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전기 사림(士林)ㆍ사림정치(士林政治) 연구의 쟁점과 전망

        김정신 ( Kim Jeong Shin ) 한국사상사학회 2020 韓國思想史學 Vol.0 No.64

        조선전기 핵심 정치세력이라 논해지는 ‘사림’에 대해서는 방대한 연구가 집적되었으며, 많은 핵심적 논제들이 이미 해명되었거나 논쟁이 되고 있다. 1970년대부터 본격화된 ‘사림’·‘사림세력’ 연구는 그 대응 세력으로서 훈구세력을 설정하고, 조선전기 지배세력을 ‘훈구세력’과 ‘사림세력’으로 이분화하는 가운데, 16세기 말 사림세력의 정권 장악을 훈구세력으로부터 사림세력으로의 ‘지배세력 교체’로 간주하고 이를 ‘성리학’과 ‘중소지주의 승리’라고 규정하였다. 이와 같이 훈구세력과 사림세력의 대립이라는 조선전기 정치사의 통설적 이해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비판이 제기되었다. 즉 ‘사림’의 개념이 부정확하게 사용되고 있고, 사림에 대한 설명에 실증적 근거가 부족한 측면을 지적함과 동시에 지배층으로서 훈구·사림의 동질성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조선전기, 나아가 한국 지배세력의 장기적 지속성·연속성을 강조하는 가운데 15·16세기의 조선사회 및 정치세력을 너무 정태적으로만 파악하거나 시대의 역사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지금은 훈구세력과 사림세력을 도덕적으로 준별하는 이분법적인 인식을 지양하면서도 동시에 분명히 존재하고 있는 조선전기 지배층 내부의 정치적 대립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문제의식이 모아지고 있다. 사실로서 ‘사화’가 보여주듯이, 지배층 내부에서 현실 지배질서에 대한 이해를 달리하고, 정치운영의 지향을 달리하여 갈등하고 대립하였다는 것은 분명한 ‘역사적’ 사실이다. 그동안 15·16세기 조선전기는 고려적 유제를 청산하고 중세사회를 새롭게 재편하였던 시대로서 그 역사적 의미가 조명되어 왔다. 조선전기 지배층이 이른바 ‘경국대전체제’의 동요에 맞서, 서로 다른 집권화 방안으로 문제를 수습하고 집권질서를 재정립하려 하였던 것도 큰 틀에서는 중세사회를 재편하고자 하였던 노력의 일환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조선전기 지배층의 갈등과 대립은 단순히 상대방에 대항하기 위한 권력 다툼 차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공히 자신들 내부의 정치질서, 정치운영에 근거를 둔 ‘국가상(國家像)’의 수립이라는 차원에서 진행된 것이었다고 하겠다. 이렇듯 조선전기 지배층이 구상하였던 국가상의 다양한 내용과 면모를 시대적 좌표로서 복원해낸다면, 한국 중세 정치세력·정치사상이 조선전기 사회의 다양하고 역동적인 변화에 조응하여 발전하고 있었음을 동태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arim (士林), the main political force in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and many of the core issues surrounding this force have been studied in detail or are currently being debated. Research on the Sarim and the Sarim faction that began to take off in the 1970s situated the Hungu faction as the counterforce to the Sarim. This vein of research established the Hungu and Sarim factions as the ruling power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ccordingly, the Sarim faction’s seizure of power at the end of the sixteenth century has been considered the turning point at which the ruling power passed from the Hungu faction to the Sarim faction. This shift has been described as the victory of neo-Confucianism and small and medium-sized landowners.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early Joseon political history holds up the conflict between the Hungu and Sarim factions as a manifestation of the confrontational landscape of the political forces at the time. However, this understanding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innately and excessively formulaic and for involving an ethical value judgment. Other perspectives have emphasized the homogeneity of the Hungu and Sarim factions as both made up of members of the ruling class. These perspectives treat the differences and directions in political thought that arose during this period as arising from differences in the duties of court officials and the Three Offices. These perspective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arise from strictly impartial empirical research techniques. However, they are also problematic in that they understand Joseon society and political powers only from a static perspective by overly emphasizing the long-term persistence and continuity of the ruling pow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by extension, Korea. These perspectives carry the risk of concluding that these ruling groups fully represent the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As such, the focus of the current study on the Sarim faction rejects the dichotomous perception base on moral standard of the Hungu and Sarim factions examines the polit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factions. As literati purges shows, the two factions ha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ruling order and for this reason came into conflict. This conflict is thus a clearly a historical fact. Thus, the task of research is to provide a dynamic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how political power and thought in medieval Korea were developing in correspondence with the various and dynamic changes taking place in early Joseon society.

