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今西龍의 三角山 名稱解釋에 대한 檢討

        오경후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7 No.-

        Imanish Reu(今西龍) who was a investigator of historical remains in the government-general of Jo Sun(朝鮮) made final report in 1917 after he investigate the historic remains in Sam Gak San(三角山). In his report, he defined Sam Gak San just with In Su Bong, Baek Un Bong and Man Kyeong Bong. He extended, however, the bounds of Buk Han San to contain the small hills and streams around as well as Sam Gak San. Imanish recognized that the name of Sam Gak San was not the other name of Buk Han San but a part of it. Nevertheless, he also asserted that there were old Bukhan mountain fortress wall in Sam Gak San and that it seemed that after the re-construction of mountain fortress wall it was named 'Buk Han San Seong' and afterwards the mountain was normally called Buk Han San. San Gak San varied in name such as to be named separately Bu Ah Ak(負兒嶽), Wha San(華山) and Sam Gak Sa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h Bang Gang Yeok Go(我邦疆域考) written by Jeong Yak Young(丁若鏞) the name of Buk Han San designated Seoul district on north of Han River. It seemed that he emphasized the territory more than the name of the mountain. The Buddhist temples, such as ‘Sam Gak San Sam Cheon Sa(三川寺)’ and ‘Sam Gak San Jin Kwan Sa(津寬寺)’, which are located in Buk Han San contain the word of 'Sam Gak San' in front of their names. To conclude,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of Buk Han San, its name should be changed into Sam Gak San. 1917년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위원이었던 이마니시 류(今西龍)는 삼각산의 유적과 유물을 조사한 후 최종보고서를 제출하였다. 그는 이 보고서에서 삼각산은 인수봉⋅백운봉⋅만경봉에 국한시켜 삼각산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북한산은 삼각산을 포한한 주변의 많은 산과 강, 개천 등을 거론하며 그 영역을 확대하였다. 때문에 이마니시는 삼각산이 옛 문헌에 기술된 것처럼 북한산의 다른 이름이기보다는 북한산의 한 부분으로 이해하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이마니시 역시 조선시대 삼각산에 옛 북한산성이 있을 것으로 단정하고 다시 산성을 축조한 이후 ‘북한산성’으로 명명하고 그 이후부터 이 산의 일반적 이름을 북한산이라고 부르게 된 것 같다고 하였다. 삼각산은 2,000여 년 동안의 역사만큼이나 그 이름도 다양하다. 부아악(負兒嶽)⋅화산(華山)⋅삼각산으로 명명되었다. 반면 북한산은 다산 정약용의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에 의하면 한강이북의 서울지역을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산의 명칭보다는 지정학적 성격이 강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사례는 오늘날 소위 북한산에 자리 잡고 있었던 산들이 모두 ‘삼각산 삼천사(三川寺)’⋅‘삼각산 진관사(津寬寺)’ 등 사찰 앞에 삼각산을 표기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요컨대 북한산의 명칭은 역사적 문화적 사실을 기초로 검토했을 때 삼각산으로 그 명칭이 재고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1910년대 금서룡(今西龍)의 삼각산(三角山) 명칭해석(名稱解釋)에 대한 검토(檢討)

