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사위원 선임방식이 감사위원회 구성에 미친 영향

        두서영,윤성수 한국공인회계사회 202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4 No.3

        The 2020 amendment of the Commercial Act stipulates that a company should appoint at least one member of an audit committee separately from other directors (Article 542-12 (2)). In order to limit the influence of large shareholders in the appointment of audit committee members, voting rights are restricted for shares exceeding 3% of the total number of issued shares with voting rights. Before the 2020 amendment of the Commercial Act, firms appointed audit committee members through a combined election which appoints directors first and then appoints audit committee members from among directors appointed in the previous stage. In a separate election, audit committee members are appointed separately from directors who are not audit committee member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is whether the restriction on the voting rights of large shareholders is actually applied in the appointment process of audit committee membe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separate elections of audit committee members on the composition of the audit committee. Specifically, we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candidates for audit committee members whose appointment agenda is proposed according to two methods of elections, namely, combined and separate elections. We also analyze how much the voting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are restricted according to the Commercial Act when voting on the appointment agenda of audit committee members, and compare whether the effect of voting rights restric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two election methods using the approval rate of the agenda. For our empirical test, we use listed firms that disclose corporate governance reports and vote on the agenda for the appointment of audit committee members from 2019 to 2021.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candidates for separate elections, the ratio of newly appointed candidates is high and the ratio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 (CPA) or those with a master’s degree or higher in accounting or finance is high. This suggests that companies tend to select candidates with relatively high independence and financial expertise as candidates for separate elections. Second, on average, 41% of the voting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are restricted when voting on the appointment agenda of audit committee members, which indicates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major shareholders’ holdings is unable to exercise their voting rights.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agreement rate is over 90% and the approval rate reaches 98%, the voting rights restriction does not seem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whether the appointment agenda is passed. Third, in firms with a high voting rights restriction rate, the agreement rate for candidates for separate elections is rather high.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selecting candidates with relatively high independence and financial expertise as candidates for separate elections. In firms with a high voting rights restriction rate, there is also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agreement rate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combined election. This suggests that if there is a big difference of opinion between major shareholders and minority shareholders about candidates for audit committee members, the combined election can be used to select candidates preferred by major shareholders.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evidence on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mandatory separate election of audit committee members. In addition, it presents evidence on whether the effect of voting rights restrictions differs across election methods. Our result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debates on the ways audit committee members are appointed. 본 연구는 2020년 12월 29일 상법 개정에 따른 감사위원 1인의 분리선임 의무화가 기업의 감사위원회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감사위원 선임을 위한 두 가지 방식인 일괄선임과 분리선임 방식에 따라 선임 안건이 상정된 감사위원 후보자의 특성을 비교한다. 또한, 감사위원 선임 안건 결의 시 상법에 따른 대주주의 의결권 제한 효과를 분석하고, 의결권 제한의 실질적 효과가 선임방식에 따라 차별적인지를 안건 찬성률을 기준으로 비교한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기업지배구조 보고서를 공시한 기업 중 감사위원 선임 안건을 결의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선임 후보자는 신규선임 비율이 높고 회계사 및회계・재무분야 학위 보유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독립성과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자를 분리선임 후보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상법에 따른 의결권 제한율은 평균 41%로 대주주 지분의 상당수가 의결권이 제한되나, 선임방식과 무관하게 안건 찬성률은 90%를 상회하고 가결률은 98%에 달했다. 의결권 제한율이 큰 경우 분리선임 안건의 찬성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의결권 제한율이 큰 기업이 독립성과 전문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후보를 분리선임 후보로 선택한 결과로 보인다. 한편, 의결권 제한율이 큰 경우 일괄선임의 단계별 찬성률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감사위원 후보자에 대한 대주주와 소수주주 간 의견 차이가 큰 경우 대주주가 선호하는 후보자를 선임하기 위해 일괄선임방식을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감사위원 분리선임 의무화의 적용 현황에 대한 예비적 증거를 제시하고, 상법에 따른 대주주의 의결권 제한의 정도 및 선임방식별 실질적 효과에 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함으로써 감사위원선임방식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선거관리위원회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헌법적 고찰