      • KCI등재후보

        16세기 사화기에 있어서 호남학문의 형성과 전개양상

        韓睿嫄 한국고시가문학회 200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14

        Under the assumption that 'Honam Saryu' has a distinctive nature, which differs from that of Yeongnam Sarim(groups of Confucian scholars) or Kiho Sarim in their formation and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validity of the independence of Honam Sarim from Kiho Sarim. First, noticing that the academic vein led by Kim Gweng-Pil and Jo Gwang-J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ation of the Sarim(groups of Confucian scholars), this study examines their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relations between Youngnam Sarim and Honam Sarim. Kim Gweng-Pil inherited moral philosophy to the Honam Saryu in Suncheon, his exiled place. Choi San-du and Yu Gye-rin who had been educated by Kim Gweng Pil educated Kim In-who and Yu Hee-chun, main members of Honam Sarim, and then Ki Dae-Seung followed them. Though the scholars of Honam Sarim were suffered in the Sahwa(massacre of scholars) period,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eformative politics led by Jo Gwang-Jo, which resulted in their exile or retirement. However, they participated in enlightenment of country people actively, proposing realization of principles presented in Sohak. And they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improvement in the Confucianism through hard study of the Confucian theor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ir practice of village education and serious consideration of Sohak as characteristics of Honam study.

      • KCI등재

        中宗朝 士林派의 '敎化詩' 一考

        조영린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9 No.-

        This paper found out the background and the aspect of enlightening poetries by literary men of Sarim in the reign of JungJong In sixteenth centuries, the conflict of political ideology between Hungu and Sarim came to climax, and before and after the reign of JungJong there were four times of massacres of literati. Thus, it was the time that was requiring the necessity to resolve various political conflicts, stabilize the confused people and renovate customs socially. At that time, Jo Gwangjo, Kim Anguk, Kim Jeongguk, Kim Jeong, who were representatives of Sarim, stood for 'right politics of the king'(王道政治) by politics of virtue and politeness(德治, 禮治) to administrate the state to relieve people's suffering(經世濟民) gratifying the policy of JungJong who encouraged to practice Confucianism for rectifying the misgovernment in the reign of Yeonsan and making the political situation stable through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s a realization of these things, they tried to correct the education of decorum through diffusing Sohak, Geunsarok for the custom enlightenment. In addition to this, through enlightening poetries, they persuaded Hungu about the complacent and absurd manners of Hungu, who had vested rights, oppressed them politically and simultaneously consoled the impoverished mind of the people. These poetries of enlightening spirits that intended to edify people and form beautiful custom(化民成俗) is regarded to need to 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and the value as a literature of Sarim spirit that tried to overcome the evils of Hungu's unethical politics. Following this, this paper noticed to 'enlightening poetries' by the representatives of Sarim that enabled to settle Neo-Confucianism(性理學) and make it have intensified development in JungJong's age, took a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stinguished features of each writer's enlightening poetries;Jo Gwangjo's realization of ethical politics(道學政治) through seeking the way and thinking the reason(求道窮理), Kim Anguk's practice of duty that have to keep every day(日用彛倫) through the edcation of Sohak(小學), Kim Jeongguk's persuit of the spirit that is clean and not secular(淸逸不俗) through cultivating mind(心性修養) and Kim Jeong's manifestation of the sense of love for the people(愛民意識) through people oriented idea(民本思想). The appearance of Sarim armed with the sense of edification proves that Neo-confucianists who sought realizing Neo-confucian ideal world that was based on humanity and morality grew up to be able to lead the political discourses in Josun society. They intended to spread the ideal of Yosun age(堯舜時代) insisting the recovery of moral order for practical humanity through Sohak and the people-centered statecraft theory(經世論). The result of Sarim's edifying the rural community to have the common subjects practice Confucian thinking by utilizing means of literature called 'enlightening poetry' became an important impetus that aroused the advancement of matured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thinking that reached to the intensive stage academically by Toigye and Yulgok after that. The fact can be an opportunity to give the important meaning about the literature of this age in literary history and it has the meaning as a form of transitional literature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본 논문은 조선 中宗朝 士林派文人들의 教化詩 창작 배경과 교화시의 제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16세기는 勳舊派와 士林派의 정치적 이념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여 중종조를 전후하여 네 차례에 걸친 士禍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각종 정치적 갈등을 수습하고 백성들의 혼란한 마음을 안정시키고 사회적으로 풍습을 새롭게 쇄신할 필요성이 요구되던 시기이다. 이 당시 사림파의 대표격 문인이라 할 수 있는 趙光祖·金安國·金正國·金淨 등은 연산조의 폐정을 바로잡고 왕권강화를 통한 정국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儒學의 실천을 장려한 中宗의 정책에 부응하여 經世濟民을 위한 德治와 禮治에 의한 王道政治를 標榜하였으며 이러한 至治의 실현으로 鄕俗교화를 위하여 『小學』·『近思錄』 등의 보급을 통하여 禮教를 바로잡으려 했다. 또한 교화시를 통하여 당시 기득권층인 훈구파의 안일하고 부조리한 태도에 대한 설득과 정치적 압박도 가하면서 동시에 疲弊한 백성들의 마음을 달래기도 하였다. 이러한 化民成俗의 教化精神의 시는, 부도덕한 훈구정치의 폐해를 극복하려했던 사림정신의 문학으로 그 의의와 가치를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고에서는 중종대 성리학의 정착과 심화발전을 가능케 한 사림파의 대표적인 문인들의 '교화시'를 주목하여 공통적 특징으로 삼고 작가별 교화시의 특징을 趙光祖의 道學政治 具顯을 위한 教化詩, 金安國의 日用彛倫 實錢을 위한 教化詩, 金正國의 淸逸不俗 追求를 위한 教化詩, 金淨의 民本思想 發顯을 위한 教化詩 등으로 살펴보았다. 교화의식이 투철한 사림파 문인들의 등장은 인륜과 도덕에 기초한 性理學的 理想世界의 실현을 추구하는 사림의 성리학자들이 조선사회의 政治談論을 주도할 정도로 성장했음을 증명한다. 그들은 『小學』을 통한 실천위주의 인륜의 도덕적 질서회복과 民本위주의 經世論을 주창하며 堯舜時代의 理想鄕을 펼치고자 하였다. 사림파 문인들이 '교화시'라는 문학의 도구를 활용하여 성리학적 사유를 널리 일반백성들에게까지 실천하도록 한 鄕村教化의 성과는 후일 退溪·栗谷에 이르러 성숙한 성리학의 발전과 학문적 심화단계에 이르는 哲學的思惟의 발달을 불러일으킨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바로 이러한 사실이 이 시대의 문학에 대하여 文學史에서의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며 性理學의 발전 단계에서 過渡期的인 문학의 형태로써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韓國 書院의 歷史

