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의적립금의 적립목적과가치관련성의 관계

        전영순 한국공인회계사회 2019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1 No.4

        Net income is closed to unappropriated retained earnings at the end of fiscal years and then unappropriated retained earnings is distributed to the shareholders in the form of dividends. Another way to appropriate retained earnings is to internally reserve for specific purposes, such as expansion of business, research and development, marketing, and so on. Hence, the purposes for which retained earnings are appropriated are likely to reveal the managers’ intention as to how they will use retained earnings in the future. In practice, appropriated retained earning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 purposes of appropriations: retained earnings appropriated for firm growth (GROWTH REA), retained earnings appropriated against business loss (LOSS REA), and retained earnings appropriated for unclear purposes (NEUTRAL REA). GROWTH REA include retained earnings appropriated for growth or expansion of the firm, such as foreign market development, R&D, or business expansion. LOSS REA include retained earnings appropriated for losses arising in the ordinary course of business.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firm value is determined by cash flows from assets in place and growth options and that firm value increases with growth options of the firm. This indicates that if retained earnings appropriations reflect management’s strategic plans as to how to use retained earnings, the purposes for which retained earnings are appropriated are likely to have different value relevance. GROWTH REA displaying the firm’s plan for future growth are likely to have higher value relevance than LOSS REA or NEUTRAL REA. Thu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value relevance of REA differs across the purposes of appropriations. Furthermore, growth opportunities of firms are likely to affect value relevance of GROWTH REA.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managers of firms with excess cash flows have incentives to invest in less profitable investment projects. This indicates that excessive GROWTH REA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firm value in the absence of profitable investment opportunities. Thus, value relevance of GROWTH REA is likely to decline when the firm’s growth opportunities are low. Prior research also suggests that firms tend to rely on internal finance when they have difficulties in external finance. Thus, value relevance of GROWTH REA is likely to increase when firms have financial constraints. Moreover, the literature shows that independent investors with high stakes have incentives to monitor management. This suggests that managers may be more cautious not to overly reserve GROWTH REA when firms have independent investors with high stakes. In this case, GROWTH REA are likely to reflect more realistic investment plans, which in turn leads to higher value relevance of GROWTH REA.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value relevance of GROWTH REA decreases when firms have low growth opportunities and increases when firms have constraints in external finance and when firms have independent investors with high stakes. The results reveal that firms properly appropriate retained earnings in line with the intended purposes, indicating that appropriated retained earnings reflect managers’ strategic plans for the future. The coefficient of GROWTH REA is significantly positive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EUTRAL REA, indicating that value relevance of GROWTH REA is higher than that of NEUTRAL REA. In contrast, the LOSS REA coefficient is insignificant. Value relevance of GROWTH REA decreases when firms have lower growth opportunities. For the KOSPI market, value relevance of GROWTH REA declines when firms have difficulties in external finance and increases when firms have institutional investors with high stak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nvestigating value relevance of appropriated retained earnings. 기업은 이익이 발생하면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배분하는 대신 특정 목적에 사용하기 위해 임의적립금으로 적립하여 사내에 유보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적립금의 적립은 기업이 이익을 미래에 어떤 목적으로 사용할지에 대한 의사표시라고 할 수 있다. 임의적립금은 적립목적에 따라 크게 기업의 성장이나 확장을 위해 적립하는 성장목적적립금과 미래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손실에 대비하여 적립하는 손실대비적립금 및 적립목적이 불분명한 기타임의적립금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적립목적에 따라 임의적립금의 가치관련성이 다른지를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성장목적적립금은 기업가치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이는데 이는 성장목적적립금이 클수록 기업가치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반면, 손실대비적립금은 일반적으로 기업가치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성장목적적립금의 계수는 기타임의적립금의 계수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기업 성장을 위한 목적으로 적립금을 적립하는 경우 적립목적이 불분명한 적립금보다 가치관련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성장목적적립금의 가치관련성은 기업의 성장가능성이 낮으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성장목적적립금의 가치관련성은 재무적 제약이 있으면 감소하고 외국인 투자지분율이 높으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가 코스닥시장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임의적립금의 적립목적이 기업가치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개인소득세가 존재할 경우에 Auerbach의 q에 의한 투자결정의 기준