        홍석한 한국공법학회 2014 공법연구 Vol.42 No.3

        Election Commission of Korea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through the expansion of power to clamp down on the Official Election Act viol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a fact that the controversy about fairness of election management has been increased and this phenomenon can be seen as the natural result from comprehensive and indefinite regulation-centered Official Election Act. It is also a fundamental cause of this phenomenon that the power of the Election Commission has been expanded without constitutional discussion. In this respect, now we should decide the desirable status and role of the Election Commission from the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and specifically institutionalize it's competence. Depending on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finds out the right direction of the Election Commission and related legal systems, based on the analysis about the meaning of election management and the implications of the Election Commission's constitutional status. First, considering the constitutional function of election management and the structural features and provisions of Korean Constitution, we do not necessarily need to limit the Election Commission's role to passive administrative management model. Especially, focusing on the political reality and election-related legislations that can not satisfy the people's aspirations for democracy as well as the intent of the Constitution that is granting the status of an independent constitutional agency to Election Commission, election management should be recognized as a new power unanticipated in the classic separation of powers and the Election Commission should be granted an active role for political development. As a result, it can be decided that active political development model is suitable for the politically neutral agency, the Election Commission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 The Election Commission can contribute to political development in various ways, but it is required to check lawmakers for a revolution in regulation-centered Election Act prior to strict enforcement. Along with this, we ne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strengthen the Election Commission's independence and prevent it's abuse of power. 선거관리위원회는 단속기능을 강화하는 권한의 확대와 함께 불법행위 근절을 위한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민주주의의 발전에 기여해왔다. 하지만 포괄적이고 불명확한 규제중심의 선거법 하에서 단속위주의 적극적 활동은 선거관리의 공정성과 관련된 논란을 확대시킬 수밖에 없다. 또한 그동안 선거관리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가 헌법적 토대를 갖추지 못한 채 진행되어 온 측면도 있는바, 이에 선거관리위원회의 바람직한 위상과 역할을 설정하고 그 구체적인 제도화를 위한 틀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선거관리의 헌법적 의의와 함께 헌법상 선거관리위원회의 지위 및 그 취지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선거관리위원회가 나아가야할 방향과 이에 수반되어야 할 제도개선의 내용을 고찰하고 있다. 선거관리의 헌법적 기능과 헌법의 구조적 특성을 염두에 둘 때 선거관리는 국가기능으로서의 독자성이 없다거나 소극적인 행정관리에 한정된다고 해야 할 필연성은 도출되지 않는다. 즉, 선거관리를 고전적인 권력분립이 예상하지 못한 새로운 권력작용으로서 정치발전적 행정작용으로, 선거관리위원회를 기능적 권력통제를 실현하는 기관으로 이해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선거관리위원회의 역할로서 어떠한 유형의 선거관리를 선택할 것인지는 정책적 판단의 문제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선거관리위원회에 부여된 헌법적 지위, 민주주의의 성숙 앞에 가로놓인 우리의 정치적 현실이나 선거법제의 현황, 선거영역에서 입법권 남용의 위험성과 헌법재판소에 의한 통제의 한계 등을 고려할 때 오히려 선거관리위원회의 위상을 높게 설정하고 정치발전적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선거관리위원회의 독립성 확보와 선거관리위원회에 대한 통제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정치발전형 선거관리의 구체적인 내용 가운데 특히, 규제중심의 선거법체제를 변혁하기 위한 입법자 견제를 선거관리위원회의 우선적 역할로 보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선거관리위원회의 위상과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독립성 확보 및 민주적인 통제를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개정 상법상의 감사위원 분리선임 제도 도입의 의미와 과제

        정병덕 한국경영법률학회 2021 經營法律 Vol.31 No.2