        정만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논총 Vol.29 No.-

        Korean Seowon(書院,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 has been considered as a closing phenomenon of the time, so it could not avoid a negative valuation. However, Seowon had been a key to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Chosun, the Lee dynasty. Especially, Seowon was very closely related to Sarim, which was a highly influential organization. The history of Seowon had begun in mid 16th century, originated from Seowon of Baek Woon Dong(白雲洞書院). Since 16th century, empowered by Sarim(士林, the Literati) who ha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political circles, Seowon started the role as a school for cultivating ‘Sarim of influence’, and as a mecca of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Eventually, Seowon provided a large number of Sarim to the political world. As a result, Seowon achieved to grasp the political power up to early 18th century, and this period of time was called "period of Sarim". Seowon was the very matrix of this "period of Sarim" and was one of the central organization that supported it. These Seowon end up its great duty by Tangpyung(蕩平, Impartiality) policy in 18th century and decline of Sarim following social change or down fall, and then it had transformed just as one of the clan organization of gentlemen. Seowon came out from official area of Sarim and it was under control of a clan functioning by being a private stake organization. It have to be undertood through this circumstance for the bad name, 'the lair of extraction against the commons', in later period of chosun. 한국 서원은 그동안 말기적 현상으로만 이해되어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서원은 조선시대의 역사 전개과정, 특히 사림이라는 사회세력의 변천과정과 밀접히 연관되면서 각 시대마다 그 내용과 역할을 변화시켜 나갔다. 한국 서원의 역사는 16세기 중반 백운동서원(후에 소수서원)부터 시작되었다. 16세기 이래 향촌에서는 물론 중앙 정계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던 사림세력에 의해, 사림 세력의 재생산을 위한 학교이며 향촌과 중앙에서 사회, 정치 활동을 전개하는 근거지로 기능하였다. 이를 통해 많은 사림을 양성하여 정계에 공급하였고 그 결과로서 16세기 후반 마침내 집권을 실현, 이후 18세기 초까지 ‘사림의 시대’를 주도하였다. 서원은 바로 이 ‘사림의 시대’를 있게 한 모태였고, 그것을 유지시키는 핵심기구의 하나였다. 이러한 서원은 18세기 탕평이라든가 사회변동에 따른 사림세력의 쇠퇴, 몰락으로 그 역사적 사명을 끝낸 채 양반들의 문중조직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사림의 공적 영역에서 벗어나 문중의 수중으로 주도권이 넘어가면서 문중의 사적인 이해관계를 위한 기구로 변화하였던 것이다. 조선후기 서원에 붙여져 온 대민착취의 소굴이란 표현은 이런 사정 속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이황학맥의 호남 전파와 유학사적 의의

