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건축에서 나타난 지역성의 지속 가능한 가치에 관한 연구

        김세영(Kim, Seyo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ver historically disconnected regionality and to propose the meaning of regionality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Plus, it is to analyze the expression elements of the regionality and to propose the regionality"s sustainable value shown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Range of research methods is as follows. First, it reviews and prospects for Research on the meaning of regionality. Second, it looks at the three different points of view; traditional, Regional, and cultural perspective on Regionality. Also, it extracts the elements of the expression, centered on regionalism projects shown in the modern architecture. Third, it studys the sustainability"s meaning and the sustainable value appeared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Fourth, it analysis case studies and the value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critical regionalism, focusing on the work of Alvar Aalto architecture. In addition, it proposes the sustainable value regarding the expression centered on regionalism projects This study appears to present the meaning of regionality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order to recover historically disconnected regionality. In particular, the expression of regionality shown in the Alvar Aalto"s architecture is made on the basis of local traditions, society and culture. And, Building forms and building materials to adapt to climate was provided as a unified relationship. This study looks forward to help seeking the various proposals and guide for the applicability and the sustainabe development of the regionality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 KCI등재

        AHP 분석을 통한 지역성 표현 요소에 대한 전문가 가치구조 연구

        홍성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Background and Purpose) Unlike the architecture of modern regionalism, which has emerg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modernism, it is difficult to draw consensus on the specificity of regionality in the field of the modern city, architecture, and public design. Nonetheless, it is becoming an important topic in urban architecture. Despite this interest, however, there are not much objective data and evaluation criteria to which design experts can refer when trying to design something that reflects region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ructuralize the various thoughts of local experts through the AHP technique, analyze the difference of importance between priorities and items, and conduct a basic analysis to identify objective criteria. (Method) First, by analyzing the extant scholarship, AHP research in the field of urban architecture and that related to the regionality were collected, and regionality expression elements to be surveyed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into two hierarchical structures. Next, the AHP questionnaire was applied to the top five items related to regional design experts and the 18 sub-items related to them.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was then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AHP analysis programs. The priority values and importance values (weight value) between each item were obtained as a result. (Results)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gionality related elements of the extant studies were applied to the hierarchy structure of the AHP survey in order to analyze the value structure of the expert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AHP program, and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s (weights) of the five primary and the 18 secondary hierarchy structures in each hierarchical structure were quantified, and priorities wer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AHP analysis of the primary hierarchy items showed that the experts have a value structure that is important in order of: placeness, community, endemism, traditionality, and symbolism. In the secondary hierarchy structure item, the significance of the subordinate items of symbolism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natural form, abstract-urban form, abstract-social form, abstract-human form, and abstract. The importance of subordinate items of placeness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value context-consider, urban context-consider, natural context-consider, city image-insider, and monumentality. The importance of subordinate items of endemism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local colors-consider, local material-consider, local climate. The order of subordinate items of traditionality and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space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application,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elements; while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human elements appeared in the order of subcategories of community, consideration of community, consideration of community participation, consideration of local industry. (Conclusions) In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expert's value structure for regionality expression factors, the results can be used for constructing evaluation criteria related to regionality, its application at the design stage, as well as in regional study in other fields. (연구배경 및 목적) 모더니즘 건축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나타났던 근대의 지역주의 건축과 달리 현대 도시, 건축, 공공 디자인 분야에서의 지역성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그 구체성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가 어려운 상황임을 이야기하고 있으나, 여전히 도시건축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디자인 전문가들이 지역성을 반영한 디자인을 하려고 하거나, 지역성을 고려한 심사를 하려고 할 때 참고할 만한 객관적 자료나 평가기준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성에 대한 지역 전문가들의 다양한 생각들을 AHP 분석을 통해 구조화하고, 우선순위와 항목간의 중요도 차이를 분석하여 객관적인 기준을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도시건축 분야에서의 AHP 연구와 지역성 관련 연구들을 종합하여 설문의 대상이 되는 지역성 표현 요소들을 추출하고, 2개의 계층구조로 분류하여 위계화 하였다. 다음으로 지역성과 연관된 디자인 전문가 중 건축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5가지 상위 항목과 이와 연관된 18가지 하위 항목으로 분류된 위계화 항목들에 대한 AHP 설문을 시행하고, 회수된 설문지의 응답내용을 통계분석프로그램과 AHP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각 항목들 사이의 우선순위와 중요도 값(가중치)을 구하고 지역성 표현 요소들에 대한 전문가들의 가치 인식 구조를 알아보았다. (결과) 선행 논문의 지역성 관련 요소들을 종합 분석한 결과를 AHP 설문의 계층구조로 적용시켜 상징성, 장소성, 풍토성, 전통성, 지역사회의 5개 항목을 상위 위계로 하는 전문가의 가치구조 분석틀을 제작할 수 있었다. 또한 설문 결과를 AHP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1차 계층구조 5개 항목과 2차 계층구조 18개 항목이 각 계층구조 내에서 가지는 상대적인 중요도 값(가중치)을 정량화하고 우선순위를 구할 수 있었다. 1차 계층구조 항목의 AHP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장소성-지역사회-풍토성-전통성-상징성의 순서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계층구조 항목에서 상징성의 하위 항목 중요도는 자연형태고려-도시형태고려-사회형태고려-인문형태고려의 순서로 나타났고, 장소성의 하위항목은 가치맥락고려-도시맥락고려-자연맥락고려-도시이미지고려-기념비성고려의 순서로, 풍토성의 하위 항목은 지역색채-지역재료-지역기후의 순서로, 전통성의 하위 항목은 전통공간응용-전통건축요소응용-전통인문요소응용의 순서로, 지역사회의 하위 항목은 공동체고려-주민참여고려-지역산업고려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이렇게 지역성 표현 요소에 대한 건축디자인 전문가들의 가치구조를 구조화하고, 각 항목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함으로서 지역성과 관련된 평가기준의 설정이나 설계단계에서 응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만들 수 있었다.

