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법상 신체의 자유에 관한 연구

        신희석(SHIN, Hee-Seok) 국제법평론회 2018 국제법평론 Vol.0 No.50

        The UN Working Group on Arbitrary Detention (WGAD) is a UN human rights body specializing on arbitrary deprivation of liberty, one of the most grave human-rights violations under international law. The WGAD, established in 1991 by UN Commission on Human Rights resolution 1991/42, is a UN human-rights special procedure, which prefers the non-legal, problem-solving approach to cases of human-rights violations. Thanks to the favorable political winds at the time of its creation, the WGAD adopted the quasi-judicial procedure for individual petitions, common among the human-rights treaty-monitoring bodies whose main duty is to authoritatively interpret and apply the respective treaties. The hybrid nature of the WGAD contributed to its expansive remedies for arbitrary detention and progressive development of the norms related to personal liberty. Because the WGAD renders authoritative legal opinions on the basis of established norms and procedure in response to individual communications, the WGAD has been recognized as a quasi-judicial organ not only by the international treaty-monitoring bodies but also by regional human rights courts. At the same time, unlike the treaty bodies, the WGAD’s quasi-judicial proceedings are unencumbered by the requirements for the ratification of treaties by concerned states or the exhaustion of domestic rules thanks to the flexible, non-judicial procedure employed by other UN special procedures. The only applicable condition is indeed the occurrence of arbitrary deprivation of liberty. The WGAD has expanded the doctrinal scope of personal liberty with the concept of arbitrary detention lato sensu to address the detention of political prisoners under convenient legal pretexts as well as to expand its competence, which has to be occasioned by arbitrary deprivation of liberty. Over many centuries of struggle for freedom, national constitutions universally recognize the liberty of person and require its deprivation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law to protect individuals from the whims of state power. However, the mass deprivation of liberty by Nazi Germany and its totalitarian allies under the color of law prompted the post-war international human-rights law to demand not only the legal basis but also the absence of arbitrariness. The 1948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the 1966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and the 1988 Body of Principles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under Any Form of Detention or Imprisonment as well as other international and regional instruments incorporated the prohibition of arbitrary arrest and detention. International law codified the right to be informed of the reasons for arrest and charges, judicial oversight of criminal detention, the general assumption against pre-trial detention, habeas corpus and an enforceable right to compensation for unlawful detention. While these rules may be effective in revising incompatible domestic regulations or practice, their efficacy was limited for arrest and detention of political prisoners and minorities that formally hued to the law. The WGAD’s institutional peculiarities helped it overcome the limitations posed by the existing international law, and provide more effective remedies to the victims of arbitrary detention. In general, the work of monitoring bodies may be categorized as (1) the review function to determine the compliance of states, (2) the correction function to indicate remedies or ways to prevention reoccurrence in case of violations, and (3) the creative function to provide detailed norms to be applied in particular instances. The human rights treaty-monitoring bodies and UN human rights special procedures, the two pillars of international human-rights system, began to develop from the 1960s.

