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 민주화의 이론과 실천

        김환석(Kim Hwan-Suk)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5

        오늘날 과학기술이 구성되는 사회적 맥락은 기술관료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는데 이는 과학기술의 불확실성과 위험을 심화시키면서 대중의 우려와 불신을 자극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과학기술학(STS) 연구자들은 전문가가 아닌 시민대중의 참여를 통해 과학기술의 연구ㆍ개발ㆍ활용의 전 과정에 대한 의사결정을 민주화함으로써 이런 불확실성과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본다. 시민참여를 통하여 과학기술의 구성 과정을 변화시키면 과학기술의 내용뿐 아니라 사회적 맥락도 함께 변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1990년대부터 서구에서는 이런 생각에 기초하여 과학기술의 민주화를 추구하는 이론과 실천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왔다. 특히 숙의민주적 시민참여의 방법들이라 여겨지는 합의회의와 시민배심원 등에 대하여 많은 연구와 실험이 이루어졌다. 기존의 과학과 정치에 대한 대중의 환멸과 불신을 이러한 방법들이 해소해줄 수 있을 것이라 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서 서구의 이러한 변화에 주목하기 시작하였으며 일부 시민참여의 실험들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STS의 통찰에 의하면 과학기술은 사회에 외생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를 구성하는 일부이다. 따라서 과학기술의 내용을 민주정치의 대상으로 삼는 이른바 ‘과학기술의 민주정치(democratic poli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가 지금 우리에게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 핵심은 이 글에서 소개하였듯이 다양한 숙의민주적 시민참여의 실천에 있다. Today the social context of science and technology takes on a strong technocratic character. This leads to concerns and mistrust of the public, by increasing uncertainty and risk associat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STS) believe that such uncertainty and risk can be considerably reduced by democratizing the decision-making with regard to the whole processes of research,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chnologies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If we change the processes to construct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this would also change both the content and the social contex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fact, based on such an idea, Western countries have actively developed the theories and the practices to seek the democrat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the 1990s. Especially, many studies and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on consensus conference and citizen jury, which are well-known as methods of deliberative democracy. For these methods have been expected to resolve the disillusionment and mistrust of the public toward the existing science and politics. In Korea, also, we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these changes in Western countries and even to attempt some experiments of public participation by ourselves. According to the insights of STS, science and technology are not exogenous to society but an integral part of it.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mocratic poli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target both the content and the context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this paper has pointed out, the key to such politics lies in the diverse practices of public participation with a deliberative and democratic character.

      • KCI등재

        과학기술정책에 관한 새로운 민주적 참여모델의 모색 : 프랑스의 유전자조작 농식물(GMO) 관련 정책결정과정에서의 비정부행위자의 역할

        김태수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1 EU연구 Vol.- No.28

        European Union and USA have quite different regulations o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 This article tries to explain why and how this difference happened to settle down between two sides of Atlantic Ocean. We describe and analyse the emerging european bioscience-technology policy model in 1990s with special lights on the french case. In the past,science-technology policy reserved to only a small number of technocrats and experts who monopolized legitimate competence in this domain. But the intensive public debates triggered by the GMO issues in Europe(and in France) in the mid-1990s, developed by massive mobilization of non-government actors who were initially excluded from policy making channel, leads to construct “european public” or “civil society” in the name of which these non-government actors finally participate in official forums and therefore integrated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on GMO issues. The emerging bioscience-technology policy model in France and in Europe consists of the start-point of institutionalization of “science-technology democrac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on the basis of enlarged expertises and multiple rationality. 유전자조작 농식물(GMO)에 대하여 유럽연합과 미국은 상반된 규제법규를가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바로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조명하는데 있다. 이글에서는 유럽연합에서 1990년대 새롭게 부상하는 과학기술정책 결정모델을 프랑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분석을 시도하였다. 과거 과학기술정책은 소수의 관료와 전문가로 구성된 배타적 집단의 독점적 결정권이 행사되던 영역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부터 GMO를 둘러싸고 유럽에서 촉발된 공적논쟁은 과학기술 정책과정에서 애초에 배제되었던 비정부행위자들의 자발적 동원과 개입을 통해 전개되었으며 이를 통해 이들 비정부행위자들은 “유럽대중”의 실체를 구성하면서 마침내 “시민사회”의 대변자 자격으로 공식 포럼과 정책결정 과정에 참여하게 되었다. GMO에 대한 공적논쟁의 과정에서 프랑스를 비롯하여 유럽연합지역에서 부상된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결정모델은 따라서 확대된 전문성 및 다양한 합리성을 기반으로 ‘시민사회’의 참여를 허락하면서 ‘과학기술 민주주의’의 제도화를 향한 출발점이 되었다.

      • KCI등재

        2009 개정 역사 교육과정을 둘러싼 의사결정 구조의 亂脈과 개발 과정의 虛實

        金泰雄(Kim, Tae-Woong) 역사교육연구회 2012 역사교육 Vol.124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decision making at the 2009 revised national history curriculum and the real state of its developing procedure. In addition, I suggest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current decision making system. As a result, I confirmed the developing procedure look to the direction that do not coincide with the reality of history education because of the contradictions of the decision-making structure, political inclination of only a few of history curriculum committeemen and presses, statesmen. Especiall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s one-sided procedure of in changing the wording by excluding advisors and researchers can not escape reasonable criticisms. Ultimately, this confusion makes teachers difficult to give nomal history lessons and pupils learn history systematically. Therefore, we need to build the structure of automous decision making, regardless of political and external pressure. We also need to continue to monitor the voice of the field of education, to improve the suitability of the curriculum. Finally, in order to prevent the confusion of the field of education, our curriculum should not be amended from time to time in the division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