      • KCI등재

        제주도 뮤지엄 건축의 지역성 표현 연구 -비판적 지역주의를 중심으로-

        장종구 ( Jang Jonggu ),김용성 ( Kim Youngsung ),송석재 ( Song Seokj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Korea has achieve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rapid social changes such as war and military dictatorship, but modern architecture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on, not sufficient discussion and identity establishment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Jeju Island was relatively less affected by modernization of architecture based on the peculiarity of an island, and is one of the few places in Korea that has managed to preserve its local character through its preserved natural environment. However, the growing number of tourists and uncontrolled development since the 2010s have led to the loss of Jeju's regionality. Among them, art galleries and museums have the highest ratio to area in the country, but they are used only for commercial purposes rather than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Jeju's regionality or identity. In order for Jeju Island to become a sustainable tourist destination, it should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and localism should also be discussed in the architecture of museums visited by touris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existing Jeju Island Museum from a critical regionalism perspective, derive the elements of Jeju Island's regionality, and serve as a reference for expressing regionality in future museum architecture. (Method) As a theoretical review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comparative analyzes regionalism and critical regionalism is conducted. In addition, based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keywords shown in previous studies on regionalism, expression elements are derived to prepare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cases of Jeju-Island museum buildings are analyzed and evaluated. (Results) Placeness scored the highest and appeared in most buildings. Most of them represented places through slope adaptation and the influx of natural environment. Tectonic received the second score, the most common expression wa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material.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basalt, highlighting Jeju's unique geological features. As far as sensitivity is concerned, it has largely been lacking, as K. Frampton directly mentioned, with Ando Tadao's architectural works. (Conclusions) When analyzing the museum's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regionalism, the concept place was emphasised. However, the results derived were not effective in demonstrating the regionality of a specific area, but rather seemed to be a form of self-expression by the architect. The reinterpretation of basalt through reprocessing, color, and sensation is an effective expression of Jeju-Island's regional identity. Critical regionalism, which has limitations in expressing regions with unclear categories and definitions, needs to focus on constructivity. If architect keep the inflow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minimiz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xpand the scope of reinterpretation of local traditional structures, techniques, and materials, architect adopt a critical regionalism perspective that is both practical and effective.

