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정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6 children aged 5 years from G cit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was examined. Next,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other word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hildren’s daily stress and resilience, a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resili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aily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children's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more practical studies on the reduction of daily stress and improvement of resilience are continuously needed to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silience of children. 목적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G시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5세 유아 22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먼저 상관분석을 통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 및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매개회귀분석을 통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및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 및 회복탄력성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유아의일상적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간에 상관관계가 있고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회복탄력성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회복탄력성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결론 결론적으로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 및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하여 일상적 스트레스의 감소 및 회복탄력성의 발달 실제에 관한보다 실질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ㆍ스트레스ㆍ회복탄력성의 관계

        정성란(Seong-Ran Jeong) K교육연구학회 2024 사회과학리뷰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만족도ㆍ스트레스ㆍ회복탄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스트레스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K대학 재학생 221명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ㆍ스트레스ㆍ회복탄력성 검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스트레스는 부적 상관을 보였는데, 특히 학업스트레스ㆍ장래문제스트레스와 부적 상관이 높았다.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서 특히 회복탄력성의 긍정성과 스트레스의 부적 상관이 높았다.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회복탄력성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의 대인관계능력이 전공만족도와 정적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와 스트레스 두 요인 모두인데,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회복탄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와 스트레스 중에서 상대적 영향력은 전공만족도가 스트레스보다 회복탄력성에 좀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관리능력과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와 더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ㆍ스트레스ㆍ회복탄력성에 대한 양적 조사 외에 FGI(Focus Group Interview)와 같은 질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stress, and resilience, and to determine whether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stress affect their resilience. For this purpose, major satisfaction, stress, and resilience tests were conducted on 221 students at K Universit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str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especially high with academic stress and future problem stress. In terms of stress and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th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resilience and stress was particularly high.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and resilience's interpersonal skills were found to be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jor satisfaction. Factors that affect the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are both major satisfaction and stres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major satisfaction and the lower the stress, the higher the resilience. The relative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and stress showed that major satisfaction had a greater impact on resilience than stress. In futur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FGI (Focus Group Interview) will be needed in addition to research to improve college students' stress management ability and resilience and quantitative research on major satisfaction, stress, and resilience targeting more diverse groups.

      •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쌍이(Ssang-Lee Lee),이수진(SuJin L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논총 Vol.30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6개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6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비교해 보면,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의 상하 수준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정도를 비교해 보면,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전체 학업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t=-3.47, p<.001), 학업스트레스 하위요인들 역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 상하 수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비교해보면,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전체 학교생활적응 점수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t=13.31, p<.001) 학교생활적응의 하위 요인들 역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와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부적 상관(r=-.24, p<.01)을 보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매우 높은 정적 상관(r=.68, p<.01)을 보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에 대처하고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계발이 필요하고,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verify the importance of self-resilien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resilience upo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selected 300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attending six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Thereby, this paper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comparison of self-resilience,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by sex, it was shown that self-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did not differ by sex and girls indicated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 in the comparison of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resilience, it was found that the group showing high self-resilience indicated lower overall academic stres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3.47, p<.001), and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also gained lower scores in the subfactors of academic stress. Third, in the comparison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resilience, it was shown that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received a high score in overall school life adapt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13.31, p<.001), and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also gained high scores in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since children’s self-resilience had a significantly high negative correlation (r=-.24, p<.01) with academic stress in general, as self-resilience is higher, academic stress gets lower. And children’s self-resilience exhibited a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r=.68, p<.01) with school life adaptation, so as self-resilience is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becomes better.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self-resilience in the preventive dimension to relieve academic stress and support school life adaptation and also conduct follow-up researches on various variables affecting self-resilience.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비교

        유영아(Yu, Younga),김은하(Kim, Eunha),김성수(Kim, Sungsu)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토하고 효과 크기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435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의 분석을 위해 AMOS 18.0을 활용한 구조모형분석을 실시, 경로계수를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고, 부트스트랩을 통해 집단별 매개효과의 유의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스트레스는 가족탄력성,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은 삶의 만족도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은 각각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크기를 비교한 결과,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가족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을 함께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가족탄력성 함양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and ego-resilience on the influence of stres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and compare the effect sizes.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using AMOS18.0 was performed,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path coefficien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or effect by group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 to 435 adolescents. First, the stress of the adolescent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family resilience, ego –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Also, family resilience and ego – resilience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stress of adolescent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family resilience and ego – resilience show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Fourth, the result of comparing the size of mediating effect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ego –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dicated the fact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was greater than ego-resilience. Consequently family resilience and ego – resilience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to reduce the stress of the adolescent and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the conclusion implied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the family resilience.

