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보보안정책지향성과 준수의도의 관계: 비밀정보취급의 환경에서

        박종원,우현종,김현규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7 기업경영리뷰 Vol.8 No.1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his research identified how the different factors of information security strategy orientations influence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of users. With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addressing information security problem this research introduces a new model, Information Security Policy Orientation Model ,with new concepts called Prevention Oriented Policy and Deterrent Oriented Policy.. The results of hypotheses test show that six out of eight hypotheses are supported. Specifically, POPM(the recognition toward Prevention Oriented Policy Means) has positive effect on PB(positive belief of information security to comply). The more POPM the employees recognized, the more PB(positive belief of information security to comply) they had. On the other hand, POPM negatively affect NB(negative belief of information security to comply). DOPM(the recognition of Deterrence oriented policy means) affects PB positively and NB negatively. Both POPM and DOPM have interaction effect on NB. Interestingly, POPM has stronger relationship with PB as well as NB than DOPM. Lastly, PB has positve efffect on IC(intention to comply information security policy) whereas NB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IC.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high investment on both POPM and DOPM to improve IC by increasing PB and decreasing NB.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o allocate resources more in POPM rather than in DOPM in case of resource shortag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xtension of knowledge base wit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encompassing crime deterrence theory,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theory and psycholog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si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gnition, beliefs, and intention to comply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t would provide information managers with the guideline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information security strategy and policies in organizations. Second, the practitioners could prioritize the investment on information security polic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ird, it is recommended to strengthen the strategic link between the business strategy and information security strategy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between productivity and information security policy. 본 논문은 비밀정보를 취급하는 특수한 조직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동이론(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에 근거하여 정보보안정책 지향성이 사용자들의 정보보안준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데 초점이 있다. 기존 문헌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본 연구는 전략적 정보보안준수모델이라는 새로운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여 구조방정식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1) 정보보안정책을 예방지향성과 억제지향성의 두 가지 개념으로 구분하였고, 2) 기존의 정보보안연구분야에 범죄학과 심리학의 이론을 접목하여 학제적 개념들을 융합하여 이 분야의 지식기반을 넓히는데 있다. 실증적 분석 결과, 정보보안 준수혜택에 대한 신념은 준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준수비용에 대한 신념은 준수의도에 그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준수 결과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예방지향적 정책에 대한 인지가 억제지향적 정책에 대한 인지보다 그 영향이 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유형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준수비용에 대한 신념이 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술통계적인 관점에서 준수비용에 대한 신념이 준수의도와 부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준수비용에 대한 신념의 수준이 낮아지면 준수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두 유형의 정책수단의 효과가 준수비용에 대한 신념과 모두 부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결국 두 정책수단의 효과를 높이면 준수비용에 대한 신념의 약화를 거쳐 준수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두 정책지향성의 인지가 신념에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방지향성과 억제지향성에 대한 인지 수준을 동시에 높게 유지하는 것이 낮게 유지하는 것보다 준수비용의 신념을 더 저하시켜 준수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북한의 치안정책에 관한 연구

