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登記原因證書의 公證에 관한 小考

        황정수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11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7 No.-

        현행 부동산등기법은 부실등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유권의 등기명의인 이 등기의무자로서 서면(또는 e-form)에 의한 등기를 신청할 때에는 인감 증명서와 등기의무자의 권리에 관한 등기필증제출(또는 등기필정보 입력), 등기권리자와 등기의무자의 공동신청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나, 그 제도상 또는 운영상의 불비점으로 진정한 권리관계와 등기가 불일치하는 부실등 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하여 종래 부실등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등기신청에 대한 등기관의 실질적 심사주의 채택, 등기부와 대장의 일원 화, 인감증명서제도의 강화 등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어 왔으나, 그 중 의 하나가 등기원인증서에 대한 공증제도의 도입 논의이다. 부동산등기제 도의 이상이 진실한 권리관계를 공시하는데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 이라고 볼 때, 등기원인의 성립을 증명하는 서면인 등기원인증서에 대한 공증제도의 도입은 무엇보다도 부실등기를 방지하여 부동산거래의 안전을 도모하는 데 있으므로 등기원인증서의 공증의 필요성은 새삼스럽게 강조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공증에 의하여 모든 폐단이 일거에 해결되는 것 은 아닐 것이고, 나아가 공증에 따른 비용과 시간, 그리고 불필요한 절차 의 부담, 그리고 우리나라에 어떤 유형의 부실등기가 얼마만큼 존재하고 또 등기원인증서를 공증함으로써 어떤 유형의 부실등기가 얼마만큼 감소 할 것인가를 실증적으로 고찰한 정확한 원인분석 내지 통계적인 자료도 별로 보이지 않는 상태이므로 등기원인증서의 공증은 신중히 고려하여 검 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하여 우리나라에서 등기원인증서의 공증제도 도입의 제약에 대 하여 부동산물권변동의 양태상의 문제, 우리나라 공증제도의 미비 특히, 공증의 주체 및 대상의 불명확 등을 살펴보고(Ⅲ. 우리나라의 登記原因證 書 公證制 導入의 制約), 현실적으로 등기원인증서의 공증이 어렵다면 등 기원인증서의 공증제 대안 방안으로서 등기원인증서의 인증제(Ⅳ.登記原 因證書의 公證制 代案 方案)에 고찰한다. In order to prevent cases of unreliable registration, current law governing registration for real estate elects a policy of joint registration by registrant and registration verifier by requiring submission of a certificate of personal seal (impression) and registration certificate by the registrant when applying for registration in writing (or using an e-form). However, failures at both systemic and operational levels may result in cases of inconsistent registration between the actual legal relationship and registration content. Various proposals have been discussed for preventing unreliable registration, such as examination of the application by an authorized official in charge of registration, integration of registries, and enforcement of the certificate of personal seal. Another such proposal involves a system for notarizing registration motive statements. Because the goal of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is the posting of actual legal relationships, the notarization system for registrationmotive statements, which requires the registrant to prove his motive for registering, is an undeniable necessity for ensuring the safety of real estate transactions and preventing cases of unreliable registration. Even so, notarization cannot prevent all cases of fraudulent registration, and the additional expense, time and paperwork burden are causes for concern. Because no precise causal analysis or statistical studies exist to verify thetypes of unreliable (fraudulent) registration in Korea, or determine to what extent notarization will help to decrease their occurrence, the notarization of registration motive statements remains a question calling for in-depth investigation. On the limitations of introducing such a system in Korea, problems such as fluctuations in real rights of real estate, inadequacies in Korea’s notarization system, especially uncertainties regarding subject and object of the notarization, (see Ⅲ. Limitations to Introducing Notarization System for Registration Motive Statements in Korea.)On a certification system for registration motive statements as an alternative plan needs to be considered in case the notarization system proves impracticable. (see IV. Alternative Plan for the Notarization Statements).