        An amendment to the Commercial Act, including the separate election of audit committee members, was resolved at the National Assembly in December 2020. The amendment to the Commercial Act is mainly about the separate election of audit committee members and the introduction of a multiple representative litigation system. The separate appointment of audit committee members and the multiple representative lawsuit were included in the amendment to the Commercial Act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as one of the President Park administration's economic democratization policies in 2013. At the time,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Commercial Act, which had been announced as the legislation at the time, had five themes, including the separate election of audit members, the mandatory cumulative voting system, the mandatory electronic voting, the intro- duction of multiple representative lawsuits, and the mandatory executive officer system, but could not be linked to the legislation. The separate election system for audit committee members was debated for and against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from the standpoint of legal and corporate reality, but the legislation was made in a state where a complete agreement was not reached. Conscious of the opposition from the business community, the contents of this revised law were considerably relaxed compared to the draft. The important content of the revised law is that the company must elect one of the audit committee members separately from the appointment of other directors, and that the 3% restriction on voting rights of the commercial law is applied to the audit members who are separately elected. Compared to the draft revised law, all audit committee members were elected separately, and in the case of the largest shareholder, the voting rights would be limited to 3% by summing the stocks held by specially related persons. Essentially, in the case of appointing directors, it is an infringement of shareholder rights to limit the voting rights of shareholders, and the claim that it is against the principle of shareholder equality is legally justified. However, Korean companies have so-called ownership risk issues in common. In other words, it is the largest shareholder and has a hierarchical governance structure centered on the CEO. In addition, it is taken for granted to take over the management rights of the company with respect to the family, and for this purpose, unreasonable attempts close to various illegal acts are being made. In management by the largest shareholder, the problem of private benefits in which the controlling shareholder can sacrifice the interests of other shareholders or affiliates for his or her own interests or for the interests of the company he owns is more emphasized than the agent problem under US corporate law. In this regard, the separate election of the audit committee members, which limits the shareholder rights of the largest shareholder, is reasonably and justifiable, and it can be evaluated as an attempt to bring about small changes to the existing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감사위원 분리선임 등을 내용으로 하는 상법 개정안이 2020년 12월 국회를 통과하여, 공포 후 즉시 시행되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감사위원 분리선임과 다중대표소송 제도의 도입을 주된 내용으로 있다. 감사위원 분리선임과 다중대표소송은 2013년 박근혜정부의 경제민주화 정책의 하나로써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상법 개정안에 포함되어 있었던 내용이다. 당시 입법 예고된 상법 개정안은 감사위원의 분리선임, 집중투표제 의무화, 전자투표의 의무화, 다중대표소송의 도입 및 집행임원제도의 의무화 등 5가지의 주제를 핵심내용으로 하고 있었지만 입법으로 연결되지 못하였다. 감사위원 분리선임 제도는 그동안 많은 기회를 통해 법리적인 측면과 경영현실의 관점에서 제도 도입에 대한 찬반 논의가 진행되었지만 완전한 합의를 이루지 못한 상태에서 입법이 되었고, 재계의 반대를 의식해서 이번 개정법은 초안에 비해 내용이 상당히 완화되었다. 개정법의 핵심적인 내용은 회사는 감사위원회의 감사위원 중 1인을 다른 이사의 선임과 분리하여 선출하여야 하는 점과 분리선임하는 감사위원에 대해서는 상법의 3% 의결권 제한 규정을 적용한다는 점이다. 개정법 초안이 감사위원 전원을 분리선임하고, 최대주주의 경우에는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주식을 합산하여 3%로 의결권을 제한하겠다는 것에 비해 완화된 내용이다. 본질적으로 이사를 선임하는 경우에 주주의 의결권을 제한하는 것은 주주권의 침해이며, 주주평등의 원칙에 반한다는 주장은 법리적으로 정당하다. 그렇지만 우리 기업들은 이른바 오너리스크의 문제를 공통적으로 안고 있다. 즉 최대주주이며 최고경영자를 중심으로 위계적인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가족에 대하여 기업의 경영권을 승계시키는 것이 당연시 되고, 이를 위해 여러 탈법행위에 가까운 무리한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최대주주에 의한 경영은 미국 회사법상의 대리인 문제보다는 지배주주가 자신의 이익이나 자신이 직접 소유하는 회사의 이익을 위하여 다른 주주나 계열사의 이익을 희생시킬 수 있는 사익편취의 문제가 보다 부각된다. 이런 점에서 최대주주의 주주권을 제한하는 내용의 감사위원 분리선임은 충분히 합리적이고 정당한 근거가 있으며, 이번 개정법이 기존의 기업지배구조에 작은 변화를 가져올 시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민주주의 원리의 관점에서 본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와 당선무효조항 - 대법원 2020. 7. 16. 선고 2019도13328 전원합의체 판결 -