      • KCI등재

        근대 한국의 자유민권 관념 ― 당시의 신문잡지의 논설분석을 중심으로 ―

        김효전 한국공법학회 2009 公法硏究 Vol.37 No.4

        이 논문은 근대 한국에서 자유와 민권의 사상은 어떻게 도입ㆍ소개되었는가를 구체적인 자료와 문헌에 의해서 실증적․체계적으로 검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시기는 1880년부터 1910년까지이며, 분석한 문헌은 독립신문, 뎨국신문, 황성신문 그리고 대한매일신보 등 당시의 대표적인 일간지의 논설과 기사를 비롯하여 법률학 교과서와 관련된 도서 그리고 각종 계몽잡지와 학술잡지에 게재된 논설들이다. 여기서 보듯이 자유와 민권의 관념은 처음에는 천부불가양의 권리라는 자연법론에서 시작하여 한일합병에 이르게 되면 이미 법률에 의해서 보장되는 법실증주의적인 관념으로 그 의미와 내용이 변질된 다. 한국인의 자유와 민권에 관한 사상의 원천과 그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추적하여 한국법학의 뿌리를 살펴보고 그 토대를 반석 위에 올려놓기로 한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attempt to analyse and examine systematically how the notion of liberty and civil right was introduced and developed in modern Korea, from 1880 to 1910. In chapter II, the development of the notion of right in East Asia, we have shown that the terms translated from the Western notion of ‘right’ appeared in China by effort of W. A. P. Martin's translation of Wheaton's International Law, published in 1864 under the title Wanguo gongfa (萬國公法). Threafter the terms spread shortly in Japan and Korea. In chapter III, the author attempt to analyse the notion of civil right, right of state, and the right of monarchy according to those days newspapers and literatures. For example, Dongnipshinmun (The Independence), Degukshinmun (Empire Newspaper), Hwangsung Shinmun (the Imperial city Newspaper), Daehan maelil shinbo (Korean Daily Newspaper) etc. In chapter IV struggle for right, the author examine how Rudolf von Jhering's famous book, “Der Kampf ums Recht,” was impacted and influenced upon modern Korea. Chapter V deals with the systematically description on the notion of liberty and civil right according to those times textbook, books and articles. Although once the notion of ‘right’ is politically closely connected to the notion of ‘power’, the term was developed into ‘civil right’, ‘human right’ and ‘fundamental right’.

      • KCI등재

        Liberty, Right, and Duty: Their Conceptual Relationship

        Kim, Dong-Il(김동일)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5 No.3

        이 글은 자유, 권리, 그리고 의무의 개념적 관계를 연구한다. 정치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인정받는 자유로부터 시작해서, 자유의 다양한 형태를 네 가지로 정리한 뒤, 그것을 거의 1세기 전에 정리된 권리의 형태와 연결 짓는다. 다음으로는 의무의 형태를 새롭게 제안한 뒤 자유 및 권리의 그것과 연결한다. 이 과정에서 만들어진 자유, 권리, 그리고 의무의 형태는 네 가지의 정치이론과도 연결된다. 자유, 권리, 그리고 의무의 개념적 관계가 보여주는 사실 중 하나는 어떠한 종류의 자유에 대한 권리도 그에 상응하는 의무의 실천이 없으면 실현될 수 없다는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liberty, right, and duty. I begin with perhap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political philosophy, liberty. Having established a set of different types of liberty by adding a fourth one, I match the set of liberties with the forms of rights that have been developed more than a century ago. Next, the forms of duties are newly suggested and made corresponding with the different kinds of liberties and rights, during which I link the four political theories in history with the concepts of liberty, right, and duty in terms of their forms. The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liberty, right, and duty suggests that no right to liberty of any kind can be realized without discharging a corresponding duty.

