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Implications of the Latest Interpretations of the Patent Law by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이수미(Lee Soo Mee)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法學硏究 Vol.11 No.2

        미국 연방 특허항소법원이 개설된 1982년 이후부터 미국 대법원은 특허법에 대한 해석과 이론에 대해 연방 특허항소법원에게 전적으로 전담을 했고 특허항소법원의 판결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대법원의 지원 아래 특허항소법원은 1982년 이후 연 30년간 특허법의 해석, 이론, 신조, 정책, 기준 등에 관련해서 독자적인 입지를 굳혀왔다. 특허권과 특허권자에 우호적이었던 특허항소법원은 BM(Business Method)에 대한 특허권을 공식적으로 허용하였고 특허권자에게 소송을 장려하는 레버리지를 제공하기도 했다. 대법원은 2001년부터 특허관련 항소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더니 미국 행정부와 입법부가 특허법 개정안을 제안하고 법안을 제정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시점인 2006년부터 여섯 건 이상의 특허관련 항소건을 받아들이고 판결을 내렸다. 대법원 판결 모두 항소법원의 판결을 기각시켰는데 대법원의 의견을 살펴보면 기술적인 사항들 보다는 아래의 기본적인 사항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1) 특허의 본질: 해당 발명이 특허 대상에 포함되는지 그리고 특허권을 부여받을수 있는 조건들을 충족했는지를 분석했다; (2) 특허항소 법원만의 관습: 자명성 분석 시 특허 항소 법원이 필수로 적용하는 TSM 테스트, 특허 침해 판결 이후 거의 자동으로 부여한 영구 금지명령 등, 특허 항소 법원에서 관습이 되어왔던 행위들에 대해 비판하고 거부하였다; (3) 특허권자에 우호적이었던 특허항소 법원과는 달리 대법원은 반대편의 특허 라이센스를 받은 자, 특허제품의 구매자, 침해자이지만 제조 업체에 대해선 선의의 판결을 내렸다. 이 시점에서 대법원의 판결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는 아직 이르지만 대법원의 판결은 불확실한 권리범위, 질보다는 양이 우선으로 되어버린 BM과 소프트웨어 관련 특허, 또한 사업자들에게 무시할수 없는 걸림돌이 되어 버린 특허괴물(patent troll)에 대한 불평의 목소리를 해소 하고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안을 찾기 위한 노력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BM 이나 소프트웨어관련 특허로 인해 IT 업체들은 자체기술을 특허상으로 보호받음으로서 소프트웨어를 편하고 안전하게 기술 및 정보를 타사와 교환, 보급, 공유하였으며 이런 상호현상은 오픈소스나 표준화로 연결되어 기술의 개발, 발전 및 상업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BM이나 소프트웨어에 대한 특허권을 부여받기가 어려워지고 권리가 축소 될 경우 IT 업체들은 특허보다는 영업 비밀을 통해 자신들의 기술을 지키려 할 것이고 이렇게 되면 기술의 교환, 공유보다는 내부의 철저한 산업보안 절차를 통해 자신들의 기술을 지키려 할 것이다. Since the inception of the 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Federal Circuit(“the Federal Circuit”) in 1982, the Supreme Court rarely reviewed the patent cases and ensured the Federal Circuit with freedom to independently interpret the patent law and set the doctrines and standards in the field for the next 30 years. Beginning from 2001, however, the Supreme Court began taking on cases dealing with substantive issues of the patent law, and in 2006~2008, the number had risen to 6 cases, all of them dealing with the substantive law, and all of which had been overturned from the Federal Circuit’s decisions. Looking at the cases selected and decided by the Supreme Court, (1) in some cases, the Supreme Court revisited the most fundamental doctrines of the patent law, such as the patentable subject matter and the requirements for patentability; (2) in some cases, the Supreme Court criticized and rejected the Federal Circuit’s self-developed doctrines, such as the automatic permanent injunction and the “teaching, suggestion, and motivation” test; and (3) in some cases, the Supreme Court sided with the patent users/infringers belonging to special categories, such as customers of the licensees, licensees, and entities actively engage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nd/or commercial activities. Although implications of the Supreme Court’s recent decisions in the patent law are yet to be determined, through its decisions, the Supreme Court had taken noticeable steps in dealing with the outcry from the low-quality, and over-crowded business methods and software patents, as well as the patent trolls evolved from the explosion of such patents. However, despite of the problems, the availability and flexibility of patent protection under business method and software patents led the software and IT industry to exchange and share their information and technologies, which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in the technology, open source licensing, and standardization efforts. By placing higher standards for business method and software patents, companies and/or organizations who had previously relied on patents for protecting their proprietary technology will look to trade secret law protection and accordingly tighten internal security procedures, ultimate resulting in the return of the software and IT industry to underground.

