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경부자은(輕部慈恩)의 백제 성곽 연구

        서정석 ( Jeong Seog Seo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4 백제문화 Vol.1 No.51

        경부자은(輕部慈恩)만큼 백제 고고학 연구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도 드물다. 그는 1927년부터 1945년에 이르기까지 약 19년 동안 공주와 그 인근지역에 거주하면서 근대적인 방법으로 백제 고고학을 연구한 전문 연구자였다. 그의 연구는 고분, 성곽, 사찰, 그리고 유물에 이르기까지 백제 고고학 전 분야에 걸친 것이었다. 그 중 여기에서는 성곽 분야의 연구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경부자은(輕部慈恩)이 백제의 성곽을 주목한 것은 백제 부흥운동기에 등장하는 전적지(戰迹地)의 올바른 위치 비정을 하는 것이야말로 백제와 왜의 관계를 해명하고, 당시의 역사적 사실(史實)을 제대로 해석할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웅진성(熊津城), 사비성(泗比城), 주류성(周留城)과 같은 백제 성곽에 주목하였다. 백제 성곽에 대해서 이렇다 할 연구가 없었던 시절, 성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것을 고고학적 연구 대상의 하나로 지목한 것은 큰 업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공산성의 경우, 그것이 백제 성곽인지조차 명확히 알 수 없었던 시절임에도 왕궁이 그 안에 있었을 가능성을 타진한 것은 그가 남다른 안목의 소유자임을 입증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러나 성곽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백제 성곽 자체의 특징이나 변천에 주목한 것이 아니라 사료상에 등장하는 성곽의 위치 비정에 머물렀다는 아쉬움이 있다. 방법 또한 사료상에 등장하는 地名과 지도상(地圖上)의 地名의 유사성을 통해 위치비정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지도상의 지명에 의존하지 않고 현지답사나 다른 유적과의 관계, 교통로, 유적의 특징, 성곽 안에서의 수습 유물 등을 감안한 위치 비정을 시도했다고는 하지만 중심을 이루는 것은 역시 음운학적인 접근이었음을 부정할 수는 없을 듯하다. 물론 일제강점기 때에는 백제 성곽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전무했던 만큼 이 모든 책임을 輕部慈恩 개인에게 돌릴 수는 없겠지만, 이미 일본내에서는 神籠石式山城에 대한 성격 논쟁이 일고 있었고, 한국 고대산성의 특징을 바탕으로 神籠石의 성격을 해명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감안해 볼 때 백제 성곽을 연구하면서도 고고학적인 방법이 결여된 채 위치 비정에 머문 것은 아쉬움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There are few figures who influenced the study on archaeology of Baekje Dynasty as Karube Jion. He lived in Gongju and its nearby area for approximately 19 years, from 1927 to 1945, and was an expert who studied on the archaeology of Baekje Dynasty using a modern method. He researched all over the whole field of archaeology such as ancient tombs, fortresses, temples, and artifacts. Of these, this study focused on the fortress. The reason why Karube Jion pays attention to the fortresses of Baekje Dynasty is that determining the exact location of battlefield in the reconstruction movement period can explain the relations between Baekje Dynasty and Japan and can exactly interpret the contemporary historical facts. Therefore, he took note of the fortresses of Baekje Dynasty such as Woongjinseong Castle, Sabiseong Castle,, and Juryuseong Castle, Selecting an object of archaeological study on fortress by recognizing its importance is his remarkable achievement when there are no noticeable studies on the fortress of Baekje Dynasty. In particular, examining the possibility that the royal palace may be located in Gongsanseong Castle, confirms that he has extraordinary discernment although nobody know that Gongsanseong Castle, is the fortress of Baekje Dynasty. However, from another point of view, he only ended up selecting the location of fortress, and there is a limit in trying to select the location through the name of the palace appearing in historical records and the similarity of the name of the palace on the map. In particular, arguments about characters of Baekje style fortress in Japan occur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is regretable that the remaining location selection lacked archaeological methods when the characters of Baekje style fortress was expla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cient fortr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