        김창윤 한국경찰학회 2020 한국경찰학회보 Vol.22 No.4

        In this study,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I analyzed the governance philosophy, government systems and national policies of successive governments developed in North Korea. At that time, I would like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police security policy and the shape of the police security system. The specific research conducted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analyze North Korea's police security policy,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police security system,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North Korea's governance philosophy,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orth Korean national system,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North Korean social control system are explained. Firstly, I analyzed the three major social control institutions of North Korea, the National Guard, the social security, and the People's Guard Bureau, and conducted a study on the overall social control system of North Korea. Second, I examined the concrete content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governing philosophy of the successive North Korean governments and their policies. Thirdly, I analyzed the state of police security policy in line with successive North Korean government's governing philosophy and government policies. Finally, I analyzed the security system by North Korea's police security policy by successive governments. This confirms the actual state of North Korea's governance philosophy, national policy, police security policy, and police security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im Il Sung's governing philosophy was “Marx-Leninism” and “Kimilsungism”(Juche Ideology). The Kimilsungism(Juche Ideology) stipulated in the party's unique guiding ideology was stipulated in the party agreement as “Kim Il Sung's Kimilsungism”(Juche Ideology). North Korea advocates a special governing philosophy unique to North Korea, and the Kimilsungism(Juche Ideology) became the basis of the North Korean style dictatorship system. Since the end of the 1980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named the “subjective ideal socialism” as the defensive logic for the survival of the system, in a crisis situation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social sphere of Eastern Europe and the end of the Cold War. The national policies are: ① Socialist People's Republic establishment policy, ② Voluntary socialist state construction policy, ③ Crowd mobilization policy, ④ Policy of establishing a totalitarian dictatorship system, ⑤ Three major economic construction route policies, ⑥ Policy of reign politics and broad politics. The police security policies in line with the national policy were ① the sweeping policy of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supporting forces, ② great purge and political inspection policy, ③ the communist policy of promoting beauty, and ④ the system maintenance policy through public security rule. Secondly, the Kim Jong Il government presented Seongun idea(priority of army) rooted in the Kimilsungism(Juche Ideology) as a governing philosophy for the construction of a great socialist power. Through the 2009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Kim Il Sung Constitution) and the 2010 revision of the Party Covenant, the Kim Jong Il government have established a “principle of military thinking that embodies the Kimilsungism”(Juche Ideology) as the governing philosophy. The country's policies were ① Royal rule, military power enhancement and national system control policy, ② Strong power great nation policy, and ③ Military-oriented priority of army policy. Police security policies in line with the national policy were ① a policy of expanding punishment for exiles and North Koreans, and ② a non-social element clearing policy. Third, the Kim Jong Eun government, through the 4th Party Delegation in 2012, stated that “Kim Il Sung-Kim Jong Il's attention was the only guiding idea, the highest platform of the party. ... 본 연구는 1945년 해방 이후 북한에서 전개된 북한의 통치이념 및 정부체제 그리고 국가정책을 분석하고, 이 당시 북한 치안정책의 특징과 치안제도의 모습은 어떠했는지를 각 시기별로 고찰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진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일성 정부의 통치이념은 ‘마르크스-레닌주의’와 함께 ‘주체사상’이 통치이념이었다. 당의 ‘유일적 지도사상’으로 규정된 주체사상은 당 규약에 “김일성의 주체사상이 당의 공식 지도이념”이라고 규정되었다. 국가정책은 ①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수립 정책, ② 자주적 사회주의 국가건설 정책, ③ 군중동원 정책, ④ 전체주의적 독재체제 구축 정책, ⑤ 3대 경제건설 노선 정책, ⑥ 인덕정치와 광폭정치 정책 등이었다. 국가정책에 따른 치안정책은 ① 일제잔재 및 지주세력 소탕 정책, ② 대숙청 및 정치사찰 정책, ③ 공산주의적 미풍 진작 정책, ④ 공안통치를 통한 체제유지 정책 등이었다. 둘째, 김정일 정부는 주체사상에 뿌리를 둔 선군사상을 사회주의 강성대국 건설을 위한 통치이념으로 제시하였다. 2009년 헌법(김일성 헌법) 개정 및 2010년 당 규약 개정을 통해서 ‘주체사상을 구현한 선군사상’을 통치이념으로 공식화하였다. 국가정책은 ① 유훈통치 및 군사력 증강 그리고 체제단속 정책, ② 강성대국론 정책, ③ 군사중심의 선군정책 등이었다. 국가정책에 따른 치안정책은 ① 사회이탈자 및 탈북자 처벌 확대 정책, ② 비사회주의적 요소 척결 정책 등이었다. 셋째, 김정은 정부는 2012년 제4차 당대표자회를 통해 “김일성-김정일주의를 유일한 지도사상으로 하고, 온사회의 김일성-김정일주의화를 당의 최고 강령으로 한다.”는 내용으로 당 규약을 개정함으로써 ‘김일성-김정일주의’를 통치이념으로 제시하였다. 국가정책은 ① 김일성-김정일주의 정책, ② 김정일 애국주의 정책, ③ 경제건설 및 핵무력 건설 병진 정책, ④ 우리식 경제관리 정책, ⑤ 자강력 제일주의 및 경제이원화 정책, ⑥ 사회주의 문명강국 건설 정책 등이었다. 국가정책에 따른 치안정책은 ① 공포정치의 이원화 정책, ② 반국가범죄 단속 정책, ③ 사회준법기풍 위반 단속 정책, ④ 비사회주의 소탕정책 등이었다.

