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사기관에 의한 감청의 허용범위

        유상관(Yu Sang Goa)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5 法學硏究 Vol.16 No.1

        The development of 21 century high technology and intelligence communication changed a human life radically. Especially, it made possible people to communicat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s the crime becomes more violent, concealed, and specialized, this development of science, being introduced to the investigation department which has a lot difficulty in dealing with a criminal investigation and seizing real evidence. Among these, there are eavesdropping a telephone or person -to person conversation. However, this eavesdropping has a danger of interrupting the people’s freedom of communication and their privacy. Our country, also, is practicing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about eavesdropping. However, this law of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has some problems, and the actual application of this law and the related law is very rare. In conclusion, I will recommend that we have to regulate the scope and the admissibility of the eavesdropping by reforming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instead of making a new law. In reforming the law, the foreign countries are good examples. Also, we will make a new law in order to prepare new collection evidence by researching the academic and the official together.

      • KCI등재

        주민등록번호에 대한 헌법적 고찰 -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침해를 중심으로

        이희훈(Lee Hie Ho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07 土地公法硏究 Vol.37 No.1

          In today a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n individual, who has been the subjects of information, is gradually degraded to the objects of information. Under this risky circumstanc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rivate informnation is very important the basic rights. Because this right protects a person"s the freedom and secret of privacy. Therefore, this right is based on Article 17 of the Constitution in that it allows an individual to manage his/her private information.<BR>  Meanwhile, the current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exposes various types of personal information of the holders through the number itself and cannot be changed throughout one"s life. In this respect it violates ?bennaßverbot and infringes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rivate information. Also, a administration legislation about a matter of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from the viewpoint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law violates the doctrine of parliamentary saving. Therefore, hereafter korea"s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shall be changed random serial numbers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system allow an individual to change his/her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as desired.

      • KCI등재

        망중립성 보장과 기본권 보호

        김천수 ( Kim Cheon-su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외법논집 Vol.39 No.2

        망중립성의 핵심 개념은 공중망에서 송수신 및 접근의 비차별을 의미는 것이다. 누구든지 어떤 장치이든지 공중망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정보(패킷)의 구분에 따른 불합리한 차별은 금지됨을 말한다. 따라서 망중립성이란 공중망을 이용한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나 공중망 관리자는 송수신인, 정보(패킷), 송수신장치(기기)의 송수신 및 접근을 차단하거나 불합리하게 차별하여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망중립성의 예외로 인정될 수 있는 합리적 망관리는 ‘망의 적정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리의 방법 또한 합리적일 것을 요한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망을 이용하는 주체의 선택권이 형식적으로나 실질적으로 배제된 대가 요구는 안 되는 것이며, 합리적 망관리의 명분으로 행하는 반경쟁적 트래픽 차별 등은 기본권 침해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망중립성의 본질적인 모습은 헌법의 여러 기본권과 관련성을 가지게 된다. 즉, 망중립성의 보장으로 관련된 기본권의 보호 문제가 바로 망중립성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어떠한 기본권들이 망중립성과 어떻게 특수한 연관성이 있는지, 망중립성에 있어서 평등의 특수성 문제, 표현의 자유와 관련하여 ISP의 차단행위의 법적 근거 및 차단행위가 사전검열로서 작용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 프라이버시·통신비밀과 관련하여 이동통신사에 의한 mVoIP 제한·차단행위가 현행법상 어떠한 규제를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제한 행위의 위헌성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Equality of access and information(packet) is a crucial part for the innovation and the alteration, and also it has boosted fundamental human rights. Therefore, problems of the net neutrality must be resolved not by how to design the inter-net system and to regulate the inter-net, but by understanding what the net neutrality affects and protection of the net neutrality. The inter-net is a public tool for all people to use for their own innovation. And it plays a role as an infrastructure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net neutrality principle, created naturally, is the foundation of the innovation and increases fundamental human rights. The proper state intervention to the net neutrality principle is reasonable because innovation from below implies political-legal values, such as formation of the public opinion, participatory democracy and guarantee of fundamental human rights. The net neutrality is peculiar because it tends to preserve original values of the inter-net via a realization of data equality. A legal concept of the net neutrality needs to be technology-neutral and to accomplish a concept of justice. The net neutrality means that governments or ISPs must not violate people’s fundamental human rights against blocking access or unreasonable discrimination in transmitting of senders-recipients, information(packet), device. The equality is not only a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law but also a measure to protect another basic values of the law. A criterion of judgment on equality should be a specific content of violated rights. It is because other specific fundamental rights can be violated by the unreasonable discrimination in a real society though the discrimination is a just simple discrimination of personnel and materiel elements in public network. Neutral and open managements of the inter-net have leaded to the innovation and increased fundamental human rights. Therefore, the problem we have is not a choice in whether the net is managed neutrally, but rather it is a consideration of the regulation over the technology, affects innovation and fundamental human rights. It should be a reestablishment of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a united legal system. Many fundamental human rights are violated in these days due to lack of the general rules on the net neutrality. We need to prepare against the violations. Also related basic human rights(equality, freedom of expression, privacy, communication secret) should be harmonized in a regulation or guarantee of the net neutrality.