        구본열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5

        An issue related to the firm financial decision is the proper criterion for new investment. Tobin (1969) has argued that firm will have an incentive to invest when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is greater than the reproduction cost of the capital. This implies that . Personal income taxes affect the after-tax return to equity financing. Two taxes are relevant, namely the dividend income tax, the capital gain tax. Under personal income taxes, Auerbach (1979) and Armitage (2005) has suggested that, even though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is less than the reproduction cost of the capital, that is , firm has an incentive to invest for new investment if the investment source is retained earnings. They argued that the cost of equity is less if the investment source is retained earnings than if the source is new issues assuming that the dividend income is more than the capital gain tax. In this paper, under a world of certainty, we explore once more the determination of firm equity policy and investment on the basis of Auerbach (1979) and Armitage (2005). For this purpose, first, we try to derive the cost of equity for new issues and the cost of equity for retained earnings using the constant growth dividend discount model on the basis of Auerbach (1983). Using this model, given that the proportion of profits is retained, we derive the cost of equity for new issues before personal tax, . Also, the cost of equity for retained earnings before personal tax, is derived by letting . From this, we find the cost of equity is affected by the capital gain tax rate but not the dividend income tax. Second, using the cost of capital for retained earnings before personal tax with no arbitrage condition, we derive the Auerbach’s which is, . The fact that the Auerbach’s is less than 1 means that the market value of the firm is less than the replacement value of its assets. Also, if , there will be no retention. Shareholder wealth is greater if all profits is paid as dividend. If , investment from retention is preferred compared with paying out dividend. If , both investment from retention and investment from new issues are worthwhile. Third, we try to link this cost of equity to ratio. That is, a change in ratio implies a change in the cost of equity; if is going to fall next period, there will be a capital loss on shares, and the new cost of equity exceeds the original cost of capital for retained earnings under equilibrium condition. In addition, with , we derive the cost of capital for new issues in single period, , which is the same as Auerbach (1983), for proving that this cost of equity is also exceeds the cost of capital for retained earnings. Finally, we analyse how the market value may fall below reproduction cost of capital in a economy. By this analysis, we conclude that if , firm will not issue new shares to finance investment. But, they will reinvest all of their retained earnings in new capital. 기업의 재무정책과 관련된 이슈는 새로운 투자에 대한 합당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다. 토빈(1969)은 주식의 시장가치가 실물자본의 재생산비용보다 클 경우만이 기업은 투자할 유인을 가진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는 토빈의 q가 1보다 큼을 의미한다. 그러나 Auerbach(1979)와 Armitage(2005)는 개인소득세가 존재하여 배당 소득세가 자본이득세보다 크고 투자자금의 원천이 유보이익이라면 토빈의 q가 1보다 작다고 하더라도 투자할 유인이 생긴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확실성하에서 개인소득세가 존재할 경우에 기업의 재무정책과 관련된 투자결정의 기준으로 Auerbach(1979)와 Armitage(2005)에 의한 Auerbach의 q의 산출과정에 대하여 살펴 보고 이들의 연구를 보다 재무론적인 관점에서 심도있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Auerbach (1983)에 기초한 항상성장 배당평가 모형에 의거하여 신주발행시의 자본비용과 유보이익의 자본비용을 유도 하였다. 그리고 만약 q가 하락한다면 자본비용이 상승함을 증명함으로서 기업의 자본비용과 Auerbach의 q와는 서로 음(-)의 관련성이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개인소득세가 존재할 경우에 새로운 투자에 대한 유보이익의 투자기준은 이 됨을 보이고 이를 토대로 기업의 재무정책에 대한 투자결정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적자보고 회계이익과 결손금의 가치관련성