        고영진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2

        이 글은 이황학맥의 호남 전파를 16세기 사림문화 융성기에 영남과 호남사림의 학문 교류라는 차원에서 살펴본 것이다. 호남사림은 조선 건국과 세조의 쿠데타, 연산군의 사화 등의 정치적 변동을 계기로 형성 되었는데 중종대 이후 본격적으로 흥기하였다. 당시 호남사림의 인맥은 크게 김굉필, 최부, 송흠, 박상, 이항, 김안국계열 등 여섯 계열로 나눌 수 있으며 명종대 서경덕과 이황·조식학파가 형성되면서 호남사림도 그 영향을 받거나 대응하면서 성장하였다 따라서 인맥에 학맥을 더하여 고려한다면 크게 서경덕계열과 송순계열로 나눌 수 있다. 이황과 호남의 학문적 교류는 이미 이황 이전부터 지방관 역임, 유배, 교제·서신 등 다양한 형태로 있어 왔으며 호남 유학 형성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인물은 김종직과 김굉필이었다. 김종직은 지방관으로 와서, 김굉필은 귀양 와서 호남사림과 관계를 맺으면서 학문적인 영향을 미쳐 적지 않은 문인들이 나오기도 하였다. 이 두 사람 외에 호남성리학의 형성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며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인물이 이황이었다. 그는 기대승, 송순, 유희춘 등과 학문적 교류와 논쟁을 하면서 자신의 이론을 확립해 나갔으며 이는 호남 사림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아울러 그는 송순의 면앙정시단에 참여하는 등 문학적 교류도 활발히 하였다. 이황이 호남사림들과 학문교류를 활발히 하는 동안 그 문하에 들어간 문인이 되는 경우도 나타났다. 이황의 문인으로는 보성의 박광전, 장흥의 문위세, 무장의 변성온·변성진, 해남의 윤강중·윤흠중·윤단중, 창평의 양자징, 순천의 김윤명, 화순의 조대중 등이 있다. 이들을 인맥으로 정리해보면 주로 김굉필계열과 최부계열, 특히 유희춘, 김인후와 연관이 많음을 알 수 있다. 결국 호남의 이황 문인들은 이황이 학문적으로 활발한 교류를 한 유희춘과 김인후를 매개로 하여 이황의 문인이 되었으며 뒤에 학파와 정파가 분기되면서 서경덕계열과 송순계열, 동인과 서인으로 분화되었다. 이들의 학문은 초기에는 이단에 엄격하고 주자에 충실한 모습을 띠어 이황의 학문적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후대로 가면 김인후와 관련한 문인들은 정치적으로 서인이 되면서 이황과의 학문적 관계가 점차 옅어져가고 유희춘과 관련한 문인들은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이황과의 학문적 유사성을 계속 유지하지 않았나 여겨진다. 어쨌든 16세기 호남의 성리학은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이론적으로도 당대 최고 수준이었는데 이는 이황을 비롯한 영남사림과의 학문적 교류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호남에서의 이황문인들은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에 걸쳐 호남의 성리학이 분화·발전해가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매개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spread of Yi Hwang academic stream to Honam in view of study exchange between Youngnam and Honam area in the 16th century, when Sarim culture was in full flourish. Honam Sarim was formed with political fluctuations such as Chosun establishment, King Sejo's coup de′tat, and massacres of scholars by Yeonsangun, and was developed in earnest after King Jung-jong age. At that time, personal connection of Honam Sarim was classified into six parties of Kim Gwengpil, Choi Bo, Song Heum, Park Sang, Yi Hang, Kim Ahn-kook. While S대 Gyeong-duk, Yi Hwang, Cho Sik academic schools were formed in King Myeongjong age, Honam Sarim Was affected and grew up corresponding to them. Therefore, considering personal and academic connections, the part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parties; Seo Gyeong-duk party and Song Soon party in large. Academic exchange between Yi Hwang and Honam had already existed in various forms by consecutive entitlement of local officers, banishment, friendship and letter and representative persons who affected the formation of Honam Confucianism were Kim Jong-jik and Kim Gweng-pil. Kim, Jong-jik, who came as a local government officer, and Kim, Gweng-pil, who came for banishment, had a relationship with Honam Sarim and affected academy, producing not too few disciples. Besides these two men, it was Yi Hwang who affected formation of Honams metaphysics and had a close relation ship with each other. He established his own theory through discussion and academic exchange with Gi Dae-seng, Song Soon, Yoo Hee-chun, and so did Honam Sarim. In addition, he exchanged culture actively such as participating at Song Soon's Myeon-ang-jeong literary organization. While Yi Hwang was exchanging academy actively with Honam Sarim, some people became disciples under his studies. Yi's disciples were Park, Gwang-jeon from Bosung, Moon Wee-se from Jang-jeung, Byeon Sung-on and Byeon Sung-jin from Moo-jang, Yoon Gang-jung, Yoon Heum-jung, and Yoon, Dan-jung from Haenam, Yang Ja-jing from Chang-pyeong, Kim Yoon-myeong from Soon-cheon, and Jo Dae-jung from Hwa-soon. Classified by personal connection, they are mainly connected with Kim Gweng-pil party and Choi Bo party. Especially they had lots of connection with Yoo Hee-chun and Kim In-hoo. In conclusion, Yi's disciples in Honam became his disciples through the medium of Yoo Hee-chun and Kim In-hoo who had exchanged academy actively with Yi Hwang. They were divided again into Seo Gyeong-duk party and Song Soon party, and East men and West men as the academy party was divided into academy party and political party later. Initially, their academy was not so different from Yi Hwangs academic characteristic since it was strict to heresies and faithful to Juja. As it went to later ages, however, it's considered that disciples related to Kim In-hoo had lightened their academic relationship with Yi, Hwang as they became West men politically, but disciples related with Yoo Hee-chun kept academic similarity with Yi while they were acting as East men Anyway, it can be said that Honam metaphysics was developed in various manners and was the best in its theory at that age due to the academic exchange with Youngnam Sarim including Yi Hwang. Besides, Yi's disciples in Honam area played a mediation role when Honam metaphysics was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from the late 16th to early 17th century.