      • KCI등재

        독일 통신사실확인자료 보관조항의 EU 법 위반과 형사정책적 시사점 -2022년 9월 20일 유럽사법재판소 판결을 중심으로-

        박희영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3 형사정책연구 Vol.133 No.-

        The question is whether imposing an “obligation” on telecommunications providers to “retain” traffic data without the user’s consent in advance and provide it upon the request of an investigative agency, even if there is no specific criminal suspicion or risk to public safety, is a justifiable restriction or an unjustifiable infringement of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s such a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communication secrets and privacy, and freedom of expression. On September 20, 2022, the CJEU (=EuGH) ruled that a provision of the German Telecommunications Act that obliges telecommunications providers to retain and make available to state authorities the traffic data of almost all citizens without any justification(Vorratsdatenspeicherung) violates the relevant fundamental rights of the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EU. However, the CJEU recognized an exception under strict conditions. These exceptions are inherently different from the type and nature of the existing traffic data retention. It is now impermissible to retain the traffic data of all citizens, regardless of criminal suspicion. The legal basis and legal nature of the retention of our traffic data can be derived from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PIPA) and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PCSA). According to this, telecommunications providers are legally obliged to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store the traffic data of all citizens without any reason. This legal obligation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retention obligation under the German Telecommunications Act(TKG). Therefore, in the light of CJEU’s judgement, our retention provisions are likely to violate the constitutional rights to privacy and secrecy of communication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data, and freedom of expression. If the retention clause is unconstitutional, then of course the provision clause will also be unconstitutional.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retention clause should be discussed. If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retention clause is clear, the targeted retention and expedited retention(quick freeze) proposed by CJEU should be discussed from a criminal policy perspective.

      • KCI등재

        좌석안전띠 착용 규제에 관한 공법적 검토- 헌재 2003.10.30. 2002헌마518 결정과 관련하여 -

        조영승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3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egulations and procedures for non-seat belts. And it is mainly about past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s regarding where the balance of public interest and private interest should be formed, First, the issue of wearing seat belts is examined in terms of whether or not it can be regarded as the protection area of ​​freedom of personal life under Article 17 of the individual rights. Next, this paper checks whether the seat belt is not excessively regulated in the country. In the past,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 this issues constitutional, but it was assumed that it was limited in that it was only subject to the judgment on the disposition of the penalty for non-wearing seat belts. Seat belts should be worn as it can minimize casualties in case of an accident. However, if the current legislation focuses on whether or not the state's restrictions on the wearing of seat belts are unconstitutional by violating individual freedoms, it would be necessary to specifically justify the imposition of penalties such as fines. Lastly, the paper concludes with an amendment of the fines and penalties for seat belts and the necessity of empirical research to ensure excessive regulation. 이 글은 좌석안전띠 미착용에 관한 규정과 절차가 개인의 자율영역에 대한 국가의 과도한 규제라고 한다면, 공익과 사익의 균형 지점은 어디에서 형성되어야 할 것인지에 관하여 과거 헌법재판소 결정의 논증과 관련하여 비판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있다. 우선 좌석안전띠 착용 문제는 개별적 기본권인 헌법 제17조 사생활의 자유의 보호영역으로 볼 수 있지 않은 것인지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다음으로는 좌석안전띠 착용에 대하여 국가의 과도한 규제가 아닌지를 살펴보고 있다. 과거의 헌법재판소 결정은 이를 합헌으로 판단하였으나, 좌석안전띠 미착용에 관한 범칙금 통고처분에 관한 내용만을 심판대상으로 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고 보고 심판대상을 벌금 부과 규정으로 확장하여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좌석안전띠 착용은 사고발생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반드시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현행법상 좌석안전띠 착용에 대한 국가의 규제가 개인의 자유를 지나치게 침해하여 위헌성을 가지는 것인지 여부에 중점을 둔다면 벌금과 같은 형벌을 부과하는 경우 그 정당성을 구체적으로 논증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좌석안전띠 착용 규제와 관련한 범칙금 및 벌칙 제도의 개정방향과 특히 과도한 규제를 담보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에 관하여 제언하면서 마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보험사기 적발을 위한 보험회사의 영상촬영 허용에 관한 법적 문제