        김선화(Kim, Seonwha)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3

        이 글에서는 1차적으로 대상판결이 허위사실공표죄의 구성요건을 목적론적으로 축소해석하는 것을 ‘공표의 의미에 대한 제한적 해석’, ‘맥락을 고려한 허위성 판단’, ‘사실과 의견의 구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대상판결의 해석은 선거의 공정성이 자유로운 선거를 통해 국민의 의사가 선거결과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의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인정하는 토대 위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간 선거의 공정성에 더 무게중심을 두던 헌법재판소 결정과 대법원 판결로부터의 패러다임 전환을 보여준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동시에 대상판결이 설시하고 있는 해석방식이 향후 허위사실공표죄의 구성요건 해석에 관한 선명하고 명확한 판단지침이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있다. 대상판결이 허위사실공표죄의 구성요건을 해석하는 방식은 어휘를 사전적, 일상적 의미보다 좁게 해석하거나 사실의 공표가 이루어진 전후 맥락과 상황을 고려하여 공표사실의 허위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구성요건 판단이 구체적 사안마다 개별화될 가능성이 높다. 선거범죄의 유·무죄 여부를 직접 판단해야 하는 법관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해석론이 판단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2차적으로 위와 같은 대상판결의 해석론이 현행 공직선거법 체계의 한계로부터 도출된 것이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규제중심의 공직선거법 체계에 대한 반성적 고려’, ‘선거쟁송의 성격을 띤 선거범죄에 대한 형사재판’, ‘당선무효조항과 양형의 왜곡현상’이 대상판결의 해석론을 끌어낸 외인적 요소라는 점을 분석하였다. 선거범죄에 대한 형사재판 결과에 당선무효의 선거법적 효과를 결부시키고, 그 기준도 벌금 100만 원으로 설정한 현행 법체계에서는 선거범죄 재판을 담당하는 재판부가 당선무효라는 형벌외적 효과를 고려하며 양형을 할 수밖에 없는데, 그럼에도 양형기준은 원칙적으로 당선무효형에 해당하는 형을 선고하도록 권고하는 딜레마적 상황이 초래되고 있다. 주요 선거사건을 배당받은 재판부는 법원의 사실인정과 양형판단에 선거결과 유지여부가 달려 있기 때문에 심리에 상당한 부담을 가지게 된다. 독립된 선거심판기관이 아닌 형사재판 결과로 당선무효 여부를 결정하는 입법례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기준을 100만 원 이상의 벌금이라는 낮은 수준의 양적인 기준으로 하는 사례는 우리 공직선거법 이외에는 없다. 요컨대, 허위사실공표죄를 비롯한 선거범죄에 대한 재판과 선출직 유지여부를 결부시킨 현재 시스템은 사법작용의 본질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와 권력분립의 원리와도 부합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비교법적 검토를 바탕으로 현행 공직선거법의 당선무효조항을 폐기하고, 선거질서에 대한 중대한 교란을 구성하는 특정 유형의 공직선거법 위반범죄를 한정하여 당해 범죄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을 경우, 의무적으로 재(신임)선거를 실시하는 방향의 제도개선을 제안하였다. 선거범죄의 성립과 처벌에 대한 판단과 그로 인하여 당선직을 상실하게 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의 주체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정치적 분쟁을 피하고 민주주의 원리를 좀 더 충실하게 구현하기 위해 국회에 직 상실 여부의 판단을 맡기는 것보다는 유권자의 직접적인 의사를 재선거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간명하고 정확한 해결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제도개선을 통해 선거범죄에 대한 재판이 권력분립 원리에 반하지 않으면서도 사법부에 의한 최소한의 견제장치로서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article, I first tried to analyze how the subject case developed restrictive interpretation about false publicity crime in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The subject case restricted the meaning of publication, considered the context when judging falsehood and distinguished fact from opinion. The conclusion of the subject case seems to be based on recognizing the supremacy of free election over fair election, and shows the paradigm shift from prior supreme court decisions. Nevertheless, there still remains some questions whether the interpretation displayed in the subject case can be clear and obvious instruction for false publicity crime. The subject case interpreted the corpus delicti narrowly compared to ordinary meaning, and judged the falsehood of publication depending on the context and situation. According to this logic, the meaning of a word fluctuates, and judgment of false publicity crime can become different case by cases. Therefore, this article analyz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 case is derived by the limitation of present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system. That is to say, our electoral act system has a high level of regulation, criminal trial regarding election crime has the characteristic of election dispute, and criminal sentencing is distorted due to invalidation of the election. The interpretation seems to derive from reflective consideration of our election act system. As whether the result of the election will be invalidated depends on the sentencing of criminal trial, the trial bench cannot ignore the invalidating effect of the sentencing. However, according to the sentencing guideline, it is recommended to sentence more than 1 million won fine in election crimes, which is creating a difficult dilemma. It is hard to find a jurisdiction where the invalidation of election is decided by the result of criminal trial, not by the decision of independent organization. Moreover,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n Korea seems to be the only case which displays arbitrary criteria of invalidation such as 1 million won of fine. In short, the present system which associates the election crime trial with the result of election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essence of judicial judgment and seems to be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power separation. At the end of this article, I suggested that election invalidation rule should be abandoned by comparative analysis. It will be better to select out particular types of election crime which causes serious harm to the whole election order, and when public official is prosecuted and turns out to be guilty of those crimes, obligatory vote of confidence should be executed. It is desirable to separate the subject who makes judgment regarding election trial from the subject who makes a decision about invalidation of the election. Checking the voter’s will through vote of confidence can be the most democratic and clear solution. By this improvement, election crime trial can function as a good tool for checks and balances from judicial branch.

      • KCI등재

        북한의 국가형성과 조선최고인민회의 선거

        전현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4

        남한에서 단독 선거가 실시되어 국회가 조직되자 북한의 국가형성 과정도 북한만의 반국적인 차원을 넘어 남북한의 모든 정치세력을 망라해서 전국적 의미를 갖는 좌파 중앙 정부를 수립하는 것으로 그 성격이 급격히 변모했다. 좌파 중앙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조선최고인민회의 선거가 실시되었다. 북한에서는 직접선거로 대의원 선거가 실시되고, 남한에서는 먼저 남조선인민대표자대회를 선거하고 여기서 다시 대의원을 선거하는 간접선거가 실시되었다. 조선최고인민회의를 구성할 때 남한의 정치세력, 특히 중간파, 우파, 무소속 정파를 끌어들이기 위해 상당한 배려가 이루어졌다. 조선최고인민회의 선거는 참여 세력의 범위에서 남한의 단독 선거에 비해 현저히 넓은 정치적 지지기반을 확보했다. 1948년 조선최고인민회의 선거를 거치면서 소비에트 선거제도가 북한 사회에 완전히 정착했다. 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이 정당ㆍ사회단체와 협의해서 선거구마다 하나의 후보자를 추천하고, 선거자들이 이 후보자에 대해 찬반투표를 실시하는 선거 방식은 선거자들의 다양한 선택의 가능성을 차단했다. As South Korea conducted a separate election and organized a congress, North Korea’s state formation process also adopted a new focus on establishing a leftist central government comprising all the political forces of both Koreas; the government would transform its solely North Korean seminational dimension into a truly national character.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the leftist central government, the election of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of Korea took place. North Korea allowed citizens to directly elect representatives, whereas South Korean citizens first elected the Congress of the People’s Representatives of South Korea, which subsequently elected representatives. In constituting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of Korea, there was a considerable effort to include South Korean political forces, especially moderate, rightist, and independent factions. In the range of its participating forces,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of Korea election secured a markedly more extensive political support base than did South Korea’s separate election. Through the 1948 election of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of Korea, the Soviet electoral system took firm root in North Korean society. The Democratic United Front consulted with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organizations to recommend a single candidate for each electoral district, and voters cast a yea or nay vote on the candidate; this method precluded the voters from making varied choices.