      • KCI등재

        간신 유자광의 평가 再考 - 儒敎的 名分과 士林 敍事의 해체를 중심으로 -

        심승구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논총 Vol.46 No.-

        Since the 16th century, the politics of the Joseon Dynasty are often termed ‘Politics by the Sarim (士林政治)’. Ryu Jagwang (1439-1512) who had lived at the beginning of that era is notorious for eliminating the Sarim by causing the Literati Purge of 1498 (Muosahwa 戊午士禍). Despite his political activities during five successive reigns from King Sejo to King Jungjong, the indifference toward him by the academia in history has been considered to be almost taken for granted until now due to a lot of negative evaluations and stigma regarding him. That was because many people did not feel any reason or need to make a new challenge to the subject of historical hatred that was shared by a lot of people. This illustrates the background that people have unconsciously refused objective research on Ryu Jagwang.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e Confucian cause which justified the high and low, the gentle and simple had functioned as the exclusive logic to deny thoroughly and refuse Ryu Jagwang to enter government office and engage in politics, as he was the son of a concubine of low birth. Moreover, after leading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Joseon Dynasty since the 16th century, the political belief of the Sarim functioned as an ideology which served as a background to put him into the prison of history stigmatized as a sinner in a moral aspect. In fact, the modern, as well as contemporary history on Ryu Jagwang has been constantly reproducing only negative descriptions and evaluations. To try to reconsider or make a counterargu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ungu Faction or the son of a concubine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historic nature of the 15-16 century in balance and in three dimensions. Furthermore, in contrast to the significantly negative historical evaluation or interpretation on Ryu Jagwang in the historical records or collection of works, he was recognized in a positive light in the tales and folktales handed down among people. This fact supplies a reason for reconsidering the evaluations on him. With such awareness, this article focuses on reviewing the relationship Hungu and Sarim from various perspectives freed from a unilateral and narrow viewpoint possessed by the Confucian justification and political belief of the Sarim, as well as reconsidering the life and achievements of a son of a concubine, Ryu Jagwang. 16세기 이후 조선의 정치를 흔히 ‘사림정치(士林政治)’라고 말한다. 그 시대의문턱을 살다간 유자광(1439~1512)은 무오사화(戊午士禍)를 일으켜 사림을 제거한간신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세조대로부터 중종까지 5대에 걸친 활동에도 불구하고, 그에게 쏟아진 많은 부정적인 평가와 오명 때문인지, 지금까지 역사학계에서그에 대한 외면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 왔다. 굳이 비난의 위험을 무릅쓰고,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역사적 증오의 대상에 새로이 도전해야 할 이유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던 것이다. 이 점은 유자광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를 무의식적으로 거부하게 만든 배경이 된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조선왕조의 개창 이후 상하·존비·귀천을 정당화한 유교적 명분론은 천첩의 아들인 서얼 유자광의 관직 진출과 정치 활동을 철저히 부정하고 거부하는 배타적논리로 기능하였다. 더구나 16세기이후 조선 정국을 주도한 뒤 이데올로기로 작동한 사림의 정치이념은 훈구세력인 유자광을 도덕적 죄인으로 낙인찍어 역사의 감옥에 수감시킨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실제로 유자광에 대하여 근대 이후의 역사는물론이고, 현재도 여전히 부정적인 평가와 서사들만이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있다. 그러므로 훈구나 서얼의 입장에서 반론이나 재검토를 시도해 보는 것은 15~16 세기 역사를 성격을 입체적이고도 균형적으로 판단하는데 기여하리라 여겨진다. 더구나 관찬사료나 문집에서 유자광에 대한 역사적 평가나 해석이 상당히 부정적인데 반해, 민간에서 전승되는 설화나 민담에서는 그를 오히려 긍정적 태도로 인식하는 사실도 유자광에 대한 평가를 재고하게 만드는 근거가 된다. 이 글은 그 같은 문제의식 아래 유교적 명분과 사림의 정치이념이 갖는 일방적이고도 단선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훈구와 사림의 관계를 바라보고 서얼 유자광의 삶과 행적을 재검토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주제어

