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서사' 발견과 동일성 회복의 글쓰기: 최인호의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 연구

        서덕순(Seo, Duk-Soon)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5 No.-

        이 논문은 문학치료학만의 독특한 개념인 '자기서사'와 '작품서사'의 개념을 인문학적 맥락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문학치료학이 작품분석의 방법론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설화뿐만이 아니라 만화나 게임과 같은 서사 유형 또한 문학치료학의 '진단서사'로 유용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인호의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에는 만화적/게임적 서사 구조가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 작품의 주인물이 만화적/게임적 서사를 '진단서사'로 활용하여 '자기서사'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건강한 서사'로 나아가는 과정이 작품의 주 내용을 이루고 있어, '서사지도' 개념을 활용하여 작품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에서 '작품서사'로 기능하는 다양한 서사들, 즉 친구 H의 이야기, P교수의 이야기, <세일러문>과 <파워레인저> 이야기들은 모두 K에게 '진단서사'로도 기능한다. K는 소설의 전개 속에서 분절적 지점마다 이러한 '진단서사'를 접하면서 자신에게 내재된 '자기서사'와의 거리감을 표명하면서 그에 공감하거나 혹은 반감을 느낀다. H의 이야기에 대해서는 반감을 느끼고 P교수의 이야기에는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면서 일종의 서사지도를 형성하게 되고 그 속에서 자신의 심리적 이상을 발견하는 식이다. 여기서 K의 심리적 이상이란 주변의 인물들이 빅브라더의 명령에 의해 자신을 속이고 있다는 일종의 망상증인데, 다양한 '작품서사'를 접하는 가운데 주변의 인물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이 잘못되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문제의 원인을 자신에게서 발견함으로써 K는 '완전한 나'를 회복할 기회를 얻게 된다. 그 기회란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기원으로의 회귀를 의미하기도 하고 '기원'과 원형적으로 닿아있는 '죽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작품서사'로 등장했던 수많은 주변 인물들과 작별하고 K는 죽음, 혹은 재탄생을 맞이한다. 이는 인지하지 못했지만 K 자신에게 내재되어 있던 '자기서사'의 완결이자 새로운 '자기서사'로의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 수많은 주변 인물들의 등장은 '자기서사'의 경험적 재구성이며 이를 통해 K의 분열적 정체성은 경험을 통합하는 '서술적 정체성'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was intended to find a possibility as to whether literary therapy can be utilized as methodology of literary work analysis by reinterpreting a concept of 'epic of self' and 'epic of literary work', a peculiar concept only in literary therapy, from humanistic context. Also, this paper proposes a viewpoint that a narrative type such as a cartoon or game as well as a folktale can be utilized as 'diagnosis epic' in literary therapy. In Choi Inho's 『Familiar Others' City』, cartoon/game-style epic structure is positively utilized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 comprise of the process in which main characters discover 'epic of self' by using cartoon/game-style epic as 'diagnosis epic' and, through this, proceed into 'healthy epic', so that this is convenient to analyze by utilizing a concept of 'epic map'. In 『Familiar Others' City』, various epics which function as 'epic of literary work', that is, all of a story of friend H, a story of professor P, stories of <Sailormun> and <Power ranger>, etc. function to K as 'epic of literary work'. K, as he contacts such 'diagnostic epic' at every segmental point through development of a novel, expressing a sense of distance from 'epic of self' inherent in self, sympathizes with or feels hostility to it. Feeling hostility toward H's story and recognizing professor P's story as it is, he forms a kind of epic map and finds his psychological ideal in it. Where, K's psychological ideal is a kind of reticulosis that persons around him deceives self by order of Big Brothers, in the midst of contacting a variety of 'epics of literary work', he gets to realize that it is not persons around him but the very himself who was wrong. By discovering causes of problems from self, K gets to have an opportunity to be able to recover 'complete self'. The opportunity, as examined before, means a reversion to the origin, and also means 'death' connected to 'the origin' circularly. Departing from lots of persons who appeared as 'epic of literary work', K greets death or re-birth. Though not realized, this can be completion of 'epic of self' inherent in the self of K and a turning point of new 'epic of self'. Appearance of lots of surrounding figures is experiential re-composition of 'epic of self' and, through this, the segmental identity of K is able to proceed to 'identité narrative' of integrating experiences.