        오경후 ( Kyeong Hwo Oh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7 No.-

        1917년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위원이었던 이마니시 류(今西龍)는 삼각산의 유적과 유물을 조사한 후 최종보고서를 제출하였다. 그는 이 보고서에서 삼각산은 인수봉·백운봉·만경봉에 국한시켜 삼각산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북한산은 삼각산을 포한한 주변의 많은 산과 강, 개천 등을 거론하며 그 영역을 확대하였다. 때문에 이마니시는 삼각산이 옛 문헌에 기술된 것처럼 북한산의 다른 이름이기보다는 북한산의 한 부분으로 이해하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이마니시 역시 조선시대 삼각산에 옛 북한산성이 있을 것으로 단정하고 다시 산성을 축조한 이후 `북한산성`으로 명명하고 그 이후부터 이 산의 일반적 이름을 북한산이라고 부르게 된 것 같다고 하였다. 삼각산은 2,000여 년 동안의 역사만큼이나 그 이름도 다양하다. 부아악(負兒嶽)·화산(華山)·삼각산으로 명명되었다. 반면 북한산은 다산 정약용의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에 의하면 한강이북의 서울지역을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산의 명칭보다는 지정학적 성격이 강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사례는 오늘날 소위 북한산에 자리 잡고 있었던 산들이 모두 `삼각산 삼천사(三川寺)`·`삼각산 진관사(津寬寺)` 등 사찰 앞에 삼각산을 표기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요컨대 북한산의 명칭은 역사적 문화적 사실을 기초로 검토했을 때 삼각산으로 그 명칭이 재고되어야 한다. Imanish Reu(今西龍) who was a investigator of historical remains in the government-general of Jo Sun(朝鮮) made final report in 1917 after he investigate the historic remains in Sam Gak San(三角山). In his report, he defined Sam Gak San just with In Su Bong, Baek Un Bong and Man Kyeong Bong. He extended, however, the bounds of Buk Han San to contain the small hills and streams around as well as Sam Gak San. Imanish recognized that the name of Sam Gak San was not the other name of Buk Han San but a part of it. Nevertheless, he also asserted that there were old Bukhan mountain fortress wall in Sam Gak San and that it seemed that after the re-construction of mountain fortress wall it was named `Buk Han San Seong` and afterwards the mountain was normally called Buk Han San. San Gak San varied in name such as to be named separately Bu Ah Ak(負兒嶽), Wha San(華山) and Sam Gak Sa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h Bang Gang Yeok Go(我邦疆域考) written by Jeong Yak Young(丁若鏞) the name of Buk Han San designated Seoul district on north of Han River. It seemed that he emphasized the territory more than the name of the mountain. The Buddhist temples, such as `Sam Gak San Sam Cheon Sa(三川寺)` and `Sam Gak San Jin Kwan Sa(津寬寺)`, which are located in Buk Han San contain the word of `Sam Gak San` in front of their names. To conclude,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of Buk Han San, its name should be changed into Sam Gak San.

      • 특집 : 산해정과 신산서원의 문화공간적 역할

        김경수 ( Kyeong Soo Kim ) 南冥學硏究院 2015 南冥學 Vol.20 No.-

