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의 대표 과학문화기관으로서 국립중앙과학관의 이상과 현실

        신향숙(Shin, Hyang Suk),문만용(Moon, Manyo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21 과학기술학연구 Vol.21 No.3

        국립중앙과학관은 역사적 부침 속에서 연속과 단절을 거치며 명칭과 체제를 달리해왔다. 해방 직후의 국립과학박물관에서 현재의 국립중앙과학관에 이르기까지 영문 명칭은 National Science Museum으로 동일했지만 한국어 명칭은 조금씩 변화했고, 이는 당시의 사회 변화를 반영함과 동시에 과학관이 부여받았던 기대와 역할도 달라졌음을 시사한다. 이 중에서도 1990년 대덕연구단지로 이전해 국립중앙과학관으로의 새출발은 한국 과학관의 역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대덕 이전에 따라 국립중앙과학관이 새로운 역할과 책임을 부여받았으나,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확보되지 못하면서 발생한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두 측면에서 분석했다. 하나는 국립중앙과학관이 한국의 대표 과학관으로 국내 과학관 네트워크의 구심체이자 상위기관으로 역할을 기대했으나 법률이나 행정체계가 충분히 갖추어지지 못하면서 발생한 문제이다. 그 결과 국립중앙과학관은 과학관협력망을 주관하고 과학관 운영인력 양성 등의 다양한 사업을 벌이고 있으나, 명목상의 ‘중앙’에 머물고 있으며 다른 국립과학관처럼 지역에 맞는 특성화를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다른 하나는 대덕 이전 이후 주요 임무 중 하나로 국가연구개발 성과 홍보라는 기대와 역할을 부여받았으나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의 미온적 태도와 이를 강제할 수단을 갖고 있지 않은 국립중앙과학관의 현실적인 한계에서 빚어진 문제이다. 결국, 이러한 괴리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립중앙과학관이 대덕연구개발 특구에서 산출되는 국가적 연구개발사업 성과의 수집‧관리‧전시에 더욱 역량을 쏟고, 이를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국립중앙과학관은 지방이지만 한국과학기술 연구개발활동의 중심지인 대덕에 위치하고 있다는 지리적 강점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국가를 대표하는 국립중앙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name and the system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have experienced changes and continuities with the tides of its history. From Gungnipgwahak-bangmulgwan 국립과학박물관, the original name given to the museum when it was established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Korea‘s liberation, to current Gungnip-jungang-gwahakgwan 국립중앙과학관, the name of the museum reflects how the broader social context as well as the expected role of the museum changed over time. Meanwhile, the English name of the museum, the National Science Museum, remained the same. Among these changes, the relocation to the Daedeok Science Tow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in 1990 marks a benchmark moment in the history Korean science museums. This study analyzed the gaps between ideals and reality that emerged due to the lack of a system to support the new role and responsibilities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s a representative science-culture institute of Korea, following its relocation to Daedeok. The National Science Museum was expected to play a role as a supervision institute for the nation’s science museum network as the leading science museum. However, in the absence of a sufficient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 it was impossible for the museum to meet this expectation. This led the National Science Museum to organize the science museum cooperation network and run various projects such as training programs for science museum operating staff for regional-level science museums. The drawback of such centralization efforts, however, is that the National Science Museum cannot promote regional specialization like other national science museums due to its nominally ‘central’-status. In addition, the lukewarm attitud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and absence of an enforcement mechanism present serious limitations to the National Science Museum’s expected role of the promoter of national R&D achievements and accomplishments of the GRIs. In order to overcome these gaps, the National Science Museum must devote more resources on the collection, management, and exhibition of national R&D program results produced in Daedeok Innopolis and establish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stable promotion. The National Science Museum will be able to regain its status as the central national institution representing Korea’s science-culture and achievements by making the most of its geographical location in Daedeok, the axis mundi of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R&D.

      • KCI등재

        한국 사회에서 과학기술 민주화 논의의 전개

        박진희(Park, Jin-hee) 한국역사연구회 2013 역사와 현실 Vol.- No.87

        Discussions on democratization of science & technology in Korea originated in the 1970s when the Science & Technology movement was initiated by the students. The activists of the S&T Movement tried to mobilize engineers and scienc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students movement against the military regime with regards to scientific issues. For negative effects from the technical development led or promoted by the military regime, issue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lienation of labour were raised. During the 1980s, appeared were the social groups which were engaged specially in the labour movement of scientists and engineers. They thought that social problems caused by ab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be solved by the labour movement of scientists and engineers. While the 1970s and 1980s the S&T Movement made our society to focus on the social issues related to science. But problems such as uncertainty of science and technology or the reliability of expert system were not issued, although our society was confronted with such problems. In the late 1990s, the discussions on democrat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public. The participation of lay citizen in the technical risk assessments was legitimated, and the government accepted the citizen jury which is based on lay knowledge. Nowadays, it seems that our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is democratized to a certain extent.