      • KCI등재후보

        작문교육과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

        박기석 ( Park Ki Su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2 No.-

        본고에서는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활용한 작문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해보았다. 2장에서는 실험 대상자, 즉 피검자의 독후감과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검사결과에 나타난 자기서사의 모습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이 둘에 나타난 피검자의 자기서사의 모습은 대체로 일치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자기서사를 진단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의 독후감 쓰기는 작문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3장에서는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작문교육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았다. 첫째,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사용해 피검자의 자기서사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피검자가 단락과 단락을 연결하기 위해 삽입한 보충단락을 통해 피검자의 자기서사를 발견해 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피검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연상 작용을 이끌어내어 피검자의 문장구성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작문교육이 수행될 수 있다. 둘째, 피검자에게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검사결과를 알려주고 작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피검자는 다양한 해석을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다양한 해석의 경험은 자기서사의 수정으로 이어지며, 독후감 재작성을 통해 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처럼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는 피검자의 자기서사를 진단하는 본래의 기능 외에 작문교육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mposition using `the epic of self test`. In chapter two, I compare a testee`s impressions of a book with a testee`s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self test`. Consequently, the testee`s epic of self from the testee`s impressions of a book matches with the testee`s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self test` in general. During the process, writing one`s impressions of a book is closely related to composition. In chapter three, I examine the ways of using `the epic of self test` for composition. First, during the process of diagnosing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self test`, the testee`s epic of self can be found through the supplementary paragraph which is inserted for linking a paragraph to a paragraph. While the testee goes through the process, the testee`s imagination can be stimulated and also the testee`s ability of composition can be extended. Secondly, while a tester informs the result of `the epic of self test` and has a conversation with the testee, the testee experiences a literary work deeply. As a consequence, the testee has an opportunity to modify the epic of self, and the change is confirmed through re-writing the impressions of a book. Thus, `the epic of self test` can be useful for composition beside it`s original function as a test for diagnosing the epic of self.

      • KCI등재

        간략식 자기서사와 정서반응형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상관관계 연구

        하은하 ( Ha Eun-h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문학치료연구 Vol.42 No.-