      • KCI등재

        제주도 뮤지엄 건축의 지역성 표현 연구 -비판적 지역주의를 중심으로-

        장종구,김용성,송석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Korea has achieve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rapid social changes such as war and military dictatorship, but modern architecture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on, not sufficient discussion and identity establishment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Jeju Island was relatively less affected by modernization of architecture based on the peculiarity of an island, and is one of the few places in Korea that has managed to preserve its local character through its preserved natural environment. However, the growing number of tourists and uncontrolled development since the 2010s have led to the loss of Jeju's regionality. Among them, art galleries and museums have the highest ratio to area in the country, but they are used only for commercial purposes rather than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Jeju's regionality or identity. In order for Jeju Island to become a sustainable tourist destination, it should have its own characteristics, and localism should also be discussed in the architecture of museums visited by touris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existing Jeju Island Museum from a critical regionalism perspective, derive the elements of Jeju Island's regionality, and serve as a reference for expressing regionality in future museum architecture. (Method) As a theoretical review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comparative analyzes regionalism and critical regionalism is conducted. In addition, based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keywords shown in previous studies on regionalism, expression elements are derived to prepare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cases of Jeju-Island museum buildings are analyzed and evaluated. (Results) Placeness scored the highest and appeared in most buildings. Most of them represented places through slope adaptation and the influx of natural environment. Tectonic received the second score, the most common expression wa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material.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f basalt, highlighting Jeju's unique geological features. As far as sensitivity is concerned, it has largely been lacking, as K. Frampton directly mentioned, with Ando Tadao's architectural works. (Conclusions) When analyzing the museum's archite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regionalism, the concept place was emphasised. However, the results derived were not effective in demonstrating the regionality of a specific area, but rather seemed to be a form of self-expression by the architect. The reinterpretation of basalt through reprocessing, color, and sensation is an effective expression of Jeju-Island's regional identity. Critical regionalism, which has limitations in expressing regions with unclear categories and definitions, needs to focus on constructivity. If architect keep the inflow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minimiz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xpand the scope of reinterpretation of local traditional structures, techniques, and materials, architect adopt a critical regionalism perspective that is both practical and effective. (연구배경 및 목적) 국제주의를 기반으로 보편화와 합리성의 특성을 가진 근대건축의 양식은 전 세계에 전파되었다. 한국도 전쟁, 군사독재 등 급격한 사회변화를 거쳐 경제발전을 이뤄냈으나 근대화 과정 속 충분한 논의, 정체성 확립이 아닌 건설의 목적으로 근대건축이 이뤄졌다. 제주도는 섬이라는 특수성을 바탕으로 건축 근대화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았으며 보존된 자연환경을 통해 지역성을 보존하는 지역 중 한 곳이다. 하지만 2010년대부터 늘어나는 관광객, 난개발로 인해 제주 지역성이 희미해지기 시작했다. 그중 미술관, 박물관은 전국에서 면적대비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이지만 제주의 지역성이나 정체성을 확립하는 목적보다 상업적인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제주도가 지속 가능한 관광지가 되기 위해서는 제주도 지역만의 특성을 가져야 할 것이며 관광객이 방문하는 뮤지엄 건축에서도 지역성이 논의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지어진 제주도 뮤지엄을 비판적 지역주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제주도의 지역성 표현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추후 지어질 뮤지엄 건축의 지역성 표현 참고 자료로 역할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론적 고찰로 지역주의와 비판적 지역주의에 대해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지역주의의의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표현 특성과 키워드를 바탕으로 표현 요소를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제주도 뮤지엄 건축물 사례를 분석 및 평가한다. (결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역성 표현방식은 장소성, 구축성, 감각성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사례에 적용한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소성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대부분 건축물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대부분 경사지에 대한 순응, 자연환경의 유입을 통해 장소성을 표현하였다. 두 번째 점수를 받은 구축성의 경우 가장 많은 표현은 재료의 재해석이었다. 현무암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제주도 지역성을 표현하였다. 감각성의 경우 대부분 나타나지 않았으며 K.프램튼이 직접 언급한 안도 다다오의 건물 중 수공간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결론) 제주도가 지속 가능한 매력적인 관광지로 남기 위해서는 제주도 건축물의 지역성 상실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다. 비판적 지역주의 관점으로 뮤지엄 건축을 사례 분석하였을 때 장소성이 가장 높은 비율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도출한 결과는 특정 지역의 지역성을 보여주는 방식이라 보기 어려웠고 건축가의 의도에 의한 수단적 표현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현무암의 재해석을 통해 재가공, 색, 감각을 이끌어 내는 것이 제주도의 지역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범주와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지역을 표현하는 것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비판적 지역주의는 구축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자연환경의 유입과 자연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는 것을 유지하고 지역 전통 구조, 기법, 재료의 재해석 범주를 넓혀 연구한다면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또한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비판적 지역주의의 관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무형유산의 지역적 특성 문제-충남지역 전승음악 중심-