      • KCI등재후보

        전지구적 사유화 체제와 생명공학의 실행양식 - ‘undone science’로서의 GMO 연구와 그 함의를 중심으로

        김동광(Dong-Kwang Kim)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19 생명, 윤리와 정책 Vol.3 No.2

        오늘날 과학을 둘러싼 상황은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20세기 말 이래 자본의 자유로운 흐름을 방해하는 모든 요소들을 제거하려는 신자유주의의 움직임은 과학기술의 실행양식, 특히 생명공학의 실행 양식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과학기술의 행위주체, 규율양식, 지원체계 등에서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면서 과학기술의 사회적 연구에서도 새로운 접근방식이 요구되기 시작했다. 과학의 새로운 정치사회학, 또는 신과학정치사회학(new political sociology of science, NPSS)이라는 이름으로 포괄되는 접근방식은 과학기술학(Science & Technology Studies, STS)의 기존의 성과와 한계를 기반으로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려는 시도의 하나이다. 이 연구는 NPSS의 접근방식을 기반으로 GMO를 사례로 분석해서 생명공학의 실행양식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살펴보려는 작은 시도이다. 흔히 GMO를 둘러싼 논의는 인체와 생태계에 미치는 안전과 위해로 축소되거나 환원되는 경향이 있지만, 그것은 GMO를 지나치게 협소한 틀로 가두고 안전성을 둘러싼 과학적 논쟁으로 축소시켜 사회적 및 구조적 논의를 배제시킬 우려가 있다. 이것이 이른바 과학화(科學化)의 위험성이다. GMO의 문제점은 전지구적 사유화 체제라는 관점에서 산업화된 농업 구조와 다국적 기업의 이익 추구, 그리고 시민사회가 수행하는 역할과 그 영향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신자유주의와 전 지구적 사유화 체제, 그리고 생명공학은 떼려야 뗄 수 없이 밀접하게 얽혀있고, 이음매를 찾을 수 없을만큼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Today, the situation around science is changing very rapidly. Since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neoliberal movements to remove all the obstacles to the free flow of capital have greatly influenced the mode of pract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of biotechnology. As radical changes in the actors, regulations, and support systems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emerged, new approaches are beginning to be required in the social research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approach encompassed in the name of the new political sociology of science(NPSS) is an attempt to responds to these changes based on the existing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STS). This study is a small attempt to analyze how the mode of practice of biotechnology is changing by analyzing GMOs on the basis of the NPSS approach. Often, the debate surrounding GMOs tends to be reduced to safety and harm to humans and ecosystems, but it may confine GMO studies into an overly narrow framework and reduce the issue from social structural discussions to scientific grounds for safety. This is the danger of so-called scientization. The problem of GMOs needs to consider the industrialized agricultural structure, the pursuit of the interest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e role played by civil society and its impacts from the point of view of globalized privatization regime. Neoliberalism, the globalized privatization regime, and biotechnology are inextricably intertwined and inseparably tightly coupled.

      • KCI등재

        천문우주 분야의 2004~05년도 과제 현황분석

        김영수,김선우,성현일,김병수,박정한,Kim, Young-Soo,Kim, Sun-Woo,Sung, Hyun-Il,Kim, Byoung-Soo,Park, Jung-Han 한국천문학회 2007 天文學論叢 Vol.22 No.4

        Many departments in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 including Ministry of Science & Technology (MOST) allocate some of their budget into research and development in astronomy and space science. We identify the research projects related to astronomy and space science that were funded by the government during fiscal years 2004-2005. Then the distribution of budgets of those projects is analyzed according to several classification schemes an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find out the status and trends of the investment in this field. Five departments had conducted more than 190 projects related to astronomy and space science, which accounted for 7.3% of the government R&D budget in space and aeronautics area. As for most fields of basic science, MOST and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vested the most of budget in astronomy related projects. We briefly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일반인을 위한 과학대중화 콘텐츠 개발의 효율성 제고 방안