        본 연구의 목표는 `정서반응형 자기서사진단검사`와 `간략식 자기서사진단 검사`의 비교를 통해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결과가 일관되고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네 종류의 자기서사 영역별로 간략식 자기서사진단검사의 결과와 5점 리커트 척도인 정서반응형의 점수 간의 일치 및 불일치의 빈도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서사영역의 네 가지 진단서사의 경우 두 도구 간 결과는 일치하는 빈도가 일치하지 않는 것보다 2배 이상 높았고, 남녀서사영역의 경우 세 가지 진단서사에서 일치 빈도는 5배 이상 되었다. 또 부부서사영역의 문항에서는 네 종류의 진단서사의 일치 정도는 2배 이상 되었다. 부모서사영역의 경우는 네 가지 진단서사의 일치 빈도는 2배 이상 높았다. 열여섯 가지 진단서사 가운데 열 가지 진단서사는 대체로 두 검사의 결과가 일치했지만, 나머지 여섯 가지 진단서사는 불일치 또는 간략형의 결과와 정서반응의 점수가 부정적인 방향으로 일치했다. 가장 높은 불일치 빈도를 보인 것은 자녀감싸기 진단서사였다. 이유는 두 종류의 검사 도구에서 사용한 작품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정서반응형에서는 <장모가 된 며느리>를 사용한 것과 다르게 간략식에서는 <거짓 장례로 개가시킨 딸>로 변경된 것이다. 이와 다르게 동일한 설화를 사용했음에도 피검자들이 자신의 자기서사와 유사한 진단서사에 대해 낮은 점수를 준 경우도 있었는데 <역적 누명과 회초리>가 그것이다. 양상이 다르긴 하지만 불일치에 관여하고 있는 변인은 문화적 요소라 추론했다. 또 감싸기라는 서사의 경우 그 서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진단서사의 교체보다는 진단서사의 문항을 추가함으로써 표층과 심층의 자기서사를 모두 포착해 낼 필요성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두 검사 결과가 일치하지만 피검자의 자기서사와 다른 진단서사에 대해 부정적인 방향으로 일치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내 복에 산다>, <고부곡어황천>, <호랑이 눈썹>, <지붕에 소 올리기>의 네 종류 진단서사가 해당된다. 이 네 가지 서사의 공통점은 진단서사에 대한 피검자들의 비호감이 높은 작품들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부정적인 평가만큼이나 호감의 일치 빈도도 높은 진단서사의 경우 서로 다른 방향의 자기서사를 지닌 내담자를 한꺼번에 포착해내는 데 효율적일 수 있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if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Emotional-response-type Epic of Self Test” and the “Brief Epic of Self Test” are consist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son and daughter epic realms, the coincidence frequency of the two diagnostic tools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frequency of disagreement. In the man and woman epic realms, the frequency of coincidence was more than five times higher. Additionally, in the husband and wife epic realms, the frequency of coincidence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frequency of disagreement. In the father and mother epic realms, the frequency of coincidence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e frequency of disagreement. Ten out of 16 diagnostic epics in the Emotional-response-type Epic of Self Test and the Brief Epic of Self Test matched with each other. The highest frequency of inconsistency was on the epic of protecting children. The reason for the mismatch of the diagnostic results is that the two tests comprised different epics. In the Emotional-response-type Epic of Self Test, we used a Daughter-in-law Becomes a Mother-in-law epic, while in the Brief Epic of Self Test, we used the Fake Funeral for the Widow`s Daughter epic. The mismatch between the two tests in terms of epics of protecting children was attributed to cultural differences. Whip and Virgin also reported inconsistent diagnostic results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Cultural differences led the clients to misunderstand the relationships that appeared in the narrative. However, the epics of protecting must be able to transcend norms. Therefore, inconsistencies in diagnostic epics are suggested to be resolved by adding a diagnostic epic rather than replacing it. This would also enable us to diagnose both superficial and deep epic of the self. In the diagnostic epics My Own Good Fortune, Tears of My Husband`s Soul, Tiger`s Eyebrows, and Cow and Roof, the results of the two diagnostic tools matched, but the responses did not match for the 10 other types of diagnostic epics. The results were similar for the above-mentioned four diagnostic epics because the clients highly disliked the epics. However, most of the clients who showed a negative response to Cow and Roo> in the Emotional-response-type Epic of Self Test selected the epic of protecting children in the Brief Epic of Self Test. The remaining three diagnostic epics were favorable only by non-favorable frequency. In other words, the three diagnostic epics may be useful for diagnosing clients with a different kind of epic of the self.