        김해지역은 바다와 접하고 있어서 왜구의 침탈이 빈번하여 양반들이 거주하지 않았다. 조선중기에 남명이 산해정을 짓고서 강학함으로서 비로소 유교의 풍속이 정착하게 되었다. 산해정은 1530년에 지어졌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고, 이후 그 자리에는 신산서원이 대원군 당시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기까지 있었다. 그 중간인 1758년에 서원 옆에 산해정을 복원하였으나 이 또한 서원철폐령에 함께 훼철되었다. 이후 1890년에 신산서원이 있었던 원래 산해정의 터에 산해정을 복원하고서 1924년과 1949년 및 1972년과1993년에 계속하여 보수한 기록이 남아 있다. 선산서원은 1588년 건립이 추진되었으나 완공하지 못하고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 이후 1608년에 산해정자리에 복원하여 1871년 훼철 때까지 존속하였다. 산해정만 복원한 자리에 다시금 1998년 이를 확대 개 편하여 신산서원과 산해정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건물을 완성하였다. 현재 여기에는 남명과 송계 신계성을 배향하고 있다. 산해정과 신산서원의 건립 및 유지 보수에는 그때마다 몇몇 사람들이 주동이 되어 추진한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러한 기록들에서 우리는 산해정과 신산서원이 김해지역 유교문 화의 중심으로서 최소한의 역할을 수행한 사실은 확인할 수 있지 만, 김해지역의 유교문화를 확대하는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은 찾아보기 힘들다. 남명이 살아있을 당시에는 산해정이 지역의 유교 문화를 확대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확인되지만, 남명이 죽고 난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편중된 지역에 위치하였고 또한 유림의 숫자가 적었던 점으로 인하여 그 역할을 점차 알아간 것으로 보인 다. 신산서원의 중건은 정인홍의 남명 추숭사업과 연관되어 있었지만 이후 서원의 관리와 유지는 김해지역의 유력한 몇몇 가문과 남명의 처가인 남평 조 씨가 담당한 것으로 확인된다. 결론적으로 산해정이나 신산서원은 김해지역에서 남명을 추모 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유교문화의 명맥을 잇는 정도의 역할을 해온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한 역할은 오늘날이나 이후에도 더 이상 개선되어 유교문화의 확산공간으로서의 기능은 기대히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Nobles did not live at Gimhae area becaus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 Here``s a Confucian customs were settled since Nam-myeong built San-hae Jung in middle period of Joson dynasty. San-hae Jung was built in 1530 but was destroy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ince 1608, at that place was built the Sin-san seowon(academy) till 1871. Restore the San-hae Jung in 1890 and was repaired over five times so far. The Sin-san seowon building was started in 1588 was destroyed by the invasion of Japan in 1592. Restored and re-expansion of the San-hae Jung in 1998 and was able to also serve as the role of Sin-san seowon. Construction and repair of San-hae Jung and Sin-san seowon, there remains a record of several central figure in the success each time. But paradoxically, in these records, but we can see the fact that the role of San-hae Jung and Sin-san seowon are minimal as the center of Gimhae area Confucian culture, serve as a cultural space to expand the Confucian culture of Gimhae area is hard to find. At the time Nam-myeong was alive was confirmed that San-hae Jung was responsible for expanding the Confucian culture of this area, but after his death gradually lost its role seems to cross. As a result, San-hae lung and Sin-san seowon can be seen that while the role of honor of Nam-myeong in Gimhae area that has the role of linking degree of Confucian culture survived. And that role is to further improve and today is spreading beyond the space as a function of the Confucian culture seems to be difficult to expect.