      • KCI등재

        중국학계의 한국 안보정책 연구현황

        유승지 ( Seungji Ry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탈냉전 이후 국제질서와 한반도 안보환경이 변화되자 한국학계는 포괄적 안보의 개념을 적용한 안보정책 담론들을 제시하기 시작했고 한국 정부는 포괄적 안보개념을 안보정책에 반영하여 2004년 최초로 국가안보전략서를 발행하였다. 그렇다면 한국의 안보정책을 주변국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한국이 현재 직면한 안보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변국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중국학계의 한국 안보정책 관련 주요 연구물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중국 연구자들의 한국 안보정책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중국의 입장도 추론해 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중국의 연구자들이 한국의 안보정책을 한미군사동맹 위주의 군사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한국 정부의 공식자료에 대한 연구의 결여는 한국 안보정책에 대한 편향된 시각과 논증의 오류를 야기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한국학계 연구자들과 중국학계의 연구자들의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s the international order and security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changed after the Cold War, Korean academia began to present security policy discourses that applied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securit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ublished its first national security strategy in 2004 reflecting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security in its security policy. Then, how do neighboring countries accept Korea's security policy? Cooper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is essential to resolve security issues currently facing South Korea.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major Chinese studies on Korea’s security policy and to consider Chinese scholars’ perception of Korea’s security policy and infer China's position. According to the study, Chinese researchers recognize Korea’s security policy as a military area centered on the South Korea-U.S. military alliance.The lack of research on official data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caused errors in biased views and arguments on South Korea’s security policies. To overcome this, a lot of efforts are needed by Korean and Chinese scholars.

      • KCI등재

        일본의 경제안보정책과 일본형 산업정책의 유산

        이정환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4 국제지역연구 Vol.33 No.1

        일본의 경제안보정책은 미중경쟁과 중첩된 전세계적 경제의 안보화에 대한 일본의 전략적 대응으로, 글로벌 추세가 된 신산업정책의 맥락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일본의 경제안보정책은 정부의 적극적 시장 개입으로 국가적 산업경쟁력을 증진 하려 했던 전후 일본의 발전국가 모델과 연결되어 논의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최근 일 본의 경제안보정책을 일본 산업정책의 통시적 변천 속에서 위치 지워 분석하고 있다. 일본의 경제안보정책은 2022년에 입법화한 경제안보추진법의 세부 내용인 특정중요물 자 안정공급 지원사업과 특정중요기술 연구개발 지원사업을 양대 축으로 하여 2023년 에 집행되기 시작했다. 일본 경제안보정책의 핵심 기조와 세부적 정책 내용을 살펴보 면, 1980년 <1980년대 통산정책 비전> 문서 이래로 사라졌던 추격형 모델이 특정중요 물자 안정공급 지원사업에서 부분적으로 재등장하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러나, 추 격형 모델은 경제안보정책 전반에 있어서 중심적인 것은 아니다. 특정중요기술 육성개 발 지원사업에서는 1980년대 이래로 일본의 산업기술정책에서 지속되던 선도적 기술혁 신 창조 모델과 이를 위한 기술혁신 산관학 생태계 구축 방법론이 주로 발견된다. 추격 형 모델의 부활로 일본의 경제안보정책을 규정짓는 것은 현재 진행 중인 경제안보정책 을 과도하게 단순화해서 이해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일본 산업정책의 역사적 변천을 획 일화하는 것이기도 하다. Japan’s economic security policy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New Industrial Policy, which has become a global trend, overlapping with U.S.-China competition. However, recent Japanese economic security policies are often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ostwar Japanese developmental state model, which sought to promote national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rough active government intervention. This study analyzes Japan's recent economic security policy by situating it in the context of changes in Japanese industrial policy. Japan's economic security policy began to be implemented in 2023 after the Economic Security Promotion Act was enacted in 2022. It has two main pillars: ‘Promotion for Ensuring Stable Supply of Key Products’ and ‘Promotion for Enhancing Development of Advanced Critical Technologies.’ ‘Promotion for Ensuring Stable Supply of Key Products’ is partially characterized by the reemergence of the catch-up vision, which had been absent since the 1980s. However, the other pillar of the Economic Security Promotion Act, ‘Promotion for Enhancing Development of Advanced Critical Technologies,’ is not based on a catch-up vision. In the ‘Key and Advanced Technology R&D through Cross-Community Collaboration Program,’ the idea of creating leading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the methodology of building a technological innovation industry ecosystem for this purpose have mainly been found in industrial technology policy since the 1980s. To characterize Japan's economic security policy as a revival of the catch-up type is an oversimplification of the ongoing economic security policy and a homogenization of the historical evolution of Japanese industrial policy.