      • KCI등재

        경험서사 창작교육을 위한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 분석

        이근영 ( Lee Geun-yeo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경험서사 창작 과정에서 창작의 소재이자, 자신의 경험에서 문제적 사건을 발견하는 것을 어려워한다고 보고, 그 원인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삶에 대한 사유의 부족에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 개념을 경험서사 창작교육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 분석을 통해 경험서사 창작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문학치료학에서 자기서사는 작품서사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인간을 서사적 존재로 보는 관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독자가 작품을 통해 자신의 삶의 근본적인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만드는 이야기를 의미한다. 자기서사 개념은 경험서사 창작교육적 관점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 번째는 독서와 쓰기의 통합적 활동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학습자들의 창작에 대한 부담감을 낮출 수 있다. 두 번째는 작품을 읽으며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또 다른 자기의 모습을 발견한다는 점에서 대화적 (dialogic)이다. 세 번째는 불완전한 자기서사를 작품서사를 통해 수정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삶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이상 검토된 자기서사의 경험서사 창작교육적 의의를 토대로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 독자의 자기서사는 ‘작품서사의 구성’-‘자기서사의 촉발’-‘자기서사의 수정’이라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먼저 독자는 작품을 읽으며 한 인물이나 여러 인물의 서사를 종합하여 작품서사를 구성한다. 이 단계는 이어지는 자기서사의 촉발에 영향을 주어, 독자의 무의식에 자리하던 자기서사를 현실화하게 도와준다. 독자는 자기서사 촉발 단계에서 현실의 문제를 마주하게 되고, 다시 작품서사를 통해 자기서사를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학습자들이 작품을 통해 자신이 미처 생각지 못했던 기억과 현재 자신의 모습을 정면으로 마주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자기서사를 창작하도록 이어진다는 점에서 경험서사 창작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considers the failure of learners to discover problematic events for writing experiential narratives as a problem situation faced by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and examines the concept of 'the epic of self' in literature therapy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to solve this I did. In literary therapy, self-narrative is a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narrative of works, and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eeing humans as narrative beings. and readers discover their own fundamental problems based on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make it into the epic of self.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the following significance could be found. The first is an integrated activity of reading and writing, which can reduce the burden on learners' writing. The second is dialogic in that he discovers another image of himself while reading the work. Third,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change learners' attitudes of life through correction of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literary work. The epic of self of the university students' readers was analyzed based on the creativ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experiential narrative of the epic of self reviewed abo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pic of self of university students' readers was largely composed of 'composition of the epic of literary work'-'trigger of the epic of self'-'correction of the epic of self'. This structure of the epic of self contributes greatly to the expansion of experiential narrative writing education in that it helps learners lead to natural the epic of self writing by confronting memories they had not thought of through the literary work. In the process of such educational practice,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feel the joy of reading literature and writing narratives.

      • KCI등재후보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 개념 검토

        나지영 ( Na Ji You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3 No.-

        이 글은 문학치료학이 인간을 문학적으로 이해한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우리가 `서사`에 집중을 할 때 비로소 인간을 문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됨을 논하였다. 문학치료학에서는 문학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 그 작품의 `작품서사`에 주목하며, 한 사람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자기서사`에 주목한다. 그리하여 `자기서사`의 개념이야 말로 문학치료학의 가장 핵심적이면서도 독특한 특징이라고 하였다. 우선 2절에서는 그동안 문학치료학에서 자기서사의 개념이 정립된 과정을 살펴보았고, 3절에서는 지금까지 문학치료연구 에 제출된 여러 편의 논문들 중에서도 특히 `자기서사`의 개념을 다르게 이해한 논문들을 살펴보면서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의 개념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문학치료학에서 말하는 자기서사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자기서사는 우리의 실제 경험과 관련을 맺기는 하지만, 경험 그 자체는 아니다. 자기서사는 우리가 갖고 있는, 우리 안의 문학이다. 따라서 실제의 경험을 그대로 진술한다고 하여 자기서사가 구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우리가 꾸며낸 이야기, 만들어낸 이야기가 자기서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자기서사는 변할 수 있다. 사람의 인생은 문학 작품처럼 완결되어 있는 것도 아니며, 고정불변의 것도 아니기에 사람이 갖고 있는 서사, 즉 자기서사는 변할 수 있다. 문학치료학은 자기서사가 더욱 건강하게 변하면 우리의 실제 삶 또한 더욱 건강해 질 수 있다고 본다. 자기서사는 우리가 인생을 살아나가는 방식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기서사로 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또한 그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내가 갖고 있는 어떠한 삶의 태도나 방식이 특히 특정한 인간관계 속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켰다면, 나의 삶의 태도나 방식을 바꾸면 반대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도 얻게 되는 것이다. 셋째, 자기서사는 가치관 또는 사상과는 다르다. 하나의 공통된 가치관 내지 사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그 사람들의 자기서사가 같다고 할 수 없다. 서사가 `인간관계의 형성과 위기, 회복`에 관한 것이라고 할 때, 자기서사 역시도 인간관계와의 관련 속에서 구성될 수 있다. 우리는 자기서사를 통해 한 사람이 특정 인간관계에서 나타내는 경향성과 태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자기서사는 우리가 특정 인간관계 속에서 보이는 경향성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의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In literary therapeutics, human is literature, human is epic. So when we try to understand the literary work, we should focus on the epic of literary work, in the same manner, when we try to understand the human, we should focus on the epic of self. In chapter two, I examine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the epic of self`, and in chapter three, I examine some written papers in Journal of Literary Therapy which were using the term of `the epic of self` in different point of view. As a result, I conclude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epic of self` in literary therapeutics view. First, the epic of self is related to our own personal experience, but it isn`t experience itself.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epic of self is literature inside us, something operates and organizes our life, so the epic of self embodies our life. Therefore, speaking of our life isn`t necessary to be the epic of self, preferably the stories we make up is much closer to be the epic of self. A written confession or a narrative of one`s personal experiences are not the epic of self. Second, the epic of self can be changed. Our life isn`t fixed or completed, therefore, the epic of self also isn`t fixed or completed. In literary therapeutics, if the epic of self can be changed healthily, our life also can be changed healthily. Because the epic of self affects on the way we live, the epic of self makes problems in our life, but likewise it has the abi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Third, the epic of self isn`t a sense of values or an ideology. Suppose there is a group of people who share the same sense of values or ideology.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sense of values or ideology, it doesn`t mean they have the same epic of self. Each one of the group has their own epic of self.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very important factor of epic is human relations. `Epic` is defined as `the story of a formation, a crisis, and a recovery in human relation`. Human relation is the core of epic. So, we focus on our `epic` when we have a problem in our life. The reason we have problem in our life is because of our epic. When the epic of self has a problem, it will affect our life too, expecially human relatio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epic of self can help us to understand our life better.