      • KCI등재

        [추천석사논문] 혁명문학가 이두산 연구 -독립운동 행적과 다중언어 글쓰기를 중심으로

        손정성 상허학회 2023 상허학보 Vol.67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multilingual writing of revolutionary writer Lee Doo San(1896-?). Confirm and reveal his life and thoughts in chronological order, which are less known in the Korean and Chinese academic world, in the meantime. And als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ideas of multilingual writing including Classical Chinese, Modern Chinese and Korean. In particular, Identify Lee Doo San’s view of literature, “Daedong nationalism”, fellowship activities, Biographies of Recent Korean Righteous Warrior as Classical Chinese writing, and his contributed works as Modern Chinese, Korean writing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in previous research. In Chapter 2, Examined Lee Doo San’s lif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fellowship activities, view of literature and ideology. Lee Doo San is a revolutionary and a writer. His writing were carried out as an important part of his independence movement. His view of literature tends towards realism and aims for national liberation. The paper defines Lee Doo San as a revolutionary writer. In China, Lee Doo San appealed for international solidarity centered on the Korean-Chinese solidarity. The roots of this theory of solidarity actually lie in Lee Doo San’s internationalism and “Daedong nationalism”. In Chapter 3,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houghts of Lee Doo San’s Biographies of Recent Korean Righteous Warrior as Classical Chinese writing. Discover a new editions and introduce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editions. Lee Doo San’s Classical Chinese writing has his own characteristics. He maintain authenticity of the biography by insert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the form of writing that combining “the brief biography” and “the detailed biography”. And Lee Doo San used the “Classical quotation” rhetorical device to Bringing the Righteous warrior down in history. In Biographies of Recent Korean Righteous warrior creation, Lee Doo San utilized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and carried out the work of accepting, adapting, and re-creating. In particular, he adapted An Jung-geun by Park Eun Shick and letter of Kim Koo. And by concealing the religious activities of the warrior, the warrior were embodied as people who devoted themselves only to the nation. In addition, Biographies of Recent Korean Righteous Warrior which was created by “common people theory”, has the character of “national biography” beyond “warrior biography”. Chapter 4 deals with Lee Doo San’s Modern Chinese and Korean writing. The characteristics and ideas of Modern Chinese writing and Korean writing are mainly dealt with Lee Doo San’s contributed works, which have not been noticed in the academic world. 본 연구는 혁명문학가 이두산(1896~?)의 독립운동 행적과 다중언어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다. 그동안 한중 학계에 덜 알려진 그의 삶과 사상을 시계열적으로 확인하여 밝힌다. 또한 한문, 백화문, 한국어를 비롯한 다중언어 글쓰기의 특질과 사상을 조명한다. 특히 기존 연구에 논의되지 못한 이두산의 문학관, “대동의 민족주의” 사상, 교우 활동, 한문 글쓰기로서 최근한국의사열전 , 백화문, 한국어 글쓰기로서 그의 기고 작품을 연구 범주에 포함 시켜 이두산 연구를 보완한다. 제2장에서 이두산의 독립운동 생애와 교우 활동, 문학관과 사상을 밝힌다. 이두산은 혁명가이자 문학가이다. 문필활동은 이두산 독립운동의 중요한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그의 문학관은 현실주의 경향을 띠고 민족해방을 지향한다. 본문은 이두산을 혁명문학가로 정의한다. 이두산은 중국에서 한중연대를 중심으로 한 국제연대를 호소했다. 이러한 연대론의 뿌리는 사실 이두산의 국제주의와 “대동의 민족주의”에 있다. 제3장에서 이두산의 한문 글쓰기인 최근한국의사열전 의 특질과 사상을 밝힌다. 새로운 판본을 발굴해 판본의 내용과 구성을 소개하면서 기존 연구의 공백을 보완한다. 이두산의 한문 글쓰기는 독자적 특질을 갖는다. 그는 약전과 상전 결합의 글쓰기 형식으로 역사 배경을 삽입하면서 열전의 사실성을 보존했다. 그리고 이두산은 인고의 수사법으로 의사를 역사에 남기게끔 하였다. 최근한국의사열전 창작에 이두산은 다양한 사료를 활용하고 수용·개작·재창작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특히 박은식의 안중근전 과 김구 서신을 개작하였다. 또한 의사들의 종교적 행적을 은폐함으로써 의사를 오직 민족에 몸을 바친 인물로 형상화했다. 아울러 민중 주체 사관으로 창작한 최근한국의사열전 은 “의사 열전”을 넘어서 “민족 열전”의 성격을 가진다. 제4장에서 이두산의 백화문, 한국어 글쓰기를 다룬다. 백화문과 한국어 글쓰기의 특질과 사상은 주로 그동안 학계에 주목받지 못한 이두산의 기고 작품을 중심으로 다룬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후기 연행사의 중국 명산 유람 양상과 특징