      • KCI등재후보

        부시 행정부 이후 미국의 산업보안정책과 우리의 대응전략

        정웅 ( Woong Chung ) 대한정치학회 2015 大韓政治學會報 Vol.23 No.2

        본 연구는 국내 산업발전으로부터 야기되는 산업기술 해외 불법유출 방지책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부시 행정부 이후 최근 오바마 행정부에 이르는 미국 산업보안 정책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들이 우리의 산업기술 해외 불법유출 대응전략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부시 행정부는 자국의 생존과 번영에 핵심이 되는 국가 기밀, 자산, 산업기술의 보호를 위해 2005년부터 이른바 국가방첩전략이라는 큰 틀 아 래서 전략적 산업보안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이러한 정책 기조는 최근 오바마 행정부 에서 들어서 산업기술 침해방지 전략(2013)으로 더욱 강화되고 있다. 산업보안의 정책 성과 모형에서 주요 정책 목표는 산업기술 불법유출 위험의 최소화와 이를 구현해내기 위한 보안비용의 최소화를 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산업보안의 정책목표는 미국의 전략적 산업보안이라는 정책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따라서 미 행정부의 정책 사례가 우리의 대응전략에 주는 함의를 모색해 본다면, 첫째, 우리의 산업보안 역시 소위 “전 략적 산업보안”이라는 정책으로 보다 구체화되어야 한다. 둘째, 중국으로부터의 산업 기술 침해 활동에 대한 진지한 인식과 함께 침해 방지를 위한 적극적ㆍ실천적인 대응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중국에 대한 산업보안 자원의 전략적 배치와 운용을 통해 저손실ㆍ저비용의 바람직한 정책목표에 도달해야 한다. As pointing out overseas illegal leakage risk of industrial technologies with a great development of the South Korea industry, this study is to grope for the national strateg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S. industrial security policy since the Bush administration. The Bush administration, in order to protect the national secrets, assets and advanced technologies as the core for the existence and prosperity of the United States, has produced and propelled the strategic industrial security policy under the national policy frame, what is called the National Counterintelligence Strategy from 2005. Recently such a policy keynote has been further strengthened as “Administration Strategy on Mitigating the Theft of U.S. Trade Secrets” of the Obama Administration in 2013. In the industrial security policy performance model, that is a scheme of matrix of risk and cost minimization, the policy targets are the illegal leakage risk minimization and the industrial security cost minimization. The policy goals can be found in the strategic industrial security originated from the National Counterintelligence Strategy. Accordingly, through some implications from the policy cases of Bush and Obama Administrations, in the first place the South Korea government should concretely build up the industrial security as a strategic industrial security policy. In the next place the Korean government has to take the active actions, with the serious perception against the theft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and advanced technologies by China. In the last place, unfolding the strategic deployment and operation of industrial security resources, the government must come up to the desirable policy targets of low loss and cost in the industrial security.

      • KCI등재

        일본의 우주 안보정책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앨리슨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김근형,배학영 한일군사문화학회 2024 한일군사문화연구 Vol.40 No.-