        전한덕(Jun, Han Deok)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과기업연구 Vol.10 No.2

        보험사기는 보험소비자가 보험금 편취를 목적으로 실제 발생한 보험사고보다 부풀리거나 실제 발생하지도 않은 사고를 발생한 것처럼 허위로 조작하여 보험금을 부당하게 편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2019년도에 발생한 보험사기 주요 사례를 보면 한방치료 허위 진료기록부 작성, 허위 부품비용 청구, 허위 진단을 통한 보험금 편취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보험사기는 갈수록 지능화되고 은밀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금융감독원이나 보험회사 기타 수사기관이 보험사기를 정확하게 조사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피보험자의 신체적 능력과 관련된 보험사고는 피보험자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피보험자가 보험사기를 일으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달리 이를 적발할 방법이 없다. 보험사고와 같이 전문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사기에 대해서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실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보험회사가 보험사고를 주장하는 피보험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수집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피보험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것이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촬영하는 것인데, 이는 현행법에 위배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갈수록 증가하고 악랄해지는 보험사기를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는 보험회사의 영상촬영 허용에 관한 근거법률 마련이 필요하다. Insurance fraud is made in the form of falsifying as if insurance consumers were inflated or caused an accident that did not occur for the purpose of defrauding the insurance money. Major cases of insurance fraud in 2019 include the preparation of a false medical record for oriental medicine treatment, the claim for false parts costs and the defrauding of insurance money through false diagnosis. Since these insurance frauds are increasingly intelligent and secretiv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investigation of insurance fraud accurately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or insurance companies and other investigative agencies. In particular, insurance claims related to the physical abilities of the insured tend to depend entirely on the insured, so there is no other way to detect them if the insured wants to cause insurance fraud. In order to cope with fraud that occurs continuously in the professional area such as insurance claims, the facts regarding the insured should be accurately grasped above all and objective information collection about the current state of the insured who claims insurance claims should be preceded. The most effective way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insured is to take pictures and videos which is very likely to violate the current law.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control insurance fraud, which is increasing and becoming vicio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pplicable law on image photographing.

      • KCI등재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에 대한 연구

        이희훈 한국입법학회 2017 입법학연구 Vol.14 No.1

        헌법 제17조의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규정을 근거로 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익명권, 정보수집 동의권, 정보 수집․이용제한청구권, 정보열람청구권, 정보 수정(정정)청구권, 정보 사용정지․삭제․폐기청구권, 정보 분리 및 시스템 공개청구권을 내용으로 한다. 최근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사업자)가 그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경품이나 추첨에 의한 명목으로 수집시 보험사의 마케팅 자료나 기타 제3자의 이용목적상 마케팅 자료로 활용(처리)될 수 있음을 함께 고지하고 동의를 받을 때에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사업자)가 제3자에게 유상으로 매매할 경우에는 해당 정보통신서비스 이용자에게 별도의 사전 고지 후에 이에 대한 별도의 추가적 동의를 받도록 해당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조항을 수정하고 이를 위반시 처벌할 수 있도록 개선하려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는 의안번호 2003237번의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4조의 2 규정 등에 대한 개정안은 정보통신서비스 이용자의 정보 수집․이용제한청구권 등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좀 더 넓고 강하게 보호해 준다는 점에서 타당한 개정안이라고 할 것이다.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be grounded on a secret of the private life of 17 clause of constitutions and a right of anonymity, the right of consent to the information collection, claim f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use restriction, a claim for information reading, a claim for information revision, a claim for information use coming to a stop, deletion and disuse and a claim for information separation and a system exhibition in contents. It revises it tells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user about the reform bill of 2 of 24 clause of information methods of the 2003237th bill number particularly recently when a pers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offer(an enterprise) buys and sells personal information of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user for payment, and to receive an extra agreement. And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offer person(an enterprise) improves this rule to be able to punish him when he violate this rule. Therefore, this reform bill is proper because it is a little wider and strongly protects a claim f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use restriction of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user.