      • KCI등재

        2009년 1월 상법 개정에 의하여 감사위원인 사외이사선임방법과 소수주주권 보호는 개선되었는가?-KT&G 사건을 계기로-

        김태진 한국증권법학회 2010 증권법연구 Vol.11 No.3

        After recent financial crisis, Korea has adopted aspects of the US corporate governance system. The audit committee, which was introduced into Korean law raised controversial issues in interpreting the Korean Commercial Code ("KCC"). This paper reviews the problem which keeps recurring despite reform of the KCC.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the election procedures of an outside (independent) director to be a member of an audit committee and, re-examines the KT&G case (KT&G is one of the top listed companies in Korea), as a leading case. The KCC requires that listed companies have an audit committee comprised of three or more directors and that the outside directors shall exceed 2/3 of total members in the audit committee. However, the KCC allows not the board but the shareholders’meeting to appoint and remove the audit committee members in the case of listed companies, unlike other countries. In the KT&G case, the court had ordered a preliminary injunction prohibiting a resolution by shareholders to elect outside directors doubling as a member of the audit committee by motion of foreign investors including Steel Partners. The KT&G court opined that the board has the authority to select how it would go about electing the board members and audit committee members. In sum, the KT&G court held that it was legitimate for the management of KT&G to choose between 2 methods of election: 1) separate elections of board, then the audit committee or 2) combined/concurrent election of board members and members of the audit committee in one election. However, after the amendment to the KCC in January, 2009, the KCC provides for only one method to elect board members (1st instance above). Under the current KCC, the only possible method for election to the audit committee is that board members will first be chosen en bloc regardless of audit committee matters, and then, as a second-tier selection process, among the elected outside directors, the members of audit committee which comprised of three directors at least, will be elected.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forgoing amendment may be deemed advantageous for existing management or the largest shareholder(s) or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by ignoring minority shareholder's interest. The KCC also has the 3% voting limit rule protecting minority shareholder’s interest against abuse of any controlling shareholders that any shareholder who holds more than 3% of the total issued and outstanding shares (excluding non-voting shares), may not exercise his/her vote in respect to such excess shares beyond the above limit, in relation to selecting a member of an audit committee or an auditor. The 3% voting limit rule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separate elections of board and audit committee members. Once the whole board members were elected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majority shareholders, the 3% voting limit rule, which will be applied to the election of audit committee members, does not represent much in the next election. In this regard, both methods should have been preserved in the 1999 amendment. This paper also reviews another problem with the KCC's recent reform in January, 2009 regarding the priority of conflicting provisions. This is related to the conflict issue between protection of minority shareholders’ rights and prohibition against abuse of them. According to subsection (2) in the Article 542-2 of Section 13 (Special cases for Listed Companies) of the KCC, this section shall be applied with priority over other sections of this Chapter (Chapter IV is about The Stock Company). This section has raised a key issue over how to construe "applicable with priority over other sections of this Chapter". A lower court held that this section should supersede any other sections regarding the Stock Company regulations insofar as the requirement for minority shareholder's action, after the amendment to the KCC. This holding stands in contrast to the Korea Supreme Court's dec... 미국식 지배구조를 참고하여 도입한 감사위원회제도로 인하여 많은 해석상 논란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사외이사 선임에 관한 대표적인 사건인, 스틸파트너스 등 외국계 자본의 주식회사 KT&G에 대한 주주총회결의금지가처분 사건 이후 2009년 1월 30일 상법을 개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감사위원회의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의 선임 방식에 관하여는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여전히 남아 있다. 위 KT&G 사건에서 법원은 분리선출 방식 역시 위법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그 후 상법 개정을 통하여 현행 법률은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시에는 먼저 사외이사로서 일괄선출한 다음 그 중에서 감사위원을 선임하는 방식(일괄선출 방식)으로 통일시켰다. 그러나 위와 같은 법률 개정은 소수주주의 이익을 외면한 채 기존 경영진 내지는 최대주주 또는 지배주주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개정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감사위원회의 감사위원 선임시의 대주주의 3% 의결권 제한 법리를 존중한다면, 오히려 KT&G 사건에서 법원이 허용하였던, 법 개정전 실무에서 병행해 오던 분리선출 방식이 일반 소수주주들에게는 더 유리한 제도라고 본다. 또한 일괄선출 방식에 의하면 결의정족수의 미달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잠재되어 있다. 따라서 적어도 분리선출 방식을 유지시켜서 소수주주들의 의견이 감사위원인 사외이사 선임에 반영될 수 있는 길을 남겨 두었어야 한다고 본다. 한편, 현행 상법하에서의 상장회사 특례조항에서 정한 소수주주권과 나머지 조항에서 정한 일반적인 소수주주권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가 위 상법 개정 이후 오히려 더 문제되고 있다. 상법 제524조의2 제2항에서 “이 절은 이 장 다른 절에 우선하여 적용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다른 절(즉, 상법 제3편 중 제4장 주식회사 중 제13절을 제외한 나머지 절)에 우선하여 적용한다는 의미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가 그 문제의 핵심이다. 더구나 최근 하급심에서는 특례조항만이 우선하여 적용된다는 입장을 취한 것이 나와서 논란이 되고 있는데, 위 하급심의 결정은 기존의 대법원 판례와 이를 통해 어느 정도 확립된 실무의 입장과는 배치되는 것이며, 상법 제542조의2 제2항의 의미는 주주가 일반규정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도 상장회사의 특례(제542조의2 이하)가 정하는 요건만 충족하면 법률효과가 발생한다는 취지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금융회사 지배구조 규제의 해석상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 구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김지평 ( Ji-pyoung Kim ) 한국금융법학회 2019 金融法硏究 Vol.16 No.3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지배구조는 해당 회사의 형태에 따른 상법 등 회사 관계 법령과 개별 금융업에 적용되는 금융관련 규제 법령 이외에도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이하“금융사지배구조법”)의 적용을 받는다. 