        본 연구는 일본의 우주 안보정책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일본의 우주 안보정책에서 30년이 넘는 기간을 지속해 온 ‘우주의 평화적 이용’ 정책이 경로의존성을 극복하고 ‘우주의 군사적 이용’으로 전환된 사례를 안보정책 결정요인을 설명하는 앨리슨 모형의 세 가지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일본의 정책 변화 과정을 개관하고, 우주기본법 성립이라는 특징적인 사례를 통해 정책결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 ‘위협과 기회에 대한 인식’, 그리고 ‘전략적 비용과 이익에 따른 선택’이라는 관점에서 합리적 행위자 모형이 설명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의 내각과 국회 등 정부 조직의 표준운영절차가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조직행태 모형에 따라 정책결정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부정치 모형의 적용에 관련해서는 우주 안보정책에 대한 설명의 가능성을 논하였다. 분석을 통해 일본의 우주 안보정책 환경과 결정요인을 이해하고, 최근 일본의 우주 안보정책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정책적 시사점과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 같은 일본의 우주 안보정책에 대한 이해는 한・미・일이 통합된 전략을 수립하여 우주 영역에서의 도전에 대응하는 협력에 기여하고, 일본의 우주 안보 증강을 위한 정책결정 과정에 주목하여 우리나라가 새로운 전략적 도전요인에 대비하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f Japan’s space security policy, this study analyzes the Japan’s policy transition from the over 30-year-long policy of ‘peaceful use of space’ to the ‘military use of space’ overcoming path dependency of policy using Allison’s three models explaining security policy decision factors. Through an overview of Japan’s policy transformation proces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Rational Actor Model has explanatory power, particularly evident in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Space Act. 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within government organizations, such as the Cabinet and the National Diet, aligns with the Organizational Behavior Model, shedding light on the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Government-Politics Model was discussed concerning the explanation of space security policy. By analyzing Japan’s space security policy environment and determining factors, recent trends in Japan’s space security policy transformation were identified, leading to the derivation of policy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Understanding Japan’s space security polic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 unified strategy among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address challenges in space and highlights the policymaking process for enhancing Japan’s space security, serving as reference material for South Korea to prepare for new strategic challenges.

      • KCI등재

        총력안보 시대의 영화 -1970년대 초 안보영화의 함의와 영향

        조준형 상허학회 2021 상허학보 Vol.62 No.-

        필자는 이 글을 통해 1970년대 초 갑작스럽게 등장한 안보영화를 둘러싼 논의와 전개양상, 그리고 그것이 한국영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안보영화란 1971년 12월 6일 박정희의 국가비상사태 선언에 대한 영화정책적 대응으로 나타난 개념이다. 정책당국은 1972년부터 “안보 관계 영화”를 연간 30편 이상 의무적으로 제작도록 했는데, 이 단어는 얼마 지나지 않아 안보영화라는 말로 정착되었다. 안보영화에 대한 정책과 담론은 1973년 영화법 개정으로 인한 정책전환과 함께 사라졌지만, 필자의 생각에 안보영화의 함의, 안보영화의 등장과 함께 나타난 영화정책의 변화, 이를 둘러싼 갖가지 논란과 담론은 1970년대 영화정책과 영화산업의 방향을 정초하는 계기였고, 그 이행의 논리와 양상을 보여주는 시금석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세 가지 부분에 주목했다. 첫째, 안보영화의 등장배경과 개념의 특성, 그리고 그 함의이다. 이를 위해 안보영화의 배경이 되었던 총력안보체제의 등장과 통치성의 변화, 안보영화의 개념을 둘러싼 논의와 혼란상, 그리고 그 가운데 발견할 수 있는 정권의 논리와 영화계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둘째, 안보영화와 함께 나타난 영화정책의 변화가 당대 한국영화산업계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1972년에 나타난 안보영화를 둘러싼 정책적 혼란상은 영화산업의 불황 추세를 가속화시키고 장기적으로 고착화시키는 계기가 됐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셋째, 안보영화를 둘러싼 정책과 담론이 정부의 영화에 대한 시각 전환의 논리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이 시기 정부는 사양화되어가는 영화산업을 방기하는 대신 국민계도 혹은 국민교육의 수단으로서 영화를 일방적으로 강조함으로써 영화의 다양한 속성 중 매스미디어로서의 영화에 집중하였다. 이는 단순한 담론이 아니라 산업정책과 검열정책, 영화예술의 진흥정책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쳤다.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discussions and developments surrounding security films that suddenly emerged in the early 1970s, and their impact on Korean films. The Security Film appeared as a film policy response to Park Chung-hee’s “Declaration of a State of National Emergency” on December 6, 1971. Since 1972, policymakers have mandated the production of more than 30 “security-related films” annually, which soon became the term “Security Film”. Policy and discourse on security films disappeared in 1973 with a policy shift due to the revision of the Film Act. However, I think the implications of security films, the changes in film policy with the advent of security films, and various controversies and discourses surrounding them were a turning point in the direction of film policy and film industry in the 1970s.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e background of security films and the nature of concepts, and their implications. To this end, I looked at the emergence of the all-out security system, the change in governance, the discussion and confusion surrounding the concept of security films, and the logic of the regime and the reaction of the film industry. Second, I analyzed the impact of the change in film policy that emerged with security films on the Korean film industry at the time. In my opinion, the policy turmoil surrounding security films in 1972 caused the film industry to accelerate and solidify the recession trend in the long term. Thirdly, I wanted to stress that the policy and discourse surrounding security films demonstrate the logic of the Government’s shift in view of films. During this period, the government concentrated on films as mass media among various attributes of the film by unilaterally emphasizing the film as a national guidance or a means of national education instead of abandoning the declining film industry. Rather than just a discourse, it actually influenced industrial policy, censorship policy, and film and arts promotion policy.