      • KCI등재

        러시아연방 특허법 고찰

        김한칠 ( Kim Han-chil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외법논집 Vol.26 No.-

        Russia has a long tradition of the patent system, which dated back to the Imperial Russia. During the CCCP period when the private ownership of property was denied, the patent system remained stagnant. In 1992, however, the Russian Federation, which heralded market economy, enacted the patent law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criteria, laying down the cornerstone to protect patents. The major sources of law of the Russian patent system include the patent law; international treaties executed by Russia; the civil code; the criminal code; enforcement decrees, and so on. In particular, the patent law and international treaties play the most important roles among them. The features of the Russian patent system are as follows: First, inversions, utility models, and industrial designs are all regulated under a single patent law. Second, the personal ownership of patents is recognized, and foreigner's patent rights are recogniz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equal to those of natural and judicial persons of the Russian Federation. Third, the first-to-file system and priority schemes are recognized in Russia, making the patent system keep up with the global trend of the patent law. Fourth, the Russian patent law enacted in 1992 has been amended as many as four times since 2000. As a result of the amendments, new provisions on employee's invention, secret inversion, etc. were created. In the meantime, Russia is mo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globalization of its patent system. Despite the efforts made above, the patent systems of Russia still have some room for improvement. First, delay has been made in enacting the enforcement decrees which could support the patent law. Secon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patents and their protection is still low. Because of the reasons, the precedents on the legal disputes regard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insufficient. Considering the growing number of patents filed these day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legal disputes on industrial property rights will gradually increase in Russia.