      • 중학생의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연홍(Kim, Yon Hong),성경주(Seong, Gyeong-Joo)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교적응에 대해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학교생활, 가정생활, 대인관계, 자아영역에서 유의미한 부적상관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영역인 활력성, 대인관계,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본 결과, 스트레스의 하위요인들 중에 가정생활 스트레스가 학교공부 적응과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전체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스트레스는 학교생활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교공부 적응에 대해 자아탄력성 요인을 위계적으로 투입하여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낙관성, 대인관계, 호기심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은 낙관성이다. 학교친구 적응은 대인관계, 감정통제, 낙관성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은 대인관계이다. 학교교사 적응은 호기심, 낙관성, 대인관계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은 호기심이다. 학교생활 적응은 대인관계, 낙관성, 호기심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은 대인관계로 나타났다. 학교적응 전체는 대인관계, 낙관성, 호기심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은 대인관계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stress, ego-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assess the influence of stress and ego-resilience on the school adaptatio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uggested; (1) What is the relations between stress, ego-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2) What is the influence of stress and ego-resilience on the school adaptation?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otal of 365 male and female students out of 10 classes of the 2nd year at D middle school in Seo-gu, Daejeon wear sampled. Out of 365 survey results, 43 results were excluded from further analysis due to insincere response or no response. As measuring tools, the stress scale (44 questions) by Byun (1995) was used by applying 5 point Likert scale to assess the teenager"s stress. The ego-resilience scale (30 questions) by Park (1997) was used by applying 4 point Likert scale of Oh (2007) to assess the teenager"s ego-resilience. The school adaptation scale (38 questions) by Lee (2005) was used by applying 5 point Likert scale to assess the teenager"s school adaptation. Data was analyzed by statistics software SPSS (Ver 18.0)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1)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stress, ego-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areas of stress such as school life, family lif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area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However, the sub-areas of ego-resilience such as vi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 emotional control, curiosity, and optimis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2) Regarding the influence of stress on the school adaptation, family life stress influenced school adaptation (both study and life) significantly among all the sub-areas of stress and school life stress was the most influential on the school adaptation. (3) Factors of ego-resilience influenced school study adaptation in the order of optimism (most influential), interpersonal relation, and curiosity. And for others, interpersonal relation > emotional control > optimism (school friend adaptation); curiosity > optimism > interpersonal relation (school teacher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 > optimism > curiosity (school life adaptation); interpersonal relation > optimism > curiosity (school adaptation as a whole).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탄력성에 따른 군집유형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김현순(Hyunsoo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탄력성을 기반으로 대학생의 군집유형을 살펴보고, 군집유형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10월부터 12월까지 수집된 대학생 3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 결과 5개의 군집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군집1은 다른 군집에 비해 진로스트레스의 모든 하위변인의 점수가 가장 낮은 반면, 진로탄력성의 모든 하위변인의 점수는 가장 높아 ‘진로탄력성 강세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군집2는 진로스트레스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는 평균보다 약간 높으면서 진로탄력성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는 평균보다 약간 낮아, 진로스트레스 점수가 진로탄력성 점수보다 더 높으므로 ‘진로스트레스 우위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군집3은 진로스트레스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가 높고, 진로탄력성의 모든 하위변인의 점수는 가장 낮아 ‘진로스트레스 강세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군집4는 진로스트레스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가 높으면서 동시에 진로탄력성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도 높아 ‘진로스트레스, 진로탄력성 둘 다 높은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군집5는 진로스트레스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는 평균보다 약간 낮으면서, 진로탄력성의 대부분의 하위변인의 점수는 평균보다 약간 높아, 진로스트레스 점수보다는 진로탄력성 점수가 더 높으므로 ‘진로탄력성 우위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둘째, 군집유형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 군집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군집1인 ‘진로탄력성 강세 집단’의 평균이 나머지 집단의 평균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교육의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luster types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career stress and career resilienc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is cluster types. The data of 359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lassified into five cluster types. Cluster 1, named ‘Career resilience strong group’ can be described as the lowest score of all sub-variables of career stress, but as the highest score of all sub-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Cluster 2, named ‘Career stress competitive group’ can be described as slightly higher score of all sub-variables of career stress, but as slightly lower score of all sub-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Cluster 3, named ‘Career stress strong group’ can be described as higher score of most sub-variables of career of career stress, but as the lowest score of all sub-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Cluster 4, named Career stress and career resilience both competitive group can be described as higher score of most sub-variables of career of career stress, and as the higher score of most sub-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Cluster 5, named ‘Career resilience competitive group’ can be described as lower score of most sub-variables of career of career stress, but as higher score of all sub-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lusters were found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average of Cluster 1 named Career resilience stro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rest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career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ollow - up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스트레스, 탄력성, 삶의 질의 관계