      • KCI등재

        자유, 재산권 및 로크의 단서

        박상수(Sang Soo Park) 한국경제발전학회 2006 經濟發展硏究 Vol.12 No.1

          본 논문은 자유와 재산권의 개념을 검토하면서, 아울러 두 개념간의 상충관계도 분석한다. 특히 로크의 단서를 중심으로 자유와 재산권 간의 상충관계를 분석하면서, 로크가 재산 사유화의 도덕적 정당성을 확보시키기 위한 그의 단서의 취지 그리고 암묵적 동의에 의해서 재산 소유의 불평등을 설명하려는 그의 취지도 검토한다.<BR>  자유권은 대체적으로 “어떤 다른 사람을 강제하거나 제약하는 것을 제외한다면 어떤 것을 할 수 있는 권리”로 정의될 수 있는데, 이런 정의는 재산권과 관련해선 한 사람의 자유권의 확대는 궁극적으로 다른 사람의 자유의 범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인간에게 자유에 관한 동등한 자연적 권리가 주어졌다는 주장이 건전하고 진실이라고 한다면, 사유화의 도덕적 정당성은 이런 주장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BR>  본 논문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로 로크는 인간 자신의 보존을 인간의 의무로 보면서, 자기 자신의 보존과 경쟁이 되지 않는다면 인간의 나머지 인류를 보존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로크의 이런 주장은 사실상 가난한 자 혹은 능력이 없는 자들의 적극적 자유를 염두에 둔 견해라고 볼 수 있다.<BR>  둘째로 “적어도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 충분하면서도 훌륭한 것이 공유로 남겨져 있는 한”이라는 로크의 단서는 자연권으로서의 생명권에 대한 존중에서 기원했으며, 로크 자신은 이런 단서가 충족되었을 때 재산 사유화의 도덕적 정당성이 확보된다고 보았다. 적어도 생명권과 재산권이 상충관계에 있을 때 로크는 생명권이 재산권보다 우선된다고 주장한다. 즉 “어느 누구도 토지 혹은 소유의 재산권에 의해서 다른 사람의 생명에 대한 정당한 권력을 결코 가질 수 없다.”<BR>  셋째로 로크는 화폐 도입 이후에 불평등한 재산소유가 현실적으로 사회의 제한을 넘어서서 등장할 수 있음을 ‘암묵적 동의’에 의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그는 여전히 그런 불평등한 재산소유가 재산규칙을 충족시키길 원한다. 재산규칙이 지켜지는 조건에서 획득된 재산에 대해선 그는 절대적 재산권을 인정하는 것 같다.(JEL : K0)   This essay attempts to consider the notion of liberty and property rights, and to analyze the conflict between liberty and property rights. Especially it tries to study the conflict between liberty and property rights in Locke"s proviso, and at the same time to analyze the implications of Locke"s proviso purporting to insure the moral justification of private appropriation and to explain the unequal ownership of property by the tacit consent.<BR>  The right to liberty may be defined as “a right to do anything except coerce or constrain someone else.” On this definition, particularly respecting the property rights, the extension of one"s freedom can give rise to the diminution of another"s. If an argument that each person is given a equal natural right to liberty is sound and true, the moral justification of private appropriation is influenced largely by this argument.<BR>  This essay has thre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Locke argues that “Every one, as he is bound to preserve himself, ..., when his own preservation comes no in competition, ought he, as much as he can, to preserve the rest of mankind.” I think this argument tries to have in mind the positive freedom of the persons who have no sufficient wealth or property.<BR>  Second, Locke"s proviso, “at least where there is enough, and as good left in common for others” originates in the respect of the right to life as a natural rights, and he thinks someone"s appropriation is morally justified when his proviso is satisfied. At least, when the right to life comes into conflict with the property rights, Locke argues the right to life takes precedence over the property rights. That is, “No man could ever have a just power over the life of another by right of property in land or possessions.”<BR>  Third, Locke explains, by the tacit consent, ‘the disproportionate and unequal possession of the earth’ which actually happens ‘out of the bounds of society’, but he still wants such unequal possessions are satisfied by the rule of property. He thinks, perhaps, possessions acquired on the condition of the rule of property has the absolute right.

      • KCI등재

        기독교인 장준하의 생애와 자유 · 민권 사상

        차현지(Cha Hyeon-Ji)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2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0 No.52

