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택발명의 진보성 판단기준의 재조명 - 대법원 2021. 4. 8. 선고 2019후10609 판결 -

        박운정(Park, Unjung) 한국법학원 2022 저스티스 Vol.- No.188

        선택발명에 관해서는 선행 또는 공지의 발명에 그 상위개념이 기재되어 있다는 점에서 발명의 본질에 대해서부터 많은 논의가 있었다. 진보성 판단 시에 선택발명은 중복발명을 예외적으로 보호하는 것이라는 시각은 선택발명의 효과에 초점을 맞춰 왔고, 일반발명과 다르지 않게 바라보는 시각은 보통의 발명의 진보성 판단기준에 따라 구성과 효과를 함께 고려한다.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미국은 일관되게 선택발명을 다른 발명과 동일하게 취급해 왔다. 진보성 판단단계에서는 먼저 상위개념의 크기, 선택할 동기, 구조적 유사성 등을 고려하여 일응의 자명성(prima facie obviousness) 성립 여부를 살펴본 뒤, 성립하였다면 특허권자에게로 증명책임을 전환하여 예상치 못한 결과 등 2차적 고려사항에 의하여 추정이 복멸되는지를 판단한다. 유럽특허청(EPO) 심판원도 유사한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독일과 영국의 판례를 통해 각 회원국의 판례도 점차 조화를 이루어 왔음을 관찰할 수 있다. 반면 일본에서는 종래 이질적 효과 또는 동질의 현저한 차이 유무에 주목해 왔는데, 최근 들어 지적재산고등재판소 판결 등에서 구성의 곤란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등 변화가 감지된다. 우리나라도 효과에 초점을 두어 선택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해 왔는데, 최근 대법원 2021. 4. 8. 선고 2019후 10609 판결에서는 일반적인 발명의 진보성 판단기준이 선택발명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대상판결은 구성의 곤란성 판단에 고려해야 할 요소로 선행발명에 마쿠쉬 형식 등으로 기재된 화학식과 그 치환기의 범위 내에 이론상 포함될 수 있는 화합물의 개수, 선행발명에 마쿠쉬 형식 등으로 기재된 화합물 중에서 특정한 화합물이나 특정 치환기를 우선적으로 또는 쉽게 선택할 사정이나 동기 또는 암시의 유무, 선행발명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화합물과 특허발명의 구조적 유사성 등을 꼽는 한편, 선택발명에 있어서도 발명의 효과는 용이도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의 역할을 맡고 있음을 명확히 하였다. 대상판결은 구성의 곤란성을 나타내는 요인의 존부와 그 강도에 따라 진보성 인정에 요구되는 효과의 정도도 달라질 수 있다고 보는 것으로 생각된다. 구성의 곤란성도 인정되고 개선된 효과도 있으므로 진보성이 부정되지 않는다는 결론은 구성이 곤란한 정도에 따라 효과가 기존과 같이 현저한 정도에는 미치지 못하는 선택발명의 진보성도 인정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 구체적 적용은 향후 판례와 논의의 축적을 통해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하겠으나, 위와 같은 점에서 대상판결은 선택발명의 진보성 판단기준을 재조명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enigma of selection invention has called for a wide range of discussions by its nature that claims a species of a genus already disclosed in the prior art, starting with the inherent question whether we should treat it as an invention overlapping with the prior arts that is given protection only as an exception, or just the same as other types of inventions. In assessing the inventive step, those who take the former view have focused on whether the invention has a remarkable effect, whereas the latter view leads to the application of the general standard that considers both whether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for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derive the selection invention and whether the invention has a remarkable effect compared to the prior arts. The U.S. has been consistent in treating selection inventions the same as other types of inventions. If the invention is prima facie obvious based on overall consideration of the prior arts in relation to the size of the genus, teachings to make or avoid the selection, and the structural similarity, the burden of proof is now on the patentee to show that the presumption is rebutted by unexpected result or other secondary considerations. The EPO Boards of Appeal take the similar approach. German and U.K. cases indicate that the member states have narrowed the gap in their practices over time. Meanwhile, Japan conventionally focused on whether a selection invention offers a qualitatively different effect or quantitatively remarkable difference. However, changes in trend are noticed as the IP High Court expressly reviews whether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reach the selection invention from the prior arts in recent cases. Korea has also focused on effect. Yet, the Supreme Court recently held in its 2019Hu10609 decision on April 8, 2021 that the general inventive step standard also applies to selection inventions. It also identified the factors to assess whether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derive the selection invention as, among others, the number of compounds that can be theoretically included in the Markush claim in the prior art, the circumstance, motivation, or suggestion to preferably or easily select the particular compound or substituent, or structural similarity of the selection invention and the compound specifically disclosed in the prior art. The decision then clarified that the effect of an invention serves as the ground to determine whether the invention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prior arts just as in the overall inventive step analysis. Thus, seemingly, the more difficult it is to derive the selection invention, the less effect is required to show the inventive step. The Court’s conclusion that apixaban, the selection invention at issue, does not lack an inventive step as it is difficult to derive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also has an improved effect suggests that a selection invention may have an inventive step even without a remarkable effect, depending on the difficulty to derive the species from the genus. As such, while the way future cases and academic discussion unfold would be crucial to better understand how the decision is to be applied, the decision is meaningful as shedding new light on the inventive step standard for selection inventions.