        김노은 ( Nho Eun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4

        The college students, who belong to both adolescence period and early adult period, are in a transitional period and could be under stress due to the delay of independence and feeling in-between, and therefore have declined quality of life(Q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ir stress, resilience, and QOL and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between stress and QOL. One hundred and sixty college students complete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stress questionnaire, resilience questionnaire, and QOL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4.0 program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analyzed by the method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and Sobel equation. The level of students` QOL was relatively fai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tress and resilience directly affect the QOL level of students and that stress also affect their QOL indirectly through the partial mediating factor, resilience. Resilience showed partial defense mechanism against stress which showed negative effect on QO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tress may affect QOL of college students negatively, but resilience could offset the negative effect of stress by mediating effect between stress and QOL. It is essential to develop some measures to ease their stress and to enhance their resilience.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우울 간 관계에서 유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연구

        박애경(Park, Ae-Kyu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우울 간의 관계에서 유아가 가지는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 만 3세, 4세,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125명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PFC, 회복탄력성척도 검사 설문을 통해 연구결과를 수집하였으며, 결과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우울 간에 정적상관이, 유아 우울과 회복탄력성 간에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유아회복탄력성 및 유아우울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 우울의 정적 예측변인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전체 유아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부적 예측변인으로, 유아의 회복탄력성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부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유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우울을 예측하는 정적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회복탄력성은 우울을 예측하는 부적 변인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이 두 변인 간에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술한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회복탄력성이 유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이해를 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 depression. The stud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renting stress tests, and PFC and Resilience tests using the data from 125 mothers with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to 5 and 125 class teacher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ested Stepwise Multi-Regression by the SPSS 17.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 depress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 depression and resilience. Secondly,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resilience and child depression, a mother’s parenting stress appeared to be a positive predictor and a negative variable that affected overall child resilience. The resilience of a child was found to be a negative predictor affecting depression. Thirdly, i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child resilience on child depression, a mother’s parenting stress appeared to be a positive predictor of child depression, and the resilience of child was a negative predictor of child depression that hav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between the two. The results of this paper may be used as a basis for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child depression by helping to understand the process in which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 resilience affects a child’s depression and the mediated effect of resilience.

      • KCI등재

        장애인가족의 가족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미영(Sim, Mi Young),안성아(Ahn, Seong Ah)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3

        본 연구는 장애인가족을 대상으로 장애인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장애인 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간접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족스트레스 대처방안 및 가족탄력성 향상을 통한 장애인가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장애인가족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가족탄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장애인가족의 적응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스트레스는 가족적응에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지만 가족탄력성을 매개로 간접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장애인가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해 장애인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의 제공 및 가족탄력성 향상을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s on providing basic data of supporting system for improvement of disabled family adaptation abilities through promoting family resilience and counter measures for family stress through verifying indirect effect of family resilience from the effecting relation by the stress of disabled family and analysing effect of experienced stress by family of disabled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family adaptation. Below is summarized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effect of disabled family's stress on family resilience, stress of disabled family effects negatively to the family resilience and higher stress of disabled family make lower family resili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family adaptation, family resilience effects static and direct effects on family adaptation, family resilience is presented as to forecast meaningfully the family adaptation. Higher family resilience make higher adaptation of families. Third, direct effect of family stress on family adaptation has no meaningful effect, But, i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tress, family adaptation and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mediation effect are verified with family resilience.

      • KCI등재

        The Resilience of Buddhist College Students

        김노은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19 No.-

        College students, who psychologically belong to both the adolescent period and the early adult period, are in a transitional period and could be under increased stress due to the delay of independence and feelings of being “in-between.” This could create problems in adaptation.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many factors, includ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are interconne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uddhist college students’ stress,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and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stress and resilience. Fifty-one Buddhist college students complete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a stress questionnaire, a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and a resilience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9.0 program which includ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analyzed using the method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the Sobel equation. The results showed the level of Buddhist college students’ resilience was relatively fai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tress and social support directly affected the resilience level of students and that stress also affects their resilience indirectly through the partially mediating factor of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was revealed to be somewhat of a defense mechanism against stress, which negatively affects resil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tress negatively affect the resilience of Buddhist college students, but social support offsets this by mediating the effects of stress on resilience. It is essential to develop some measures to ease Buddhist college students’ stress and to improve their social support in order to enhance resilience using the strengths of Buddhism as stress is a form of suffering, or what Buddhists refer to as “dukk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