      • KCI등재

        要件으로서의 申告 · 申請에 따른 效果로서의 受理 · 登錄 · 許可의 槪念的 區分 再論

        李相千(Lee Sang Cheon) 한국비교공법학회 2010 공법학연구 Vol.11 No.3

        受理를 요하지 않는 申告와 受理를 요하는 申告의 구별기준은 실질적 요건을 심사할 경우인가의 여부가 要件論상의 주된 기준이나, 그 기준은 법률의 합리적 해석기준으로도 작용한다는 측면에서 양기준은 대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연관작용적 개념이다. 受理를 요하는 申告는 의무이행이라는 신고의 한계를 가진 개념으로 受理를 요하지 않는 申告와의 구별적 개념인 것이다. 이에 반해 등록은 허가와의 개념적 차별화로 인해 정립된 개념으로, 허가보다 덜 규제적 성격의 개념이라 할 정도의 것으로 신청을 전제로 하는 수익적 개념의 성질의 것이다. 그러므로 수리를 요하는 신고와 등록은 그 개념의 연원이 서로 달라 두 개념을 동일 평면에서 비교한다는 것은 적절한 논의가 아니라 할 것이다. 결국 요건으로서의 申告와 申請의 개념상 차이가 신고와 등록, 특히 ‘수리를 요하는 신고’와 ‘등록’을 명백히 구분해 준다. 신고와 신청에 대한 심층적 분석과 더 진행된다면 그 응답이라 할 受理 · 登錄 · 許可의 개념적 구분은 더 명확해 질 것이다. 등록과 허가는 같이 신청을 전제로 한 개념이기는 하나 둘의 구분은 허가제의 완화의 필요성으로 인한 것이다. 곧 등록은 허가와의 관계에서 허가제로 인한 규제를 약화시킬 필요가 있는 특정의 경우에 허가와는 달리 그 실질적 심사요건이라도 외형적 · 형식적으로만 심사를 하도록 하여 ‘원칙적 등록’을 표방하는 것으로 허가와의 상관관계에서의 규제완화적 개념이라 할 것이다. 등록과 허가는 私人의 공법행위로서의 신청의 결과 그에 대한 행정청의 응답으로 행해지는 것이고, ‘수리를 요하는 신고’는 신고를 전제로 수리가 행해지는 것인데 신청과 신고의 개념적 범주를 벗어나 입법되는 예는 드물 것이다. 왜냐하면 법학용어 이전에 이미 신청과 신고는 나름대로의 개념을 지닌 문화가 스며든 용어이기 때문이다. 특정 규제 대상을 두고 수리를 요하는 신고와 등록 · 허가 중 어느 제도를 활용할 것인가는 입법재량에 달린 것이지만 각기 신고의 개념적 한계와 신청의 응답의무이행이라는 한계를 넘어 해석될 수는 없기 때문에 해석론상 입법상황에 따라 그 구분은 당연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申告의 개념을 해체하지 않는 한 受理개념이 해체될 수는 없으므로 수리를 요하는 신고와 등록 · 허가와는 엄연히 구분된다 할 것이다. 申告에 대한 개념정의와 행정법에서의 기능론이 활발하게 논구되면 될수록 受理 · 登錄 · 許可의 개념론적 구별은 정연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현대행정의 다변화 · 다양화는 申告의 개념도 필요로 하고, 등록, 허가 등의 개념도 필요로 하는 개념이다. 현대사회는 수리를 해체하여 허가로 통일하여야 하는 단순사회로 가고 있지는 않다. 신고와 신청등의 사인의 공법행위로 하여금 그 고유의 기능을 하게 할 일이지 유사성만을 강조하며 개념적 통합을 할 일은 아니다. 현대사회는 분화된 언어의 사회라 할 수 있을 것이고, 이 때 그 각 언어는 그 소유의 기능이 있는 것이다. ‘Statement’ is a way of duty fulfillment for a certain legal effect, and application is a way of right exercise for getting legal benefits. As shown above, the concepts of acceptance · registration · permission has come from reqirements of statement and application. There are two kinds of statement in statement which are statement with acceptance and statement without statement. The chief criteria of distinction between the two is whether the substantial requirements should be tested or not on theory of requirements, at the same time the above criteria can work as those of reasonable legal interpretation in a degree. Thus the above two criteria of distinction both in theory of requirements and in reasonable legal interpretation doesn't work in opposition, but work in relation with supporting each other. ‘Statement with acceptance’ is a concept having the limit of being only the statement, and its concept has come from the distinction from statement without statement. But the concept of registration has come from the differentiation from permission in conception and is a concept less restrictive than permission. That is to say, statement with acceptance and registration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ir origins and the comparison on the same flat between the two is irrelevant. In concrete, acceptance of statement with acceptance should be done through the test of substantial requirements, the effect of its acceptance is just the fulfillment of statement duty, but can have some other legal effects according law. ‘Registration’ is a legal system aiming at weakening the restrictive degree through application in some legistlation., and its test should be outward and formal, and by only the outward and formal test the acceptance should be carried out. Thus it is a concept less restrictive than permission, and tenuating controll. Of course, registration and permission is the reponse of administration, statement with acceptance is the concept which application is carried out on the premise of statement. After all the difference between statement and application in concept could ditinguish statement with acceptance from registration, and through the deeper research of statement and application the concepts of acceptance · registration · permission could become obvious.