        신익철 ( Ik Cheol Shin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이 글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연행록 22종을 대상으로 연행사의 중국 명산유람 양상과 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책문(柵門)을 통과해 북경에 이르기까지 연행 노정 부근에 위치한 명산으로 연행사가 주목하고 유람한 산은 책문 근처의 봉황산, 안산(鞍山) 인근의 천산, 광녕(廣寧) 부근의 의무려산, 산해관(山海關)에 위치한 각산, 영평부(永平府) 난하(난河) 가의 수양산, 그리고 계주(계州) 북쪽에 있는 반산의 6산이다. 연행록 소재 이들 명산의 유람기는 ① 봉황산(鳳凰山): 안시성 성터와 고토(故土) 의식, ② 천산(千山) : 유람의 8가지 어려움과 김창업의 유기, ③ 의무려산(醫巫閭山) : 화이(華夷)의 경계와 감로암의 주지승 수행(秀行), ④ 각산(角山) : 만리장성과 발해를 조망하는 풍광, ⑤수양산(首陽山) : 충절의 공간과 고사리 고사, ⑥ 반산(盤山) : 송수석(松水石)의 삼승(三勝)과 원굉도의 「유반산기(遊盤山記)」로 그 특징을 정리할 수 있다. 연행사의 중국 명산 방문 양상은 그 층위를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안시성(安市城), 이제묘(夷齊廟), 망해정(望海亭), 북진묘(北鎭廟)와 같은 유적이나 경관을 지닌 봉황산, 수양산, 각산, 의무려산이고, 다른 하나는 천산이나 반산처럼 이정귀(李廷龜), 원굉도(袁宏道) 등의 유산기에 많은 영향을 받아 유산(遊山)의 체험을 중시한 경우이다. 유산의 체험을 중시한 경우 이정귀의 「삼산유기(三山遊記)」, 원굉도의 「유반산기」와 같은 산수유기가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독립된 산수유기 형식으로 전승되지는 않았지만 김창업의 연행일기 내의 유산 기록도 후대 연행사에게 널리 읽히면서 참조가 되었다. 연행사는 요동 지방에 있는 봉황산, 천산, 의무려산을 유람하는 경우 이곳이 고구려의 강역임을 상기하고 고구려 관련 유적이나 양만춘, 설인귀, 연개소문 등의 설화에 대해 관심을 지녔다. 연행사의 중국 명산 유람은 연행의 실상을 이해하고, 한중 문화교류의 현장을 검토함에 있어 상당한 의의를 지닌다. 연행록 외에 조선 후기 문인의 문집에는 연행로 부근의 명산을 유람하고 남긴 유기(遊記)가 상당수 수록되어 있다. 향후 본고에서 다루지 않은 여타 연행록 및 문집의 관련 기록을 보완하여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about the aspect and feature of excursion of Chinese famous mountains regarding the types of 22 Yeon-Hang-Rok which are representative in late Joseon dynasty. The mountains that Yeon-Hang-Sa had noticed and had a tour are Bong-Hwang-San near Chaek-Moon(柵門), Cheon-San around An-San(鞍山), E-Moo-Ryeo-San in Gwang-Neyong(廣寧), Gak-San in San-Hae-Gwan(山海關), Soo-Yang-San in Nan-Ha(란河), Yeong-Pyeong-Boo(永平府), and Ban-San in Nothern Gye-Ju(계州). These excursions in Yeon-Hang-Rok can be classified in this way : ① Bong-Hwang-San(鳳凰山) : the area of an ancient castle of An-Si-Sung(安市城) and the sense of native land, ② Cheon-San(千山) : the eight difficulties of excursion and dereliction of Kim-Chang-Eup (金昌業), ③ E-Moo-Ryeo-San(醫巫閭山) : the guard for barbarian and asceticism of monk of Gam-Ro-Am(甘露庵), ④ Gak-San(角山) : scenery of the Great Wall and Bal-Hae(渤海), ⑤ Soo-Yang-San(首陽山) : the space of loyalty and sacrifice of bracken, and ⑥ Ban-San(盤山) : the three of extraordinary sightseeing of Song(松)-Soo(水)-Suck(石) and 「Yoo-Ban-San-Ki(遊盤山記)」of Won-Gang-Do(袁宏道). It can be divided in two ways regarding the appearance of excursion of Yeon-Hang-Sa. First, Bong-Hwang-San, Soo-Yang-San, Gak-San, and E-Moo-Ryeo-San have remains or landscape, such as An-Si-Sung(安市城), Lee-Hae-Myo(夷齊廟), Mang-Hae-Jung(望海亭), and Book-Jin-Myo(北鎭廟). Second, it tends to put emphasis on the experience of a mountain excursion. In this sense, San-Soo-Yoo-Gi, such as 「Sam-San-Yoo-Gi(三山遊記)」of Lee-Jeong-Gui(李 廷龜) and 「Yoo-Ban-San-Ki(遊盤山記)」of Won-Gang-Do, have a significant role at that time, and 「Yeon-Hang-Il-Gi」of Kim-Chang Eup were referred by the late of Yeon-Hang-Sa. When Yeon-Hang-Sa did a sightseeing in Bong-Hwang-San, Cheon-San, and E-Moo-Ryeo-San around the area of Yo-Dong(遼東), they were interested in remains which related with Goguryeo and had attention of folk story, such as Yang-Man-Choon(楊萬春), Seol-In-Gui(薛仁貴), and Yeon-Gae-So-Moon(淵蓋蘇文). This excursion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Yeon-Hang and in terms of cultural interaction between China and Korea. Many records about the excursion of celebrated mountains in China have also remained in the literatures that were writte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besides Yeon-Hang-Rok. It is necessary to research Yeon-Hang-Rok that have not been studied and other literatures as well.

