반영할 수 없던 고려에서는 녹봉·전시의 액은 물론 의례상에서의 위차를 관직별로 세밀하게 반영한 班次를 고안했다. 나아가 이러한 班次가 복장에 가능한 한 구현되도록 공복상정식을 세밀하게 설계함으로써, 관료사회의 엄격한 차등구조가 가시화될 수 있도록 했다. 이처럼 세밀하게 설계된 차등적인 공복체제는 특유의 가시적 속성으로 인해 내면적 복종을 유발한다. 그런데 이러한 내면적 복종을 더욱 유발한 것이 임금의 賜服이었다. 사실 차등적인 공복체제가 엄격하게 작동되는 사회일수록 임금의 사복권은 신민들의 내면적 복종을 끌어내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었다. 왕권을 강화하려는 임금의 욕망, 복장을 통해 사회적 위상을 올리려는 개별 관료의 소망이 사복을 더욱 부추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복의 남용은 공고한 공복체제를 교란하여, 관료 간의 階序性이 유지되길 바라는 관료집단의 저항을 유발했다. 그 과정에서 진척된 것이 바로 제도성 사복의 세밀화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의종대 공복상정식은 사복으로 개별적인 친밀감을 쌓고 신민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려는 국왕과 관료사회의 위계화된 질서를 지키려는 관료집단 사이의 오랜 길항의 산물이었다. This article intends to demonstrate how the public service system functioned as an apparatus to invoke servicemens voluntary servitude. In this regard, it observes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code of official attire for public service (OAPS) launched at the mid-Goryo period. The royal government of Goryo actively utilized the OAPS system in order to reify the bureaucratic hierarchy. Since the codification itself could not properly officialize the bureaucratic hierarchy, the government not only institutionalized the stipends and fief for the bureaucrats but also devised a detailed ranking discrimination scheme. This scheme was ultimately embodied through the variability on the style of the attires so that strict ranking structure can be visually reflected on the OAPS system. The meticulously stratified OAPS inspired the servicemen of their intrinsic servitude toward the royal government and its epitome is the majestic bestowment of individual attire in person.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 bestowment played an efficient role in motivating the strong loyalty and servitude of servicemen within highly stratified bureaucratic society. The royal desire to reinforce its authority and servicemens endeavor to make themselves distinct within the hierarchy by unique attires were converged and triggered frequent bestowments. Too frequent bestowments, however, impinged on the OAPS and seriously disordered the settled social stratification by instigating the resistance of the official bureaucrats, the proponents of the existing class hierarchy. This conflicting progress finally created the very detailed institutionalization of bestowment; and can be exemplified by the royal ceremony of bestowment during the King Ui-Jong period which was an ultimate output of rivalry between the two parts: 1) the royal part who wanted to execute an intimate authority upon servicemen and people and 2) the official bureaucratic part who wanted to discriminate themselves and to solidify what they attained by maintaining the settled hierarchic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