      • KCI등재

        한·미 FTA 관련 개정 특허법에 대한 고찰

        조재신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논총 Vol.32 No.3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was taken into effect in March 2012, 4years and 9 months after the Agreement was signed in June 2007. As one of the countries, whose trade dependency is the highest in the world, reaching 97% in 2011, Korea signed the FTA with U.S., after Mr. Obama was sworn in as the president of U.S. Korea signed the FTAs with 10 countries, among which 8, as of Oct. 2012, have been taken into effect, 2 signed, while cooperating with 8 other countries as of today. The KORUS Agreement is comprised of 24 Chapters, among which Chapter 18 relates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IPRs). This paper covers revision of the Korean Patent Act(KPA) specified in the KORUS Agreement Chapter 18: i) extension of novelty grace period(paragraph 7,Chapter 18.8); ii) patent-term adjustments due to unreasonable delay(subparagraph (a), paragraph 6, Chapter 18.8); iii) abolition of patent revocation provision due to non-usage(paragraph 4, Chapter 18.8); and iv)protective order for trade secrets obtained during patent litigation(subparagraph (b), paragraph 11, Chapter 18.10). First, novelty grace period was extended from 6 months to 12 months due to revision of the KPA under the KORUS Agreement. At Substantive Patent Law Treaty(SPLT) meeting on the Unification of the patent laws(WIPO), U.S. had asserted grace period should be extended to 12 months, and some major countries, such as Korea, the EPO and Japan, whose grace period had been 6 months, had agreed to extend the period to 12 months in September 2006, on the assumption that U.S. would give up its first-to-invent system. Australia, Chile, and Morocco, which signed the FTAs with U.S., agreed to extend grace period to 12 months as well. Second, patent-term extension due to a delay in the issuance of the patent was covered. If the registration of a patent is delayed, not caused by the patent owner, for more than 4 years from the filing date of the application or more than 3 years from the request for examination, whichever is later, the patent term can be extended for a period equivalent to that delay. The revised KPA newly created regulations related to patent-term extension due to a delay in the issuance of the patent, especially stated,its periods, procedures, and the effect on the rights of the patent owner. Third, as with abolition of patent revocation provision due to non-usage, the KPA relates to patent revocation through Article 116(patent revocation) and Article 133(trial for invalidation). Patent revocation provision(Article 116) has now been abolished under the KORUS Agreement, in view of the fact that it was never applied, i.e., no patent has ever been revoked in Korea based on non-practicing after the grant of a compulsory license and as the patent owner may not request to revoke the patent due to several reasons, including immaturity of the market, even though a patent may possibly be revoked in the future. Fourth, the court may order that the parties involved in the lawsuit shall not disclose the trade secrets to others under the code of civil procedure. During proceeding, however, trade secrets may be disclosed to others, so that the parties involved in the lawsuit are unable to be faithful to court proceedings. Therefore,trade secrets and any confidential information of a party, by law, should be protected in patent infringement actions, if trade secrets were disclosed to the other party. This kind of legal system was discussed in Japan as well as U.S. to become a law, and the amended KPA introduced provisions regarding protective orders for trade secrets acquired during a patent infringement action as well. 한미 FTA 협정이 2007.6월 서명된 후 4년 9개월 만인 2012.3월 발효 되었다. 한국은 2011년 무역의존도가 97%에 이르러 세계에서 무역의존도가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로서, 한미 FTA의 체결이 필요한 가운데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체결하기에 이르렀다. 한국은 2012.10월 현재 8개국과 FTA가 발효 중에 있고, 2개국과 타결, 8개국과 협상중에 있다. 한미 FTA 협정은 총 24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지식재산권 관련된 협정은 제18장(지적재산권)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미 FTA 제18장 지식재산권 분야 중 특허법의 개정이 있었던, ⅰ)공지예외 적용기간 연장(제18.8조 7), ⅱ)등록지연에 따른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 (제18.8조 6 가.), ⅲ)불실시에 따른 특허권 취소제도 폐지(제18.8조 4), ⅳ)비밀유지명령제도(제18.10조 11 나.)에 관한 내용만을 다루기로 한다. 첫째, 한미 FTA 협정에 의한 특허법 개정으로 공지예외 적용기간을 기존 6개월에서 12개월로 연장하였다. 미국은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특허법통일화를 위한 특허실체법조약(SPLT, Substantive Patent Law Treaty) 회의에서 공지예외 적용기간(Grace period)을 12개월로 주장하여 왔고, 공지예외 적용기간이 6개월인 한국, EPO, 일본 등 주요국들은 미국의 선발명주의 포기를 전제로 12개월로 연장하기로 2006.9월에 합의하였다. 미국과 FTA를 체결한 호주, 칠레, 모로코도 모두 12개월로 협정하였다. 둘째, 등록지연에 따른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이다. 심사처리기간 지연 등 특허출원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이유로 특허권이 기준일(출원일 후 4년 또는 심사청구일 후 3년 중 늦은 날)보다 늦게 특허권이 설정등록 되는 경우 그 지연된 기간만큼 특허권 존속기간을 연장한다는 것이다. 이번 개정된 특허법은 등록지연에 따른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 관련 기간, 절차, 권리의 효력 등의 규정을 신설하였다. 셋째, 불실시에 따른 특허권 취소제도 폐지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특허권취소제도와 관련한 특허법 조항은 제116조(특허권의 취소)와 제133조(특허의 무효심판)이다. 특허법 제116조 특허권 취소 규정은 장래 실시 가능성이 높지만 현재의 시장 미성숙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특허권자가 실시하지 않을 경우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과, 법제정 이후 현재까지 단 한건도 취소사례가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한미 FTA협정 이행에 따라 폐지하게 되었다. 넷째, 민사소송법에서 영업비밀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비밀심리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심리시 본인의 영업비밀이 상대방 당사자에게 개시되므로 충분히 이 제도만으로는 충실하게 심리를 진행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영업 비밀 등을 상대방 당사자에게 개시된 경우 이를 비밀로 유지해 줄 것을 법원에 요청할 수 있는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제도가 이미 미국 뿐 아니라 일본에서도 논의되어 입법화되어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한미 FTA의 협정 사항의 이행으로 도입되었다.