      • KCI등재

        남악혜사의 『법화경안락행의』와 『제법무쟁삼매법문』의 저술시기 연구 - 사상적 맥락의 차이를 중심으로

        이병욱(Lee Byung-Wook)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19 No.-

          In this paper, I tried to prove that Chu-fa wu-cheng san-mei fa-men(諸法無諍三昧法門) was written later than Fa-hua-ching an-lo-hsing-i (法華經安樂行義) by comparing their contents.<BR>  At first, I compared his interpretation of an-lo-hsing (安樂行) in Fahua-ching an-lo-hsing-i with that of ch’an-po-lo-mi (禪波羅密) in Chufa wu-cheng san-mei fa-men. Nam-Y?eh Hui-Ssu (南岳慧思) presented san-jen (三忍) to explain the meaning of an-lo-hsing. San-jen are chungsheng-jen (衆生忍), fa-hsing-jen (法性忍) and fa-chieh-hai shen-t’ungjen (法界海神通忍). He interpreted chung-sheng-jen and fa-hsingjen among them as having three meanings. Those three meanings of chung-sheng-jen and fa-hsing-jen correspond to san-chih (三智) of Chu-fa wu-cheng san-mei fa-men. San-chih are tao-chih (道智), tao chung-chih (道種智) and i-ch’ieh-chung-chih (一切種智). But fa-chieh-hai shen-t’ung-jen was not interpreted in terms of the three meanings. This is an example that he had not yet establish his viewpoint in Fahua-ching an-lo-hsing-i.<BR>  Secondly, I compared his interpretations of ssu-nien-ch’u (四念處) in Fa-hua-ching an-lo-hsing-i and in Chu-fa wu-cheng san-mei fa-men. In Fahua-ching an-lo-hsing-i, Nam-Y?eh Hui-Ssu interpreted ssu-nien-ch’ u as ssu-mo (四魔). But in Chu-fa wu-cheng san-mei fa-men he presented more sophisticated interpretation of ssu-nien-ch’u as san-chih. Therefore I think that ssu-nien-ch’u of Chu-fa wu-cheng san-mei fa-men was more advanced than that in Fa-hua-ching an-lo-hsing-i.

      • KCI등재

        黃峨 散曲에 보이는 희곡적 특징 연구

        정민경 중국문화연구학회 2020 중국문화연구 Vol.0 No.48

        Huang-E, a female writer in the middle of Ming Dynasty is very good at San-Qu and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Ming Dynasty’s San-Qu history. She’s San-Qu is closely related to her life, and her husband, Yang-Shen, was also a famous San-Qu writer. Huang-E, who writes poetry well, had a happy newly married life after she married Yang-Shen. However, after Yang-shen was punished by the court and driven to Yun-Nan, she leads a lonely life. So Huang-E’s San-Qu expressed her Yearning and resentment for her husband. Huang-E was good at both Nan-Qu and Bei-Qu under the influence of Yang-Shen, was better at the Bei-Qu. She described the character, incident and background through the Bei-Qu, became a woman of noble birth, a prostitute, and a male figure in a San-Qu. Through the dramatic characteristics of Huang-E’s San-Qu, we can see that her San-Qu was singing various contents and tried various expressions. The content and formal analysis of Huang-E’s San-Qu could look at Huang-E’s naive, frankness, cheerful and freeness with Huang-E’s San-Qu, away from the way she had so far evaluated Huang-E’s work only in the shadow of her husband Yang-Shen. In the late Ming Dynasty after Huang-E, a large number of female San-Qu writers appear around the southern region. Huang-E’s talent and virtue have influenced female San-Qu writers a lot, also had a profound impact on Chinese women’s literature.

      • KCI등재

        김산의 아리랑은 어떻게 책이 되었나?