        박원(Park Won),허익구(Heo Ik-Gu) 한국국제회계학회 2010 국제회계연구 Vol.0 No.29

        본 연구는 적자보고 기업의 회계이익과 누적된 회계이익의 결과인 이익잉여금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최근 이 분야 선행연구 결과인 청산옵션 가설과 달리, 적자보고 회계이익은 기업가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McCallig(2003), Darrough and Ye(2007)는 회계처리의 보수성향으로 적자보고 회계이익이 미래 회계이익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자보고 회계이익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장기적인 투자전략 기업의 경우 지속적인 손실을 보고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익잉여금이 결손금인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으로 구분하여 적자보고 회계이익의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외환위기 이후회계처리의 보수성이 강화되었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적자보고 회계이익과 이익잉여금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만약 외환위기 이후가 회계처리의 보수성을 강화시켰다면, 적자보고 기업의 회계이익, 이익잉여금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외환위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Ohlson(1995) 모형을 일부 변형하여 적자보고 회계이익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자보고 기업의 회계이익 혹은 이익잉여금과 기업가치는 유의적인 부(-)의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적인 적자보고를 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적자보고 회계이익과 이익잉여금이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간 투자로 인한 지속적인 적자보고 기업의 경우 미래 이익 증가의 가능성으로 투자자들이 적자보고 회계이익 규모에 대해 미래 이익을 낙관적으로 전망한다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셋째, 외환위기 이전에는 적자보고 회계이익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는 적자보고 회계이익이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환위기 이후 회계처리 보수성향이 강화되었다는 간접적인 증거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at current and past losses are associated with firm value. Recurrently, at this literature prior researches, losses negatively impact firm value. MacCalling(2003), Darrough and Ye(2007) suggest that these results are due to accounting conservatism of revenue investments. These conservative accounting treatments are decreased past and current earnings and increased future earnings. Therefore, there accounting rules negatively impact losses valuation. We investigate association between negative earnings and prices. Also, we examine that negative retained earnings impact losses valuation. Loss making firms with negative retained earnings result in long run revenue investments. Finally,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nancial crisis on loss valuation. To test this hypothesis, we construct regression models using Ohlson(1995), McCallig(2003). The sample consists of 1,331 non-banking reporting losses of firm-year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with the December fiscal year-end over 1987-2008. Empirical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Losses negatively impact the prices and negative retained earnings negatively impact the losses valuation. Finally, financial crisis effects loss valuation.

      • KCI등재

        이익잉여금처분가능액과 경영자의 회계선택

        김경민 ( Kyung Min Kim ),서정욱 ( Jeong Wook Seo ),조범석 ( Bueom Seok Jo ) 한국회계학회 2006 회계저널 Vol.15 No.특별

        본 연구는 이익잉여금처분가능액을 조절하기 위하여 보고이익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경영자는 재량적 회계선택의 유인을 가지며, 이러한 경영자의 회계선택유인은 이익잉여금처분기업과 결손금처리기업 간에 상이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것을 실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 가지의 가설을 추정하고 이를 실증하였다. 가설 1은 재량발생과 Ω[=이익잉여금처분가능액(또는 처분전결손금) - 당기순이익(또는 순손실)]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할 것이다. 가설 2는 재량발생과 Ω간의 상관관계는 이익잉여금처분기업과 결손금처리기업 간에 상이할 것이다. 이상의 가설을 실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94년부터 2003년까지 10년 동안 560개의 상장제조기업을 표본기업으로 선정하였다. 가설 검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재량발생의 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비재량이익, 기업규모, 및 산업더미변수를 회귀식에 추가하였다. 실증결과 가설 1과 2와 일관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특히 결손금처리기업의 경우 보고이익을 감소시키는 방향의 회계선택을 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익잉여금처분가능액을 대상으로 한 경영자의 회계선택유인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한 점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the level of total disposable amount of retained earnings affects the managerial accounting choice. In this study, The ``Ω`` is indicates that the total disposable amount of retained earnings less net income (loss). We find the ``Ω``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iscretionary accruals (Hypothesis 1) and the association between ``Ω`` and discretionary accruals is discriminated deficit firms from firm having the disposable amount of retained earnings (Hypothesis 2). In this results, the deficit firms decreased reported earnings. The hypotheses are tested by using a sample of 560 manufacturing firms listed in the Korean Stock Exchanges from the year of 1994 to the year of 2003. further test this hypothesis, the regression analysis considered non-discretionary earnings, size, and industry as control variables. The empirical result implies that earnings are used to achieve the target level of total disposable amount of retained earnings by the manager.

