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전하고 좋은 환경’에 관한 아동관점의 탐색적 연구 : 지역사회 내 경험과 인식에 따라 다르게 그려지는 환경

        장희선,김기현,박주나 한국아동권리학회 2021 아동과 권리 Vol.2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children think of ‘safe and good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Methods: 27 children in two group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 twogroups 8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interviews of children's rights infour regions of South Korea, after conducting a focus group interview combiningphoto-voice on the community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live. Results: The important community environment that children was largely divided into‘community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The perception of safe and goodenvironment was sometimes shown to be a spatial concept according to children'scommunity environment and age, and sometimes different as a symbolic concept. Whilechildren in area B, who were living in relatively good neighborhoods and schoolenvironments, considered the more valuable environment of ‘guaranteed rights' a safer andbetter environment, children in areas A, C and D, which have factories nearby or live inredevelopment areas, focu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no harm' and ‘cleanliness andhygiene', thus revealing their desire for a safe and goo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8thgrade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e environment of ‘psychological stability' as asafe and good environment when compared to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lusions: Based on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children's community environment,this study discussed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implementing a safe and good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권리 관점에서 아동이 생각하는 ‘안전하고 좋은 환경’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전국 4개 지역에서 본 연구 활동 참여에 동의한 27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를 결합한 초점집단인터뷰를 각 지역의 그룹별(초등 6학년 2개 그룹과 중등 2학년 2개그룹)로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주제분석 방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아동이 생각하는 중요한 지역사회 환경은 크게 ‘동네 환경’과 ‘학교 환경’으로 구분되었고, 안전하고 좋은 환경에 대한 인식은 아동의 지역사회 환경과 참여 학년에 따라때론 공간적 개념으로, 때론 상징적 개념으로 다소 다르게 드러났다. 동네 및 학교 환경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곳에서 생활하고 있었던 B지역 아동들은 ‘권리 보장’이라는 좀 더가치적인 환경을 안전하고 좋은 환경으로 여긴데 반해, 인근에 공장이 있거나 재개발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던 A와 C, D지역의 아동들은 ‘안전과 무해’ 및 ‘청결과 위생’이라는물리적인 환경에 초점을 두어 안전하고 좋은 환경에 대한 바람을 드러냈다. 또한, 중등2학년 아동들은 초등 6학년 아동들에 비해 ‘심리적 안정’의 환경을 안전하고 좋은 환경으로 그리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졌다. 결론: 본 연구는 아동의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아동권리 관점에서안전하고 좋은 환경 구현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학교는 여학생에게 어떻게 안전공간으로 인식되는가? : 관계적 환경 관점을 중심으로

        박수경 한국지역지리학회 202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8 No.1

        This paper as the result of dealing with safe space geographically aims to matters as to how female students perceive school as safe space; also, how much these results are associated with healthy (or well-being) as a comprehensive meaning from a perspective of a relational environment. The concept of the safe space based on a philosophical term puts on weight “the space where problems don’t occur”. But a practical factor as to how much a specific geographical boundary is safe or not depends on how people, including non-human things extensively,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space; eventually, it seems that it is involved in the relational environment. With this in mind, the results of this paper, which were conducted by depth/semi-organized interviews, including content analysis, and photo elicitation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s: first, the female students a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recognize the safe space as a geographical boundary where their accumulative and repeated relational work is stacked psychologically; ultimately, it means that the space where topophilia is developed. Second, the safe space in the campus is the space encountering an expanded relational environment via physical experiences and awareness. Third, the emotion and the feeling based on nonrepresentative theory within the safe space is the criteria that estimate sociability and social capability; additionally, a stable relational environment contributes to building “affective atmosphere of recovery”. Forth, recent social issues such as COVID-19, sexual criminals, invasion of outsiders (without guaranteeing safe), and disputes on the internet threaten the safety of the school from time to time; but it figures out that the female students rebuild the safe space within the university through the process of negotiation or renegotiation that they learn by themselves. 본 연구는 안전공간에 대한 지리학적 접근의 결과로 학교가 어떻게 안전공간으로서 여학생들에게 인식되는지, 또한 그것이 폭넓은 의미의 건강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관계적 환경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것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철학적인 접근에 바탕을 둔 안전공간의 개념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곳’에 무게를 두고 있으나, 특정한 지리적 범주가 얼마나 안전한가, 그렇지 않은가를 결정하는 실질적인 요소는 그곳에서 누구(더 넓게는 비인간적 것까지 포함하여)와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가 하는 점과 연결되며, 궁극적으로 이는 관계적 환경과 관련성이 갖는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심층 및 반구조화 인터뷰와 내용분석, 그리고 사진추출법으로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의 모집단인 여학생들이 안전공간이라고 칭하는 범주는 누적적이고, 반복적인 관계적 작업이 쌓인 결과가 심리적으로 인지되는 단위, 결국 장소애가 형성된 곳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대학의 안전공간은 여학생들에게 신체적 체험과 인지를 통해 확장된 관계적 환경을 체험하는 곳이며, 이렇게 체득된 경험은 학교를 다른 시선으로 평가하거나 혹은 재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한다. 셋째, 안전공간에서 형성된 일종의 비표상주의적 이론에 기초한 정서 혹은 감정은 사교성 또는 사회적 능력을 가늠하는 지표가 되고, 안정된 관계적 환경은 ‘회복의 정동적 분위기’를 형성하는데 일조하게 된다. 넷째,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이슈들, 예를 들어 코로나, 성범죄, (안전을 보장받지 못한) 외부인의 침입, 사이버 상의 논란 등으로 학교의 안전이 때때로 위협을 받기도 하지만, 여학생 스스로 터득한 협상과 재협상의 과정을 통해 학교 내의 안전공간을 재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학교폭력으로부터 안전한 중학교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유성은(Yoo, Sungeun),하미경(Ha, Mikyo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20 No.-