      • KCI등재

        16세기 士林 公論의 내용과 의미

        정재훈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71 No.-

        Believed in the Joseon dynasty was a concept of publicness(公) suggested by Neo-Confucianism, and therefore the subject of ‘public consensus’ wa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is public consensus that surfaced in the 16th century was also a historic phenomenon, as suggestions by society leaders pouring out in almost an explosive fashion continued to take shape and became an ‘opinion’ that was cited and utilized in real life politics. The fact that public consensus had such a huge power means that Joseon was a society which needed public consensus to go forward and operate as well. Originally, public consensus referred to a public discussion, and was considered as a collective opinion that many people agreed with and therefore was felt as also the ‘right one.’ But in real life, it was the Dae’gan officers at the Saheon-bu and Sagan-weon offices who were in charge of raising or managing this public consensus(“Gong’ron”). In other words, in the 15th century raising or suggesting public opinions was a process that continued very much inside the government, which meant that the process was under the influence of essential figures in power, such as the king, high ranking governmental officials, and the Euijeongbu office, which was the highest one inside the government. In the 15th century, as mentioned above the Daegan officers were at least in appearance in charge of the ‘public consensus,’ then in the 16th century the Hongmun-gwan office of the Seongjong era was added to them, making the ‘Three Remonstration offices’ in charge of the public consensus. What was different from the 16th century was that these three offices were at the time inhabited by the so-called “Sarim” figures who were representing the Sajok figures living in local areas. These Sarim figures briefly entered the government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and did so more during king Jungjong’s reign under the nickname of ‘Gimyo Sarim.’ Their opinions, considered (by themselves) as ‘public consensus,’ began to generate real political power, although for a short time until the Gimyo purge and their expulsion from power. The experience, however, of having a public consensus raised and established in official politics and governing, was indeed a powerful one. Even after the Gimyo party’s removal from power could not take that away. Confucian scholars in the society continued that trend in a much more wider fashion. At the end of king Myeongjong’s reign and also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public consensus was again reinstated as a powerful device to channel public opinion into the government. And at the same time, the political parties that began to emerge during Seonjo’s reign meant a divergence was continuing inside the so-called public consensus. The Sarim faction’s political superiority was based upon the Sarim or Sajok power base, and their nature as Yangban. In return, this public consensus of theirs enabled the Yangban figures to form up as a social class. By raising this public consensus the Sarim figures of this period pursued a go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15th century, a society or structure that was different from their 15th century counterparts. Their agenda was to overcome the 15th century social order, and establish a system of co-governance[“共治”] involving both the king and vassals, with a public consensus institutionalized by an official authority. Such efforts were based upon a notion that the king should be a sage to govern the country(聖學政治論, politics based upon holy studies), and aimed to establish “Hyang’yak” local regulations as well as “Sachang” private relief efforts in order to stabilize the local regions. All these facets make the 16th public consensus concept all the more historically important. 조선시대에서 공론이 통시대적으로 사용되게 된 데에는 성리학에 입각한 公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특히 조선의 역사에서 16세기에 제기된 공론은 역사적인 현상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두드러지게 드러났다. 공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다른 시기에 비해 현실에서 인용되고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공론이 이렇게 주목되고 제기되어 현실에서 문제가 된 것은 그만큼 공론이 필요하였던 사회였음을 역으로 증거한다고 할 수 있다. 원래 공론 자체는 공적인 논의로서 많은 사람들이 좇는 올바른 의견이라는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현실에서 제기되는 공론의 담당자는 사헌부와 사간원의 대간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5세기에는 공론을 제기하는 주체가 국왕이나 대신, 의정부와 같이 권력의 담당층으로 인식된 이면에는 공론 역시 현실의 권력에서 자유롭지 못하였던 점을 보여준다. 16세기에 제기된 공론의 담당층, 주체는 15세기에 형식적인 주체였던 대간에 더해 성종대에 추가된 홍문관까지 삼사가 주된 담당층이 되었다. 이러한 삼사의 공론을 장악한 이들은 재지사족의 의견을 반영하는 사림세력이었다. 이들은 성종 때 일시적으로 진출하였다가 중종대 기묘사림으로 전면에 등장하였다. 공론이 현실에서 힘을 가지고 작동하였으며, 일시적으로 기묘사화로 사림의 공론은 좌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번 공론이 제기되어 일반화된 경험은 쉽게 사라지지 않고, 기묘사화를 계기로 오히려 유생공론의 형태로 그 저변이 확대되었다. 특히 사림세력은 공론의 유지를 위해 노력하였고, 마침내 명종말 선조연간에 공론이 실현될 수 있는 구조를 회복하면서 사림의 공론은 현실에서 실현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선조 연간에 이루어진 동서분당을 비롯한 붕당의 분열은 공론의 분열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사림의 정치적 우위는 사림 내지 사족의 공통적 기반 위에서 가능하였고, 그 공통적 기반은 계급으로서 양반이 확립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사림, 사족 혹은 계급으로서 양반이 확립되는 데에 공론은 그 윤활유의 역할을 하였다. 이 공론을 통해 사림들은 15세기의 질서와는 다른 형태의 사회 내지 구조를 추구하였다. 사림의 공론으로 제기된 그러한 구조는 15세기의 질서를 부정하면서 군신이 함께 참여하는 共治의 지향, 공론이 제도적인 지위를 넘어서 힘을 갖는 관료적 구조, 국왕을 성인으로 이끄는 聖學政治論, 향촌 사회의 안정을 위한 향약, 사창 등의 향촌 안정책 등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에 관련된 공론에서의 토론이 16세기 공론이 가지는 의미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변동론과 지속론 사이에서: 정두희의 조선전기사 연구

        김영두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서강인문논총 Vol.- No.67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mmarize the achie ve me nts of the late Professor Chung Doo-hee(1946-2013)'s research on the history of e arly Jose on Dynasty and to re vie w what his re se arch me ans in acade mia today. Throughout his life, he studied various topics on the entir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but his early research activities were particularly focused on clarifying the nature and political management of the ruling forc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or this study, he mainly used a methodology to objectively prove macro trends by building a large amount of historical materials into a database. Based on the data he built and interpreted, he criticized the academic convention of explaining the history of this period. In particular, he criticized the claim that the leading forces of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originated from the Newly Risen Literati Clas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popular belief to understand the political confrontation between Sarim(士林) and Hungu(勳舊) as a political struggle between different social classes. In his book, Censorial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he struggled to correct the existing view of Sarim. He argued that Sarim had the same social background as their political rival, Hungu, through an analysis of the censorate officials, which was said to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arim in King Seongjong's reign. This criticism of the nature of the Sarim forces claimed by Jeong Doohee is gaining consent from many researchers today. However, discussions are still underway on many issues, such as how to define the Sarim beyond criticism and how to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rural area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arim. Looking back on Jeong Doo-hee's research at this poin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moting this discussion