      • KCI등재

        증권거래법상의 부실표시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서완석 한국기업법학회 2004 企業法硏究 Vol.16 No.-

        A registered offering under the Securities and Exchange Act (hereinafter it'll be epitomized 'The Act') requires that a registration statement be utilized. A key policy underlying this requirements is to enable prospective purchasers to make informed investment decisions based upon the disclosure of adequate and truth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issuer, its associated persons, etc. This policy is frustrated when a registration statement(including the prospectus that comprises part of the registration statement) contains materially false or misleading statements. In view of the above, investors under certain conditions may recover their losses if they purchase securities pursuant to a registration statement containing a material misrepresentation or nondisclosure. The Act's provisions most likely to be invoked in this context are Section 14, 15, 16. The Act has special provisions for damaged investors due to the false or misleading statements in a registration statement and prospectus. The above provisions originally was promulgated to make damages upon breach of The Act appropriat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ecurities market in which trade is usually made by non-face-to-face among many or unspecified parties. In other words the focus should be upon the harmonization between the principle of perfect investor protection and adequate criteria to obliger for damages in order to make securities market function properly. Therefore in order for a bit of truthful information and fair rule to be permeated generally in securities market, the institution that make possible appropriate liability against the violation of laws, proper damages and relief is needed. In the final analysis in micro perspectiv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ovision of damages upon false or misleading statement in a registration statement be articulated meticulously. Futhermore with the introduction of class action system in The Act, motives for bringing a suit among investors will be stronger so I think a research how to optimize the problem of assessment of the amount of damages in macro perspective is urgently necessary in view of the limitations of established provision in solving the above assessment problem and in the long term the introduction of punitive damages should be reviewed positively.