        양진오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69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님 웨일즈의 아리랑 이 어떻게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조선인 혁명가의 텍스트로 만들어지게 되었는가를 고찰하는 데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아리랑의 서술 대상이자 주체인 김산을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의 작품만이 아니라 유럽의 고전문학을 탐독하며 자신을 객관적으로 성찰한 근대적 독서인으로 간주하고 있다. 아리랑이 출간된 이래, 김산은 흔히 중국공산당과 협력하여 식민지조선의 해방을 열망한 조선인 혁명가로 해석되어 왔다. 그리고 김산이나 아리랑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대개 김산을 조선인 혁명가로 정의하며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아리랑은 김산의 이미지를 조선인 혁명가로 제한하지 않는 문제적인 장면을 적지 않게 남기고 있다. 그 문제적인 장면이 바로 독서하는 근대적 주체로서의 김산이다. 숭실학교 시절부터 톨스토이의 작품을 탐독한 김산은 1920년대, 30년대 격동하는 근대 중국에서 식민지조선 해방 투쟁에 전념하면서도 톨스토이의 인생독본 을 매사 탐독했다고 님 웨일즈에게 토로한다. 여기서 필자가 주목하는 대목은 김산의 독서가 혁명가로서 정체성에 도전 받거나 동지들에게 스파이로 의심을 받는 등 위기의 순간에 집중되었다는 데 있다. 이처럼 김산의 독서는 단지 근대적 취향의 차원에 머물지 않는다. 김산의 독서는 자신을 둘러싼 내적 외적 위기에 표류하지 않음은 물론 이념적 경계에 구속되지 않는 근대적 주체로 단련하는 동력으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김산의 독서는 자신을 오로지 이념을 맹종하는 교조적인 혁명가로 머물지 않게 하는 내적 동력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김산의 독서는 자신은 물론 ‘물 속의 소금’처럼 사라진 식민지조선의 숱한 청년 혁명가들의 삶이 실패한 삶이 아니라고 선언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아리랑 은 중국공산당과 협력해 조국의 해방을 열망한 식민지조선 혁명가의 고백적인 증언서사이기도 하지만 문학으로 자신을 어떻게 단련했는가를 이야기하는 문학적 서사이기도 하다. 본고가 밝히고자 한 아리랑 의 문학적 성격이 바로 여기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Song of Ariran by Nym Wales is being made into a test by Korean revolutionary as representative of East Asia. To execute such research objective, this researcher considers Kim San who is subject and narrative identity of Song of Arirang as modern reader who meditates on her inner self by reading with avidity for the classical literature in Europe as well as works by Tolstoy, the literary giant of Russia. Since Song of Arirang was published, Kim San has been often interpreted as Korean revolutionary who aspired the colonial Chosun's liber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n addition, the earlier study on Kim San or Song of Arirang would make progress with the definition of Kim San as Korean revolutionary. However, Song of Arirang contains the problematic scenes a lot not to limit the image of Kim San as Korean revolutionary. The problematic scene is Kim San to read as modern subject. Kim San who has avidly read Tolstoy’s works since his Soongsil school days spoke his mind to Nym Wales that he was always indulgent in reading Tolstoy’s final work as he was committed to the fight for colonial Chosun liberation in the modern China turbulent in 1920s and 1930s.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s something worthwhile to focus on is that Kim San’s reading is focused in times of crisis as revolutionary on being challenged to the identity or suspected of spy by his comrades. In this way, Kim San’s reading does not stay in dimension of modern taste. Kim San’s reading seems to be power to be trained as modern subject which is not bound to the ideological boundary as well as it is not drifted to the domestic and foreign crisis that surround him. Among other things, Kim San’s reading is utilized as inner power which does not stay with the doctrinaire revolutionary to follow ideology blindly. In addition, Kim San’s reading becomes a basis for declaring that a lot of youth revolutionaries’ lives in the colonial Chosun who disappeared like ‘Salt in Water’ including him are not failed. Song of Arirang is confessional narrative of testimony for the colonial Chosun revolutionary who aspired his fatherland liber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s well as literary narrative about the story how to train himself by using literature. That is why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Song of Arirang .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시대 무대 공간의 연행론적 분석 -산대를 중심으로-