      • KCI등재

        시공간 데이타베이스에서 다차원 시퀀스 데이타의 선택도추정

        신병철(Byoung-Cheol Shin),이종연(Jong-Yu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34 No.1

        선택도 추정 기법은 질의 최적화를 위해 현재 상용 데이타베이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히스토그램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선택도 추정 기법중의 하나이다. 최근에 시공간 데이타베이스 관련 연구들에서 이러한 선택도 추정 기법이 기존의 시간?공간 데이타베이스 선택도 추정 기법을 확장하여 활발하게 연구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시공간 데이타베이스 선택도 추정 연구는 주로 이동 객체와 같은 시계열 데이타만 고려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는 과거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 시간적 범위 질의에 대한 선택도 추정은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 데이타베이스에서 과거 시점에서 현재시점까지 시퀀스 데이타의 시간적 범위 질의를 위한 히스토그램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효과적인 선택도 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히스토그램을 이용하면 과거부터 현재까지 시퀀스 데이타의 선택도 추정이 가능하고, 범위 시간 선택도 추정 기법이 가능하며 효과적인 히스토그램 유지 기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Selectivity estimation techniques in query optimization have been used in commercial databases and histograms are popularly used for the selectivity estimation. Recently, the techniques for spatio-temporal databases have been restricted to existing temporal and spatial databases. In addition, the selectivity estimation techniques focused on time-series data such as moving objects. It is also impossible to estimate selectivity for range queries with a time interval. Therefore, we construct two histograms, CMH (current multidimensional histogram) and PMH (past multidimensional histogram), to estimate the selectivity of multidimensional sequence data in spatio-temporal databases and propose effective selectivity estimation methods using the histograms. Furthermore, we solve a problem about the range query using our proposed histograms.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histograms for range queries with a time interval through various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