      • KCI등재

        申告의 法理

        金明吉(Kim Myung-Gil) 한국비교공법학회 2006 公法學硏究 Vol.7 No.1

        사인의 공법행위의 한 종류로서의 신고는 학문상 개념이다. 강학상으로는 신고의 개념 정의에서부터 종류, 법적 성질 등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견해의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행정실무 또는 법령에서의 신고의 의미는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어, 같은 신고라도 그 실질 내용에 따라 학문상 개념인 신고와의 정합성을 규명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신고와 관련된 문제 중에서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수리를 요하지 아니하는 신고”와 관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행정절차법에 신고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는바, 이 규정의 해석을 둘러싼 학계의 견해는 수긍하기 어려운 점이 많다. 또한 판례도 신고의 법리에 대한 이해를 잘못함으로 인하여 국민의 권리구제에 역행하는 상황에 있다. 신고의 제반문제의 출발점은 이른바 “수리를 요하지 아니하는 신고”와 관련되어 있다. 즉 “수리를 요하지 아니하는 신고”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문제는 첫째, “수리를 요하지 아니한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둘째, “도달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한다.”는 의미는 무엇인지, 셋째, 수리 여부와 관계없이 효력이 발생한다는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수리를 요하지 아니하는 신고”는 어떠한 신고를 말하는지 등을 둘러싸고 제기되고 있다. 이에 신고의 법적 성질을 중심으로 학설에서의 분류방법상의 문제, 행정절차법의 관련조항의 해석 문제, 판례상의 처분성 문제 등을 검토하여 신고에 대한 합리적인 법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학계에서의 신고의 법리의 중심은 자체완성적 공법행위로서의 신고와 행정요건적 공법행위로서의 신고의 구별에 있었고, 그 실익으로 수리를 요하지 않는가 아니면 수리를 요하는가에 있었다. 이는 자체완성적 공법행위로서의 신고는 행정청에 대하여 일정한 사항을 통지함으로써 의무가 끝나는 신고이며, 행정절차법의 “법령 등에서 행정청에 대하여 일정한 사항을 통지함으로써 의무가 끝나는 신고를 규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신고가 관계법령상의 형식적 요건을 갖춘 것인 때에는 “신고서가 접수기관에 도달한 때에 신고의무가 이행된 것으로 본다”는 규정(법40①②)의 의미도 이와 같은 취지로 이해하고 있다. 그 당연한 귀결로서 신고수리의 법적 의미도 수리거부의 처분성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연구를 통하여 검토한 바에 따르면. 행위요건적 신고는 행정청의 수리가 있어야만 법적 효력이 발생하므로 허가 또는 등록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므로 신고와 수리 및 수리거부 등과 관련된 법리는 허가신청과 허가 및 허가거부 등과 관련된 법리와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 그러나, 자체완성적 공법행위로서의 신고인 경우에도 신고의 적법성은 요건에 해당하고, 당연히 신고의 적법성과 관련된 다툼은 있게 되며, 이에 대한 행정청의 제1차적 판단이 수리거부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자체완성적 공법행위로서의 신고인 경우에도 수리는 필요하며, 수리를 위한 요건의 심사도 당연히 인정된다. 그러므로 수리거부의 적법성을 다투는 경우에 처분성은 인정되어야 한다. A statement as a personal juristic act in public law is so called concept in the study. There are general views which are definitiones, legal character, kinds and so on. However, the meaning of statement in administrative works or statutes have been used far from the original concept of study which have been used various and lacked consistency. Therefore, there is problem that must construed the meaning of statement differently even though same statement in the positive law Because of this reason, the Administrative Proceeding Law have some regulations about the statement, there is some occurrences to interpret for regulations about the statement in addition that judicial precedent don't perform a role of defense of citizen's rights because of misunderstanding legal principles of statement. The starting point of several problems of the statement is ralated the statement without acceptance. The first problem, is submitted that related the statement without acceptance, is what the statement without acceptance is. The second problem is meaning of inurement by attainment. The third problem is meaning of inurement regardless of acceptance or rejection. So, The statement requires systematic legal principles with reviewing that problems of classification system, problems of interpretation of administrative proceeding law, problems of dealing of judicial precedents. Putting all arguments together, the point of legal principles of the statement is division between the statement as a juristic act in public law in perfection of self and the statement as a juristic act in public law in administrative requisite, is profitable whether acceptance is required. The statement as a juristic act in public law in perfection of self is free from an obligation by notifying prescribed particulars at administrative office, is understood same meaning that the meaning of provision(administrative proceeding law 40①,②) -A obligation for statement is considered to have performed when a statement is arrived at administrative offices- when the statement is fulfiied the required conditions. Moreover, judicial precedents are accede to that views. As a natural consequence, legal meaning of acceptance of statements and dealing nature of rejection of acceptance are not have permitted. In the point of view, The statement has special sense unlike the permission, if the statement is statements as a juristic act in public law in perfection of self. Because of the statement required actual requisites is inured by acceptance of administrative offices and is simillar in personality the permission or the registration, legal principles, are related to statements, acceptances and rejection of acceptances, are not substantial different from legal principles are related to applications for a permit, permissions and rejection of permissions. But, as upon examination, legality of the statement is deserved in requisites even the statement as a juristic act in public law in perfection of self, for that reason there is controversies with legality of the statement naturally, maybe the first administrative measure about that is the rejection of acceptances. Thus, the statement as a juristic act in public law in perfection of self is required acceptances and the inspection of requisites for acceptances is permitted by rights. Accordingly, if the legality of rejection of acceptances is disputed, the nature of dealing must be permitted.