      • KCI등재

        의료방법발명의 영업비밀로서의 보호

        정차호,이은지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3 지식재산연구 Vol.8 No.1

        According to current interpretation of the patent law, medical method inventions cannot be patented due to lack of industrial applicability. This paper, under the purpose to protect medical method inventions at least under the trade secret law, researched relevant foreign precedents and domestic necessity. Regarding this issue, in Germany and Japan, there have been no direct discussions, in the U.S.A., there have been some cases where debates are based that medical method inventions can be protected by trade secret law. Further under the definition of trade secret, medical method inventions can clearly be subject matter of the trade secret protection. In other words,medical method inventions can clearly comply with three requirements of trade secret, i.e., economicality, secrecy and secrecy maintenance. Furthermore, this paper proclaims that it is necessary and advisory to protect medical method inventions as trade secret under Constitutional aspect and industry-policy aspect. The necessity to protect rights of inventors, scientists or engineers must be similarly applied to medical fields. Paying attention on the fact that the medical industry can be a national development driving force, we better endow necessary incentives to inventors who invents new medical methods. Based on such reviews, this paper proposes to amend Article 2(2) of the Trade Secret Act, to make it clear that medical method is one type of trade secret. Additionally, this paper claims that, to protect medical method inventors more strongly, medical method inventions be protected by patent law. In doing so however, considering special aspects of medical method inventions, certain limitations on the patent right could be applied. 현행 특허법의 해석에 따르면 의료방법발명은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없으므로특허가 되지 못한다. 이 글은 동 발명을 영업비밀로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외국의 사례와 국내적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유럽, 일본에서는 관련 자료가 없는 실정이나, 미국에서는 의료방법발명도 영업비밀이 될 수 있음을전제로 공방을 펼친 판례가 파악되었다. 영업비밀의 정의에 근거하여도 의료방법발명은 충분히 영업비밀의 보호대상이 될 수 있다. 즉, 의료방법발명이 경제성, 비공지성, 비밀관리성이라는 영업비밀의 세 요건을 충분히 충족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외, 이 글은 헌법적 견지, 산업정책적 견지에서도 의료방법발명을 영업비밀로서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고 나아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발명가 또는 과학기술자의권리를 보호할 필요는 의료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의료산업이 국가성장동력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 새로운 의료방법을 개발하는 발명가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검토에 근거하여, 이 글은 부정경쟁방지 및영업비밀보호법 제2조 제2호를 개정하여‘의료방법’이 영업비밀의 한 종류임을명확하게 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나아가, 의료방법발명의 발명가를 제대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의료방법이 특허법에 의해서도 보호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만,의료방법발명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해당 특허권에 대한 일정한 제한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사물인터넷 발전을 위한 특허법 쟁점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 연구