그러므로 금융회사 지배구조의 설정 및 운용에 있어서 위 세 가지 법령을 모두 고려하여야 하고, 때로는 위 세 가지 법령에 내용상의 충돌이 있거나 그 법령 규정 자체로 불명확하거나 불합리한 부분들이 있어서 법령 해석 및 실무에의 적용에 있어서 문제점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과 관련하여 임원 및 사외이사 결격사유 규정의 적용 범위, 이사 및 감사위원 선출방식의 구체적인 결정, 선임사외이사 및 사외이사 회의 제도의 운영, 이사회 내 위원회의 결정사항에 대한 이사회의 권한 범위 및 이사회 권한의 이사회 내 위원회 혹은 대표이사에의 위임 가능 여부 등의 쟁점들에 대해서 위와 같은 해석 및 실무 운용상의 문제점이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금융회사의 건전한 경영과 금융시장의 안정성, 금융소비자 보호라는 금융회사 특유의 지배구조 규제의 필요성을 감안하되, 이러한 예외적인 필요성이 없는 한 상법 등에서 규정하는 일반적인 회사 지배구조의 원칙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에서 해석 또는 입법을 통한 개선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사외이사의 선임과 관련하여 주된 자문계약 체결 관련 결격사유에 있어서 금융회사 및 자문사 입장에서 해당 자문계약의 비중 등을 고려하여 입법적으로 구체적인 판단 기준을 규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회사 임원 겸직에 따른 사외이사 결격사유 규정과 관련하여 외국회사 이사의 경우 상장회사와 100% 지분관계로 구성된 그 자회사 내지 손자회사의 사외이사를 겸직하고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회사에 재직하는 것으로 보는 등 겸직의 실질을 고려한 예외사유 등을 규정하여 전문성과 국제적 경험 및 감각을 갖춘 후보자를 사외이사로 선임하는 데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감사위원의 선출과 관련하여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1명 이상에 대해서는 분리선출을 하도록 하여 구체적인 분리선출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아서 분리선출의 범위를 회사 이사회에서 기본적으로 선택 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재의 입법 형식은 자신의 선임 방식을 자신이 결정하는 셈이 되어서 이해충돌의 여지가 있다는 논란의 소지가 있으므로 그 범위를 명확하게 하는 방향으로 입법론적 개선이 필요하다. 금융사 지배구조법에서 도입된 선임사외이사 및 사외이사 회의 제도와 관련해서도 위 기관이 회사 의사결정과 관련하여 가지는 기능과 권한을 입법론적으로 명확히 하고, 그 소집시기 및 안건 등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판례 혹은 행정부의 지침 등의 형태로 경영진과 주주 간의 이해충돌이 우려되는 사안에 대해서는 사외이사만으로 구성된 독립적인 위원회를 통하여 의사결정의 독립성과 공정성을 담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방식의 접근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 In Korea, the corporate governance of a financial company is regulated by corporate laws and including the Korean Commercial Code, depending on the form of company, and financial laws and regulations applied to each individual financial business as well as the Act on Corporate Governance of Financial Compani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t”). Therefore, when establishing and managing the corporate governance of a financial company, it is required to consider all of the above three (3) laws and regulations. Sometimes, however, problems may arise in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in practice of the said laws and regulations due to conflicts among them or ambiguity thereof. Particularly, such problems are most likely to occur regarding the composition and management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audit committee, such as scope of application of regulation on disqualification of executive officers and outside directors, specific determination on how to elect directors and audit committee members, operation of a lead outside director and outside directors’ meetings, scope of the board of directors’ authorities regarding decisions made by the committees within the board of directors and whether the board of directors’ authorities are to be delegated to any of its committees or the representative director. In connection with the foregoing, basically, while taking into account of the specific necessity of regulation on the corporate governance of a financial company to secure sound operation of financial companies, stability of financial market and protection of financial consumers, it is required to consider measures for improvement of the corporate governance of a financial company by the means of interpretation or legislation in a manner to maintain the general principles of corporate governance under the Korean Commercial Code, etc. More specifically, it is vital to specify the detailed criteria for disqualification in relation to election of outside directors related with the consulting agreement with the financial compan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uch a consulting agre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nancial company and the advisory firm. In addition, as for disqualification of outside directors on the grounds that they are holding positions of directors in two or more other companies simultaneously, providing exceptions considering the very essence of concurrent positions―for example, if a director of an overseas listed company holds another position as a director of the said listed company’s 100% subsidiary or grandson entity, he/she is considered as working for a single company, instead of two different companies, is reasonable in order to prevent any potential obstacles to elect well-qualified foreign persons with expertise,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global mindset as outside directors. Regarding the election of audit committee members, the Act stipulates that every financial company shall elect at least one outside director as audit committee member separately, apart from other directors. However, the Act does not clearly define the scope of the separate election, which allows the board of directors decides how to elect themselves, resulting in potential controversy over conflict of interests. Thus, it is advisable to make legislative improvements to specifically set forth the scope of the separate election. With reference to the lead outside director and outside directors’ meetings introduced in the Act, it is also necessary to legislatively clarify the functions and authorities thereof related with the corporate decision-making and provide more details on timing of convocation and agenda of the meetings. In particular, it would be helpful to refer to an approach taken b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the means of court precedents or administrative orders where the decision making through the independent committee comprising outside directors in connection with issues which might involve a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the management and shareholders is performed in order to guarantee the independence and fairness of corporate decision making.