        손향구(Hyang-Koo Sho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과학기술로 인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점차 증가하며 정책결정과정에 대중의 참여가 요구되고 이로 인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과학대중화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과학대중화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지만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정부지원기관인 과학관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만이 주로 제공되고 있으며 과학전문 채널의 시청률은 매우 저조한 상태이다. 한편, 최근 들어 민간분야에서 저예산으로 제작된 일부 콘텐츠가 대중들로부터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는데, 이는 흥미 있는 주제 선별, 대중의 눈높이, 외부전문가활용, 양방향 소통방식 등의 요소를 적절히 고려하며, 대중의 요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한 것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모형에 근거한 PUS(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과학대중화이론)이론에 기초하여 팟캐스트 기반 프로그램, 현장강연 사례, 민간기업 전시행사와 팹랩 등의 민간분야 콘텐츠를 분석하고 이의 성공요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나아가 향후 우리 정부가 과학대중화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민간분야 콘텐츠 제작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양자 간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시너지효과를 창출해야한다는 사실을 환기시킨 후 이에 필요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The growing socio-economic effect caused by science and technology requires public to participate in policy-making process, which makes government to boost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PUS). Government has also exerted to construct infra for PUS. However results are not so meaningful. The government-funded science museum has mainly provided the program for students. Besides, science broadcasting channel has recorded the worst viewing rate. Meanwhile, some of the private sector-manufactured contents have attracted public attention in recent years, which is realized by considering elements such as an interesting topic selection, use of outside experts, two-way communication system, level adjusting for public through flexible running system. This study analyze podcast based program, face to face lectures, display contents by private industry, fab lab etc. on the base of the reciprocal PUS model to sort out the reason they have successful results. Futhermore, it argues that government should intensify support for private sector and create synergy effect by cultivate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US and offers public policy to realize the plan.

      • The Nature of the Seculariz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Ki Jung Nam(남기정)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7

        막스 베버는 ‘세속화’를 모던 세계 사람들의 삶 속에서 종교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현상으로 정의하고, 과학의 발달이 종교의 영향력 감소를 가져온다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은 한동안 정설처럼 받아들여져 왔다. 그런데, 20세기 후반의 종교 현상을 연구한 학자들의 주장은 이 주장의 정당성에 대하여 다시 생각하게 한다. 이 논문은 이런 최근 학자들의 주장들 중 폴 프로세, 피파 노리스와 롤란드 잉글하트, 찰스 테일러 주장을 탐구하였다. 베버의 주장과 비교하기 위해, 세속화를 종교의 영향력 감소로 정의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 그리고 과학의 발달은 종교의 감소를 초래하는가, 이 두 질문을 중심으로 위의 학자들의 논의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논의들은 과학의 발달과 이에 따른 문화의 변화 속에서도 인간의 종교에 대한 요구는 꾸준히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세속화를 종교의 영향력 감소로만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에 근거하여 필자는 현대 사회에서 종교는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종교적 제도, 그것의 권위와 영향력, 공공 영역에서의 종교 행사 등의 측면에서 종교는 감소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여기서 거론된 학자들의 논의에서 본 바와 같이, 개인들의 종교성과 대중들이 느끼는 종교의 필요성은 결코 사라지지 않고 지속적이다. 그러므로, 종교의 세속화에 관한 논의는 종교의 감소가 아니라, 새로운 환경 속에서의 종교의 변화의 가능성을 다루는 것이 되어야 한다. The author explores the recent debate over secularization as a critical discourse on the changes in religion in modern society. More specifically, he explores the assertions of several scholars who have discussed seculariz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of religion to science. Max Weber, who defined secularization as the decline of the influence of religion in modern life, claimed that in modern society religion would decline due to scientific advancement. The Weberian thesis was accepted as “a common knowledge” among social scientists for several decades. However, based on observations of contemporary religious culture, many scholars have raised questions regarding the legitimacy of this thesis. Scholars have debated the nature of the changes in religion and the reasons for these changes. The author summarizes four scholars’ attempts to revise the Weberian thesis: Paul Froese, Pippa Norris and Ronald Inglehart, and Charles Taylor. The article raises two questions: Is secularization or the change in religion in modernity characterized by a decline in religion? Is the advancement of science the reason for the decline? The author addresses some scholars’ responses to these questions. Taking their claims into account, he argues that religion has been transformed, not diminished, as a result of the advances in science and other influences of modernity. As an institution, as an authority that controls people’s lives, public practices, and social power, religion seems to be declining in the modern era. However, religiosity as an individual religious need is not disappearing but instead persists. Therefore, theories of secularization should incorporate the possibility of the transformation of religion, not merely view religion as in decline.