      • KCI등재후보

        강릉 五峯書院의 설립과 院任조직의 운영

        이규대 (사)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0 No.-

        Obongsowon in Gangneung constructed in 11 years of Myung-jong times(1556). The leading power of it was a rising power who searched new style of study with interacting with Yengnam-Sarim. They recognized trend of construction of sowon started in Yeungnam and Honam, and they tried to overcome limit of reception of Hyangkyo, and they tried to recover honor of the region through it. They operated public service because they could not secure persons for sowon. And they asked acception from Hyangno, Busa and Gamsa, and made construction of sowon as issues and led participation from citizens and secured material and population source for it. The sowon was completed in 3 years. During this period, in public service,construction techniques of students and teachers of Hyangkyo and monks were accompanied and it was set to deify Gungbuja-Yeongjung taken from Ming for sowon, and Yulgok-Yiyi equipped etiquette for this features. However, enshrining Gongbuja made conflict by that it was get out of identity of sowon for Sarims. And leading power tried to solve this problem with help of Toegye who was chief of Sarim. He delivered literature to celebrate construction of sowon and Sarims started to accept Obongsowon. Wonim-organization of sowon was Jaeim system composed of two persons. This system was endured for 120 years and operation of sowon in this time was put in extended context in features and trends of Sarim in the area who were interacted with Yeongnam-Sarim. Kyengwonjang-Jinjinyusa-Jaeim. This system having high officers of Noron as the Kyenwonjang was expressed party color of local Yurim and meaned that interaction with central people in Noron was reflected in operation of sowon. And Sanjang-Yusa system was operated. This organization to have leading people in the local area over a Sanjang was leading subject to perform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of sowon. Especially, it was focused on role to take corporation of Gamsa·Su-ryung and it was temporary because it was dissolved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In late 18 century, the operation of sowon reflected relation of interest of activated Munjung. They pursued a relationship with Sarim power of central and raised their position. They made conflict by diverging around enshrine of Chubuja-Yeongjung and it became to flames leap to aspect of Hyang-jun with that they considered leading right of local society. The conflict in this period was ended with collapse of Sanrim power, and it was caused by determination of government. It was shown that limit of autonomy of Kyengwonjang and Sanrim-Jangs, and local Yurim. 강릉 五峯書院은 명종 11년(1556)에 건립되었다. 出仕하여 경륜을 갖춘 40대 후반의 七峯 咸軒을 중심으로 규합된 20대 초반의 香湖 崔雲遇·栗谷 李珥 등이 서원 건립의 주도세력이었으며, 이들은 退溪 李滉 중심의 嶺南士林과 聯網을 구축하고 새로운 학문풍토를 모색하였던 신진세력이었다. 이들의 서원 건립은 嶺·湖南에서 시작된 서원건립의 추이를 인지하였던 데서 비롯되었고, 鄕里의 침체된 학풍을 진작하고 鄕校 교육의 수용한계를 극복하려는 현실인식과 인재를 양성하여 文鄕이라 칭송되는 鄕評을 다시 구현하려는 의도를 갖는 것이었다. 이들은 서원을 先賢의 맥을 잇는 私學으로 인식하고 “선현의 舊基”를 물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서원의 정제성에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봉향할 인물을 물색하지 못한 채 중국의 4대 서원의 사례에서 파악되는 침체된 학풍 진작을 명분으로 工役을 결의하였다. 이들은 먼저 장소를 물색하고 鄕老들의 동의를 구하고 府使와 監司의 협조를 구하는 형식으로 공론화의 과정을 밟았다. 다시 ‘鄕中救助書’를 통해 鄕人의 동참을 유도하는형식으로 향중 공기구로서 서원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면서 소요되는 물적․인적 재원을확보하였다. 서원은 3년 만에 완공되었다. 鄕校의 校生들이 工役을 주관하고 사찰 승려들의 丹雘 기술이 원용되었다. 특히 이 기간 동안 봉향 인물 선정이 조율되었고, 칠봉 함헌이 書狀官으로 명나라에서 구득해 온 孔夫子影幀을 모시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그리고 율곡 이이는의례를 정비했으며, 그것은 春秋에 焚香만하고 香燭은 官府에서 奉進하는 것으로 향교의釋奠禮와 차별화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공부자를 모시는 문제는 사림계와 지방사회에서 서원의 정제성에 벗어나는 것으로 회자되면서 갈등을 유발하였다. 이 시기에 주도세력이 “書院圖”와 “工役의 顚末書”를 갖추어 퇴계 이황을 방문하여 “記文”을 요청하였던 사실은 그 타개책의 일환이었다. 퇴계는 이를 거부하는 것으로 공식적 입장을 표명하였으나, 이어서 서원의 완공을 축하하는 詩文을 전달하여 사적으로는 서원을 인정하는 자세를 보였다. 퇴계의 이러한 자세는 사림계에 회자되는 논란을 불식하는 계기가 되었고 오봉서원은 斯界로부터 인정받을수 있었다. 서원의 院任조직은 齋任 체제였다. 이 운영체제는 창건으로부터 120년 동안 지속되었고, 이 시기 서원운영은 嶺南士林과 聯網을 이루었던 이 지방 사림들의 학문적 성향의 연장선상에 놓이는 것이었다. 17세기 중반에 원임조직은 京院長-縉紳有司-齋任 체제로 정비된다. 老論系 고위관료를 경원장으로 추대하는 이 체제는 이 지방 사림들의 黨色 표방이었으며, 중앙의 노론계 인사와 聯網을 이루었던 이 지방 사림들의 특성이 서원운영에투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원임조직과 함께 山長-有司 체제가 운영되었다. 향중의 명망 있는 유력인사를산장으로 추대하는 이 조직은 서원의 重修를 위한 추진주체로서 監司·守令의 협조적 관계를 도출하는 역할이 주목되며, 사업의 완공 이후 해체되는 한시적이라는 특성을 갖는 체제였다. 한편 18세기 후반에는 서원의 운영을 둘러싸고 향중 유림이 분기가 두드러졌다. 이 양상은 서원의 원임조직과 山林丈席-京掌儀-有司 체제가 공존하는 구도에서 야기되었고,이 공존체제는 향중의 유력한 가문에서 門中書院을 건립하기 위해 산림장석을 ...