        김종우 한국경영법률학회 2020 經營法律 Vol.31 No.1

        사물인터넷의 원활한 응용을 위해서는 일정한 지역범위 내에서 영업모델과 영업방법, 세관보호 등 지적재산권 보호방법을 통해 이러한 정보공개 및 정보공유에 대해 보호를 해야만 한다. 한국도 마찬가지이나 중국에서 사물인터넷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는 반드시 우선적으로 각 분야별 핵심기술의 국산화문제를 해결해야 외부리스크에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중국 사물인터넷 기업 또한 지적재산권 연구개발부문을 전폭적으로 지원하여 실용성, 창의성, 신규성 등 지재권 역량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지적재산권 기술을 법률상의 권리로 전환할 때에는 중국로서는 충분한 자금을 제공하여야 한다. 특히 중국기술 및 제품의 해외특허 신청 시, 반드시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여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보장해야 한다. 만약 중국 사물인터넷 관련기업의 특허신청 시 국제소송 등 난관에 직면한다면 국가 간에도 또한 펀드제공을 통해 지원을 해주는 방안을 검토해볼 수 있다. 기밀유지를 완벽히 하려면 현재 연구개발 중인 사업과 아직 일정한 성과가 없는 사업에 대해 비밀유지를 강화해야 한다. 해당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반드시 기업 내지 자신의 기관과 제품 및 기술 비밀유지협약을 체결함으로써 기술유출 방지에 노력을 해야 한다. 국제표준화조직의 표준제정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특허정보 유출제도의 구체적인 조치에 따라 그 가치가 결정된다. 중국은 국제표준화조직의 관례에 따라 중국 국정을 고려하여 사물인터넷산업의 특허정보 유출의 강행 정도, 유출시간, 유출주체, 유출정도, 유출의 상대방, 유출과정, 유출의 효력 및 특허정보 유출의무위반 시 법적 책임, 유출의 관리감독 등을 보다 분명히 해야 한다. 표준화조직이 필수특허의 평가 및 그의 법적 유효성, 보호범위의 책임을 부담하는 것은 가장 좋은 선택이어야만 한다. 당연히 이러한 인정은 결코 법적 효력이 없다. 법원은 특허인가계약분쟁의 심리 등 재판진행과정에서 특허기술이 특정기술표준의 필수특허를 구성하는가에 대해 사실인정을 내려줄 권리가 있다. 현재 주요 국제표준화기구의 표준 및 일부업계 표준으로 제정한 것을 고려하면 필수특허의 필수성 인정은 불가대체성, 유효성, 상호보완성 및 시간성의 네 가지 기본요건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즉 필수특허는 반드시 유효한 특허여야만 한다. 被인가인이 제품개발을 하고 표준을 실현하는 상응하는 기술을 요구할 때에는 반드시 필연적으로 이 특허를 사용해야만 한다. 또한 기타특허 내지 기술로 대체할 수 없다. 새로운 특허 내지 기술이 충분히 대체된다고 할 때에는 그에 상응하는 핵심특허의 자격은 취소해야만 한다. 이것이 바로 핵심특허유출시스템이다. 핵심특허는 특허풀을 구성하는데 특허 간에는 필수적으로 상호보완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필수특허의 인정절차와 관련하여 ISO 및 ITU 등 표준화조직은 모든 표준시스템 구성원은 최대한 적시에 기술표준관리위원회에 필수특허를 구성하는 상황을 통지해야만 한다고 요구할 수 있다. 보고서에서 알 수 있는 점은 표준시스템 중의 필수특허 상황 하에서 관리위원회는 전문가기술평가팀을 조직해서 제때 상세하게 조사를 진행해야만 한다. 이를 통해 해당특허권의 존재여부 및 필수특허로서의 가능성 여부를 분명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국의 현행 과학기술 발전 현황으로 말하면 중국은 표준을 제정한... For the smooth applic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it is necessary to protect such information disclosure and information sharing through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business model, business method, and customs protection within a certain area. In Korea as well,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China, it is necessary to first resolve the localization of core technologies in each field so that external risks cannot be shaken. China's Internet of Things (IoT) companies must also fully support the intellectual property research and development sector to significantly enhance their intellectual property capabilities, such as practicality, creativity, and novelty. When converting intellectual property technology to legal rights, China must provide sufficient funds. In particular, when applying for overseas patents for Chinese technology and products, it must be ensured that sufficient funds are secured to proceed smoothly. If China's IoT-related companies face difficulties in international litigation when applying for patents, they can also consider ways to provide support through fund provision among countries. In order to maintain confidentiality, confidentiality must be strengthened for projects that are currently under R&D and those that have not yet achieved certain results. Workers in the industry must make efforts to prevent technology leakage by signing product and technology confidentiality agreements with companies or their organizations. In the standardization proces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its value is generally determined by the specific measures of the patent information leakage system. According to the custom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China considers the state of China and enforces the patent information leakage of the IoT industry, the time of the leak, the subject of the leak, the degree of the leak, the counterparty of the leak, the process of the leak, the effect of the leak, and the violation of the obligation to leak the patent information. The city's legal responsibilities and management super- vision of spills should be made clearer. It should be the best option for the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evaluation of essential patents and their legal validity and protection scope. Naturally, this recognition is never legal. The court has the right to give facts as to whether the patented technology constitutes the essential patent of a specific technical standard during the trial process, such as the trial of a patent licensing contract dispute. Considering the current standards and some industry standards, the recognition of the essentiality of essential patents needs to satisfy four basic requirements: irreversibility, effectiveness, comple- mentarity and temporality. That is, the essential patent must be a valid patent. When a licensed person develops a product and requires a corres- ponding technology to realize a standard, it must necessarily use this patent. Also, it cannot be replaced by other patents or technologies. When a new patent or technology is said to be sufficiently replaced, the qual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core patent must be revoked. This is the core patent outflow system. The core patent constitutes a patent pool, which must satisfy mutual complementarity between patents. In relation to the procedure for accreditation of essential patents,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such as ISO and ITU may require that all members of the standard system should notify the technical standard management committee of the essential standards as soon as possible. What can be seen in the report is that under the mandatory patent situation in the standard system, the management committee should organize an expert technical evaluation team and conduct detailed investigations in a timely manner. Through this, it is desirable to clarify whether the corresponding pate...