      • KCI등재

        힐링을 위한 문학교육2 -인간, 힐링, 그리고 문학교육 : 문학교육 현장에서의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 활용과 그 전망 -20대 중반 대학원생의 자기서사탐색사례를 중심으로-

        강미정 ( Mi Jeong Ka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문학교육학 Vol.44 No.-

        이 글은 학습자 내면에 있는 자기서사를 파악하는 것이 학습자의 서사능력의 발달에 기여할 것이라는 전망으로부터 출발한 것이다. 그간 학습자의 서사 능력 증진에 관한 논의는 교육현장의 개선과 교육자의 효율적인 교육방식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측면이 있다. 그리고 이 글은 이러한 기왕의 성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내재되어 있는 서사 파악이 중요함을 더 강조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이 글에서는 학습자의 자기서사 파악이 곧 내면의 서사 탐색으로 이어지면서 잠재적인 서사적 소양의 발달까지 나아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그래서 문학교육현장에서의 자기탐색사례를 통하여 자기서사진단검사로 학습자의 특정 서사경향을 드러내고 대안을 제시하여 줄 수 있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이 글에서 살펴본 피검사자(학습자)의 경우, 부모에게서 탐색되는 문제 상황에 관해서는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고, 전반적으로 징치의 대상이나 비판의 대상이 등장할 때에는 거부감과 지루감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 탐색은 학습자가 취약한 서사의 방향을 알려주고, 어떤 서사의 보강이 필요한지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 시도한 자기서사진단검사의 사례분석 결과는 앞으로 학습자에게 활성화되어 있어나 비활성화 되어 있는 서사를 구분하고, 앞으로 보강할 서사 방안 마련에 보탬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was from the prospect that the understanding about Epic of self in learner’s inner side will be go far toward developing the epic ability of learner. Generally speaking, the discussions on the enhancement of learner’s epic ability have been ongoing with the improvement of literature education field and the efficient education process of educator. This article is fully satisfied of the fruition of this advanced research. This is because the fruition showed the importance of external factors surrounding learner. On this basis, I suggest that this research turn to Epic of self in learner’s inner side. As a result,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understanding about learner’s Epic of self is crucial. Also, I want to say that Epic of Self Test is valid in understanding about learner’s Epic of self. And this article, I suggest performing the Epic of self inquiry case in literature education field. Epic of Self Test performed in the graduate student’s study site are various. Especially in this article, I analyzed one student’s inspection result who has the high expectation about class and has feature which is well reflected by leaning to specific Epic. Thus, I was able to separate the story of examinee into the concentrating concern and the dropping repeatedly. And this result is valid understanding the story type which was rejected by examinee and was accepted by him. In short, if learner does test Epic of Self, he can be expected two effects. First, He should be know the specific taste of work within himself. Second, He can easily choose the work which he needs. This effects have a influence whether to strengthen some Epic or replenish it. mphasis on this article, if we use Epic of Self Test, learner’s literature education will energize. Well, this process should be showed as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Epic of Self, its educative results and the accumulation of various clinic example. But, if we do Epic of Self Test only once, we will clearly get the interesting informations about learner.