        선택발명의 진보성 판단기준으로서의 선택의 곤란성 - 대상판결: 대법원 2021. 4. 8. 선고 2019후10609판결 -

        최승재 대한변호사협회 202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99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clarified meaning of the selection invention standard in April 2021. Before this case, the standard for inventive step of selection invention has been repeatedly stipulated by many different Korean Courts in a number of cases. We could say that the jurisprudence under the context of the inventive step or non-obviousness of the selection invention is well established in a sense. The selection invention is an invention that states the element of a preceding or already publicized invention as its superordinate concept and whose elements entirely or partly consist of subordinate concepts derived from the above superordinate concept. Korean Supreme Court’s Decision, a patent can be granted to a selective invention on the following conditions. First, a preceding invention has not yet disclosed subordinate concepts comprising a concrete selective invention; second, subordinate concepts possess either different effects or substantially larger effects. In the decision 2021 of Korean Supreme Court, the difficulty of the selection is to be an element of the reason not to be rejected or invalidated in the context of the non-obviousness. In Japan and Korea for a while, the selection invention is understood as a non- invention because it is a sort of double patenting. However we can acknowledge the selection invention as an invention because it is useful from the industrial standpoint. Due to this reason, it has to be understood that the patent admissibility of them as a patent has to be narrowly tailored. This sense of understanding shows us that the ONLY case to be admitted as a patent up to now in the history of Korean Court is the Olanzapine case. In this paper after reviewing the attitude toward the selection invention of the countries including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Japan and Korea are the two countries which apply the strict standard to the selection invention. However even the Japan seemed to turn their position to much a agreeable position to the selection invention since 2018. I was very doubtful to the effect ONLY standard of the selection invention and Korean Supreme Court 2021 decision come to be on the same page with my opinion. ①The difficulties of the selection among the candidates has to be the equivalent factor as is the same case with the difficulties of the assembly of the already existing parts and products. ②The meaning of the selection does not simply mean that the PHOSITA knew the any possible subset of the subordinate concepts. ③The non-obviousness can be denied when the inventor was suggested, motivated or taught by the prior art and it was very obvious to try the selection of the subordinate concepts. 대상판결은 선택발명의 경우에도 다른 발명과 같이 진보성 판단에 있어서 구성의 곤란성을 고려하도록 함으로써 정립된 법리라고 할 정도로 반복되고 있었던 기존 판례를 정리한 의미를 가진다. 대법원은 기존 하급심이나 실무해석이 대법원 판결의 취지를 오해했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선행 또는 공지의 발명에 구성요건이 상위개념으로 기재되어 있고 위 상위개념에 포함되는 하위개념만을 구성요건 중의 전부 또는 일부로 하는 선택발명은, 첫째, 선행발명이 선택발명을 구성하는 하위개념을 구체적으로 개시하지 않고 있으면서(신규성), 둘째, 선택발명에 포함되는 하위개념들 모두가 선행발명이 갖는 효과와 질적으로 다른 효과가 있거나, 질적인 차이가 없더라도 양적으로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경우(진보성)에 한하여 특허를 받을 수 있다는 결론은 이제 선택의 곤란성이 인정되면 진보성이 부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판례의 태도로 정리되었다. 선택발명은 중복발명이므로 원래 특허를 받을 수 없는 것을 예외적으로 산업상의 필요가 있어서 특허를 인정하는 것이니 엄격하게 특허요건을 적용하여야 하고, 양적인 측면에서의 효과의 현저성 또는 질적인 효과의 차이가 존재하여야 진보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보는 일본 법원의 태도에서 벗어나 선택발명이라고 해서 선택의 곤란성, 즉 구성이 진보성 판단에서 고려될 수 없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는 미국의 태도와 유사하게 접근한 것이며, 우리나라의 법문과도 부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나라가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의 문제와는 별개로 필자는 기본적으로 선택발명이 중복발명인지 부터가 의문이다. 그리고 선택발명의 진보성 판단에서 선택의 곤란성은 결합발명에서의 결합의 곤란성과 마찬가지로 진보성의 근거가 된다. 선택이 가능하다는 것은 막연한 선택의 가능성이 아니라 그와 같은 선택을 할 가능성, 즉 그런 시도를 하는 것이 자명한 것인가의 문제가 되어야 하며, 이런 점에서 선택발명에서도 효과의 측면뿐만 아니라 선택(구성)의 곤란성도 선택발명에서 진보성이 인정되어야 할 근거가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본고에서는 미국 법원의 시도자명 법리를 참고하여 선택발명에서의 선택의 곤란성을 진보성 판단기준으로 보아야 한다는 입론을 제시하였다. 이런 논의는 특허법원 2019. 3. 29. 선고 2018허2717 판결(아픽사반 판결)을 파기환송한 대법원의 판결(대상판결)에 의해서 채택되었다. 대법원의 판결태도는 타당하다고 보이며, 향후 법리에 따른 판례들을 통해서 적용례가 정립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성선택과 美的 진화의 상관성