        본고는 기독교인으로서의 장준하(1918-1975)의 생애를 고찰함과 함께 그의 자유민권 사상의 특징과 변화과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독교와 밀접한 관계를 가졌던 장준하의 생애 연구를 통해 장준하에 영향을 주었던 당대 기독교적 풍토와 한국 신학사조의 변화 등을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장준하의 자유민권 사상의 고찰을 통해 시대에 따라 변화한 장준하의 자유민권 사상에 반영된 그의 가치와 정신, 그리고 기독교와의 관계를 추적할 수 있다. 장준하의 기독교 신앙은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자연스럽게 기독교 신앙을 전수받은 모태신앙적 성격을 가졌다. 장준하는 생애 초년기부터 기독교 문화에 노출되었고 일제강점기 조선의 기독교적 풍토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았는데, 청소년기 민족과 민주주의의 가치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또한 일본 도쿄신학대학교에서 수학한 후 해방 후 한신대학교를 졸업했다. 해방 이후 장준하는 도쿄신학대학교와 한신대학교의 동문들과 더불어 기독교 모임에 참석하기도 했다. 이후 언론 및 정계활동을 하면서 한국 진보 기독교계인 에큐메니칼 운동진영과 함께 정권에 대항하여 반독재 운동을 하였다. 한편 장준하는 「사상계」를 창간한 후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자유와 민권의 확보의 중요성을 논했다.「사상계」에는 에큐메니칼 운동진영의 기독교인들이 민주주의의 가치를 기독교적 시각에서 논한 글들도 실렸고, 장준하는 1950년대부터 「사상계」를 통해 각 개인이 자유와 민권의 의식 갖기를 종용했다. 국민 개개인의 자유는 누구도 훼손할 수 없으며, 집권자의 부정과 불의에 투쟁할 수 있는 권리가 국민에 있고 이러한 권리가 특권 및 관권과 대조되는 개념인 민권(民權)이라는 맥락이었다. 1960-70년대 장준하는 반독재 정치활동을 함과 동시에 자유와 민권을 찾기 위해서는 대통령과 집권여당에 대항하여야 하고, 희생으로써 자유민권을 되찾을 수 있다며 그의 자유민권론에 전투적인 성격을 부가시켰다. 또한 애국과 민족애와 자유민권 투쟁의 결속관계를 부각시킴으로써, 1950년대 그가 개인의 존엄성을 언급한 것과는 모순적으로 자유민권 투쟁을 위한 개인의 희생을 강조했다. 장준하는 자유민권을 사상을 드러낸 글들에 기독교적 서사와 구문, 또한 신학자 등 기독교인들이 남긴 어구를 메타포(metaphor)로서 다수인용하였다. 또한 기독교적 구문과 성경에서 반영되는 민주주의, 자유민권, 또한 투쟁의 정신을 수용하여 자유민권운동에 전력을 다할 것을 스스로 다짐하고, 이를 독자들에게도 독려했다. 장준하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생 시절과 광복군 활동시 주일학교를 가르치는 목회활동을 하다가, 해방 후에는 교회에 주기적으로 출석하지 않았다. 하지만 기독교 신앙을 보유한 채 기독교적 모임에 참석하며 신학교 동문들과 교류했다가 사망 직전 천주교인이었던 부인을 따라 천주교로 개종했다. 그의 자유민권 사상이 시기에 따라 변화했듯, 기독교인으로서의 그의 신앙도 변화를 거쳤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of a 20th century Korean Christian Jang Jun-Ha (장준하) and aims to analyze the peculiarities and development of his thoughts on “liberty” and “civil rights” .Through the research of life of Jang, who was greatly influenced by Christian ideas, it is possible to shed light on the situation of Contemporary Christianity in Korea and the changes in Korean theological thought. Furthermore, the study of Jang"s thoughts on freedom/liberty and civil rights reveals changes in Jang"s value system, spirit and his relations with Christianity. Jang was born into a family of a pastor. Following in his father"s footstep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ng attended Christian high schools run by missionaries. Therefore, he was accustomed to Christian faith since childhood and there he had become acquainted with the notion of ‘nation" and ‘democracy" as well. Jang graduated from Tokyo Union Theological Seminary and successfully continued his studies in Hanshin Universit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he and other alumni attended Christian gatherings. Afterwards, he worked in media and politics and joined hands with Korean ecumenical camps of the progressive Korean Christians to oppose President Park Chung-Hee"s dictatorship regime in 1960-70s. Meanwhile, since 1950s in his political magazine 「Sasangge」Chang promoted his thoughts on the importance of securing individual’s liberty and people’s rights in Korea. Sasangge also contained articles in which Christians from the ecumenical camp discussed the value of democracy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Jang strongly believed that individual’s liberty is inviolable and urged every citizen in Korea to protest against the government"s corruption and injustice. He referred to “peoples" rights(民權)” as contradistinguished from “governments" privileges”. During 1960-70s, Jang wrote a number of articles persuading readers that in order to obtain liberty and civil rights they need to oppose President Park and his government. He also highlighted the unity of patriotism, nationalism and the struggle for both liberty and people’s rights and emphasized that, in some cases, sacrifice of citizens, including himself, can be a necessary step to obtain liberal democracy values. As it appears, his understanding of ‘liberty’ and ‘civil rights" has changed since 1950s. After 1960s, he put les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sm. In his arguments about the necessity of proper securing of liberty and civil rights in Korea, Chang quoted passages from the Bible and Christian theologians. Accepting the Christian values of democracy, he resolved to devote himself to pursuing liberty and civil rights and also encouraged the readers to do the sam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in Korea Jang carried out some pastoral duties, bu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his direct involvement in the church activity has weakened. Nevertheless, he attended Christian gatherings and maintained contact with alumni from his seminaries and with Korean Christians from ecumenical camps. All his life he remained a Christian, while shortly before his death he converted to Catholicism to satisfy his wife who was a Catholic Christian. That shows us that just as his idea of liberal civil rights changed over time, so did his Christian faith.

