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맞벌이 부부의 역할분담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최유정 ( Yu Jung Choi ),최미라 ( Meera Choi ),최샛별 ( Setbyol Choi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8 한국사회 Vol.19 No.1

        본 연구는 맞벌이 상태의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부부간의 역할분담이 그들의 삶에서 의미하는 바를 다각적으로 규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역할분담의 ‘객관적’, ‘주관적’ 차원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후, ‘우울’을 최종적인 종속 변인으로 삼아 부부간의 ‘역할분담’과 ‘일가정갈등’, ‘가정생활만족도’와 우울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는 우울에 예측력을 갖는 변인들 간의 인과 경로를 파악하도록 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을 통제 변수로, 맞벌이 부부의 역할분담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일가정 갈등’은 가정 내 역할을 ‘내가 해야 할 일보다 더 많이 한다’고 느낄수록, 본인 근로시간이 길수록, 동거 미취학 자녀 수가 많을수록, 중학교 졸업 미만의 학력자보다는 고졸 학력자가, 일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본인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커졌다. ‘가정생활만족도’는 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고졸에 비해 전문대 및 4년제 대학 졸업자가, 본인의 근로시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배우자의 가사 및 돌봄 노동시간이 길고, 자신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이 짧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고려해 부부의 역할분담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자,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는 우울에 있어 부부간의 역할분담 관련 변인들을 압도하는 영향력을 보였다. 일가정 갈등이 클수록, 가정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감이 증가했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동거 미취학 자녀 수’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영향도 컸다.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할수록, 미취학 자녀 수가 많을수록 우울도 커졌다. ‘배우자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은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고려했을 때도 우울에 유의미한 변수로, 우울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가정 내 역할을 자신이 해야 할 일보다 더 적게 하고 있다는 주관적 평가’나 ‘본인의 근로시간’, ‘일에 대한 만족도’는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 중 어떤 변인을 분석에 포함하느냐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달라졌다. 셋째,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각각 매개 변인으로 설정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우울에 대한 강력한 예측 변인인 ‘주관적 건강상태’는 우울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매개로 동시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반면 ‘동거 미취학 자녀 수’는 우울에 직접 작용하거나, ‘일가정 갈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효과를 미쳤다. 역할분담 관련 변수 중 ‘배우자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은 ‘일가정 갈등’이나 ‘가정생활만족도’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우울을 감소시켰으며 ‘일에 대한 만족도’는 ‘일가정 양립’과 ‘가정생활만족도’를 통한 간접적 방식으로만 우울에 영향을 주었다. ‘본인의 근로시간’은 ‘가정생활만족도’가 매개 변인으로 포함된 모형에서만 우울에 대한 직접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본인의 근로시간이나 일에 대한 만족도 같은 고용시장 관련 조건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부정적 효과를 사회적으로 해결하는 한편, 가정 내에서는 부부가 합의 하에 서로의 적절한 역할 수행 목표를 설정하고 협력해나가야만 맞벌이 상황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불균형이 최소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dual earner couple’s role assignment affect their lives multi-dimensionally. Using a sample of 342 dual earner men/women from 2012 KGSS data, this research examined 1) the effect of ‘objective’ and ‘subjective’ role assignment on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2) the effect of aforementioned variables on depression, and finally 3) the causal path among variables that predict depression.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ey’s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and respondent’s work hour was significant factor on both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hereas other variables had different effects respectively. Overburden evaluation, longer work hour, higher number of cohabiting preschooler, lower job satisfaction, lower subjective health, and longer care labor time was responsible for severer work-family conflict. On the other hand, higher job satisfaction, longer work hour, higher subjective health, spouse’s longer care labor time, and respondent’s shorter care labor time had significant effect on greater family life satisfaction. Second,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had outstanding effect on depression compared to role assignment related variables; that is severer work-family conflict and lower family life satisfaction had to do with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more negative evaluation of their health, the greater number of cohabiting preschooler the greater the depression. Moreover, spouse’s housework and care labor time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with depression even when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ere included in the model. Third, ‘subjective health’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with both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s. ‘number of cohabiting preschooler’ directly influenced depression and indirectly through ‘family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had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only through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s. Spouse’s care labor time only had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respondent’s work hour had effect on depression with family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 This result suggests that employment condition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Moreover, it implies that marital adjustment such as setting appropriate role assignment and cooperating can minimize various imbalance and strain of dual-earner couple.