      • KCI등재

        특허법상 선사용권(先使用權) 제도의 운용에 대한 검토

        조영선 대한변호사협회 201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21

        This article looks into the realities of Prior User Right and proposes the desirable direction to move to. Prior User right is some exceptional rule under patent regime that encourages the disclosure of art to public. Meanwhile, it plays role for enterprise to be able to keep and exploit the valuable invention as business secret. Recently, the significance of the keeping invention as secret grows and its strategic importance is being redeemed seriously. Moreover, it is being revealed through law-economic analysis and empirical research that engaging the priority of independent invention against patent monopoly is beneficial for social welfare. In comparative law’s aspect, the reformed Patent Act of the U.S.(2011) enclose all inventions as the subject matter of Prior User Right. Some European countries as France, Belgium render Prior User Right to the prior inventor. Japan, one of the most outstanding patron of the Prior User Right system has long history, accumulation of practice experience and relevant case laws. On the other hand, the utilization of Prior User Right in Korea has been very meager and it needs to be improved sooner or later. Due to the internationality and territorialism of patent law, the conservative attitude toward Prior User Right may result to undermine the substantial power of domestic enterprises’patents. For improvement, it is needed to interpret the criteria of Art. 103 for Prior User Right more flexibly. While deciding the scope of patented claim or the nonobviousness of the patent,courts can reflect the existence of certain prior art on filing date in regard to the PHOSITA level. In the long run, the amendment of Art. 103 can be considered to encompass the compulsory license upon Prior User Right to be paid and the condition of “preparation of the business” to be deleted. Through it courts can obtain the policy leverage in deciding the Prior User Right for the preferable resolution. 이 논문은 특허법 제103조의 선사용권에 대한 실태를 점검하고 바람직한 운용방향을 제시한다. 선사용권은 기술의 공개를 권장하는 특허법의 체계에서는 예외적인 규범에 속하지만 한편으로는기업으로 하여금 자신의 발명을 영업비밀로 유지・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로서 기능한다. 근래에 들어 여러 가지 이유로 후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특허제도하에서 선사용권처럼 독립한 발명자의 실시권을 보장하는 것이 사회 복리에 유리하다는 점이 법경제학적 연구 혹은 쟁송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속속 밝혀지고 있다. 비교법적으로도 미국은 2011년 특허법 개정을 통해 선사용권 항변을모든 유형의 발명으로 확대하였고, 유럽은 오래 전부터 선출원주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선사용권을 인정하고 있으며, 프랑스, 벨기에 등은 선발명자에게 선사용권을 인정하는 등 폭넓은 권리를 부여한다. 일본은 세계적으로 가장 선사용권의 이용이 활발한 나라로 생각되며 다양한 해석론과 판례가 집적되어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선사용권 조항은 활용의 실적이 매우 미미하며 이러한 현실은 앞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특허의 국제성과 속지주의로 인해 다른 나라에 비하여 우리나라만이 선사용권 인정에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는 경우 우리 기업이 불리한 입장에 처할 수 도 있다. 그러한 개선을 위해 특허법 제103조의 선사용권 성립요건을 보다 탄력적으로 해석하고 선발명이 존재하는 특허의 권리범위해석이나 진보성 판단 시 통상의 기술자 수준 인정에 이를 반영하여 엄격성을 부여하는 등 해석론적시도를 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특허법 제103조의 개정을 통해 선사용권을 유상화하여 실시료부과를 중심으로 법원의 정책 레버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사업의 실시를 선사용권의 성립요건에서 삭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일반 논문 :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발명자권)의 위상 검토와 제언

        조영선 ( Young Sun Cho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고려법학 Vol.0 No.63