      • KCI등재

        증권신고서의 재무정보와 부실감사 책임

        이총희 한국상사법학회 2021 商事法硏究 Vol.40 No.1

        The Capital Markets Act provides more information for users of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disclosure system to protect investors and vitalize the capital market. When corporations issue securities, they provide information to investors through registration documents, which enable investors who trusted the documents and made investments to receive damages under the law. The burden of proving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of damages is shifted, and the persons to be liable for the compensation of the damage are defined broadly to include declarers, directors at the time of the registration, persons who instruct to conduct business, accountants who proved the accuracy and truth of records or attached documents, appraisers, credit rating professionals, persons who agree with opinions on evaluation, analysis, and confirmation being recorded and confirm thereof, and underwriters. However, some precedents of lower courts denied the liability for damages of external auditors, who are accountants,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Of course, it is possible to seek damages against auditors according to the Act on External Audit, but other professionals may be exempted from liability claims under the logic same as the logic that external auditors are exclud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provision. This calls for improvement because it can lead to a gap between the law and the substance and trigger misunderstanding by investors. The role of external auditors somewhat differs from that of issuers and underwriters because external auditors do not conduct separate audits at the time of issuance of registration statements. Accordingly, it would be desirable to unify the liability of external editors as liability for false audits rather than seeking external auditors to be held accountable for false or defective registration statements. It should also be examined whether to choose efficiency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e law or to conduct multi-layered supervision. If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liability of external auditors, the liability and authority should be balanced by adding a procedure for external auditors to certify information upon issuance of securities, and the liability should also be balanced with liabilities of directors, underwriters, and internal monitoring organizations of the issuer. 자본시장법은 투자자를 보호하고 자본시장을 활성화 하기 위해 공시제도를 통해 정보이용자들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증권의 발행 시에는 증권신고서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신뢰하고 투자한 투자자들은 법률에 따라 손해배상을 받기가 용이하다. 손해의 인과관계에 대한 입증책임은 전환되며 손해배상의 책임자도 신고인, 신고당시의 이사, 업무집행지시자, 기재사항 또는 첨부서류가 진실·정확하다고 증명한 회계사, 감정인, 신용평가를 전문으로 하는자, 평가·분석·확인의견이 기재되는 것에 동의하고 내용을 확인한 자, 인수인 등으로 폭넓게 정하고 있다. 하지만 하급심의 판례에서 회계사에 해당하는 외부감사인의 자본시장법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이 부정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물론 외부감사법에 따라 감사인에게 손해배상을 추궁할 수 있으나 다른 전문인 등도 외부감사인에게 해당 조항이 적용 배제되는 논리와 동일한 논리로 책임추궁이 면제될 수 있다. 이는 법률과 실질의 차이를 가져와 투자자들의 오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개선이 필요하다. 외부감사인은 증권신고서가 발행되는 시점에 별도로 감사를 수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발행인, 인수인과는 수행하는 역할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증권신고서의 허위·부실기재에 대해 외부감사인의 책임을 묻기 보다는 외부감사인은 부실감사에 대한 책임으로 일원화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법률의 취지를 고려해 효율성을 선택할 것인지, 다층적인 감독을 할 것인지도 고민이 필요하다. 만약 외부감사인의 책임을 축소하기 어렵다면, 외부감사인이 증권 발행시 정보를 인증하도록 하는 절차를 추가하여 책임과 권한의 균형을 갖출 필요가 있으며 발행인의 이사, 인수인, 내부감시기구와의 책임도 균형을 갖출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재무제표 검토제도 개선방안