      • KCI등재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헌법합치적 해석과 적용: 수원고등법원 2019. 9. 6. 선고, 2019노119 판결과 관련하여

        송기춘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20 민주법학 Vol.0 No.73

        The false publicity of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s a crime that is established when a person discloses false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electing or losing a candidate in an official election. It aims to secure the fairness of the election. However, this crime should be determined after considering comprehensively whether the facts are false or not. Usually the fact has an element of opinion, so there is a possibility of debate even about the fac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official election, which is a democratic political process, it is express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political struggle is strengthened to the highest. In the case of broadcast discussions, the opportunity for counter-argument or clarification is immediately given in the presence of the other party, so unlike the distribution of speeches or handouts, limiting the application of false publicity can contribute to ensuring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defendant is in the absence of sufficient time for answer in the discussion forum led by the other party, the defendant's statement in the debate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 publicity of false information, because there is a chance for further explanation in the future, and that the voters must have the confidence to have the political ability and to collect a lot of data and make the right evaluation. ‘Purpose to be elected’ is an excessive subjective illegal element that is specifically recognized by the law. If the subjective illegal element is acknowledged with only unintended purposes, it can be regarded as a false interpretation of the article because it is ignoring the purpose specified in the act. The interpretation of the supreme court is a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such as the separation of powers and the rule of law. The courts need to be very cautious in judging and engaging in democratic political processes in that their democratic legitimacy is weak compared to the legislative or executive. In particular, there is a charge of false elitism in that the ruling is based on distrust of the electors, and the attitude of judicial activism based on this may counteract democracy.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false publicity, the concept of false facts regarding candidates ‘behavior’ is so broa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which may violate the principle of cla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very cautious about applying false publicity to candidate’s behavior. The Supreme Court must overrule the ruling. The accused is innocent.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는 선거에서 후보자의 당선 또는 낙선을 목적으로 허위의 사실을 공표할 때 성립하는 범죄이며, 선거의 공정을 확보할 목적을 가진다. 그러나 이 범죄는 객관적 사실과 다른 허위의 사실을 당선 목적으로 공표하면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 공표의 시기와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허위의 사실인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사실이라는 것도 일정하게 의견의 요소를 함께 가지기 마련이므로 그에 대한 반론과 토론의 가능성이 있고, 특히 민주주의적 정치과정인 선거의 경우 정치적 투쟁이 최고도로 강화되는 상황에서 표현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보다 강한 자유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방송토론의 경우 상대방의 면전에서 즉시 반론이나 해명의 기회가 부여되므로 연설이나 유인물의 배포의 경우와 달리 허위사실공표죄의 적용을 제한하는 것이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토론회자리에서, 상대방이 주도하는 토론 형식이어서 답변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이 없던 상태에서 단적인 표현을 한 것을 두고 그 자체만으로 허위의 사실을 공표한 것으로 보지 말고, 논의의 전체 맥락, 토론의 형식과 내용, 추후 추가적인 논의의 기회가 있는지 여부, 유권자가 정치적 능력을 가지며 스스로 많은 자료를 수집하여 올바른 평가를 할 기회가 있다는 신뢰를 확보하여야 한다는 점 등에서 피고인의 토론회 진술은 허위의 사실을 공표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당선될 목적’은 법률이 특별히 인정하는 초과주관적 위법요소이므로 고의 이외에 요구되는 취지를 고려하면 미필적인 것으로는 부족한다. 미필적인 목적만으로 초과주관적 위법요소를 인정하면 굳이 목적범으로 규정한 취지를 무시하는 것이어서 법원에 의한 입법이라고 평가될 수 있다. 이것은 권력분립주의 위반이고, 법치주의에 반하며 죄형법정주의에도 위반된다. 법원은 민주적 절차에 의하여 구성되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입법부나 집행부에 비하여 그 정당성이 약하다는 점에서 민주적 정치과정에 개입하여 판단하는 데는 매우 신중할 필요가 있다. 특히, 원심판결은 선거인의 정치적 능력에 대한 불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릇된 엘리트주의의 혐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사법적극주의의 태도는 민주주의에 역행할 수 있다. 허위사실공표죄의 구성요건 가운데 ‘후보자의 행위’에 관한 허위사실의 개념이 지나치게 광범위하여 기본권침해의 우려가 있으므로 죄형법정주의의 명확성 원칙에 위배될 수 있다. 따라서 ‘후보자의 행위’에 대해 허위사실공표죄를 적용하는 데는 매우 신중하여야 한다. 원심판결은 공직선거법 제250조를 위헌적으로 해석하거나 법률의 취지를 오해하여 적용하였다. 대법원은 원심판결을 파기하여야 한다. 피고인은 무죄이다.