        발명이 성립한 이후 출원을 거쳐 특허등록을 받기까지의 법적 실체인``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현실에서의 활용도 등에 비추어 특허권에 못지않은 중요성을 가진다. 우리 특허법은 특허를 받을 권리의 법적 성질에 대하여 아무런 선언적 규정을 두지 않고 있으며, 종래 위 권리는 국가를 상대로 특허의 부여를 청구할 수 있는 절차적 권리임은 물론, 당연히 사적 재산권으로서의 성격도 가지는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특허법 규정들을 분석해 보면 적어도 우리 특허법은 특허를 받을 권리에 ``특허의 부여를 청구할 수 있는 절차권``으로서의 성격 외에 사적 재산권으로서의 성격까지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는 이해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는 영업비밀보호법의 틀에서 해결방법을 찾는 것으로 충분하며 오히려 더 효과적이다. 이 점에서 실정법의 태도를 무시하고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에 막연히 재산권적 성질을 전제하는 것은 법 정합적 해석론이나 적절한 입법론 수립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편, 우리나라를 제외한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사적 재산권임을 명확히 하고 관련된 공시수단을 확보함으로써, 양도, 담보제공, 실시권 설정 등 특허등록 이전(以前)에 발명을 활용할 수 있는 제도보장을 하고 있다. 일본 또한 최근의 특허법 개정을 통해 모인출원에 관하여 특허등록 명의이전에 의한 정당한 권리자 보호를 인정하는 등 이러한 비교법적 추세를 수용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향후 특허를 받을 수 있는 권리의 적절한 보호를 위해 영업비밀보호법 상 구제수단을 적절히 활용하는 한편, 그 사적 재산권으로서의 성질을 분명히 선언하고, 공시제도 마련, 질권설정 금지 철폐 등 입법적 개선을 통해 발명의 조기 활용을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 Differentiating it from other countries, current Korean Patent Act does not explicitly provide the ``Private Property Nature`` of pre- registration invention. Nonetheless, most commentators have regarded the invention automatically entail the subsistence of number of ``property rights`` even without patent registration. This article is upon the critical standpoint that those conventional belief is not only statutorily groundless but also harms establishing appropriate law amendment direction. The analysis of Korean Patent Act shows it is premised on that ``The right to be patented`` is nothing but the ``Right to seek for the patent registration``. Instead, the inventor or patent applicant can find the proper solution of protecting the invention in the realm of ``Trade Secret`` as it is ``Useful Information`` by its nature. However, the comparative law`s research reveals that many other countries such as Germany, England, France, Japan and the U.S. provide the property right nature of pre-registration inventions. To protect the inventor`s standing more efficiently and to harmonize with the global regulation, considering the amendment of Korean Patent Act is worthwhile, which will involve to declare the private property right nature of invention before its registration. Plus, to precipitate the utilization of invention from early stage, the law needs to allow the capability of mortgage, execution and publicly accessible registration of filed invention.

      • KCI등재

        영업비밀 분쟁의 현황과 그 증가 원인: 특허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설민수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4 지식재산연구 Vol.9 No.3

        Trade Secrets which feature secrecy as most essential element arecompeting dominant status of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ng industrialtechnologies with patents which feature disclose the operativeprinciples of non-obvious inventions to public, though trade secrets arelatecomer. This article shows that trade secrets are working as moreimportant intellectual property than patents in protecting big companyand high-tech technologies which have impacts through empiricalanalysis of first courts opinions of civil cases granting damage awardsfrom 2009 to 2013. The analysis features in general consequences ofoutcome, parties, technologies and procedures in disputes comparingtrade secrets infringement with patents. The cause of exponentialgrowth of trade secrets as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ng industrialtechnologies lies in evolving industrial structure toward mid or highlevel technologies and ICT manufacture industries utilizing trade secretsin fixed assets in fierce price cutting competition, changing industrialenvironment towards fluidity of employees which weakens royalties tofirms and transformation into the digital informations. Meanwhile,institutional factors in trade secrets like elasticities of subject mattersand extension of criminal liability aided by crime of misappropriationcontribute this exponential growth. The rapid rising of trade secrets asintellectual property and proliferation of infringement disputes could be demand of times of digitalized high-tech industry, but it remains tasks ofbalancing interests of employees who contribute substantially to formingthe trade secrets. 비밀성을 최대 특징으로 하는 영업비밀은 그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진보성을 갖춘 발명의 작동원칙 공개를 핵심으로 하는 특허와 산업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주된 지식재산권의 지위를 다투고 있다. 이 글은 2009년부터 2013년 사이에 침해에 따른 손해배상이 인정된 제1심 민사판결을 통해 특허와 대비되는 영업비밀 분쟁의 일반적 모습과 그 분쟁당사자, 분쟁대상기술, 분쟁절차상의특징을 분석해 한국의 현실에 있어 영업비밀이 특허보다는 그 파장이 큰 대기업과첨단기술에 관련하여 산업기술을 보호하는 중요한 지식재산권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영업비밀이 산업기술을 보호하는 주된 지식재산권으로 급속하게 성장한 데는 고정자산을 활용하는 영업비밀의 효과가 큰 가격경쟁력을 위주로 하는 중고위기술과 ICT 제조업 위주로 산업구조가 변화해왔고 그 과정에서 근로자 집단의 충성도 약화와 이동성 강화, 디지털정보로의 전환과 같은 산업환경의변화 같은 요인이 큰 역할을 했다. 그와 함께 무정형성과 같은 영업비밀 자체의특징과 배임죄와 결합한 형사적 책임의 확장 같은 보호제도의 구조적 요인 또한일정부분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영업비밀의 지식재산권으로서의 급속한부상과 분쟁의 확산은 디지털화 된 산업시대의 요구라는 측면이 있지만 향후 근로자가 상당부분 형성에 기여한 기술정보의 공정한 귀속문제 해결이라는 법적 과제를 남기고 있다.