      • KCI등재

        수사⋅정보기관의 통신이용 정보수집권에 관한 미국의 입법례와 그 함의

        최창수(Choe, Chang-Su) 한국정보법학회 2016 정보법학 Vol.20 No.1

        The investigative or information authorities’ right to collect information or materials on telecommunications held by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may be divided into access to the content of communications, access only to information on whether communications are made, and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of communicators. Further they may be distinguished between real time access or access to past facts. The domestic laws require courts’ warrant or permission to monitor the content of communications in real time and obtain communication verifying materials, and communication materials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communicators are placed in the realm of voluntary disposal. In practice, however, there is a confusion that information subjects claim for damages with respect to the provision of materials by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In the United States’ legal system, information or materials on telecommunications are bifurcated by and large into the content of communications and any other records and information. As for the latter records and information, either a voluntary provision or a mandatory provision is applicable as the case may require, and the mandatory provision, it is required to obtain courts’ warrants or permissions and an administrative agency’s request for documents is also permissible. Besides, information authorities are allowed to collect basic call tolls and transaction details or relevant telecommunication materials without a court’s warrant or permission. The communication confirmatory materials under the Korean laws may be considered in nature the “call detail records” specified in the newly enacted 「USA Freedom Act of 2015」. The Act should be a good example for domestic legislative efforts in the future. The laws are sought to keep in check information authorities’ indiscriminat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use of telecommunications by obligating them to limit target objects by using a specific selection term upon request of call detail records. Moreover, the laws divide call detail records into single records and ongoing records, and as to the ongoing call detail records, more strict requirements for collection are specified. As for the communication materials under the Korean laws, like the U.S. laws, it should be necessary to make a voluntary provision and a mandatory provision as the case may require. In a voluntary provision, it should be a provision to expressly permit voluntary disclosure of relevant information or materials depending upon a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determination of urgency. In order to ensur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voluntary provision, it may include a provision to permit legal exemptions for a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having provided communication materials in good faith. In the mandatory provision, it is required to specify the types and conditions of serious crimes and requiring urgency, and to stipulate additional requirements to obligate relevant authorities to put in place detailed and appropriate procedures for retaining relevant information to a minimum extent and prohibiting disclosure of information, etc. 통신사업자가 보유한 통신의 정보나 자료에 대한 수사⋅정보기관의 수집권한은 통신의 내용에 접근하는 것, 통신을 한 사실여부에 관한 정보만 접근하는 것, 통신자의 인적사항에만 접근하는 것 등으로 단계화할 수 있고, 나아가 실시간 접근인지 과거사실에 대한 접근인지를 구별하기도 한다. 국내의 법제는 실시간 통신내용 감청과 통신사실확인자료에 법원의 통제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하고 있고, 통신자 인적사항 등통신자료에 대해서는 임의처분의 영역으로 두고 있다. 그러나 통신사업자의 자료제 공과 관련하여서는 정보주체들이 사업자들에 대해 정보제공에 대한 손해배상청구를 하는 등으로 실무운영상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통신의 정보나 자료를 크게 ‘통신의 내용’과 ‘통신의 내용 이외의 기타 기록과 정보’로만 이원화하고 있다. 후자의 기록과 정보의 경우, 사안에 따라 임의 규정 내지 강행규정이 적용되도록 하고 있으며 강행규정에서는 ‘법원의 영장 및 허 가’와 함께 ‘행정부서의 문서제출요청’도 수집 허용요건으로 명시하고 있다. 또한 정보기관의 경우에는 법원의 통제 없이도 기본적인 통화요금 및 거래내역이나 관련 통신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 제정된 「2015년 미국 자유법」에 따른 법적 보호대상인 통화내역기록은 국내의 통신사실확인자료에 상응한다고 볼 수 있는 바, 통화내역기록 요청 시 반드시 ‘특정선별용어(specific selection term)’를 사용하여 수집대상을 한정할 것을 의무화하여 정보기관의 무분별한 통신이용정보 수집활동을 견제하고자 하였으며, 통화내역기록을 단발적인 기록과 연속적인 기록으로 양분하여 후자의 경우 보다 엄격한 수집요건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참고할 만한 입법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국내의 통신자료의 경우, 미국의 법제와 마찬가지로 사안에 따라 임의규정 내지 강행 규정이 적용되도록 하는 규정들을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임의규정에서는 통신사업자의 긴급성 판단에 따라 자발적인 공개를 명시적으로 허용하는 규정이 필요할 것이며, 효과적인 시행을 위해 통신자료를 선의로 제공한 사업자에게 법적 면책권을 허용하는 규정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강행규정에서는 심각한 범죄나 긴급한 사안에서정보수집이 요구되는 특정 유형들과 조건들을 적시함과 동시에 관계기관에 대해서는수집대상물을 최소한으로 보관하고 그 누설이나 유출을 방지를 적합한 절차를 마련하도록 의무화하는 추가요건을 명문화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통신사실확인자료 보관의 법적 근거와 성질