        백영제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79 No.-

        이 논문은 인류의 진화사에서 과거 조상들이 미적 감각과 미적 감성을 획득하게 된 데에 성선택sexual selection과의 관련이 작용했을 가능성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찰스 다윈과 데이비드 버스 및 제프리 밀러를 참조하는데, 다윈은 성선택 이론을 정초하였고 데이비드 버스와 제프리 밀러는 다윈 이후 성선택 이론을 정교하게 다듬은 동시대의 진화심리학자들이다. 다윈은 『종의 기원』을 통해 제출했던 자연선택 이론으로 잘 설명되지 않는 문제들, 곧 번식의 문제와 성의 진화 문제를 성선택 이론으로 다루었다. 어떤 수컷이 다른 수컷에게는 없는 어떤 감각기관과 같은 구조를 획득하고 있는 것은 생존경쟁에 적합하기 때문이 아니라 번식과 생식에서 다른 수컷보다 유리한 이점이 그들의 수컷 새끼들에게 전달되었기 때문이며, 이러한 경우가 자연선택이 아닌 성선택이 작용한 결과라는 것이 다윈의 설명이다. 데이비드 버스는 남녀 간의 짝짓기 전략을 중심으로 성의 진화와 관련한 인간의 심리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밝혀내고 있는데, 건강과 헌신성에 대한 선호와 함께 신체의 적정한 비율과 대칭적 얼굴에 대한 선호 성향들이 성선택에서 배우자에 대한 미적 선호의 기준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데이비드 버스는 인간의 미적 감각이 후천적으로 습득되기 전에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형질이라는 점에도 주목하고 있다. 제프리 밀러는 자연선택과 관련한 생존주의 가설로는 인간 문화의 유희적인 측면들과 장식적인 요소들, 그리고 음악, 미슬, 스포츠, 드라마, 코미디, 정치적 이상 등에 대해서 납득할 만한 설명을 내놓지 못한다는 점을 말하면서, 인간의 마음에서 가장 독특한 측면의 대부분이 우리 조상들의 짝 고르기를 통해 진화해왔음을 강조한다. 미적 감성과 같은 인간 마음은 성선택을 통한 번식이익 추구의 기능을 면밀히 들여다보아야만 마음의 진화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논문의 검토를 통하여 성선택 이론을 중심으로 한 이들의 논의가 인간이 갖는 풍부한 미적 감성과 미적 소양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인류가 지닌 특유의 미적 감각이 형성되고 획득된 계기와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는 유효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xual selection and aesthetic evolution, and it has a purpose to research a probability t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such as aesthetic senses and sensibilities has given by sexual selection of the ancient human ancestors. For this aim, this thesis referred Charles Darwin and David Buss and Geoffrey Miller. Charles Darwin formulated the sexual selection theory, and David Buss and Geoffrey Miller are evolutionary psychologists who elaborated the sexual selection theory after Darwin. Darwin dealt with the problems of reproduction and sexual evolution by sexual selection theory, because they wasn't explained well by natural selection theory. Darwin explain as follows : “since in such cases the males have acquired their present structure, not from being better fitted to survive in the struggle for existence, but from having gained an advantage over other males, and from having transmitted this advantage to their male offspring alone, sexual selection must here have come into action.” David Buss demonstrat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human being concerning sexual evolution centering on the men and women’s mating strategies. He discuss on the aesthetic preferences for health and commitment, appropriate ratio of body, symmetrical face. In the result, he emphasize that the innate character such as aesthetic senses has given by sexual selection. According to Geoffrey Miller, even if the survivalist theory could take us from the world of natural history to our capacities for invention, commerce, and knowledge, it cannot account for the more ornamental and enjoyable aspects of human culture: art, music, sports, drama, comedy, and political ideals. He argue that the most distinctive aspects of our minds evolved largely through the sexual choices our ancestors made. Through the study of this thesis, I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their discussions are a convincing explanations for the aesthetic senses and sensibilities that human being has developed by sexual selection.