        적절한 학교 시설의 디자인은 학교폭력 발생을 감소시키고 학교폭력에 대한 두려움을 줄임으로써 중학생들의 발달과 학업성취 뿐만 아니라 건강과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건물 내 학교폭력 경험 현황과 학교폭력 불안감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학교폭력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학교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교시설 내부의 환경개선 요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학교시설에서 가장 취약한 물리적 환경 요소가 모든 공간에서 CCTV와 같은 보안장치가 없고 인적이 드물거나 사람들이 너무 많이 몰려있는 공간이기 때문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학교폭력 발생에 대한 인식이 높고 학교가 노후화되고, 학교폭력 경험이 많고, 여학생의 경우 학교폭력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설 계획 및 배치 측면에서 자연감시 및 접근통제와 안전일반이 쉽게 확보될 수 있는 공간계획이 필요하고, 여유있는 공간은 부적절한 행동을 줄여주므로 혼잡하지 않도록 적정 규모로 공간을 계획하여야 한다. Occurrence of school violence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health and safety of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iolence experience and fear for violence in schools, and to suggest space planning directions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reduce the fear for school viol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atial characteristics of school such as type of building layout. construction year, school size, and facility openness to the community influence occurrence and fear for violence in school. The fear for school violence is felt mostly because of lacking of security device, overcrowding or few people. Therefore the planning method to improve natural surveillance and natural access control is recommended to prevent the school violence and remove the fear for school violence. In addition, providing adequate room to prevent overcrowding is needed.

      • KCI등재

        국제안전인증학교 운영 특성에 관한 기초 연구

        이재림(Lee, Jae-Rim) 한국교육시설학회 2015 敎育施設 Vol.22 No.6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international safety school operating characteristics certified by Community Safety Promotion Cooperation Center affiliated to the WHO to strengthen safety training course and create safe training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of recently the safety education for students and safe environment in the school education course. It draw the kind of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accident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because of analyzing student safety education program. It also suggest operation characteristics which were divided into physical environment and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 학교 실내공간의 웨이파인딩(wayfinding) 개선을 위한 Signage System 연구 - 미시건주의 공립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김석경(Kim, Suk-Kyung),손준태(Son, Jun-Tae),린다 누바니(Nubani, Linda),김준현(Kim, Jun-Hy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9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1 No.3

        The main research question of this project is, if schools in the State of Michigan are designed to secure students from violent crimes or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students’ and parents’ opinions about school safety in terms of both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The study conducted focus groups and collected their input for creating safe school environments. Their responses were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 total of 25 students, 11 parents, and 2 former students participated in focus groups. The findings highlighted a high level of visibility, accessibility, and territoriality of school buildings and campuses. Especially, a well-defined signage system was emphasized. This will help student to navigate buildings and find the accurate evacuation routes quickly. The findings also emphasized on providing accessibility to elevators or exits for the students and staff memb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evacuation route should be clearly defined and exits doors should be secured. A color-coded signage system with consistent design and fonts was strongly sup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