      • KCI등재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관리자의 직장-가정 간 전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녀양육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하영(Hayoung Choi),이소민(Somin Lee),이호택(Hotaek, Lee)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여성연구 Vol.9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관리자 집단의 직장-가정 전이가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나아가 자녀양육만족도가 직장- 가정 간 전이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관리자패널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분석에는 미취학자녀를 둔 여성관리자420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Process macro를활용한 매개효과 검증 및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먼저 직장-가정 갈등은 자녀양육만족도에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장-가정 갈등은 여성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양육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장-가정 갈등과 삶의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직장-가정 촉진은 자녀양육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여성관리자의 삶의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자녀양육만족도는 직장-가정 촉진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직장-가정 갈등과 촉진 모두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자녀양육만족도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에 따른 제언으로 첫째, 정부와 기업조직은 여성관리자들이 직장과 가정 생활을 양립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와 조직문화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노동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여성의 일을 인정하는 문화와 법적제도를 만듦으로써직장-가정 촉진을 향상시키고 자녀양육과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기여를해야 한다. 셋째, 정부에서는 여성근로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자녀돌봄의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육아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Work - Family Spillove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managers with preschool children, and furthermore,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ild - Rearing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 Family Spillover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5th year of the Korean Women Managers Panel of the Korea Women s Development Institute was us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of 420 female managers with preschool children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 we performed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using SPSS Process Macro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using Bootstrapping.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rk-Family Conflict has a negative effect on child rearing satisfaction. Second, Work-Family Conflict negatively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managers. Third, Child Rearing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While, Work- Family promotion had almost sam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child rearing satisfaction, although derection was oppoesed. Based on these results, following suggestions are insisted. First, government and corporate organizations need to establish institutional devic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to enable women managers to reconcile their workplace and family, and in particular to create ways to reduce working hours. Second, creating a culture and legal system to recognize women s work can improve work-family facilitation and positively contribute to child care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childcare support policies that meet the needs of female workers and raise the satisfaction of child care. Based on these conclusions, we describ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기혼 취업여성의 일만족도가 일과 가정생활 양립에 미치는 영향

        김상용(Sang-yong Kim) K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학리뷰 Vol.7 No.3

        본 연구는 기혼 취업여성의 일만족도가 일과 가정생활 양립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매개변인인 부부친밀감이 일과 가정생활 양립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제7차 여성가족패녈 자료(2018)를 활용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취업여성의 연령이 많을수록 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기혼여성의 학력에 따라 일만족도, 부부친밀감, 일과 가정생활 양립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학력이 낮을수록 일만족도가 높았고 학력이 높을수록 부부친밀감과 일과 가정생활 양립이 높게 나타났다. 남편의 학력에서 기혼 취업여성의 일만족도, 부부친밀감, 일과 가정생활 양립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기혼 취업여성의 일만족도가 높을수록 일과 가정생활 양립 갈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 취업여성의 일만족도가 일과 가정생활 양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매개변인인 부부친밀감이 일과 가정생활 양립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work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females on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focusing especially on the mediation effect of a married couple's intimacy. To prove the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study model, this study used the data collected in the 7th Female and Family Panel in 2018 which was organized by the Korea Female Policy Institute. From this investiga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work satisfaction, married couple's intimacy, and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according to married working female's age. In general, work satisfaction is high in older age. Also,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married working females may caus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satisfaction, married couple's intimacy, and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Work satisfaction is higher with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On the other hand, married couple's intimacy and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are higher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satisfaction, married couple's intimacy, and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according to their husbands'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work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females affects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as their work satisfactions are higher, while conflict with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are less. Third, the work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females positively affects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There is a mediated effect of a married couple's intimacy on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life.

      • KCI등재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향상이 직장과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석성경(Seong Gyeong Seok),박희숙(Hee Sook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향상이 직장과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자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5개 도시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기혼 보육교사 53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2019년 8월 1주부터 9월 2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은 가정생활 만족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가정 향상은 직정과 가정생활 만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이 직장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은 통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 지지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이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 지지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향상이 직장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배우자 지지,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향상이 가정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 배우자 지지,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혼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통해 직장과 가정생활 만족을 위해 바람직하게 대처하는 방안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Objectives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researching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resources of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and enrichment on the work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4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5 cities in Gyeonggi-do,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1st week of August to the 2nd week of September 2019 through questionnaire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as found to have an negative effect on family life satisfaction, and work-family improvement was found to have an positive effect on work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Second, In the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effects on work-life satisfaction, the ego-resilience statistically functioned as a mediating role and it did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s on spouse support and social support. In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on family-life satisfaction,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and spouse support did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s. In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enrichment on work-life satisfaction, ego-resilience, spouse support, and social support do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s. In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enrichment on family-life satisfaction, ego-resilience, spouse support, and social support statistically have mediating effect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a plan to respond appropriately for the satisfaction of work and family life through effective management of work-family conflict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한국 여성의 일과 가정균형과 삶의 만족도