      • KCI등재

        선택발명의 일부 효과가 현저한 경우 진보성 판단 -대법원 2012. 8. 23. 선고 2010후3424 판결-

        김원준(Kim, Won-Joon) 한국정보법학회 2013 정보법학 Vol.17 No.1

        이 논문은 선택발명의 진보성 판단에 대한 대법원 2012. 8. 23. 선고 2010후3424 판결(대상판결)을 고찰하였다. 선택발명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 작용효과의 기재 수준에 관하여 대법원 2003. 4. 25. 선고 2001후2740 판결은 선택발명의 진보성이 인정 되기 위해서는 선택발명을 구성하는 여러 화합물 모두가 우수한 효과를 가져야 하며, 모두가 아닌 일부가 현저한 효과를 가지면 진보성이 부정된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대상판결에서는 선택발명의 진보성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선택발명에 여러 효과가 있는 경우에 선택발명의 모든 종류의 효과가 아니라 그 중 일부라도 선행발명에 비하여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고 인정되면 충분하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종전의 판결의 취지를 획기적으로 변경한 판결로서 선택발명의 효과 기재의 범위를 완화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대상판결에서 명칭을 ‘약제학적 화합물’로 하는 특허발명에 대해 Y가 특허권자 X 를 상대로 선택발명으로서 진보성 등이 부정된다는 이유로 등록무효심판을 청구한 사안에서, 위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2항은 ‘올란자핀(Olanzapine)’을 특허청구범 위로 하는 발명으로서 비교대상발명 1의 선택발명에 해당하고 비교대상발명 1에 구체적으로 개시된 화합물들 중 올란자핀과 가장 유사한 화학구조를 가지는 ‘에틸올란 자핀(Ethyl Olanzapine)’과 비교하여 정신병 치료 효과면에서 올란자핀이 에틸올란자 핀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고 단정하기 어렵지만, 콜레스테롤 증가 부작용 감소라는 이질적인 효과를 가진다고 인정되므로, 위 특허발명은 비교대상발명 1에 의하여 진보성이 부정되지 아니함에도 이와 달리 본 원심판결에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선택발명의 특허요건으로서 신규성과 진보성을 이원적으로 분리하여 판단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다수의 학설과 판례는 각 청구항별로 선택 발명의 특허요건을 제1, 2요건으로 구분하여 신규성과 진보성을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The subject of this article is the inventive step decision when partial components of the selection invention have noticeable effects focusing on reviewing the Supreme Court decision on August 23 rd , 2012, case number 2010 Hu 3424 (Objective decision), as it pertains to decid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ventive step of a selection invention. For the effect requirement that must be met by th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selection invention, Supreme Court decision on April 25 th , 2003, case number 2001 Hu 2740,stated that all components of the selection invention should have outstanding effects in order for it to have a valid inventive step, so that an inventive step is not granted if only some of the components have noticeable effects. The objective decision here, however, stated that to reach a decision about the inventive step, it is sufficient if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selection invention were determined to exhibit noticeable effects when compared to an antecedent invention. The objective decision innovatively altered the precedent decision and has significant import because it proposes liberalized decision criteria for what is effectively required of the selection invention. In the objective decision, Y claimed a registration invalidation trial against X for a patented invention named ‘pharmaceutical compound’ on the grounds that the invention lacked an inventive step of the selection invention. The objective decision stated the misrepresentation of legal principles in the original court’s judgment even though the patented invention had a valid inventive step when compared to the comparative object invention 1. This was because the section 2 of the patented claim included Olanzapine which was relevant when comparing the selection invention to the comparative object invention 1. Among the specified compounds of the comparative object invention 1, Olanzapine was compared specifically to Ethyl Olanzapine of the comparative object invention as they were the most similar in chemical structure. Although Olanzapine did not have distinguished outstanding effect in terms of psychiatric treatment, it was acknowledged to have a different effect in so far as it had the a side effect of increasing cholesterol. As patent requirements of the selection invention in question, novelty and inventive step could be separately examined. The case classified the patent requirem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requirements to independently determine novelty and inventive step.

      • KCI등재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 취업가능성, 취업전략, 전공희망취업에 미치는 영향 - 세무회계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