      • KCI등재

        문학치료학과 역사적 트라우마

        정운채(Jeong, Un cha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통일인문학 Vol.55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문학치료학이 어떠한 기본 개념들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명히 하고, 문학치료학에서는 역사적 사건의 충격과 트라우마를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고 있으며, 문학치료학에서 역사적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원리는 무엇인지를 명료하게 밝혀보는 데 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치료학의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개념으로는 텍스트, 서사, 인생살이, 자기서사, 작품, 작품서사 등이 있다. 둘째, 인생살이는 자기서사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인생살이의 곡절들이 자기서사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셋째, 작품은 작품서사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작품서사는 자기서사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지만, 작품서사가 오히려 자기서사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넷째, 역사적 사건이 인생살이에 충격을 주었을 때, 기왕의 자기서사가 이 충격을 해석해낼 수 있다면 건강한 인생살이를 유지할 수가 있다. 다섯째, 역사적 사건이 인생살이에 충격을 주었을 때, 기왕의 자기서사로는 이 충격을 감당하지 못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인생살이의 충격을 고려하여 자기서사가 조정될 수 있고, 이렇게 조정된 자기서사가 인생살이의 충격을 해석해낼 수 있다면 역시 건강한 인생살이를 유지할 수가 있다. 여섯째, 역사적 사건이 인생살이에 충격을 주었을 때, 기왕의 자기서사로도 이 충격을 이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기서사의 조정에 의한 새로운 자기서사의 마련도 용이하지 않게 되면 인생살이의 충격은 이해할 수 없는 인생살이의 용종으로 남아 트라우마가 형성된다. 일곱째, 역사적 사건이 인생살이에 충격을 주었을 때, 이 충격에 의하여 자기서사가 조정되기는 하지만 건강하지 못한 자기서사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불합리한 신념이 생길 수 있는데, 이 불합리한 신념 역시 트라우마가 된다. 여덟째, 작품서사는 인생살이가 조정하지 못한 자기서사를 조정하게 되는데, 이렇게 조정된 자기서사에 의하여 그동안 해석해 내지 못했던 충격을 해석해냄으로써 트라우마는 극복될 수 있다. 아홉째, 작품서사는 인생살이에 의하여 형성된 건강하지 못한 자기서사를 건강한 자기서사로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렇게 변화된 건강한 자기서사가 인생살이를 재해석함으로써 트라우마가 된 불합리한 신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basic notions of literary therapeutics, and reveal the principle of overcoming historical trauma in a literary therapeutic view.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ext, the epic, life, the epic of sel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are the core notions of literary therapeutics. Second, life is found on the epic of self. However, circumstances in life can change the epic of self. Third, literary work is found on the epic of literary work, and the epic of literary work is influenced by the epic of self. However, sometimes, the epic of literary work can change the epic of self likewise. Fourth, if one"s epic of self can interpret a shock from a historical event well, one can maintain healthy life. Fifth, if one"s epic of self fail to interpret a shock from a historical event, one"s epic of self needs to be adjusted. If one succeed to adjust the epic of self for interpreting the shock well, one can also maintain healthy life. Sixth, if one fail to adjust the epic of self for interpreting the shock well, one would suffer from trauma. Un-interpreted shock would be causing for trauma. Seventh, when the epic of self is adjusted because of a shock from historical event, unhealthy epic of self can be formed. This unhealthy epic of self is causing for one"s unreasonable belief, and eventually trauma. Eighth, when circumstances in life fail to adjust the epic of self, the epic of literary work can adjust the epic of self. Based on the adjusted epic of self, one would be able to interpret the shock well, and finally overcome trauma. Ninth, the epic of literary work can change the unhealthy epic of self to the healthy epic of self. The healthy epic of self can re-interpret the shock well, and make one to overcome the unreasonable belief.