      • KCI등재

        高峰 奇大升의 歷史意識

        朴性淳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40 No.-

        지금까지 기대승에 대한 연구는 李滉과 쟁론을 벌였던 理氣四七論辨에 집중하거나, 이황 또는 李栗谷과의 관계 설정 속에서 기대승이라는 인물의 일단을 엿보려는 단편적이고, 주변부적인 시각에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무엇보다도 우선 기대승이란 인물이 지닌 역사적 위상을 밝혀낸 뒤에라야 그의 성리학 연구가 갖는 역사적 의미도 보다 분명하게 밝혀지게 될 것이라는 점이 오히려 상식적인 문제의식이라 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 기대승의 역사적 위상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가늠해 보려고 한 것이다. 연산군 때부터 명종조에 이르기까지 무려 네 차례의 士禍를 겪으면서 사림세력들은 커다란 타격을 받았다. 을사사화 이후 실권을 잡은 윤원형과 이량의 무리들은 아직도 살아남아 있는 신진 사림을 제거하기 위해서 혈안이 되었다. 그 격랑 속에서 사림 세력의 구심점 역할을 한 것이 바로 기대승이었다. 그는 윤원형과 이량, 그리고 김개의 탄핵을 극복해 가면서 꿋꿋하게 자신의 소신을 지켜나갔다. 기대승의 역사의식은 그가 경연에서 언급한 바 있는 ‘復古’라는 한 단어로 상징될 수 있다. 복고의 궁극적인 목표는 물론 요⋅순⋅우⋅탕의 시대로 대표되는 ‘至治’를 말한다. 동방에서 그 聖學의 맥을 계승한 것이 바로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조광조’로 이어지는 학통이라는 점에서 道統論을 강조하였다. 조광조는 실제 정치에서 至治를 실현하려다가 희생된 인물이라는 점에서 후세에서 그를 추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기대승 자신도 조광조의 행적을 따르기 위해서 위험이 수반되는 신진 사림의 중심 역할을 마다하지 않았다. 기대승은 조선 중기 조광조의 처형으로 단절된 성리학의 도통을 지켜내어 후배들에게 이어준 허리 역할을 수행하였다. Until now, the study of Ki Dae-seung(1527-1572) have been focused on Igi-sachil-nonbyoen(理氣四七論辨: an argument on li & ch'i in Neo-Confucianism) with Yi Hwang(1501-1570) and also fragmentary aspects of Ki Dae-seung's whole life related to other famous scholars such as Yi Hwang & Yi yulgok (1536-1584) etc. If we need to study of Ki Dae-seung precisely, we should have overall studied the historical status of Ki's at first. This thesis aims that. From Yeonsan'gun through king Myeongjong, Sarim(士林: Neo-Confucian literati) was suffered by four times Sahwa(士禍: the literati purges). Nevertheless, Yun Wonhyeong and Yi ryang having political power since Eulsa-sahwa(乙巳士禍; 1545) planed to get rid of the remnants of Sarim. In the middle of that dangerous circumstance, Ki Dae-seung became a key member to lead the rest of Sarim. Overcoming the impeachment from Yun Wonhyeong, Yi ryang, and Kim Gae, Ki Dae-seung kept holding his own belief on social and historical justice. Ki's historical consciousness could be represented in a word, "Bokgo"(復古: returning to the ancient paradise or instruction of earlier Confucian sages). The ultimate goal of "Bokgo" is to embody "Jichi"(至治: ideal governance ruled by Confucian sage kings in old China) in this world again. Ki Dae-seung thought that the scholars who succeeded to the scholarship of past Chinese sages are Jeong Mong-ju, Gil Jae, Kim Sukja, Kim Jongjik, Kim Gwengpil, and Jo Kwangjo. Sarim including Ki called the scholarly line "Dotong"(道統: orthodox line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So, Ki Dae-seung urged to officially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m. Therefore Ki Dae-seung didn't resist to be a leader of Sarim. In the end, Ki Dae-seung was a core person like waist in the human body to protect and convey the Dotong to the younger of Sar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