        임대규,권해숙,오원정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세무회계전공 대학생들의 능동적 전공 선택과 수동적 전공 선택이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 취업가능성, 취업전략, 전공희망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즉 능동적 전공 선택과 수동적 전공 선택이 종속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의 목적인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가설 1의 분석결과는 능동적 전공 선택과 수동적 전공 선택 모두 전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세무회계전공에 대한 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높다고 해석된다. 다음으로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수업참여도와 취업가능성이 달라지는지를 검증한 결과 능동적으로 전공을 선택한 경우에만 수업참여도와 취업가능성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수업참여도 및 취업가능성이 달라진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전략 및 전공희망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한 결과 능동적 전공 선택 및 수동적 전공 선택 모두 유의한 양(+)의 계수값을 보이지만 능동적 전공 선택의 계수값이 보다 크게 나타나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크다는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능동적으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보다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 취업가능성, 취업전략, 전공희망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수업만족도와 취업가능성에 있어 전공선택동기가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에서는 전공선택동기를 고려하여 세무회계 전공교과목 구성과 운영은 물론 취업준비활동을 위한 교육을 차별적으로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e major selection and passive major sele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ax accounting on their major satisfaction, class participation, employment possibility, employment strategy, major hope for employment. In other word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selection of active majors and the selection of passive majors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s of Hypothesis 1 to verify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and the satisfaction on its major showed that both the active majors selection and passive major sele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For this reason, it is interpreted that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tax accounting is high. The analysis results of both Hypothesis 2 and Hypothesis 3 to examine whether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ass and employment possibility vary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major selection show that only when the students selected the majors actively, they can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ass and employment possibility. For this reason, the analysis show that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lass and employment possibility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majors on the employment strategy and the desired employment of the majors showed both the active majors and the passive maj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efficient. The result also showed that because the coefficient of the active major was larger than the coefficient of the passive major, the degree of influence of active majors selection is larger than the degree of influence of passive majors selection .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actively selected their maj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major satisfaction, class participation, employment possibility, employment strategy, major hope for employment. These analyses are suggesting that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lass participation and the employment possibility.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their majors in the operation of tax accounting major courses and job - related education. Despite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and challenges. First,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lated factors, because the measurement items are limited in measuring the students’ preferred employment, class participation, employment possibility, and employment strategy, major hope for employment. In future research, measurement tool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ax accounting major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 Second, this study is carried out for only two-year students of tax accounting major in metropolitan area.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identities by carrying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year and four-year students in a wide area. Third, in this study, we examined factors such as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major satisfaction, and the degree of class particip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on how these factors influence on the result of employment.

      • KCI등재후보

        선택발명의 명세서 기재요건

        이진희 사법발전재단 2019 사법 Vol.1 No.50

        The discussion on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of a selection invention is focused on to what extent the effect of the invention should be record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satisfy the enablement requirement. Previously, the courts recognized the inventive step of a selection invention only when it exhibits qualitatively different effect, or, substantially different quantitative effect compared to the prior art, without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creating the invention. This position of the court has raised the question of to what extent the effect should be written in the description, stirring up the discussion as the above. In the case of an invention of chemical substance, there is little dispute that it is a type of product inventions and that the enablement requirement is met so long as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iscloses a chemical structural formula,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effect that demonstrates industrial utility of the substance, as these are what makes the enablement of the invention possible by means of producing and using the invention. However, although practically most selection inventions are chemical substance inventions,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 extent to which the effect of an invention should be sta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satisfy the enablement requirement. In particular, the views that impose stricter criteria for selection inventions than ordinary chemical substance inventions, such as the one that requires quantitative description in principle when the selection invention’s effect is qualitatively homogeneous to that of the prior art in nature, perceive that a patent protection for a selection invention is given as an exception due to the selection invention’s effect that remarkably distinguishes it from the prior arts, and this effect is what gives rise to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selection invention. These views take the logical structure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able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selection invention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 order for the pertinent selection invention to fulfill the enablement requirements. Some even suggest that a selection invention is completed when the inventor discovers this effect. However, whil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a selection invention arising from the effect that remarkably distinguishes the invention from the prior art may be what justifies patent protection of the invention, the effect does not need to be recogniz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ecise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invention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the completion of an invention, a selection invention, as a product invention, is completed when the inventor manufactures the substance having utility and confirms the existence thereof; the completion of an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inventor to verify the remarkable effect that distinguishes the pertinent invention from the prior art. In conclusion, the remarkable effect distinguishing a selection invention from the prior art, i.e., what makes the selection invention significant and valuable, should be considered as a factor in determining the inventive step, not in fulfilling the description requirement. Therefore, in essence, a selection invention, as a product invention, should be considered to have satisfied the enablement requirement once its effect is described in qualitative terms within the scope that industrial utility is verifiable. 선택발명의 명세서 기재요건에 관한 학설상 논의의 중심은 발명의 설명에 효과를 어느 정도 기재하여야 실시가능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지에 있다. 논의가 이러한 방향으로 전개된 배경에는 종래 법원이 선택발명의 경우 구성의 곤란성을 고려하지 않고 선행발명에 비해 이질적이거나 동질의 현저한 효과를 보일 때에만 진보성이 부정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면서, 과연 명세서에는 그 효과를 어느 정도 기재하여야 하는가라는 문제의식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화학물질발명의 경우 물건의 발명의 일종으로서 원칙적으로 발명의 설명에 그 물질의 화학구조식, 제조방법 및 산업적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효과 기재가 있으면 이를 생산하고 사용하는 등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실시가능 요건을 충족한다는 것에 대해 별다른 이견이 없다. 그런데 선택발명은 실질적으로 그 대부분이 화학물질발명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발명의 설명에 효과를 어느 정도 기재하여야 실시가능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양한 견해들이 있다. 특히 선행발명과 동질의 효과를 가지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정량적 기재를 요구하는 견해 등 선택발명에 대해 일반적인 화학물질발명의 경우보다 엄격한 기준을 제시하는 견해들은 기본적으로 선택발명에 대해서는 선행발명과 차별화되는 현저한 효과 때문에 예외적으로 특허를 부여하는 것이고, 이 점이 선택발명으로서의 의의와 가치라고 본다. 또한 이 견해들은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의 설명을 통해 선택발명의 이러한 의의와 가치를 인식할 수 있어야 실시가능 요건을 충족하는 것이라는 논리구조를 취한다. 나아가 일부 견해는 발명자가 이러한 효과를 발견함으로써 선택발명을 완성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선행발명과 차별화되는 현저한 효과라는 선택발명으로서의 의의와 가치는 선택발명을 특별히 특허로 보호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있는 가치에 해당할 수는 있지만,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의 설명을 통해 그 발명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재현하기 위해 인식해야 할 가치는 아니다. 또한 발명의 완성이라는 측면에서도 물건의 발명인 선택발명은 유용성을 가지는 물질을 제조하여 그 존재를 확인하는 것 자체로 완성되는 것이고, 발명자가 선행발명과의 관계에서 차별화되는 현저한 효과까지 확인하여야 비로소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선행발명과 차별화되는 현저한 효과라는 선택발명의 의의와 가치는 명세서 기재요건 단계가 아니라 진보성 단계에서 선택발명에 특허를 부여할 것인지의 판단 과정에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고, 본질적으로 물건의 발명에 해당하는 선택발명은 그 산업적 유용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효과를 정성적으로 기재하면 실시가능 요건을 충족한다고 보아야 한다.