        김기란 ( Ki Ran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0 No.-

        이 논문에서는 산대의 무대 공간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연행 현장에서 구성된 스펙터클의 성격을 연행론적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연행이론은 연행성을 속성으로 지니는 연행을 연구 대상으로 하되, 궁극적으로는 논의의 범위를 연극학으로부터 사회학적, 문화인류학으로 확장시킨다. 연행이론의 연구 대상인 연행의 범주에는 연극 예술적 행위뿐만 아니라 의식이나 의례, 축제, 스펙터클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행위도 포함된다. 한국 전통극의 대표적 연행 공간인 산대를 중심으로 하는 연행 공간은 서구적 개념의 공연 공간 즉 특정한 무대에서 단일한 연행물이 공연되는 무대 공간과는 달리 다양한 연행물이 동시다발적으로 공연되며 화려한 스펙터클을 구성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산대를 중심으로 하는 연행 공간은 통치 권력의 과시적 재현을 표상하는 스펙터클을 구성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조선시대신민들은 산대와 산대를 중심으로 하는 연행 공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는 스펙터클을 경험함으로써 일상 속에서는 접하기 힘든 통치자의 존재와 권위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사회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소속감을 가질 수 있었다. 산대의 무대 공간을 통해 구성된 조선 사회공동체의 스펙터클은 사회적 관계의 표상이자 관계의 매개로 기능하였다. The study is a thesis on the traditional theater space and its ideology and Function by the performance theory, especially on San-Dae(산대) which had been existed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삼국시대) to Joseon Dynasty(조선시대). Exactlly Speaking, San-Dae is prohibited to build by the King In-Joe but it had been built on to celebrate on the national rituals. My interest lies in the point of what its political, cultural and social functions were. To answer these questions, most of all, it is useful to use the performance theory. The performance theory is based in the notion, Performativitat, by which the performance can contain vary performance forms. Spectacle is contained in the performance forms. To add it, theater space and stage are choosen and determined by the need of the peoples, furthermore, they are to define the theater form of the times. From the point of view I can study San-Dae and its function as offical representation. The naming of San-Dae is found in some mask performance, but San-Dae was an architecture in the national rituals. It was a huge stage and made with many decorations of statue of men, animals, budda, flowers, plants and so on. There were two types San-Dae by structure. One is the mountain-shape structure, the oher thing pavillion-shape structure. San-Dae was divided by the function of movement stable San-Dae and movible San-Dae. Its variety depends on the characters of rituals. San-dae performance and the other theatrical performances were created simultaneously and they made the multi-perspective theater space., which was the character of korean traditional theater performances. The one of the its characteristic functions is the official representation of the political power of Kings. The spectacle which was made from San-Dae and its theatrical space had gathered the peoples, and they experienced the being of the political power of the king. To the date 1902 when the first indoors theater, Hyep-Yul-Sa(협률사) that offered the different theatrical experiences, San-dae had served as the showy national spectacles.

      • KCI등재

        山東半島의 新羅坊

        신형식 이화사학연구소 2003 梨花史學硏究 Vol.0 No.30

        We can find the relics of Shilla in the San-Tung peninsula so-called as the Shilla-Bang. As the remains of Shilla-Bang woe disappeared, the correct confirmation of Shilla towns were very difficult. But the preceding Scholars including prof Kim, Mun-Kyong made a discovery some places of Shilla-Bang. In the sea side of San-Tung peninsula including Yong-Sung Yu-San and Kyo-Ju regions. San-Tung peninsula had close relationship with Korean peninsula from pre-historic ages. The northern tribes named Dong-i moved from northern Siberia to eastern China. They separated two directions: eastern Chin (San-Tung Pen) and Korean peninsula. Therefore two regions had many Similarities in fields of customs, foods, and living furnitures. But as the navigation skill was insufficient in 9th century, Shilla's sailors sailed across West Sea within eye shot. Therefore they had a marked or targeted mountains including Sung-San, Jok-San, Yoo-son, Noh-San and Dae-Joo-San. So that the near places of those mountains were the dwelling zones of Shilla's sailors. The Shilla-Bang was located in the town and Shilla-Chon in the suburbs controlled by Chinese government. But the Shilla-Bang allowed residents to govern themselves under the Chinese rule. We found new Shilla-Chon in the suburbs controlled by Chinese government. But themselves under the chinese rule. We found new Shilla-Chon at the southern region of Bong-Rae named Yu-Kyok-Jang. We can find the millstones, wells salt ponds and Vessel-repairs shop in the Shilla-Bang. These facts shows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wo nations. But the definite relics of Shilla-Bang can be found in the Jang-Su and Jo-Jang provi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