      •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보안정책서버의 경보데이터 분석

        신문선,류근호 충북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 연구소 2002 컴퓨터정보통신연구 Vol.10 No.2

        최근 네트워크 구성이 복잡해짐에 따라 정책기반의 네트워크 관리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네트워크 보안관리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책기반의 네트워크 관리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보안정책 서버는 새로운 정책을 입력하거나 기존의 정책을 수정, 삭제하는 기능과 보안정책 결정 요구 발생시 정책결정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보안정책 실행시스템에서 보내온 경보 메시지에 대한 분석 및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정책기반 네트워크 보안관리 프레임워크의 구조 중에서 보안정책 서버의 효율적인 보안정책 수립 및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경보데이터 관리기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그리고 경보 데이터 저장과 분석을 위해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하고 저장된 경보데이터를 분석하는 모듈을 구현한다. 또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경보 관리기나 고수준 분석기가 효율적으로 경보데이터를 분석하고 능동적인 보안정책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Recently, a number of network systems are developed rapidly and network architectures are more complex than before, and a policy-based network management should be used in network system. Especially, a new paradigm that policy-based network management can be applied for the network security is raised. Architecture of the policy-based network management has hierarchical structure that consists of management layer and enforcement layer. A security policy server in the management layer can generate new policy, delete, update the existing policy and decide the policy when security policy is requested. The server needs some information to perform these faculties. The security server needs to analyze and manage the alert message received from server policy enforcement system in the enforcement layer for the availabl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not only design database schema to store the alert data and the alert analyzer to support the proceeding and making of security policy efficiently in framework of the policy-based network security management, but also implement an alert analyzer that analyze the stored alert data. We also propose a data mining system for the analysis of alert data. It is a helpful system to manage the fault users or hosts. The implemented mining system supports alert analyzer and the high level analyzer efficiently for the security policy management.

      • KCI등재

        조직의 정보보안 목표 설정과 공정성이 보안정책 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황인호,김승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2

        전 세계적인 정보보안 위협의 증대에 따라 조직들은 보다 전문화된 정보보안 정책 및 시스템을 도입 및 활용에 투자 비중을 높이고 있다. 정보보안은 보안 시스템 및 정책을 이행하는 조직원들의 참여가 무엇보다 필요하며, 조직 내부의 보안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원들의 정보보안 준수의도 향상을 위한 조직의 체계적인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보보안 분야에 공정성이론과 목표설정이론을 적용하여 조직원의 정보보안 준수의도를 높이기 위한 매커니즘을 찾는다. 즉, 보안정책 목표설정이 조직원들의 보안관련 공정성 인식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정성은 준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델 기반 가설 검증을 실시한다. 연구대상은 정보보안 정책을 도입한 조직의 조직원들이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유효샘플 383개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보안정책 목표 요인(목표 난이도, 목표 구체성)이 조직원의 보안관련 공정성 인식을 높이며, 보안관련 공정성(분배, 절차, 그리고 정보 공정성)이 준수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조직의 보안 정책에 대한 조직원들의 준수의도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향을 제시한다. The threat to information security is growing globally. To this, organizations are increasing the weight of adapting and operating the more specialized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system. Information security requires participation from the employees who execute the security system and policy, and to increase the level of organization’s internal security, requires organization’s systematic support to improve employees’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This research finds the mechanism for improving employee’s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by applying justice theory and goal setting theory in information security. We u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employees of organization with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performs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based hypothesis which claims that security policy goal setting has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s level of security related justice recognition, and claims that justice has positive influence on compliance intention. The object of study is the employees of the organization that adapts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383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via surve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 shows that security policy goal factor (goal difficulty, goal specificity) improves employee’s security related justice recognition, and that security related justice (distribution, process, and information justice) has positive influence on compliance intention. The result suggests the strategic approach directions for improving employees’ compliance intention on organization’s security policy.