      • KCI등재

        고등학교 2,3학년의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 선택경향 및 원인 분석

        신승호,김승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ch th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7th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analyze the selecting tendency in selection -focused curriculum, to find out the better teaching method for physical training class and to give basic data needed for using selection -focused curriculum. To attain this purpose, this paper dealt with the survey with the 1st-2nd grade students, 1,173 students who live in cities and counties whose population is more than 200,000 and less than 100,0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selective subjects, the order of selecting tendency of art, music, physical subjects was, first,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 then music and life, finally art and life. The choice rate of boy students and high graded group was high in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The choice reason was that they could release stress through physical training. Boy students, high graded group and city's group mainly thought like that. Second, in intensive selecting subjects, the order of selecting tendency of art, music, physical subjects was, first, the practice of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then the practice of art and life, finally, the practice of music and life. The choice rate of boy students and high graded group was hight in the practice of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The main factor to influence them in choosing one of art, music, physical subjects was his own favorite, that is, his own subjective judgement about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고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경향과 원인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체육교과 운영 방법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 선택 중심 교육과정 적용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 1-2학년생 1,173명을 대상으로 응답제한형 자기기입법으로 완성된 질문지를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선택 과목 중 예체능 과목의 선택경향은 ‘체육과 건강’, ‘음악과 생활’, ‘미술과 생활’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과 상위 성적 집단의 ‘체육과 건강’ 선택 비율이 높았으며, ‘체육과 건강’을 선택한 이유는 ‘체육(운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어서’의 비율이 높고, 남학생, 도시지역, 상위 성적 집단이 상대적으로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화 선택 과목 중 예체능 과목의 선택경향은 ‘체육실기’, ‘미술실기’, ‘음악실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예체능 과목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자기 자신’ 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교과에 대한 자신의 주관이 교과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직업군인 선택변수가 직업 만족도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승용,임재욱,권혜정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2