        강은진,김윤태 한국공공사회학회 2022 공공사회연구 Vol.12 No.3

        This study examines how housework stress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and analyzes how work and family relates to women's life satisfaction in general.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correlations between sexual role attitudes perceived by married working women, work-to-family spillover, family-to-work spillover, marital intimacy and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work, family, individual. The results show indeed that women's work-family conflict has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long with a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While work-to-family and family-to-work spillover had a positive effect on personal life satisfaction, both had negatively affected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attitudes towards work, family, and gender roles, there was a posi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이 연구는 기혼 직장인 여성의 가사노동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여성의 삶의 만족도에서 일과 가정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2018년 제7차년도 <여성가족패널조사>로 분석하였다. 성역할 태도, 일가정 전이, 가정일 전이,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며 회귀분석과 프로세스 매크로로 부부 친밀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연구 결과, 일, 가정, 성 역할 태도에서 일가정으로 긍정적 전이가 나타나 일과 가정이 상호 균형적으로 운영될 때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어 가정에서의 지지와 이해가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남편의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가정생활 만족, 개인생활 만족이 높아져 배우자 지지의 중요성을 보여주었으며, 직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가정생활의 만족이 높아져 기업 성과 차원에서도 일과 가정의 균형을 추구하는 사회정책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인식과 자기효능감,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미영(Sung Miyoung),서주현(Suh Joohyun),민미희(Min Mi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서울시의 아동을 가구원으로 포함한 아동가구의 남성가구주를 대상으로 하여 자녀 및 가족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그들의 삶의 만족도 및 일-가정 양립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일-가정 양립 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삶의 만족도를 제고하고 바람직한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 정립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복지실태조사 2013 자료를 이용하여 이 중 아동가구의 남성가구주 85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SPSS ver.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우 울감과 삶의 만족도는 권역별로 차이가 있어서 권역별로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둘째,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 삶의 만족도 모두 연령대별로 유 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 인식 및 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 도와 정적 관계를 보였고,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우울감을 낮출 수 있는 세부방안의 수립 및 실행이 필요하다. 넷째, 서울 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 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 중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 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이고, 다음으로 우울감, 일-가정 양립 인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 인 식의 영향력은 세 변인 중 가작 작았으나 일-가정 양립 인식의 제고를 통한 가족 내의 자녀 및 부부간 바람직한 관계의 정립과 역할갈등의 감소, 그리고 역할만족도의 향상을 통한 자기효능감의 향상이라는 간접적 영향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증명하였다. To promote better family relationships, this study was focused attention to father’s life satisfact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We investigated the current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and examined the causal effect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self- efficacy,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The subjects were 851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life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n Seoul are fairly high and the level of depression is fairly low. But, the results are different by district suggesting need for differentiated policy. Second, the level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self-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n are different by age group. Seco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s a negative effects on it. Third, the most effective factor explain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were also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Suggestions for the policy to promote life satisfaction and better family relationship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기혼여성의 직장-가정 갈등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 검증

        이숙정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theoretical model was constructed to explore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and examin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n life satisfaction. Data was collected from 218 Korean full-time married female workers employed at organizations located in Seoul. Several statistical procedures were carried out.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t-test, regression, and SEM analyses were de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by using the SPSS 18.0 and AMOS 4.0 program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work-family conflict, emotional leadership, and life satisfaction,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ork-family conflict and emotional leadership. Third, work-family conflict and the leader's emotional leadership positively impacted life satisfaction. Lastl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maximum likelihood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result of SEM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the leader's emotional leadership. Furthermore, the work-family conflict had directly (beta=-.27) and indirectly (beta=-.18)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The indices of the best fit model on these variables were adequate (GFI, NFI, TLI, CFI>.90). The findings of this study lead to the conclusion that a leader's emotional leadership plays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es.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직장-가정 갈등이 상사의 감성리더십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근무하고 있는 기혼여성 21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8.0과 AMOS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t-검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각 변인들 간에 유의한 정적 또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직장-가정 갈등과 감성리더십 및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은 모두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가정 갈등과 감성리더십 수준을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에 대한 집단별 차이 검증을 실시한 결과, 직장-가정 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생활만족도가 모두 낮게 나타났고, 상사의 감성리더십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생활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감성리더십 하위요인 중 관계관리 능력이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장-가정 갈등, 감성리더십, 직무만족과 생활만족 간의 직접 및 간접 경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장-가정 갈등은 감성리더십을 매개로 직무만족과 생활만족 모두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의 비교검증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더 일반화 가능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이 직장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직장일과 가정일의 상충에서 오는 갈등은 직접적으로 직무만족이나 생활만족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주요한 특성으로서 상사의 감성리더십에따라 그 갈등이 조절되고 조직의 유효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일-가정 충실화와 개인, 직무, 조직 특성의 관계

        류충렬(Liu, Choong-Rea),차종석(Cha. Jong-Seok)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2