      • KCI등재

        미환류소득 결정요소가 유보이익에 미치는 영향

        권영도(Kwon Young-do)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70

        이 연구는 기업소득환류세제의 도입 취지가 타당성을 갖는가를 검토하고 있다. 기업소득환류세가 도입된 배경에는 유보이익이 많은 대기업이 임금, 배당, 그리고 투자를 하지 않는다는 비판적 여론이 있다. 기업소득환류세제는 기업의 소득을 가계로 환류하기 위해서 투자, 임금 증가, 그리고 배당 지급에 소극적인 기업에 세금을 추가로 부과하는 구조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소득환류세의 기초가 되는 미환류소득의 결정요소가 유보이익에 미친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금배당누계액과 유보이익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었다. 이것의 의미는 현재 유보이익 많은 기업은 과거에 현금배당을 많이 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투자변수는 유보이익에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었다. 이것은 유보이익이 많은 기업이 과거에 투자를 적게 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임금변수와 유보이익의 관계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보이익이 많은 기업이 배당과 임금 증가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은 근거가 없고, 투자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은 근거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업의 투자활성화 관점에서 볼 때, 기업소득환류세제는 한시적용 후 폐지하고 투자세액공제를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intent of the reflux tax on corporate income has validity. The reflux tax policy has standpoints on big companies, which have been criticized for huge retained earings that can otherwise be used to increase salaries, dividends and investments. The reflux tax policy is to impose additional taxes on companies passive in investing, raising wages, and paying dividends in order to distribute corporate income to househo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empirical evidences of the effect of the ‘undistributed income’ determinants on retained earning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relation between the retained earnings(RE) and the cumulative cash dividend is significantly positive, which means the company having higher retained earnings paid cash dividend more. Second, the relation between RE and the investment variable is significantly negative, which means that the company having higher RE invested less. Third, the relation between RE and the wage variable is not significant. The findings mean that the criticism for being passive in raising wages and paying dividends by big companies having huge RE is not valid, but the criticism for passive in investing is valid.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provide incentives for companies’ investment, it may be reasonable to discontinue the application of the reflux tax on corporate income after the temporal application periods, and to use investment tax credits.