        박희영 한국형사법학회 2023 刑事法硏究 Vol.35 No.1

        Communication confirmation data (= traffic data, Verkehrsdaten) is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that belongs to communication secrets and private life. Therefore, the legal basis and legal nature of the retention of traffic data can be derived from a historical and systematic review of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PIPA) and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PCSA). The legal basis for the traffic data retention comes from the combination of the preservation obligation in Article 21(3) of PIPA and Article 15(2) of PCSA and Article 41 of its Enforcement Decree. Failure to comply with the preservation obligation is punishable by a administrative fine under Article 75 (4) (1) of PIPA, so the legal nature is mandatory. The duty to preserve is further strengthened by the duty to take safety measures, and the provision of retention data to investigative agencies is also a legal obligation, as it is compelled by Article 18 (2) and its penalty provision of PIPA. The German Telecommunications Act(TKG) imposes an obligation on telecommunications providers to retain traffic data for public interest purposes such as criminal investigations. In this respect, the legal nature of traffic data retention in South Korea is the same as in Germany. On September 22, 2022,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CJEU) ruled that the traffic data retention provisions of TKG violate Articles 7, 8, 11, and 52(1) of the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EU. This violation naturally also applies to the provisions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StPO) requiring the provision of data. Applying the CJEU's ruling to our traffic data retention provisions would likely lead to the same conclusion, unless the interpretation of the relevant fundamental rights is different. Therefore, a precise analysis of the judgement of CJEU would be required to determine the constitutionality of our traffic data retention provisions.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unconstitutionality, a new legislative theory should be discussed by examining the exceptions provided by the CJEU, and if there is no possibility of unconstitutionality, reasons should be provided why the same fundamental right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CJEU's judgement. 지금까지 통신사실확인자료 보관의 법적 근거와 법적 성질이 무엇인지 명확하게밝혀지지 않았다. 통신사실확인자료는 민감한 개인정보인 동시에 통신비밀과 사생활의 비밀에 속하는 정보다. 따라서 통신사실확인자료 보관의 법적 근거와 법적 성질은개인정보보호법과 통실비밀보호법의 관련 규정들을 연혁적,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도출할 수 있다. 통신사실확인자료 보관의 법적 근거는 개인정보보호법 제21조 제3항의보관의무와 통실비밀보호법 제15조의2 및 동법 시행령 제41조의 결합에서 나온다. 보관의무 불이행은 개인정보보호법 제75조 제4항 제1호에 의해서 과태료 처분을 받게되므로 법적 성질은 강행규정이다. 안전조치의무를 통해서 이러한 보관의무는 더욱강화된다. 또한 수사기관 등에 대한 통신사실확인자료의 제공도 개인정보보호법 제18 조 제2항과 이에 대한 벌칙규정에 따라 강제되므로 강행규정이다. 독일 전기통신법은 범죄수사와 같은 공익목적을 위하여 전기통신사업자에게 트래픽데이터 보관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 통신사실확인자료 보관의법적 성질은 독일 전기통신법의 트래픽데이터 보관의 법적 성질과 동일하다. 유럽사법재판소는 2022년 9월 22일 독일 전기통신법의 트래픽데이터 보관조항이 유럽연합기본권헌장 제7조(사생활존중권, 통신비밀보호), 제8조(개인정보보호), 제11조(표현의 자유) 그리고 제52조 제1항(기본권 제한의 법률주의와 비례성원칙준수)에 위반된다고 판결하였다. 트래픽데이터 보관조항의 기본권 헌장 위반은 당연히 이의 제공을요청하는 형사소송법 규정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유럽사법재판소의 판결을 우리의 통신사실확인자료 보관조항에 적용해 보면 관련 기본권에 대한 해석이 다르지 않는 한동일한 결론이 도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유럽사법재판소 판결을 정확히 분석하여 우리의 통신사실확인자료 보관조항의 위헌성 여부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만일 위헌가능성이 충분하다면 유럽사법재판소가 제시한 예외적 허용을 검토하여 새로운 입법론이 논의되어야 하고, 위헌가능성이 없다면 어떤 근거에서 동일한 기본권이 유럽사법재판소의 판결과 달라야 하는지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