        전지영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4 No.-

        We have taken it for granted that the studies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ould show the cultural regionality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ulture), in tha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ight have strong relations to the relevant area. Can the equation of regionality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e in use without any question? ‘Region’ is considered not as an unchangeable essence but as something socially composed. For example, the studies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Ch'ungch'ŏng namdo 忠清南道 south Chungch'ŏng province, especially Naep'o 内浦 area, show that there are variabilities of analysis in the cultural regionality 地域性, and singl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region may be a fancy based upon political hope. It is clear that physiographic conditions are not the crucial issue in regional studie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should raise these questions. “Why we discuss on the regionality?” “What is the regionality?” Without these questions, the equation of regionality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ay be used as a political and ideological means. It seems to be the time that the studies abou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regionality should show new dimensions. 지역 무형유산 연구는 당연히 그 지역의 특성 및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무형유산=지역성’이라는 선험적 등식이 무반성적으로 통용되어도 좋은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지역’이라는 것이 불변의 본질적 개념이 아니라 가변적인 것이고 사회적 구성물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충남지역 전승음악(무형유산 음악분야)의 연구는 그 지리적 권역의 가변성, 관습적 해석에 대한 비판들, 단일한 지역특성 찾기의 어려움(예컨대 민요의 경우) 등으로 인해 지역성이란 무엇이고 왜 대두되는 것인지에 대한 성찰을 제공해준다. 어쩌면 지역 무형유산의 연구결과가 곧바로 지역적 특성으로 환원되어야 한다는 생각 자체가 희망섞인 상상력에 해당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문제는 이런 상상력이 정치적으로 기능한다는 점이다. 이런 현실은 무형유산연구과 지역예술학의 새로운 기획을 요구하고 있다.

      • KCI등재

        동북아해역의 언어지리학 연구-일본어 도호쿠방언의 지역성과 한국어와의 대조-

        쓰다사토시 ( Tsuda-satoshi ),양민호 ( Yang-minho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8 日語日文學硏究 Vol.106 No.1

        본 논문에서는 동북아해역의 언어지리학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지역성을 나타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 지역의 지리학적 분석을 고려해 볼 때, "지역주의"는 아시아 언어의 형성과 언어적 행동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 따라서 "지역성"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인식하느냐 하는 방법이다.그것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저자와 교신저자는 일본의 도호쿠 지방의 방언으로 상황을 묘사하는 특징을 명확히 밝혀야 했다. 특히, 필자들은 그 지역의 아스펙트(시간적) 표현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요약해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조사 대상 지역의 동쪽과 서쪽 사이에 "지역성"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것은 일본 방언의 형성 과정을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더욱이 "지역성"은 일본어뿐만 아니라 한국어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상황을 묘사할 때와 같은 특징이 한국어로도 나타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언어는 다르지만 상황을 설명하는 데는 비슷한 특징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역성"은 동북아 지역의 언어지리학적 측면을 조사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to study of geolinguistics in the Northeast Asian sea region, it indicates that it propose the idea of "regionality" (it indicates the features of each region) is necessary. In considering to analyze the geolinguistics in that area, “regionality” should be affecting its formation and verbal behavior of the languages in Asian. Thus, of aiming to clarify “regionality”, the matters is how to capture and recognize it.In order to solve them, firstly, we clarify the features of depiction of the situation in the dialect of Tohoku region of Japan. Especially, we summarize how to represent temporal expressions in the reg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difference of the “regionality” between east side and west side of the area become clarify. It supports that the formation process of Japanese dialects are analyzed.In addition, the “regionality” can be seen not only in Japanese but also in Korean. The same features of depiction of the situation also appear in Korean. They are different language, but they have similar features for describing the situations. Therefore, “regionality” indicates that there is an important meaning in investigating the geolinguistics of the Northeast Asian sea region.