      • KCI등재후보

        서사의 다기성(多岐性)을 활용한 자기서사 진단 방법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5 고전문학과 교육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divergence of epic and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of the diagnosis about the epic of self.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that we follow the story line of < Dongmyeongwangpyeon(東明王篇) >, we will meet a forked road at least thirteen times. At the forked road we can turn to the right branch road, or to the left branch road. Each choice makes a different epic. Second, the epic of self will force a person to makes choice of special branch road at the forked road of story line. Therefore we can diagnose the epic of self according to one's choice. The core of the methodology of literary therapy is that the epic of literary work changes the epic of self. For that reason the diagnosis about the epic of self is the first consideration, and the divergence of epic is the key of the diagnosis about the epic of self.

      • KCI등재

        원초적 자기서사의 형성과 마더 텔러 -문학예방치료를 위한 시론-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9 No.-

        한국문학연구에서 문학치료라는 개념이 구상된 지 20년이 지났으며, 정식으로 문학치료학회를 만들어 본격적 학문의 장을 형성한 지도 10년이 넘었다. 이론 구축과 진단 도구 개발 측면에서 이룩한 문학치료학의 성과는 상당하다. 문학치료학은 `문학의 본질이 치료`라는 점을 명시하고, `원초적 사건을 다시 경험하게 함으로써 경험을 반복 조정하는` 치료 과정을 제안하며, `자기서사의 발견과 개선`을 목적으로 삼는다. “자기서사를 온전하고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일”을 위해 `작품서사`를 핵심도구로 사용한다. 문학치료학의 핵심은 `변화`이다. 이 `변화`는 `현재 건강하지 않은 자기서사`를 전제로 한다. 지금의 문학치료는 건강하지 않은 마음을 관심의 주된 대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이제는 문학치료의 범주를 문학 예방치료로 확대할 때라고 생각한다. 인간의 초기 자기서사 형성에 작품서사가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서사적 지지 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문학의 치료적 강점은 일반 사람들의 건강한 자기서사 `형성`에 기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기에 이루어지는 원초적 자기서사 형성에 참여하는 작품에 대한 새로운 독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 독법이 장르론적, 사회사적 시각에 경도된 것이라면, 새로 발견할 독법은 자기서사의 형성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준 높고 건강한 서사일 것이다. 이러한 서사의 발견을 위해 문학치료 연구자는 `부모서사`를 내면화해야 한다. 강한 `부모서사`를 내면화한 문학치료 연구자를 `마더 텔러`라 부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인간이 서사적 존재라는 사실에 공감한다. 인간이 그 자체로 하나의 `책`이 된다는 인식도 늘어나고 있다. 작품서사나 다른 사람의 자기서사는 나의 자기서사가 형성되고 성장하는 데 깊게 관여한다. 이제 자기서사 형성기에 작품서사가 가동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단계에 이른 것이다. 이것은 문학치료연구자의 자세를 치료자가 아닌 예방가로 넓히는 일이다. 문학치료연구자는 아이들이 접하는 작품에 대한 기존 해석을 성찰하고 아이의 자기서사에 유용한 새로운 독법을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문학연구자, 문학교육자와 연계하여 새로 발견한 독법이 실제 연구와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이야기`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oncept of literary therapy was formulated in Korean literature research and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Therapy was formally established to shape the arena of study in earnest. Literary therapy has produced considerable results in terms of constructing theories and developing diagnostic tools. Literary therapy specifies that the “essence of literature is therapy” and it suggests a therapeutic process to “regulate experience repetitively by making one`s experience a basic event again.” Literary therapy aims to “discover and improve the epic of self.” “The epic of work” is used as a key instrument to “[change] the epic of self to be complete and healthy.” The core of the literary therapy is a “change.” Such a change assumes “the epic of an unhealthy self today.” Literary therapy is mainly interested in the unhealthy mind. However, it is now time to expand its definition, to encompass literary preventative therapy, since the epic of work has a great effect on the initial human epic of self, in relation to “narrative support.” Moreover, the advantage of literary therapy is its ability to contribute to shaping a healthy the epic of self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ew reading should therefore be provided for works that participate in shaping a basic epic of self in childhood. While the existing literature is biased toward the genre and social history of literary therapy, new literature should contain healthy narratives, in order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epic of self. To discover such narratives, literary therapy researchers have to internalize the “Father and Mother epic.” A literary therapy researcher who internalizes a strong “Father and Mother epic” may be called a “Mother-teller.” Today, many people sympathize with a fact that humans are narrative beings. There is increased recognition that humans become books by themselves. The epic of work or the epics of others` selves are deeply influential on the shaping and growth of one`s own epic of self. Now is the time to establish methods to operationalize the epic of work in the period of the epic of self. This would expand literary therapy researchers` roles from therapists to preventers. A literary therapy researcher should reflect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s to which children are exposed, and consider new useful readings for children`s epics of self. Additionally, literary researchers and educators should make an effort to actively “spread” these new readings in the fields of research and education.