        최근 기업의 경영환경과 일자리 지형의 변화에 따라 종업원의 일-가정 균형을 위한 기업의 가정 친화적인 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일-가정 균형은 일-가정 갈등의 해소보다는 일-가정 충실화를 통해 달성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장에 부응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충실화(work-to-family enrichment)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개인, 직무, 조직 특성 요인으로 구분하고, 이 선행 요인들과 일-가정 충실화의 관계, 일-가정 충실화가 개인의 삶의 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 선행요인들과 삶의 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일-가정 충실화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일-가정 충실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는 개인 특성 요인으로 긍정정서, 직무특성 요인으로 자율성, 다양성과 피드백, 그리고 조직특성 요인으로 가정 친화적 분위기와 상사의 지원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서 정보통신 분야 13개 기업의 종업원 5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직무 특성 요인의 피드백과 조직 특성 요인의 가정 친화적 분위기를 제외하고 긍정 정서, 자율성, 다양성, 상사의 지원이 일-가정 충실화에 모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가정 충실화는 결과 요인인 삶의 만족과 이직 의도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일-가정 충실화는 자율성, 다양성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상사의 지원, 긍정 정서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가정 충실화는 긍정 정서, 다양성과 이직 의도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자율성, 상사의 지원과 이직 의도 간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가정 충실화는 피드백, 가정 친화적 분위기와 삶의 만족 및 이직 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매개 효과가 없음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종업원의 긍정 정서, 자율성, 다양성, 상사의 지원이 일-가정 충실화를 높이는데 중요하며, 일 -가정 충실화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며, 이직 의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이들 요인을 고려하여 일-가정 충실화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무 재설계, 관리자 및 종업원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이 있음을 말해준다. 이러한 논의를 포함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With rapid changes in corporate business environments and job conditions in recent years, more organizations are taking an interest in family-friendly human resource management that achieves work-family balance for their employees. In this trend, researchers argue that work-family balance is better achieved by work-family enrichment than through managing the work-family conflict. In response to this argumen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work-to-family enrichment, categorizing antecedents of work-to-family enrichment into personal, job,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n moving on to empirical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antecedents and work-to-family enrichment, the influence of work-to-family enrichment on personal life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to-family enri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s and life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current study considers positive affect as a person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work-to-family enrichment, autonomy, diversity, and feedback as job characteristics, and family-friendly climate and supervisor support a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xecute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ing five hundred sixty-three employees working for thirteen companies in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industry.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s several insights, first of which is that positive affect, autonomy, diversity, and supervisor support are factors positively influencing work-to-family enrichmen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work-to-family enrichment positively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work-to-family enrichment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among autonomy, divers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partially mediates relationship among supervisor support,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work-to-family enrichment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among positive affect, diversity, and turnover intention, and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among autonomy, supervisor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Lastly, work-to-family enrichment is foun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among feedback, family-friendly climate, life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positive affect, autonomy, diversity, and supervisor support experienced by employees play important roles in enhancing work-to-family enrichment, and that improving life satisfaction through work-to-family enrichment can reduce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The current study, in its conclusion, suggests that organizations need to consider these factors to develop job redesign schemes and education programs for managers and employees that can improve the level of work-to-family enrichment in the work. In addition to such discussions, the current study provides further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regarding this topic.

      • KCI등재

        사회복지사 보상체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과 삶의 균형과 가족지지의 병렬다중매개효과

        김혜영,이예나,신원정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4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50

        This study examined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and family support on the effect of the social worker compensation system on life satisfaction. The life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s the most fundamental factor that prevents impaired quality of life, turnover, and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Moreov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work-life balance and family support together.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nsation system, life satisfaction, work-life balance, and family support among 475 social worker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worker compensation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ameter work-life balance and family suppor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arameters of work-life balance and family support both ha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compensation system of social workers had an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certain parameters. Both work-life balance and family support, which are parameters, showed indirect effects on the path from the compensation system to life satisfaction.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service and policy establishment to improve the compensation system for social workers, and it lastly suggested directions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기혼여성 상담자의 일-가정 갈등이 가족생활만족,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

        박미진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3 동서정신과학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the married women counselor’s family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126 married women counselors working at counseling centers were sampled an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line on work-family conflict, family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married women counselor’s work-family conflic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amily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married women counselor’s family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mediation effects of family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ried women counselor’s their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ried women counselor’s their work-family conflict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bout the married women counselor’s occupation and their counseling outcom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혼 여성상담자의 일-가정 갈등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가정생활만족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상담기관에서 일하고 있는 기혼 여성상담자 126명을 표집하여 일-가정 갈등, 가정생활만족, 직무만족, 삶의 만족에 관한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혼 여성상담자의 일-가정 갈등은 가정생활만족, 직무만족, 삶의 만족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냈다. 가정생활만족과 직무만족은 삶의 만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일-가정 갈등과 삶의 만족 간에서 가정생활만족은 유의한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일-가정 갈등과 삶의 만족 간에서 직무만족은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상담자의 직무와 상담성과 측면에서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