      • KCI등재

        미군정기 한민당 전남도당의 조직과 활동

        임선화 호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해방 이후 결성되었던 한민당 전남도당에 관한 연구이다. 전남도당은 1945년 10월 미군의 광주진주와 더불어 조직되었고, 도군정에 적극 협력하였다. 전남도당이 조직적으로 확대된 계기는 탁치정국에서 반탁운동을 전개하면서부터였다. 학생단체 청년단체를 지원하여 격렬한 반탁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부·군단위까지 조직을 확장시켰다. 1947년 한민당은 읍·면단위까지 조직을 확장시켰으며, 이러한 힘을 바탕으로 1947년 후반기부터 본격적인 단독정부 수립 운동을 이끌었다. 이러한 한민당의 파급력은 여러 우익단체들 특히 청년단체를 앞세워 남로당 등을 무력으로 압도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한민당 전남도당에 관계하였던 이들은 미군정의 관리로 재직하기도 하였다. 또한 한민당 전남도당 간부들 가운데 우익 청년단체의 지도자들도 다수 눈에 띈다. 한민당 전남도당의 가장 큰 역할은 탁치정국 이후 우익 세력이 지방에 침투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하였고, 또한 행동대 역할을 한 학생·청년단체와 함께 군·읍·면 단위까지 진출하여 단독선거를 치룰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the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 which was established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 was organized in a October 1945 after the U.S army stayed in Gwang-ju, and it cooperated so much the Provincial Government.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s enlargement caused to change the Trusteeship political situation. It supported the Student Group and the Youth Group to develop the anti-Trusteeship, and it expanded to Bu and Gun. Korean Democratic Party expanded it to Yup and Myun in 1947, and the late 1947 it can lead the campaign of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government. Korean Democratic Party had many right-wing especially the Youth Group overwhelmed to South Korea Labor Party. In Korean Democratic Party the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s connected people served and U.S Military Government officer. Also there were many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s executives served the Right-wing's Youth Group's leader.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s main role was it spread its right wings power to the small district unit in Korea and its acting part, Student Group and the Youth Group can permeate into Gun, Yup, Myun unit and they prepared the independent elec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미군정기 한민당 전남도당의 조직과 활동

        임선화 ( Seon Hwa 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해방 이후 결성되었던 한민당 전남도당에 관한 연구이다. 전남도당은 1945년 10월 미군의 광주진주와 더불어 조직되었고, 도군정에 적극 협력하였다. 전남도당이 조직적으로 확대된 계기는 탁치정국에서 반탁운동을 전개하면서부터였다. 학생단체 청년단체를 지원하여 격렬한 반탁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부·군단위까지 조직을 확장시켰다. 1947년 한민당은 읍·면단위까지 조직을 확장시켰으며, 이러한 힘을 바탕으로 1947년 후반기부터 본격적인 단독정부 수립 운동을 이끌었다. 이러한 한민당의 파급력은 여러 우익단체들 특히 청년단체를 앞세워 남로당 등을 무력으로 압도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한민당 전남도당에 관계하였던 이들은 미군정의 관리로 재직하기도 하였다. 또한 한민당 전남도당 간부들 가운데 우익 청년단체의 지도자들도 다수 눈에 띈다. 한민당 전남도당의 가장 큰 역할은 탁치정국 이후 우익 세력이 지방에 침투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하였고, 또한 행동대 역할을 한 학생·청년단체와 함께 군·읍·면 단위까지 진출하여 단독선거를 치룰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the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 which was established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 was organized in a October 1945 after the U.S army stayed in Gwang-ju, and it cooperated so much the Provincial Government.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s enlargement caused to change the Trusteeship political situation. It supported the Student Group and the Youth Group to develop the anti-Trusteeship, and it expanded to Bu and Gun. Korean Democratic Party expanded it to Yup and Myun in 1947, and the late 1947 it can lead the campaign of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government. Korean Democratic Party had many right-wing especially the Youth Group overwhelmed to South Korea Labor Party. In Korean Democratic Party the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s connected people served and U.S Military Government officer. Also there were many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s executives served the Right-wing`s Youth Group`s leader. Korean Democratic Party in Jeon-nam Provincial Part`s main role was it spread its right wings power to the small district unit in Korea and its acting part, Student Group and the Youth Group can permeate into Gun, Yup, Myun unit and they prepared the independent e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