      • KCI등재

        자기서사 진단도구의 개발 현황과 개선 방안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8 No.-

        자기서사는 문학치료학을 고유의 방법론을 가진 학문으로 정립하게 하는 핵심적 개념이며, 이에 대한 자기이해, 즉 자기서사 알기는 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 빠질 수 없는 과정이다. 그래서 문학치료학에서는 자기서사 진단검사도구들을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개발해 왔다. 학계에 보고되고 상용된 대표적 진단도구들은 `연쇄전개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 `자유연결형 자기서 사진단검사도구`, `서사분석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 `정서반응형 자기서사 진단검사도구`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검사도구들이 개발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고, 각검사도구들의 장단점을 논하며,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각 검사도구들의 문제점과 시행착오의 결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주어진 서사적 상황, 즉 인물, 배경, 제재가 되는 사건 등을 한 세트의 문항에서 통일할 것, 둘째, 참여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하도록 선택지를 간결하게 할 것, 셋째, 일관된 서사를 구성할 수 있는 서사능력보다는 자기서사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할 것, 넷째, 문학치료사의 개입이 최소화되어야 할 것 등이다. 이러한 개선 방향을 바탕으로, 기존의 `서사분석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와 유사한 형태를 지니지만 이를 간략히 변형한 `간략식 서사분석형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서사적 상황의 통일성을 갖추기 위해 하나의 진단서사에 대해 한 가지 선택을 하게 하였다. 이로써 선택 이후에 선택과 상관없이 다른 서사적 상황과 조우하게 되는 혼란을 줄이려하였다. 다음으로 직관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을 위해 한 번의 선택으로 하나의 서사가 완료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자기서사 형태 파악이라는 진단 목표에 정합적인 진단지 구성을 위해 네 가지 선택지를 마련하였다. 즉, 서사적 문제 상황과 그 해결 사이에 존재하며 서사의 성격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분기점에서, 가르기, 밀치기, 되찾기, 감싸기 방식으로 서사가 진행하는 네 가지 경로를 제시한 것이다. 이로써 참여자가 품은 자기서사 형태를 쉽게 분별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이로 인해 이 검사도구는 자기서사 진단의 결과도 거의 실시간적으로 보고될 수 있을 정도로 표준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Self-Epic” is a key concept that makes it possible to establish “Literary Therapy” as a unique theory. Almost all literary therapy programs included diagnosis as an essential aspect.. In this study, I examined various existing self-epic diagnostic tools and analyzed them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improving them. Cosequently, I proposed the “Brief Epic-Analyzing Self-Epic Diagnostic Tool” which is a transformed and simplified version of the existing “Epic-Analyzing Self-Epic Diagnostic Tool.” The newly developed tool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It is convenient for many target users such as students in a class; it facilitates selection with intuition; it is appropriately swift for testing, and the test results can be standard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