      • KCI등재

        유럽연합의 법질서에서의 직업의 자유와 기업의 자유의 보장

        박진완(Zin-Wan Park) 유럽헌법학회 2007 유럽헌법연구 Vol.1 No.-

        Art. 15 the EUCFR/II-75 (1) CT-IGC gaurantees the freedom to choose an occupation and right to engage in work. This occupational freedom generally can be interpreted to secure the freedom to exercise an occupation or freedom to conduct business. In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and the German Baisc Law where do not contain a independent provision of the entrepreneurial freedom distinguished from the occupational freedom the leagl reason for the occupational freedom is to be inferred from one aspect of the occupational freedom or the right to property. In constrast to these both constitution Art. 16 EUCFR/II-76 CT-IGC for the first time independently guarantees the entrepreneurial freedom as its own provision. It has very special meaning in the relation between the occupational freedom and the entrepreneurial freedom in the grundrechtsinterpretation of the EU-legal order. The entrepreneurial freedom classified as the elementary principle of the law with the occupational freedom in Art. 15/II-75 and the right to property in Art. 17/II-77 bulids up an essential element of the economic constitution of the EU. The entrepreneurial freedom serves to not only the interests of the entrepreneur but also the objective principle of the free competition in the sense of the Art 4 (1) EC respectively Art 3 (2) CT-IGC. In the beginnig the occupational freedom contained in the section of the economic and social rights according to preparatory proposal of the presidency of the conven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On account of strong critique it was accepted in the section of the right to liberty so as to eliminate the charater of social right from it. Even though the EUCHR separated the entrepreneurial freedom from the occupational freedom, the ECJ understood the entrepreneurial freedom as a partial aspect of the occupational freedom. Where can be founded the leagl reason why the EUCHR prescribes the entrepreneurial freedom independent of the occupational freedom? I wil try to give the solution to this question from the two point of departure. I find the first point of departure for the solution of this question in the character of the occupational freedom as the right to liberty not the social right, because the occupational freedom as the right to liberty does not provide the right of claim for the place of employment as the basic right of performance (Leistungsgrundrecht). This character of the occupational freedom as the right to liberty can be in harmony with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entrepreneurial freedom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free market economy. The second point of departure for the solution of this question is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ntrol intensity between the freedom to choose an occupation and the freedom to exercise an occupation in judical review. The protected area of the entrepreneurial freedom which can be infringed easier than tha of the occupational freedom must be extended to the freedom to make an economic activity, the freedom to engage in business and the freedom of competition in order to give the entrepreneurial freedom in Art. 16/II-76 its own protected area independent of the occupational freedom in 15/II-75.

      • KCI등재

        선거권과 선거의무란 무엇인가?