        강성조,박희우 한국공인회계사회 2019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1 No.4

        This study is based on the status of the review system (all local governments in 2012-2016), which is one of the verification procedures for financial statements since the accrual double-entry bookkeeping system was introduced to local governments in 20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inancial statements. First, reviewers should strengthen their responsibility to prepare financial statements by increasing the competence and expertise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so as not to violate independence. Second, the role of internal audit organization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internal audit can perform the actual control function for accounting errors and fraud detection. Third, the appointment of reviewers should be advanced within five months from the start of the fiscal year, and the interim review system should be specified to reinforce the preliminary control function. Fourth, the review fee,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average of W12 million), should be realized to prevent deterioration in quality due to low-cost commitments. Fif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for appointing reviewers to municipalities above a certain size to improve the quality deterioration caused by the large-scale order method and the problems caused by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Sixth, supervision standards should be strengthened to monitor local government accounting regularly. Lastly,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the detection of errors or fraud by activating the participation of qualified specialists in the field of government accounting through the registration system of the government accounting reviewer. This study seek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local government's financial information, focusing on the status of the financial statement review system, and hopes that the interest and financial participation of the financial statements will increase actively. 본 연구는 2007년 이후 지방자치단체에 발생주의・복식부기 회계제도가 도입된 이후 재무제표에 대한 검증 절차 중 하나인 검토(Review) 제도에 대한 현황(2012~2016연도 전 지방자치단체)을 토대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검토인이 대리작성 등 독립성이 위배되지 않도록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역량 및 전문성을 높여 재무제표 작성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내부감사가 회계처리 오류, 부정 적발 등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체감사기구의 역할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검토인의 선임시기를 회계연도 개시일로부터 5개월 이내로 앞당기고, 중간검토 제도를 명문화하여 사전 통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현저히 낮은(평균 12백만 원 수준) 검토수수료를 현실화하여 적정 투입시간의 확보 등을 통해 저가수임으로 인한 품질저하를 방지해야 한다. 다섯째, 특정 규모 이상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검토인을 지정하여 대량 수주방식으로 인한 품질저하 및 갑을관계 형성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제도 도입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감리기준을 강화하여 지방자치단체 회계실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회계 전문 검토인 등록제를 통해 정부회계 분야에 대한 자격을 갖춘 전문가의 참여를 활성화하여 오류 또는 부정의 사실을 적발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재무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점을 재무제표 검토제도 현황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고, 이를 통해 재무제표에 대한 관심도 제고와 참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예측정보 규제에 관한 연구

        임재연(Lim, Jai Yu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성균관법학 Vol.21 No.1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gulation on the soft information, or the forward-looking information under the U.S. federal securities laws and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hereinafter referred to as CMFIBA). Article 119 (3) of CMFIBA provides the scope of forecast information including forecast or prospects for the financial status of the issuer, its business performance in the future, etc, and Article 125 (2) of CMFIBA adopted four safe harbor provisions including the description of being a forecast information, the grounds for judgement related to the forecast or prospect, good faith on the basis of a reasonable ground, and meaningful cautionary statements. Under the U.S. federal securities laws, the term forward-looking information means a statement containing a projection of revenues, income (including income loss), earnings (including earnings loss) per share, capital expenditures, dividends, capital structure, or other financial items. The issuer shall not be liable with respect to any forward-looking information if and to the extent that the forward-looking information is identified as a forward-looking information, and is accompanied by meaningful cautionary statements identifying important factors that could cause actual results to differ materially from those in the forward-looking information; or immaterial; or the plaintiff fails to prove that the forward-looking information if made by a natural person, was made with actual knowledge by that person that the statement was false or misleading; or if made by a business entity, was made by or with the approval of an executive officer of that entity, and made or approved by such officer with actual knowledge by that officer that the statement was false or misleading. Although U.S. federal securities laws require that known trends or uncertainties be disclosed in certain SEC filings, forward looking information needs not be disclosed. That is, the issuers are encouraged, but not required, to supply forward-looking information. However, issuers must include a section entitled MD&A in registration statement and in certain SEC filings. The MD&A affirmatively requires a certain amount of forward-looking disclosure. The MD&A section is intended to give the investor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company through the eyes of management by providing short-term and long-term analysis of the business of the company. The various tests employed by the SEC and the U.S. courts for the safe harbor requirements are likely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interpretation of the safe harbor requirements under CMFIBA by the Korean regulatory authorities and the Korean courts. The introduction of the MD&A in the U.S. securities laws to the Korean CMFIBA is highly recommended to enhance voluntary disclosure for the protection of the investors.