      • KCI등재

        기획논문 : 지역 현대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법

        김승환 ( Seung Hwan Kim ) 한국문학언어학회( 구- 경북어문학회) 2008 어문론총 Vol.49 No.-

        When we study modern region literature, we would rather focus on `region` literature instead of `modern` literature. The terminology `region`, Jiyeok in Korean, has been acquired by the struggle with centralism. For this reason, the terminology of the region literature originates in the idea of equality. There are systematic lineages and notions in the methodology of modern region literature study as; literature study, Korean literature,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y, Korean modern region literature. The most important of the region literature is regionality and literality. The balance of the two determining factors is the key role of the region literature. The region literature are likely written through the idea of a regional way of thinking, way of living, way of sense etc.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 region literature could be expressed with regionality. When literary esthetic value could be revealed by the regionality of its own region, literary works will have a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literature. If we are trying to study region literature, we can adopt historian F. Braudel`s historical viewpoint of `long-term span` on the history, and Foucault`s archeological method. With those methodologies, we can analyze the cultural background of region literature. With those methods, researchers must establish the methodology of the modern region literature study. In brief conclusion, regionality might be adopted into the research methodology. There is one distinctive feature that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researchers have quite a different attitude from other province`s researchers. The reason of why they have such a different viewpoint has to do with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long term span of history. Unlike to other researchers, the two region`s researchers are concentrating on the their own regional identities.

      • KCI등재

        환동해 지역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권세은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2 아태연구 Vol.19 No.1

        This paper aims to shed some light on the "regionality(reality of a region)" of East Sea Rim region which is simultaneously influenced by the glocalization process - the recursive relations between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territorial boundary of East Sea Rim region includes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the western coast of Japan,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and the far-eastern region of Russia. East Sea Region has been experienced the dynamic regionality. Researchers and specialists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now face to the necessity of conceptualizing this new feature of the region. In other words, they need to conceptualize East Sea Rim region as a multi-layered region experiencing multi-dimensional regionalization process, which is recently discussed as a new concept, "regionness" in the field of regional studies. When a certain region enters into the process of glocalization, the region needs to be recognized as a field in which self-organization process(active and dynamic 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objects) is continuously operating. Therefore, for fully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East Sea Rim region, it is pre-requisite to recogniz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multi-layered and stratified featu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a certain region, it is necessary to shift our epistemological paradigm to a new one that implies trans-national and relational networks'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이 논문의 목적은 세방화(glocalization)의 맥락에서 복잡하게 변화하는 환동해지역의 실재(reality), 즉 지역성(regionality)을 새로운 개념인 ‘지역성(regionness)’으로 규명하는 데에 있다. 환동해지역은 일반적으로 동해를 중심으로 지리적으로 인접한 한반도 동해안, 일본의 서해안, 중국의 동북 3성, 러시아 극동지역을 포함한 범위다. 오늘날 이 지역은 다양한 지역성을 내포하고 있다. 세방화 맥락에서 이 지역은 영토에서부터 네트워크 개념까지 매우 다양하게 이해되고 있다. 이런 현상을 종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이 필요하다. 본고는 환동해지역의 다층적이고 다차원적인 지역화 과정을 중층적으로 관념화하고, 동시에 그 실재를 ‘지역성’으로 개념화하고자 한다. 지역은 단순한 공간이 아닌 능동적인 주체가 환경과 상호 교류하여 역동적으로 형성되고, 자기조직화되는 장(場)이다. 따라서 환동해지역의 복잡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중층구조를 가정하고, 근본적으로 세계는 층화되어 있다는 인식이 전제돼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지역의 실재를 국가 중심 단위의 실체적인 영토성뿐만 아니라 탈영토적이고 구성적인 관계성을 함께 지닌 환동해 지역의 중층성을 고찰하기 위한 개념화 작업의 일환이다.