        최성호(Choi Sungho) 한국분석철학회 2017 철학적 분석 Vol.0 No.37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는 국민을 대의할 국가기관의 형성에 국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에 의한 자기지배 혹은 자기통치라는 민주주의 이상을 구현하는 민주주의의 핵심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헌법은 국민들에게 선거권을 기본권으로 보장하는데, 선거권과 관련하여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그것이 ‘선거의무’라 불릴 수 있는, 선거와 관련된 어떤 의무를 동반한다는 생각이 비교적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선거권과 선거의무에 관한 법이론가들의 논의, 특히 의무적 선거 참여제에 관한 최근 논의에서 선거권과 선거의무 개념이 상당히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다는 반성 아래 그 개념들에 대한 한층 명료한 이해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선거권을 호펠드의 권리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그에 이어서 선거권의 법적 정당성을 검토할 것이다. 다음으로 필자는 소위 ‘선거자유의 원칙’을 살펴볼 텐데, 필자의 핵심 논점은 선거자유의 원칙에 의하여 유권자에게 부여되는 선거자유권은 선거권과 명확히 구분될 필요가 있고, 선거권과 관련한 개념적 혼란은 많은 부분 그 둘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한 데서 말미암은 바가 크다는 것이다. 한편 필자는 선거의무 개념에 대해서도 개념적 명료화를 수행할 것인데, 그 결과 광의의 선거의무와 협의의 선거의무를 구분할 수 있고 그때 선거 참여의 의무는 협의의 선거의무에 해당함을 논증할 것이다. 선거권, 선거자유권, 그리고 선거의무에 대한 필자의 이러한 개념적 분석은 그에 대한 선관위나 헌재의 입장을 한층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의무적 선거 참여제와 관련한 논란에서 논쟁점이 무엇인지 명확히 함으로써 논의의 진전을 위한 중요한 발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A free and fair election provides opportunities for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of the government that is supposed to represent their wills, which is a key element of democracy that embodies the ideal of self-government. To secure such an election, the constitution endows citizens with voting rights as fundamental rights. What is interesting about voting rights is that voting rights are widely held to come together with what may be called ‘voting duty’.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concepts of voting rights and duty in the belief that a recent debate about them, in particular the one about the constitutionality of compulsory voting, has been plagued by a misunderstanding of them. To this end, I will first analyze voting rights by means of Hohfeld’s theory of rights, and then examine justifications for them. I will then turn to what is called ‘the principle of free election’ and argue that voting rights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liberty-rights of voting, which is attributed to citizens by the principle of free election. This will be followed by the claim that much of the misunderstanding regarding voting rights is largely due to the fact that the distinction in question hasn’t been properly made and appreciated. I will then embark on clarifying the concept of voting duty, which will lead us to distinguish between voting duty in a broad sense and the duty to participate in election. This conceptual articulation of voting rights, the liberty-rights of voting, and voting duty will provide us with a conceptual tool that helps us better understand what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or Constitutional Court has said about them. What is more, it will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advancing discussions about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compulsory voting system.

      • KCI등재

        자유권-자유와 평등의 그림자

        김연미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1 No.2

        To deny natural rights means that all rights are positive and legal rights. Why does natural rights reflect on the background of freedom(liberty) and equality? The reason is dependent on the history of rights theory. Natural rights that H.L.A. Hart defined, is “the equal right of all men to be free”. The Conception of freedom have generally been classified as being negative, positive or republican. Hobbes’s natural rights characterized by the right to negative freedom as non-interference is known to modern negative freedom theory. A third republican conception is the conception of freedom as non-domination. This paper regards the third republican freedom on the background of freedom and equality as the sound natural rights. I have tried to reason the ideal of liberty and equality in the natural right which has non-protection by concealment , through the “counter-control” paradigm in the P.Pettit’s republicanism. 자연권을 거부한다는 것은 모든 권리가 실증적 권리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왜 자연권이 자유와 평등의 이름으로, 혹은 그 배경 속에서 찾아지는가? 그것은 권리이론의 역사와 무관하지 않다. 하트가 정의한 자연권은 “모든 사람들이 자유로울 평등권”(the equal right of all men to be free)이다. 하트에 따르면 자연권은 간섭/지배/침해를 받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로부터 확보된다. 자연권은 다른 사람의 자의적인 행위에 의해서 만들어진 권리가 아니다. 근대의 홉스적 자연권은 불간섭(non-interference)의 자유라는 소극적 자유론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다. 자유의 개념은 이사야 벌린의 적극적/소극적 자유개념이라는 구분을 넘어서 ‘비지배의 자유’라는 제3의 공화주의적 자유개념까지 발전되고 있다. 이 글은 지배의 부재상태 즉 비지배(non-domination)라는 페팃의 공화주의적 자유개념을 통해 자유와 평등의 배경을 가진 자연권을 사유한다. 자유와 평등의 자연권은 특히 페팃의 역통제의 패러다임을 통해 논증하고자 하였다. 자연권을 비지배라고 사유하는 공화주의적 관념에 따를 때, 자연권이 가지는 은폐성을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 KCI등재