      • KCI등재

        증권 발행공시 위반의 민사책임

        김재룡 한국경제법학회 2016 경제법연구 Vol.15 No.3

        자본시장법은 기업공시를 증권의 발행․유통과 내용에 따라 발행공시․유통공시․특수공시 3가지로 구분하고, 공시정보가 효율적이고 신속․공정하게 전파․활용될 수 있도록 알기쉬운 공시, 공정공시, 전자공시 등을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공시의무를 위반한 때에는 민사적․행정적․형사적 책임을 부과함으로써 그 실효성을 담보하는 구조로 짜여 있다. 본고에서는 기업공시의 핵심인 발행공시 위반시 민사책임을 살펴보고 보완이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손해배상청구권자를 현행 발행시장 취득자에서 일정 요건하에 유통시장 취득자까지 확대하여 투자자를 보호해야 할 것이다. 둘째, 손해배상책임자 중 발행인에 한해서는 여타 배상책임자와 달리 무과실책임을 부과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셋째,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 전에 또는 투자설명서를 교부하지 않고 모집․매출을 하는 경우에도 민사책임을 부과해야 할 것이다. 넷째, 손해배상 산정 기준시점을 변론종결시에서 제소시로 변경하여 증권시장의 가격변동에 따른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손해배상청구기간을 현행 해당 사실을 안 날부터 1년 이내, 증권신고서의 효력이 발생한 날부터 3년 이내는 너무 짧으므로 다소 연장하는 것이 좋겠다. Corporate disclosure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stages along the life cycle of securities: primary market disclosure, secondary market disclosure, and special disclosure. To ensure an efficient and fair dissemination of material information, plain language and clear disclosure documents program, the fair disclosure obligation, and the electronic disclosure system have been adopted. Civil liability, criminal penalty, and administrative sanctions, are also imposed in cases of violations so as to assure the enforceability of reporting obliga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disclosure regulation in the primary market, which forms the core of the corporate disclosure system. In this paper, 5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① Purchasers in the secondary market should have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under the securities law. ② A reasonable degree of reduction of indemnification for issuers should be adopted. ③ Relevant rules and regulations should be amended to introduce liability for offerings in the pre-filing period and failure to provide prospectus. ④ The base date for assessment of damages should be modified from the date when the defensible argument is closed to when the suit is commenced. ⑤ The statute of limitations for a claim for damages should be extended from the current “one year since the date when the plaintiff becomes aware of the fact” and “three years since the effective date of the registration statement” to two years and five years, respectively.

      • KCI등재

        전자단기사채제도의 법적 쟁점과 과제

        박철영 한국상사법학회 2013 商事法硏究 Vol.32 No.3

        In January 2013, electronic short-term bond(hereinafter “ESTB”) has been introduced in a type of corporate bonds registrated on electronic account book. ESTB has been invented to replace the function of commercial paper(CP) which has various problems, i.e. issuing physical note, lack of transparency, shortage of transferability generated by prohibition of splitting endorsement. Accordingly, ESTB has the same marketability as CP does, holding characteristics of unsecured debenture with a maturity less than one-year. In this ESTB system, existing CP's legal form should be converted from promissory note to bond, and all processes of issuing and circulation would be digitalized. The transformation is plausible because the nature of ESTB coincide with CP's economic substance. On the contrary, the digitalization remains to be reviewed or improved in legal and operational domains in that ESTB is the first electronic bond on Revised Commercial Code of 2011. The most important issue is a relationship between ESTB and CP. Though ESTB has been introduced to replace CP, the needs of issuing companies will keep going for a while in spite of several restrictions on it. In this case, we can’t achieve the goals to enhance the transparency and stability of money market and to activate the circulation of short-term bond. So, it is necessary to harmonize the regulation on ESTB and CP such as securities statement. In addition, it is considerable to unify the market and products in short-term bond market by abolishing CP on the Capital Market Act. As I see it, we made sure of CP’s problems sufficiently prior to this, and it's great alternatives has been supplied to companies and investors.