      • KCI등재

        상법상 배당가능이익의 계산과 공시의 개선

        신현걸 한국상업교육학회 2022 상업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는 상법상 배당가능이익을 계산할 때 선행연구에서 지적하지 않았던 자본조정 항목의 공 제 여부를 논의하고, 상법상 배당가능이익과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상 배당가능이익의 계산 과정을 비교하여 양자의 차이가 주로 어느 항목으로부터 비롯되는지 설명하였다. 그리고 상장기업의 재무 제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실태 분석을 통해서 실무에서 상법상 배당가능이익이 다양하게 계산될 수 있으며, 상법상 배당가능이익과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상 배당가능이익의 주요 차이가 어느 항목 으로부터 비롯된 것인지 확인하였다. 실태 분석 결과, 배당가능이익 계산과 관련된 상법 규정이 불명확하여 다양한 배당가능이익이 계 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법상 배당가능이익과 이잉여금처분계산서상 배당가능이익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이용하여 기업의 배당 능력을 평가하려는 외부정보이 용자의 의사결정이 잘못될 수도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배당가능이익을 계산할 때 자본조정 항목의 공제를 포함하고, 공제하는 미실현이 익은 세후 금액임을 명확하게 규정하도록 상법을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공시하는 대신 상법상 배당가능이익(계산 근거 포함)과 배당예정액을 재무제표 주석으로 공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무에서 기업들이 배당가능이익을 계산할 때 혼란을 줄일 수 있고 기업의 배당 능력을 평가하려는 외부정보이용자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s whether capital adjustment items that have not been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are deducted when calculating distributable income under the Commercial Act, and compares the calculation process of distributable income under the Commercial Act and that under the statement of appropriation of retained earnings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is study confirm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distributable income under the Commercial Act and that under the statement of appropriation of retained earnings based on the analysis using the financial statements of listed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 find out that various distributable income can be calculated since the provisions of the Commercial act related the calculation of the distributable income are unclear. In addition, decision making of external users who try to evaluate the companies’ dividend ability by using the statement of appropriation of retained earnings could be misled due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stributable income under the Commercial Act and that under the statement of appropriation of retained earn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ommercial act to include the deduction of capital adjustment items and to clearly stipulate the after tax amount of unrealized profit to be deducted when calculation distributable income. Also it proposed to disclose the distributable income (including the basis for calculation) and the expected dividend under the Commercial Act in the notes of the financial statements.

      • KCI등재

        [SeminnorⅠ 발표논문] 소득의 역외유보를 통한 조세회피의 법적 구조

        白濟欽(Je Heum Baik) 한국세법학회 2005 조세법연구 Vol.11 No.2

        소득의 역외유보를 통한 조세회피의 기법과 그 과세상의 혜택이 존재한다. 내국법인은 해외시장에 진출하면서 기업집단으로서의 조세부담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는다. 내국법인은 조세피난처에 외국자회사를 설립하여 그곳에 소득을 유보함으로써 과세이연, 소득의 종류, 원천지 및 과세시기의 조작을 통한 다양한 과세상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러한 조세피난처의 이용현상은 조세회피의 하나로서 전 세계적으로 그 증가속도가 현저하다. 소득의 역외유보를 통한 조세회피를 위해서는 외국자회사, 조세피난처 및 역외유보소득의 존재가 필요하다. 외국자회사는 그 주주와는 구별되는 별도의 과세주체이므로 그곳에 유보된 소득이 내국주주에게 배당될 때까지 내국주주의 거주지국으로부터의 과세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외국자회사에 유보된 소득이 그 거주지국에서 무겁게 과세가 되면 소득유보의 실익이 없으므로 외국자회사에 대하여 무과세나 경과세를 하는 조세피난처가 있어야 한다. 또한 조세회피의 결과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외국자회사의 유보소득이 있어야 하는데, 외국자회사의 유보소득은 그 소득가득형태에 따라 능동적 소득ㆍ수동적 소득ㆍ중간적 소득으로 구분된다. 소득의 역외유보를 통한 조세회피의 혜택과 기본구조를 이해하면 이러한 조세회피에 대한 적절한 규제제도를 마련할 수 있다. 조세피난처의 외국자회사의 법인격을 부인하거나 그 외국자회사를 내국법인으로 보는 방식에 의하여 그 주주에 대하여 과세하는 방법이 있고, 보다 정치하게는 조세피난처의 외국자회사의 유보소득 중 수동적 소득과 중간적 소득을 대주주의 배당소득으로 간주하여 과세하는 피지배외국법인 세제를 적용하는 방식을 택할 수 있다. There exist various tax avoidance techniques for the deferral of overseas income and the benefits for such deferral. Domestic companies try to lower the tax burden as a corporate group while making inroads to overseas market. Domestic companies utilize a foreign subsidiary in a tax haven jurisdiction for the purpose of keeping overseas income there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deferral of income along with the ability to manipulate the type, source or timing of income. This kind of use of tax haven, one of the tax avoidance techniques, is rapidly increasing worldwide. To make such tax avoidance mechanism possible, foreign subsidiary, tax haven and overseas income are necessary elements. Since the foreign subsidiary is an independent taxpayer distinguishable from its shareholder, it plays an role to prevent the tax authority of shareholder's country from taxing overseas profits until the foreign subsidiary distributes overseas income to the shareholder. If the overseas income earned by foreign subsidiary is taxed heavily in the country where the foreign subsidiary is located, there would be no benefit for keeping the overseas income at the level of foreign subsidiary, therefore, we need tax havens where foreign subsidiaries are not taxed or lightly taxed. The overseas income earned by the foreign subsidiary can be classified as active income, passive income or foreign base company income depending upon how the income is earned. With the understanding of benefits and basic structure of tax avoidance techniques using tax havens, we can make appropriate system to regulate such tax avoidance. By way of denying the corporate form of a foreign subsidiary or deeming the foreign subsidiary as a domestic company, the domestic tax authority can tax its shareholder on the income of foreign subsidiary. More finely, the tax authority can apply CFC regime where it can tax its shareholders on passive income or foreign base company income earned by the foreign subsidiary by treating such income as if it is distributed to its major shareholders.