      • KCI등재

        지역성을 위한 지역자산의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지역자산을 중심으로 -

        조승구,박희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5

        본 연구는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지역자산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이를 구체적인 내용으로 정리한다. 이 과정에서 지역자산은 특정한 지역성을 지칭하는 것이 아닌, 지역성이라는 무형적인 가치와 지역자산이라는 구체적인 내용을 이어 체계화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 이슈이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지역자산을 체계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산에 산재되어 있는 지역성을 종합하며, 그 결과를 다시 지역성과 기념비성의 관계로 파악함으로써 지역개발에 관련된 의사결정에서 보다 가치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역성의 도출이 단순하게 지역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시각적 인지와 더불어 그것이 지역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를 체계화하는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첫 번째, 지역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지역성 자체가 지니고 있는 의미를 살펴본다. 연구의 주요대상지는 부산광역시를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을 위한 방안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수치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의 지역자산과 지역성 그리고 기념비성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유형을 도출하는 것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establishes the regional asset dispersed in the region and arranges them as specific contents. The main issu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the regional assets not as referring to the regionality but to connect the intangible value of regionality and specific contents of the regional asset.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the regional assets in order to use them as more valuable data in decision making related to regional development by integrating the regionalities dispersed in Busan and to understand the results as a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ity and monumentality. Namely,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deduction of regionality not merely as expressing the identity of region but having a value as the regional asset along with visual recognition. Hence, this study is processed as following. Firstly, this study looks into the meaning of regionality itself through theoretical review on the regionality. The main object area of this study is Busan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empirical investigation. Based on the drawn figures, this study studies the recognition type of regional asset in Busan, its regionali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monumentality.

      • 三國時代 湖南地域 住居·聚落의 地域性과 變動

        이동희(Lee, Dong-hee)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0

        기존의 호남지역 주거·취락 연구에 있어서 문제점 중 하나는, 지역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원적인 접근을 하였다는 점이다. 호남지역은 한국고대사에서 자체적인 고대국가로 성장하지 못하고 백제에 의해 가장 늦게 편입된 주변지역이다. 그만큼 각 지역권별 문화의 특성은 타지방보다 더 늦은 시기까지 지속된다. 삼국시대(4~7세기) 호남지역의 주거와 취락은 전북서부, 전남서부, 전북동부, 전남 동부지역 등 4개 지역권별로 구분되고 계기적인 발전과정이 있었다. 원삼국시대부터 이 미 지역성이 있었고, 삼국시대에 접어들어 백제와 가야세력 등의 외부세력의 진출과 맞물려 호남지역의 주거와 취락양상도 궤를 같이 한다. 단계구분은 3기로 구분된다. Ⅰ기는 재지의 마한주거문화가 지속되는 단계이고, Ⅱ 기는 백제나 가야 문화의 파급으로 마한에서 백제로 전환되는 과도기(간접지배단계) 혹 은 가야연맹권에 포함된 시기이다. 간접지배 혹은 연맹체단계에서는 재지문화가 어느 정도 존속된다. Ⅲ기는 백제의 완전한 직접지배 단계로서 백제계 주거문화가 폭넓게 확산된다. One problem in the past studies on the dwelling and settlement sites in the Honam Region was unitary approach with no consideration of regionality. In the Korean ancient history, the Honam region did not grow into an ancient country but was incorporated the latest into Baekje among the surrounding regions. Thu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area continued until later than other regions. The dwelling and settlement sites in the Honam regio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areas of West Jeonbuk, East Jeonbuk, West Jeonnam and East Jeonnam, and they underwent a development process. They already had regionality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they showed the same settlement pattern of the Honam region starting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external powers such as Baekje and Gaya. There are three phases : phase I is the continuation of Mahan culture, phase II is the transition period from Mahan to Baekje with the propagation of Baekje culture(indirect domination phase) or inclusion in the Gaya Federation. The native culture subsists to some degree in the indirect domination or federation phase. In Phase III, the Honam region is completely dominated by Baekj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