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존 김려·김선 형제 저작의 문헌학적 재검토

        김영진 ( Kim Young-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본고는 조선후기 문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겼던 金鑢·金䥧 형제의 저작 중 현존하는 필사본 이본들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고 아울러 신자료를 소개하였다. 김려는 만년인 1818년에서 1821년 사이 자신의 시문과 지인 및 인척의 시문을 수합하여 『藫庭叢書』 34권 17책을 편찬하였다. 김려의 손자 김겸수는 이 총서 내의 김려의 시문만을 뽑고 또 육촌 김기수의 자료 협조를 얻어 보유를 첨부한 12권 6책의 목활자본 『藫庭遺藁』를 1882년에 간행하였다. 『담정총서』전질은 유일의 필사본이지만 『牛海異魚譜』및 김려의 傳은 轉寫本들이 현존하고 있다. 연세대에 소장된 『우해이어보』‘서여본’은 표제가 ‘玉曇書種’ 내제는 ‘담자외서’라고 되어 있고, 또 다른 『우해이어보』‘귀중본’은 표제가 ‘담정총서’, 내제는 역시 ‘담자외서’로 되어 있다. 이 ‘귀중본’에는 『우해이어보』 외에 김선·김선신·조면호 등의 시문이 필사되어 있는 바, 조면호가 김선의 제자였다는 점에서 조면호 또는 그 주변인이 필사한 책으로 보인다. 김려의 전 작품들은 『續齊諧志』(필사본 1책, 일본 천리도 서관), 『香半館藏書』(필사본 1책, 규장각) 등에도 실려있는 데, 일부 글자의 출입이 있다. 김려의 『思牖樂府』는 『담정총서』본과 성균관대 존경각 소장본에는 300수, 『담옹유고』에는 295수, 『담정유고』 목활자본에는 290수만 실려 있는 차이가 있다. 성균관대 소장 『담정유고』에는 「月巖權公行錄」 등 유배지 진해에서 지은 글 8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8편 중 「慕先齋上樑文」과 「慕先齋記」만 목활자본 『담정유고』에 보인다. 김선의 경우 시문의 유실이 김려만큼이나 많은데, 필자는 그의 逸文으로 김선민의 『관연록』에 붙인 題後와 유배지인 초산에서 쓴 『초관만필』을 소개하였다. 김선의 경우 『담정총서』에 수록된 小集 이외의 글들이 전혀 발견되지 않아 蒐佚 작업이 더욱 절실하다고 하겠다. 향후 김려·김선 형제와 추사 김정희와의 교유의 정도, 영향관계가 고찰될 필요가 있다. 그 磁場 안에 李鈺, 金善臣, 金照, 趙冕鎬, 金綺秀 등 중요한 문인들이 포진해있는데, 이들은 19세기 문학사를 다채롭고 풍성하게 해줄 하나의 판이 될 것이다. This paper reviewed the existing manuscripts of the Kim-Ryeo and Kim-Seon brother who left a clear mark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ntroduced new materials of them. Between 1818 and 1821, Kim-Ryeo compiled of 『Damjeongchongseo』 by collecting himself and his acquaintances and relatives’ poetry and literature. Kim Gyeom-soo, Kim-Ryeo’s grandson, selected only Kim Ryeo’s poetry in this book and published wooden movable type 『Damjeongyugo』 in 1882 with the cooperation of second cousin Kim Ki-su. The complete works of 『Damjeongchongseo』 is the only manuscript, but the transcripts of 『Woohaeiobo』 and Kim Ryeo’s biographies exist. A “valuable copy” of 『Woohaeiobo』 owned by Yonsei University include poems written by Kim-Seon, Kim Sun-shin, and Cho Myeon-ho. Considering Cho Myeon-ho was Kim-Seon’s student, I think Cho Myeon-ho or the people around him would have written this book. Kim-Ryeo’s works are also included in 『Sokjehaeji』and『Hyangbangwanjangseo』. Sungkyunkwan University’s 『Damjeongyugo』 contains 8 piece of works such as 「Wolamkwongonghaengrok」, 「Mosunjaesangrangmoon」, 「Mosunjaegi」 written in a place of exile Jinhae. Only 「Mosunjaesangrangmoon」 and 「Mosunjaegi」 are shown in the wooden movable type 『Damjeongyugo』. Also Kim-Seon’s inscription in Kim Sun-min’s 『Gwanyeonrok』 and 『Chogwanmanpil』 written in the exile site Chosan were excavat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Ryeo and Kim-Seon brother and Chusa Kim Jeong-hee.