        자유지상주의의 인권과 정의에 대한 시론

        김대근 한국법철학회 2011 법철학연구 Vol.14 No.3

        This research tries to show that arguments of 'absoluteness of individual rights' and 'justification of a state' in libertarianism have some historical implications and will be advanced forward dialectically with all their own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s Most of all, are individual rights' absolute? The state of freedom is, in libertarianism, defined by that condition of men in which coersion of some by others is reduced as much as is possible in society. However this kind of negative concept of liberty has a difficulty in actual protection of individual. It is said that rights embodies individual liberty thus accomplishes one's arguments, so it need to a mechanism-a state- to protect such an absolute rights. It is alleged, in the perspective of libertarianism, as the role and function of state is skeptical, so that of human rights and social justice is negative. But discourse of human rights and social justice in libertarianism has some practical aspects in historical, epistemological and social engineering way. Especially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uman rights and social justice in libertarianism. The arguments of libertarianism has emphasized the priority of individual rights from continual intervention by state and the autonomy of person, and is expected to do so in the future. This thesis can be explained by dialectical movement of liberty such as <Anfang-Fortgang-Ende>. Negative liberty as a first step has a conflict because it sticks to a process of liberty. Thus it needs both to focus on actual opportunity to achieve a thing considered as valuable and to put an emphasis on freedom to achieve. Sen's capability approach is very practical way to restore the implication of libertarian argument and to develop actual liberty of human. 본 연구는 자유지상주의 핵심주장인 ‘개인적 권리의 절대성’과 ‘국가의 정당화’라는 테제를 통해, 이와 같은 자유지상주의의 테제가 내적 한계와 모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역사적 의의를 갖고 있으며 또한 앞으로도 변증법적인 전개를 통해 발전되어갈 것임을 논증하려는 시도이다. 먼저 개인의 권리는 절대적일까? 자유지상주의에서는 자유를 외부의 강제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소극적 자유의 개념은 개인을 실질적으로 보호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 권리라는 것은 개인의 자유가 구체화되어서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게 주장하여 관철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기 때문에, 절대적 권리라는 것은 그러한 권리를 보호라 매커니즘을 필요로 할 수 밖에 없다. 이처럼 개인적 권리의 절대성을 인정하다보면 국가라는 존재를 인정할 수 밖에 없다. 다만 자유지상주의에서는 국가의 존재와 역할에 회의적이기 때문에 인권과 정의에 대해서도 소극적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자유지상주의적 인권담론과 정의담론도 역사적으로 또 인식론적으로 실천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사회공학에 기여하는 바도 크다. 특히 이 글에서는 자유지상주의적 인권과 정의 담론의 역사적 실천성에 주목한다. 자유지상주의의 담론들은 국가의 끊임없는 개입으로부터 개인적 권리의 우선성을 내세우며 개인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역사적인 역할을 해왔고 또 앞으로도 그러하리라고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직접성-매개성-직접성의 회복>이라는 자유 개념의 변증적 발전과 전개를 통해서 설명이 가능하다. 직접성의 대상으로서 소극적 자유는 자유의 과정에만 집착하는 모순이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성취할 수 있는 실질적 ‘기회’에 주목하면서 ‘성취할 수 있는 자유(freedom to achieve)’를 강조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게 되는데, 여기서 센(Sen)의 역량개념이 실천성을 갖는다. 역량 접근을 통해, 자유지상주의적 자유개념의 직접성이 회복되면서 인간의 실질적 자유가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1900년대 한국 언론의 ‘자유’ 이해와 용법