      • 혁신적 영업비밀의 보호

        이형주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08 Law & technology Vol.4 No.5

        Companies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ir research and development by in-licensing of intellectual property from other firms. Moreover, if the giver and the taker are in different fields, the meeting will be more innovative. And rather than just license of technology by documents, thetransfer of cumulative trade secret carried by personnel will be more effective. To foster such‘open innovation’safety devices for the right holder is essential. But there is not adequateprotection system for trade secret.The Unfair Competition Act of Korea was born to keep the fair competition. But the main role ofit is restricted to regulation of confusion caused by undue usages of marks. Besides, by adopting ofthe protection of trade secret and dilution regulations, the act lost consistency. Reformation isneeded to clear the overlapping with trade mark actAs patent enjoys the exclusivity for the opening to the public for some period, trade secretpassively defense against trespassing. Successful entrepreneur must utilize these two differentmethods well.In hi-tech industry, innovational trade secret is trespassed by the shifting of workers.Employers can prohibit the intrusion by non-competition contract or trade secret protection act.But there is the problem of collision between the two right holders. As the remedies after the fact cannot be satisfactory, systematic management know-how for the trade secret is essential. 혁신은 외부의, 이질적 분야에서 구성원 사이의 결합에 의한 포괄적 영업비밀의 이전이 이루어질 때 발휘된다. 이러한 영업비밀의 전수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권리자에게 적절한 보호책이 주어져야 하나 현재의 계약법과 부정경쟁방지법으로는 부족하다. 우리의 부정경쟁방지법은 공정한 경쟁을 확보하기 위해서 출발하였으나, 주된 기능은 상인의 표지 관련 혼동 초래 행위 규제에 한정되어 있고, 이후 필요에 따라 영업비밀 보호, 희석화 규정이 추가됨으로써 체계의 혼란이 초래되었는바 상표법과 중복되는 범위에서 정비가 필요하다. 특허가 특정 기술에 대해 공중에게 공개한 대가로 일정 기간 독점권을 가짐에 반해 영업비밀은 소극적으로 부정한 침탈행위를 방어할 수 있는데 그친다. 기업은 이러한 보완적인 보호제도를 적절히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첨단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 영업비밀은 근로자의 전직에 의해서 침해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는 계약관계에 기해서 혹은 영업비밀보호법으로 규제할 수 있으나 근로자의 헌법상 권리와의 충돌이 문제된다. 이러한 사후적 규제만으로는 보호에 한계가 있으므로 체계적인 관리 매뉴얼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영업비밀로서의 직무발명

        김민배(Min-Bae Kim),신재호(Jae-Ho Shin) 세창출판사 2007 창작과 권리 Vol.- No.46

        To be protected as a trade secret on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Law, a trade secret should be useful information, which is not known to the public, has an independent economic value, and has been maintained in secret by considerable effort. On the other hand, Employee Invention System has some problems in using employee invention as a Trade Secret, because the system balances employee's interests and employer's assuming application for a patent required to disclosure to the public. This paper examines these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an employer who uses the employee invention as a Trade Secr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