      • KCI등재

        Understanding the Estimation of Circumference of the Earth by of Eratosthenes based on the History of Science, For Earth Science Education

        Oh, Jun-Young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2017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0 No.2

        지구크기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측정은 기원전 230년, 헬레니즘의 과학자인, 에라토스테네스 (276-195 B.C.)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역사적으로 수학적 추상화는 유럽의 고대 그리스인의 천재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그 당시에는 상상하기 어려운 태양이 멀리 떨어져 있기에 태양광선이 평행하게 지구에 입사한다는 전제를 요구하는,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기법의 에라토스테네스의 과학적 방법의 성공이었다. 중요한 것은 간단한 수학적 비례식을 성립하기 위해서는 지구가 둥글고, 광선이 지구에 나란하게 들어온다는 가정이 필요하였다. 즉 천상으로부터 지상으로 유클리드 기학학이 연결된다는 내용이다. 그것은 최초로 태양중심을 주장한 아리스타쿠스의 제안을 받아들여야 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인 우주는 아름답고 우아하다는 사상에 기반을 두어 지구는 구처럼 대칭적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가정들을 현대가 아닌 그 당시 어떻게 정당화 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실험의 미적 관점에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측정의 중요한 특징은 단순성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The first accurate estimate of the Earth's circumference was made by the Hellenism scientist Eratosthenes (276-195 B.C.) in about 240 B.C. The simplicity and elegance of Eratosthenes' measuremen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Earth by mathematics abstraction strategies were an excellent example of ancient Greek ingenuity. Eratosthenes's success was a triumph of logic and the scientific method, the method required that he assume that Sun was so far away that its light reached Earth along parallel lines. That assumption, however, should be supported by another set of measurements made by the ancient Hellenism, Aristarchus, namely, a rough measurement of the relative diameters and distances of the Sun and Moon. Eratosthenes formulated the simple proportional formula, by mathematic abstraction strategies based on perfect sphere and a simple mathematical rule as well as in the geometry in this world. The Earth must be a sphere by a logical and empirical argument of Aristotle, based on the Greek word symmetry including harmony and beauty of form. We discuss the justification of these three bold assumptions for mathematical abstraction of Eratosthenes's experiment for calcula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Earth, and justifying all three assumptions from historical perspective for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Also it is important that the simplicity about the measurement of the earth's circumstance at the history of science.

      • 출연연 연구사업계획서 데이터를 통한 융합연구 방법에 대한 연구

        이재성(Jae-Seong Lee),박기주(Kiju Park),김근환(Keunhwan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5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하 NST)는 크게 ‘출연(연)간 융합연구 활성화’, ‘출연(연) 임무 확립’, ‘중소 중견기업 R&D 전진기지화’, ‘출연(연) 애로사항 해결’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출연(연)간 융합연구 활성화’는 출연(연) 중심의 융합연구 사업을 추진하며, 궁극적으로 융합연구사업 연계 프로세스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성공적인 융합연구단사업을 위해 과학기술 관련성과 융합연구 적절성을 계량서지학(Bibliometrics)이나 과학계량학(Scientometrics)를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주로 분석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논문, 특허, 과제에 대한 정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결과로서의 융합이 아니라 수단으로서의 융합을 위해 연구사업계획서 데이터의 가치를 제안한다. 그리고 연구과제 데이터를 통한 분석 결과와 연구사업계획서를 통한 분석 결과를 비교해봄으로써 융합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사업계획서 데이터의 활용가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NST) will function as "activation of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GRI)", "establishment of GRI mission", "Supporting R&D advance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resolution of GRI administrative process difficulties". In particular, "activation of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GRI" will promote convergence research projects centered on GRI, and ultimately aims to build a process for linking convergence research projects. Many previous studies hav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science-technology relevance and convergence research through Bibliometrics or Scientometrics. Data mainly used for analysis are information on papers, patents, and R&D project. This study suggests the value of research project plan data for filling convergence as a means rather than a result. We will compare the clustering results of the R&D project with those of the research plan data.