      • 아파트에 대한 부동산 경매의 소고 : 임대차의 대항력과 전입세대열람을 중심으로

        권주일(Kwon, Ju Il) 한국부동산경매학회 2021 부동산경매연구 Vol.2 No.1

        경매는 부동산에 대한 매각처분절차로 담보권을 가지고 있는 저당권자가 채무의 변제를 받기 위하여 그 부동산을 법원에 의뢰해서 매각하는 법적인 절차이다. 우리나라는 60년대부터 시작된 산업화와 아울러 인구의 도시집중화가 시작되었다. 그로 인해 도시는 점차 비대해지고 주택난이 심해지면서, 70년대 강남개발과 함께 아파트 건설 붐이 일기 시작하여 아파트라는 주거형태의 변화로 이어졌다. 이렇게 인구의 도시 집중은 주택의 부족으로 이어져 주택의 가격을 높였으며,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하여 주택 구입자들은 자기자본에 더해 담보대출을 받아 구입하거나, 전∙월세를 주는 갭투자 방식으로 주택 구입을 하고 있으며, 서민들은 주택 구입의 여력이 없어 전∙월세의 방법으로 남의 집을 빌려 살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른 임차주택의 보증금은 민법상 채권적 성질로, 물권인 저당권보다 열세인 지위에 있어, 임차주택이 매매나 경매로 소유주가 바뀌면 임차인인 서민에게는 전 재산이라 할 수 있는 보증금을 떼이는 등 서민의 삶에 큰 위협이 되고, 사회불안의 요인으로 등장하였다. 이에 서민 주거생활의 안정을 목적으로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제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렇게 법으로 등기 없이도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힘을 갖는 임대차대항력은 개인정보 보호라는 제약 때문에 불완전한 주민등록을 공시방법으로 삼는데, 경매에 참여하고자 하는 매수희망자로서는 대항력 있는 임차인의 유무를 직접 파악하지 못하고 법원에서 제공하는 물건정보에 의존하여 경매에 참여하고 있으나, 불완전한 정보로 인해 매수인에게 예상치 못한 부담이 발생해서, 경매 참가 보증금을 포기하면서까지 매수를 포기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매수희망자 입장에서 임차인의 대항력과 그 요건을 살펴보고, 특히 대항력의 요건 중 공시방법의 기능을 주로 하는 전입세대의 진성(眞成) 여부를 파악하는데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An auction is a legal process in which a mortgage holder with a collateral rights requests the court to sell the property in order to be reimbursed for the debt. In Korea, as industrialization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began in the 1960s, cities became bigger and housing shortages became worse. Thus, the boom in apartment construction, which began with the development of Gangnam in the 1970s, led to a change in the type of housing. Population concentration into the city has led to a lack of housing, raising the price of housing. Due to high house prices, people are buying homes primarily on mortgage in addition to equity or on a so-called gap investment basis, where they receive monthly rent or lease tenants. Because normal people did not have the ability to buy houses, they had to live in other people s houses on lease or monthly rent. The security deposit of a rented house is a bond property under civil law and is inferior to the mortgage. Therefore, if the owner of the rented house is changed through sale or auction, the tenant loses the deposit, which has become a major threat to the lives of normal people. As a result,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was enacted to stabilize the residential life of normal people. Tenants use incomplete resident registration as a method of disclosure due to the restriction of privacy, which has the power to counter a third party without registration. For this reason, prospective buyers who wish to participate in the auction only rely on court-provided information without directly identifying the presence of a countervailing tenant. However, incomplete information often causes unexpected burdens on successful bidders. Even they often give up buying although they lose their deposit to participate in the auction. In this study, the opposing power of tenants and their requirements a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prospective buyers.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problems arising i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authenticity of tenants who have disclosed resident registration, which is a requirement for opposing power, and how to improve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