      • KCI등재

        K-IFRS 제1115호 도입으로 인한 기초 이익잉여금 조정액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공경태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0 지역산업연구 Vol.43 No.2

        This study has the purpose that K-IFRS 1115 requires 5 steps to be recognized revenue ofwhich are identifying the contract, identifying performance obligations, determining the transactionprice, allocating the transaction price of performance obligations and recognition after satisfyingperformance obligation. To settle differences of revenue recognition between K-IFRS 1115 andK-IFRS 1018,, Korean companies adjusted retained earnings at the beginning of 2018. This studyexamines the incremental value-relevance of adjustments from the retained earnings. As a result ofthe research, the adjustments have negative value-relevance over only unscaled price model implyingless value relevance of K=IFRS 1115 than K-IFRS 1018 본 연구는 수익인식에 대한 기준서 K-IFRS 제1115호가 2018년 초부터 도입되면서, 수익을인식하기 위해서는 수익인식의 5단계(1단계: 계약의 식별, 2단계: 수행의무 식별, 3단계: 거래가격 산정, 4단계: 거래가격배분, 5단계: 수익인식)를 적용해야 한다. 국제회계기준에 근거하여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은, K-IFRS 제1105호를 2018년 1월 1일 이후 시작되는회계연도부터 적용하되 경과 규정에 따라 2018년 1월 1일 현재 완료되지 않은 계약에만 동 기준서를 소급적용 할 수 있다. 미 완료계약에 대하여 동 기준서의 최초 적용에 따른 수익인식 시점차이로 인한 누적 효과는 최초적용일이 포함되는 회계연도의 이익잉여금 기초 잔액을 조정한다. 본 연구는 K-IFRS 제1105호의 최초 도입으로 인한 기초이익잉여금의 조정액이 증분적 가치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기초이익잉여금 조정액은 가치관련성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K-IFRS 제1115호에 대하여 가치관련성 측면의 최초 연구로서 기초이익잉여금의 조정액을 대용치로 이용하여 분석한다는 점에서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과거 수익인식 기준서 K-IFRS 제1018호를 대체하는 K-IFRS 제1115호에 근거한 수익인식의 변동분에 대한 가치관련성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함으로서 신기준서 유용성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기업의 자사주 취득과 외국인투자자의 적대적 인수 가능성