      • KCI등재

        한중관계와 북핵문제

        정천구(Chun-Koo Jeong) 한국통일전략학회 2006 통일전략 Vol.6 No.2

        이 글은 한중관계의 발전 속에서 한중양국의 한반도 안보정책과 북핵정책을 비교하고 이를 평가하여 바람직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의 안보정책은 지난 10년 동안 대복포용정책을 우선순위로 하고 한미공조를 소홀히 했으며 중국과의 협조에 지나치게 의존하였다. 2006년 7월의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10월 9일의 핵실험은 이러한 정부의 안보정책이 완전히 실패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안보정책은 근본에서부터 재검토되어야 한다. 중국은 국가목표인 경제발전과 소강사회(小康社會)의 건설을 위하여 주변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안보정책의 목표로 삼고 있다. 중국은 북핵문제에 대하여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조선의 비핵화 그리고 평화적 방법과 대화를 통한 해결이라는 3원칙에 따라 대응해 왔다. 중국의 이러한 안보정책은 한국의 그것과 일치하는 점이 있으나 우선순위를 북핵 해결보다는 북한의 생존유지에 두고 있기 때문에 북한 핵의 폐기를 제일의 목표로 해야 하는 우리의 정책과 차이가 난다. 또한 중국의 북핵 해결을 위한 의지와 능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북핵문제 해결에 있어서 중국에 대하여 과도한 기대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황의 악화를 막고 대화의 국면으로 이끌어 가는 제한된 역할에 만족해야 한다. 한중관계는 92년 수교 이후 교역량이 1,000억 달러를 초과하는 등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으나 비대칭적인 의존이 심화되어 문제발생시 중국의 일방적 압력에 한국이 직면할 수밖에 없는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미국과의 공조를 회복하고 경제면에서도 한미 FTA의 체결 등을 통해 중국세력과의 균형을 회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은 요란한 대북협조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미사일 발사 실험과 핵실험을 통해 핵무장의 문턱에 이르도록 이를 막지 못했다. 그렇게 된 이유는 포용정책의 그늘에 가려 북한의 의도와 능력을 의도적으로 과소평가 했고 1차 핵 위기를 계기로 핵문제에 대한 주도권을 한국이 미국에게 넘겨주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핵문제는 북미에게 맡기고 남북관계개선에만 주력한 결과 북의 핵개발을 결과적으로 도와준 것이다. 북한 핵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안보정책의 우선순위를 대북포용에서 북핵 저지로 바꾸어야 하며 민족공조라는 북의 선전술에서 벗어나 대미공조 등 국제공조를 회복해야 하고, 한반도 핵문제에 있어서 발언권을 확보하고 궁극적으로는 주도권을 되찾아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policies of Korea and China on th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s and present alternative policy options for Korea's security. During the past twenty years South Korea's security policy has been solely guided by its engag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weakened the Korean-American alliance leaning toward China. The North Korean missile test in July and nuclear test in October respectively last year proved the failure of such policy and called for drastic change of our security policy. As for China, its main security policy goal has been the peace and stability of their surrounding areas including Korean Peninsular in order to secure their national goal-its economic development. China's policy toward the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programs has been guided by the three basic principles, namely peace and security of Korean Peninsular, nuclear free zone of Korean Peninsular and peaceful solution of the issues through dialogue. In a sense, China's security policy goals have common with Korea's, Still they differ in that China's policy priority is to sustain the North Korean communist regime whereas ROK’s is to deter the nuclear weapons programs. Moreover, since China's will and capacity to exercise its influence toward North Korea is limited, it is not so good for Korea to expect too much from China in security matters. Since 1992,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has improved quickly making China Korea’s number one trade partner. Now Korea finds itself so vulnerable to China's Sino-centrism. In order to balance its vulnerability, Korea should strengthen the mutual aid system between Korea and the U.S, and accomplish the FTA negotiation with the U.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South Korea failed to deter th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s is that Korean government has underestimated the North Korea’s will and capacity of developing nuclear weapons programs over-emphasizing its engagement policy toward the North. Furthermore from the first nuclear crisis in 1993, Korea also lost its initiative in dealing with the North in the nuclear issues. Taking the initiative, America has dealing wi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as absorbed to engagement policy towards the North. South Korea should change its security policy priority from engagement toward the North to deterrence to the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s, try to recover its initiative on the security matters and have its voice in the six-party tal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