      • KCI등재

        17세기 상주지역 사족의 동향

        송석현 ( Suk Hyun S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7

        조선시대의 사족은 16세기 무렵부터 중앙과 지방에서 사회를 주도하는 계층으로 성장하였다. 중앙으로 진출한 사족은 사림으로서 향후 조선의 국정을 주도하는 세력으로 성장하였으며, 지방에서는 재지사족으로서 향촌사회 운영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17세기가 되면 사족은 성리학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지배층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특히 영남에서는 퇴계의 사상을 이은 남인들이 재지적 기반을 바탕으로 중앙에서 활약하였다. 17세기 영남은 정치적으로 남인의 기반이자 사족들의 향촌지배체제가 구현된 조선사회의 단면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지역이었다. 지금까지의 연구 역시 이를 바탕으로 퇴계의 사상과 이를 이은 남인들의 정치적 활동이나 사족들의 지방지배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그러나 두 방향에 대한 연구유기적으로 연계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연구 성과에 비해 조선시대 영남의 사족을 단편적으로 파악해왔다. 특히 퇴계학을 이은 남인의 관점에 매몰되는 경향이 강하다. 17세기 조선은 사족의 확대와 분화가 중앙에서는 동서분당이후 남인과 서인의 대립으로 이어지고, 지방에서는 지역 사족들의 성장과 갈등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중앙과 지방에서 유기적으로 발생하였다. 특히 상주는 이러한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나는 지역이었다. 영남의 大邑으로 낙동강을 낀 교통로의 요지, 충청도와의 접경이라는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교류와 소통이 이루어지는 상주는 사족들의 형성과 성장에서도 지역적 특징이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상주의 지리적 특징을 바탕으로 상주 사족들의 형성과 성장, 변화의 과정을 통하여 17세기 중반까지 상주 사족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16세기 중반 이후부터 형성된 상주의 사족들은 契의 결성과 향안의 작성등을 통해 성장하였고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의병활동을 통해 상주 사회에서 강한 영향력을 가질 수 있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전후 복구를 위해 사설의료기관인 存愛院을 운영하였다. 또 지역의 공론 형성과 사족들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道南書院을 건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洛社. 사족들을 중심으로 상주 사족들은 결집할 수 있었다. 17세기 초반 상주 사족 사회는 사족의 성장을 바탕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상주 사족 사회가 확대됨에 따라 사족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였다. 사족 사회의 확대에 따른 사족 간의 분화와 갈등은 당시 사족들의 활동 중심인 서원·서당의 운영에서 잘 드러난다. 도남서원과 玉成書院의 종향에 따른 논란은 상주 사족 갈등의 하나이다. 그러나 수선서당의 운영에서 보이는 사족들의 분화와 근암서원의 건립에서 나타나는 산양 사족과 상주 사족들 간의 갈등은 상주의 사족 사회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주 각 지역에서 성장한 사족들은 17세기 중반 이후 독자적인 공론을 주장 할 정도로 성장하고 17세기 후반 이후의 공론정치에서 상주가 영남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다양한 공론이 표출되는 계기가 되었다. Sajok(士族) in the Joseon Dynasty grew up to be leading class both at central and local society from around the 16th century. Sajok who advanced to the central government were developed into Sarim(士林), which dominates government policy and those who remained in local area took charge of the mainstay of local society as local Sajok. In the 17th century, Sajok firmly occupied dominating position in Joseon Dynasty based on Neo-Confucianism. Especially in Youngnam area, Nam-in(南人) who were successors of Toegye(退溪)’s thought worked for central government having the local power as their basis. Youngnam(嶺南) in 17th century was political foundation of Nam-in and most visible area for showing one aspect of Joseon society that Sajok’s local dominating system was embodied from. Previous studies also have focused on Nam-in’s political activities or Sajok’s domination on the local as successors of Toegye’s thought. But the studies on both tendencies have been conducted separately without having systemic connection. Therefore Youngnam Sajok in the Joseon Dynasty has been understood fragmentarily in comparison with the study result. In particular the studies have been tended to be partial toward Nam-in’s standpoint who had succeeded Toegye studies(退溪學). In the 17th century Joseon, expansion and seperation of Sajok led to confrontation between Nam-in and Seo-in(西人) after east-west political factions in the center, while having growth and conflicts ofSajok in the local area. And this situation happen organically both in the central and local. Especially Sangju was best place that shows this characteristic. As a major city of Youngnam, there were a lot of communication and exchange due to the geographic condition of being major transportation point and bordering on Chungcheong-do and Sangju``s this characteristic was reflected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local Sajok.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of Sangju Sajok until the middle of 17th century by processing Sangju Sajok``s formation, development and change based on Sangju``s geographical characteristic. Sangju Sajok who had been formed since the middle of 16th century grew up by associating gye(契), making the Hyangan(鄕案), etc, and had great influence on Sangju society by righteous army(義兵)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1598(壬辰倭亂). After the war, they ran a private medical institution, Jonaewon(存愛院), for post-war reconstruction and built Do-nam Seowon(道南書院) for the formation of local public opinion and establishment of Sajok identity. In this process, Sangju Sajok could be united around Naksagye(洛社楔) Sajok. Sangju Sajok society was expanding due to the growth of Sajok in early 17th century. As Sangju Sajok society expanded, conflicts among Sajok arose. These conflicts were more evident in management of Seowon and Seodang(書堂) which were the core of Sajok’s activities. The controversy in the management of Do-nam Seowon and Ok-seong Seowon(玉成書院) was one of Sangju Sajok’ conflicts. However the expansion of Sangju Sajok society was revealed by Sajok’s separation in management of Su-seon Seodang(修善書堂) and conflict between Sanyang(山陽) Sajok and Sangju Sajok on establishing Gun-am Seowon(近岩書院). Sajok who grew up in each local area was grown enough to insist independent public opinion since the middle of 17th century, and unlike other region in Youngnam area, this enables Sangju to express various public opinion in politics after the late 1700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