        김동순 ( Dong Soon Kim ),전호진 ( Ho Jin Jeon ) 국제지역학회 2006 국제지역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최근 몇 년간 국내기업에 대한 외국인투자자의 지분율이 상승하고, 국내기업의 자사주 취득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두 가지 현상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실증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외국인투자자에 의한 적대적 인수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유가증권시장뿐만 아니라 코스닥시장에서도 외국인 지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자사주 취득을 늘리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둘째, 유가증권기업의 경우 전년도 이익잉여금이나 이익잉여금의 변화가 큰 경우 배당수익률이 더 높은 반면, 코스닥시장에서는 외국인 지분율이 보다 증가하는 경우 배당수익률도 더 높음으로써 외국인투자자에 의한 배당 압력 등 주주행동주의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셋째, 자사주 취득의 주요 목적인 주가안정은 유가증권시장 기업의 경우 유의한 반면, 코스닥시장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기업이 기업규모도 크며 PER도 높고 이익잉여금 수준이 높았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외국인투자자들은 투자와 배당을 위한 내부자금이 많은 대기업에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국인 지분율이 증가한 기업은 배당수익률도 증가하지만 이익잉여금도 증가하고 투자도 증가하는 긍정적인 측면도 나타났다. 정보비대칭성이 상대적으로 큰 코스닥 소기업들은 자사주 취득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더욱이 자사주 취득 비율이 높은 경우 이익잉여금 수준도 낮고, 일부 기업들은 순이익이 감소하거나 이익잉여금이 음(-)인 데도 불구하고 배당을 늘림으로써 미래 성장잠재력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This paper empirically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firm`s share repurchases and increases in foreign investor`s equity ownership in Korean firms. We found the following interesting results. First, we can conjecture that foreign investors may attempt hostile takeovers for some Korean firms listed on both Stock Market Division and Kosdaq Market Division of The Korea Exchange. In this regard, we found that Korean firms with higher foreign ownership tend to repurchase more shares. Second, Stock Market Division firms pay dividends commensurate with their retained earnings. In the meantime, Kosdaq firms with higher foreign ownership pay more dividends, so that foreign investors may exert shareholder activism. Third, by repurchasing shares, Stock Market Division firms achieved stock price stability,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share repurchases, but Kosdaq firms did not. In addition, Stock Market Division firms with higher foreign ownership are larger, and have higher PERs and retained earnings levels. In the Kosdaq Market Division, foreign shareholders invest in large firms with more internal funds for capital expenditures and dividends. However, smaller Kosdaq firms with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s repurchased more shares.

      • KCI등재

        노동소득분배율과 가구소득 불평등 관계

        이병희 ( Byung-hee Lee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6 산업노동연구 Vol.22 No.2

        소득 불평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계층간 분배뿐만 아니라 생산요소간 분배를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노동소득분배율과 가구소득 불평등 간 관계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환위기 이후 국민소득에서 노동이 차지하는 몫이 크게 감소하였지만, 가구조사에서는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 추세가 나타나지 않는다. 재산소득 포착률이 낮은 가구조사의 한계와 가계로 환류되지 않는 기업저축 증가가 함께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노동소득분배율 하락, 기업저축의 증가, 상위 10% 소득점유율의 증가가 동시에 나타났다. 2000년대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노동소득분배율 하락에 비해 기업저축 비율이 더 크게 늘어났으며, 기업저축 증가에 비해 상위계층의 소득점유율이 더 크게 증가하였다. 셋째, 가구조사를 이용한 다양한 요인분해 결과는 노동소득분배율 증가가 소득 불평등의 개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소득 불평등을 억제하기 위해 생산요소간 일차적인 분배를 함께 개선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labor share of national income has been falling in Korea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However household surveys do not show this trend due to both the limitation of surveys and increse in the companies’ retained earnings. This paper finds that Korea has been experiencing the increase in both companies’ retained earnings and share of top incomes. Moreover, the empirical result using couner-factual similation method reveals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labor income share and income inequality. They implies that the factor shares needs to be improved to curb ine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