        김종준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8

        이 글은 1900년대 한국에서 발간된 신문, 학회지 등의 자료에서 ‘자유’ 개념이 어떻게 이해되고 사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 시기는 독립협회의 지적 유산이 잔존한 가운데, 막강한 황제권과 외세의 압박에 맞서 변용의 길을 걸어간 때이기도 했다. 이 글은 두 가지 전제를 가지고 쓰여졌다. 첫째, 개념사적 방법론을 차용하였다. 즉, 단어, 이념, 사상이 아니라 개념으로서 ‘자유’를 본 것인데, 이는 1차적으로 그 말이 사용되는 맥락을 심도있게 살펴본다는 뜻이다. ‘자유’는 개념사 연구 대상으로도 적절한데, 번역어이면서 서구나 동양 사회가 원래 가지고 있던 다의성 등을 고려하면 더욱 그러하다. 둘째, 이 시기 계몽사상과 계몽운동에 관해 새로운 인식 및 내러티브를 보여준 연구들에 기반하였다. ‘근대계몽’과 ‘국수론’의 이질성을 무시하고 ‘근대민족주의의 성립’이라는 당위론적 시각에서 접근하던 연구사들을 극복하려고 했다. 그래서 민권 운동을 주도하던 일진회의 ‘자유’ 용법을 함께 검토하였다. 당대 언론에서 강조한 자유는 대체로 소극적 자유, 약자의 자유, 집단의 자유였다. 또한 ‘독립’과 ‘평등’이라는 단어를 연계시켰는데, 결국 ‘정의’ 곧 ‘올바름’의 문제가 중요했던 것이다. 애초 정부, 관리, 유세자들에 맞서 생명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인민들의 소극적 자유였다. 사회의 발달에 따라 이는 점차 적극적·개인적 자유로 변모되어 갈 수 있었다. 그러나 강력한 외세가 등장하고 친일 세력 역시 문명과 자유를 내세우는 상황에서, 한국의 계몽지식인들은 약자인 집단, 민족, 국민의 자유에 주목하게 되었다. 즉, 1900년대 한국에서는 집단으로서의 약자를 보호하는 자유가 ‘올바르다’는 담론이 여론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강자의 자유가 결과적 정당성을 얻게 되는 역사적 경험도 하게 된다. 이후로도 ‘올바른 자유에 대한 이상’과 ‘강자의 자유에 대한 선망’ 사이의 부조리한 동거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concept of “liberty” was understood and used in newspapers and journals that were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1900s. This period was also a time period during which Koreans walked a path of transformation against the pressures of a powerful emperor and foreign powers while the intellectual inheritance of the independent association remained. This article is based on two premises. First, the author borrowed from conceptual historical methodology. In other words, the author did not view “liberty” as a word, ideology, or idea, but rather as a concept, which involves looking in-depth at the context in which the word was used. The study of “liberty” is also appropriate as a subject of conceptual research, especially considering the ambiguity of the original languages of Western and Asian societies. Second, this article was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at reveal a new awareness and narrative regarding the Enlightenment and Enlightenment thought. The author of this article attempted to overcome the research that has approached this subject from the viewpoint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nationalism.” As a result, the author examined the use of the Ilchinhoe’s sense of “liberty,” which led to the civilrights movement. The sense of “liberty” that was emphasized by the Korean media was largely passive, weak, and group-focused. It also linked the words “independence” and “equality,” and, in the end, the issues of “justice” and “rightness” became significant. The people’s passive liberty was necessary to protect their living property against the government, the administration, and the contestants.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is interpretation of “liberty” was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positive and personal sense of freedom.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a strong foreign state and pro- Japanese forces, which also demonstrated civilization and liberty,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of Korea became aware of the weakness of their group, nation, and people. In other words, the discourse of “rightness” to protect the weak as a group led Korean public opinion during the 1900s.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is also a historical experience in which the liberty of the strong will eventually gain legitimacy. Since then, it can be said that the absurd coexistence between an “ideal of liberty” and an “envy of stronger liberty” has contin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