      • KCI등재

        [최우수상]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 정부연구비의 투입 대비성과의 다각적 분석

        심우중(Woo-jung Shim),김은실(Eun-sil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0 기술혁신학회지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진화론적 기술경제학을 토대로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에 투입되는 정부연구비의 성과를 여섯 가지 분석요인을 가지고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2008년 3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NTIS)를 활용하였다. NTIS에서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연도별로 과학기술표준분류, 연구수행주체, 경제사회목적, 협력행태에 따른 정부연구비를 조사하였고, 이를 “투입”으로 놓았다. 그리고 이와 유사하게 2002년부터 2008년까지의 연도별 과학기술표준분류, 연구수행주체, 경제사회목적, 협력행태에 따른 논문 성과, 특허 성과, 사업화 성과, 기술료 성과를 조사하였고, 이를 “성과”로 놓았다. 우리는 이 자료의 분석결과를 통해서 정부연구비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고, 이것으로부터 정부연구비 투입의 방향성 또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다만 보다 미시적인 관점에서 산업 또는 기술의 특성, 연구수행주체가 갖는 조직의 특성, 협력연구 형태에 따른 네트워크의 특성, 사회?정치?문화적 외부 효과 등의 요인을 고려하지 못한 점은 이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investment and performance of Korean R&D programs, by six factors diversified, based on evolutionary economics of technology.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NTIS) started from March, 2008 was used for collecting investment and performance data of national R&D program. We search the investment cost according to science-technology standard classification of Korea, research conductors, socio-economic objectives and cooperation types per year from 2002 to 2008, and we regard this data as “investment”. Similarly, we search the number of papers, patents, commercializations, royalties and so forth according to science technology standard classification of Korea, research organizations, socio-economic objectives and cooperation types per year from 2002 to 2008, and this data is regarded as “performance”. We expected analysis results of this investment and performance data confirm the diversified factors to affect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we though, as a result, we will get some meaningful directions of investment of national R&D from the analysis results. But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because we did not consider enough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sector or technology, research organizations, cooperation network types, and external effect of social, politic, cultural factors.

      • KCI등재

        文獻情報學 側面에서 본 Diaspora 硏究

        張禹權(Chang, Woo-Kwo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09 디아스포라 연구 Vol.3 No.1

        現在의 世界는 他民族의 移動과 定着이 擴大되면서 Diaspora가 形成 發展되고 있다. 이러한 環境 하에서 多數의 情報資源이 發生하게 되는데 이 연구에서는 Diaspora에서 나타난 情報資源을 文獻情報學 側面에서 살펴보았고, Diaspora 情報 資源 形成과 發展 그리고 어떻게 管理되고 있는가를 調査·分析하여 效率的인 Diaspora 硏究方法을 提示하였다. 먼저 Diaspora 硏究에서 發生된 情報資源을 文獻情報學 側面에서 考察하였다. 外韓人 Diaspora 情報資源은 朝鮮族과 高麗人의 移住와 定着에서 發生한다. 朝鮮族과 高麗人 關聯 Diaspora 情報資源은 圖書館, 文化藝術機關과 團體(協會)는 個人 等에서 管理되고 있다. 朝鮮族 生活史 關聯 紀錄文獻은 國家,市, 縣 ?案館, 各 ?案館의 市級機關, 直屬單位, 學校(少, 中, 高, 大學),硏究所, 公共圖書館 附設 ?案館에서 所藏과 保存管理가 이루어지고, 獨立運動史 關聯 記錄文獻은 國家級, 省級, 市ㆍ縣級 ?案館에서 保存管理가 이루어지고 있다. 高麗人 生活史關聯 記錄文獻은 高麗人協會, 高麗日報, 새고려신문, 高麗人放送, 高麗劇場, 우즈벡필름, 圖書館 等에서 所藏과 保存管理가 이루어지고 있고, 高麗人 移住와 定着, 獨立運動關聯 資料는 聯邦, 政府傘下,地方所在 各種 文書保管所 및 記錄保存所에서 所藏과 保存管理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硏究는 Diaspora에서 나타난 情報資源을 文獻情報學적 側面에서 고찰해 봄으로써 보다 效率的이고 진일보 적으로 Diaspora 硏究方法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With the development of nation’s migration and location all over the world, there formed a department named DIASPORA. Under this condition most of the informations may occur, in this article we will analyze the form and development of diaspora’s resource of informationand how to make diaspora efficient from the side of informative abstract. The resource of information occurred in the research of diaspora was analyzed from the side of informative abstract. Abroad Koreans’ information of resource occurred in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location about Korean and solho. The diaspora relates to the Korean and solho were managed in library, culture and artdepartment, association and so on. The documents relates to Korean history were managed in national archive, city archive, county archive, each archive’s province organs, schools, research center, and public library. The documents relates to Independence history were managed in national archive, province archives, city and county archive. The documents relates to solho history were managed in solho association, solho news, solho broadcasting, solho theatre, and library. The document relates to solho’s migration and location and independence were managed in national and local records management area. Advance the research methods of diaspora more effective and further is more meaningful than research the resource of information that comes out from diaspora from the view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