        The selection variables that affect securement of Elite Military Resources, in Volunteer System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development plan was research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duce required changes of the organization by suggesting future development ideas. The professional soldiers selection variables are stability of the profession, welfare benefits, environmental factor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were selected and profession with satisfaction level was examined.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surveys conducted on actual serving soldier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ofessional soldiers selection variables factors are stability of the profession, welfare benefits, environmental factor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affected selected and profession with satisfaction level. Moreover, the impa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job selection satisfaction has all been significant. It can be inferred that if the factors considered to select career soldiers are satisfied, they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choosing career applicants and thus lead to the achievement of superior employe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termined to provide more empirical and objective information to enable vocational officers to select careers for career applicants by increasing vocational choice of career soldiers. In Addition, when recruiting military personnel in the future, the military may provide basic data for extracting the necessary changes in securing personnel. 조직에서 우수한 인적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인적자원 확보와 관련된 정책 및 전략 수립은 해당 조직의 발전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최근 군에서도 우수자원 확보를 위한 대책을 모색해야 할 시기가 도래하고 있으며, 특히 간부 지원율 감소, 저출산에 따른 적정 병력확보 제한, 국방개혁 및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적정 군사력에 대한 고려 등 최근의 사회적인 변화들로 인하여 군에서의 우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병제 도입 시 군 우수자원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변수들이 직업군인을 선택하는 영향 요인에 대하여 확인하고, 이 변수들과 직업 선택 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여 이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군 우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변화 필요사항 도출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직업군인 선택을 위한 선택변수를 직업안정 요인, 복지후생 요인, 생활 및 환경적 요인, 공직동기 요인, 발전가능 요인의 5가지로 구분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직업선택 만족도와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역 장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군인 선택을 위한 선택변수인 직업안정 요인, 복지후생 요인, 생활 및 환경적 요인, 공직동기 요인, 발전가능 요인이 직업선택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선택 만족도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직업군인을 선택하기 위해 고려하는 선택요인들이 충족될 경우 직업선택 만족도를 높여주고 군 차원에서는 우수자원 확보라는 성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업준비생들의 직업군인 선택변수가 직업선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를 규명함으로써 직업군인을 선택하는 인원을 증가시켜 군의 우수자원 확보라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보다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고, 향후 군 모병제 도입 시 군이 우수자원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변화사항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영업 선택의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전병유 한국노동경제학회 2003 勞動經濟論集 Vol.26 No.3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에서 자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금전적인 제약과 실업률로 대표되는 경기적 요인이 자영업 선택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 1~4차년도 자료와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력이나 직업 경험과 같은 인적자본은 남성의 자영업 선택에 정(+)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의 경우에는 직업 경험이 자영업 선택에 부(-)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낫다. 부동산 자산 소유는 고용주 선택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금융 자산 소유에 따른 소득은 자영업 선택에 오히려 부(-)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적인 문화와 환경 조건을 반영하는 자영업 경험 여부 또는 부모가 자영업인가의 여부는 남녀 모두 유의하게 자영업의 선택 확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가장 관심있게 검토한 실업률과 자영업 선택 간의 관계는, 우선 미시적인 분석에서 선택편의와 예상소득기회의 차이를 통제한 구조 모형에서 실업률은 유의하게 정(+)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시 분석에서도, 경기변동과 노동시장의 조건을 반영하는 실업률과 자영업 선택 간의 관계는 외환위기 이후 대체로 정(+)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자영업은 실업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라는 '밀어내기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변동에 대응하는 자영업 선택에 관한 개인의 의사결정에서 자영업 선택에 따른 소득기회와 관련된 여러 가지 불확실성과 개인적 특성의 차이 등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nalysing the factors determining individuals' behavior of selecting self-employment not only at the micro-lev디 but also at the macro-level to put a particular emph asis on the financial constraint and unemployment rate representing business cycle .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Korean Labor and Income Panal Study』 of the Korea Labor Institute and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of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uman capital such as edu cational attainment and job experience has positive effects on male's selection of self-employment. The effects of job experience, however, changed negative for female's selection of self-employment. Second, real estate is signific antly enhancing the selection probabilities of employer selection while the income from financial assets has negative effects. Third. entrepreneurial culture and enviro nment are also raising the self-employment selection probability. Lastly, the regio nal unemployment rate representing the business cycle has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mployment selection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both at the micro and macro level. Moreover, the coefficient of regional unemployment rate has ch anged positive in the structural model of self-employment selection controlling f or selection bias and income opportunities, which means that individual's behavior of self-employment selection is rather complex when accounting for the uncertainties of income opportunities and diverse characteristics of self-employmen t workfo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