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지방의 지배세력의 재형성과 변화

        강혜련(Hea-Ryon Kang) 21세기정치학회 2008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8 No.2

        Regional ruling groups in this context consist of personnels or groups of personnels who are working for the state organs and official institutions, in which governors and heads of the regional legislatures constitutes the top of the hierarchy. Regional ruling groups are diversified after the reform in the early 1990s when a part of for soviet elites who survived the reform were joined by new elite groups of various origins. Diversification of regional elites in the 1990 can be traced with a couple of referent factors: elite's attitude towards reform, relationship with political elites of the federal level, and adaptation to the changing surroundings such as economic success and so on. In the late 1990s, there emerged a new generation of regional political elite groups particularly in the 'large' federal subjects. In particular, an increasing proportion of elites from professional sectors, who resembles technocrats during the Soviet period, were recruited into regional elites groups to which added Siloviki groups of military and science sectors. Regional elections have critical impact in the changes of regional ruling groups.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legitimacy gained by the elections constitutes the very the basis of regional political power. In addition, political shifts in the center also have strong influence upon the elite changes in the regions. The federal government's incessant attempts to gain control over the regions appear to bear fruits in the Putin's regime. Putin's regional policy has been supported by political and material capabilities, which resulted in the restructuring of regional ruling elites.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심리사회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주동해(Dong Hae Ju)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20 사회복지상담연구 Vol.4 No.1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대상으로 심리사회역량 강화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심리사회역량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심리사회역량의 구성요소를 토대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고안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1개 지역아동센터를 선정하고 본 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중에서 참여의사를 보인 24명을 선발하여 무작위로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은 비동일집단 사전-사후 검증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집단에서는 심리사회역량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데 반해 실험집단에서는 심리사회역량에 긍정적 변화가 확인되어 심리사회역량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심리사회역량의 하위요인별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공감, 감정조절, 갈등해결,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에 반해 의사소통 영역은 효과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셋째, 집단상담프로그램 초기과정에서 아동들은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고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점차 타인의 표현에 공감하고 집단참여 수준이 향상됨이 발견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지역아동센터에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발전시킬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strengthen psychosocial competencies for children of regional child centers. To this end, the literature on psychosocial competency was reviewed and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mponents of psychosocial competenc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e regional children's center that agrees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lected, and among the children using the center, 24 people who show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were randomly selected from 12 experimental groups and 12 comparative groups. The effectiveness of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based on a non-identical group pre-post verification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change in psychosocial compet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omparative group, the positive change in the psychosocial competency was confi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sychosocial competency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verified.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of each sub-factor of psychosocial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in the areas of empathy, emotion regul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self-esteem. In contras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area has not been proven. Third, in the early stage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children showed only their own claims and did not match, but it was found that they gradually sympathized with the expression of others and improved the level of group particip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ways to develop group counseling program in regional child centers were presented.

      • ‘대구경북학’의 모색

        김영화(Kim Young-Hwa),김태일(Kim Tae-Il)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5 No.1

        대구경북학이 왜 필요한가? 필요하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이는 그동안 대구경북지역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불식시키고, 자생적, 타생적 편견, 과도하게 왜곡된 정치의식을 바로 잡고, 이 지역 원래의 모습을 되찾으며, 지역의 정신과 지역민의 삶, 그리고 정체성을 되찾는 데서 출발한다. 이는 지역의 미래 발전에 커다란 동력이 될 것으로 생각하며, 어떻게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것인가하는 문제는 대구경북학을 만들어야 하는 필요성과 연결된다. 1990년 초 지자체가 복원됨으로써 지방화시대가 열렸고, 이와 때를 같이 하여 지역학들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지방과 중앙의 기형적 양대구조를 극복하고, 어떻게 대구 경북의 비젼을 만드는가 등 지방화와 더불어 지역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1990년대에 여러 지역에서 지역학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대구에서는 지역에 대한 남다른 문제의식으로 1985년에 지방사회연구회가 제일 먼저 조직단위로서 지역연구를 처음 시작하였고 이를 계기로 다른 지역에도 여러 지역연구회가 만들어지게 되면서, 지역학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정작 대구에서는 파편적이고 분파적인 형태로 분산되었고, 학문이나, 센터, 기구로 연결되는 데는 다른 지역보다 뒤진 형태를 보이고 있다. 대구는 폐쇄적이고 가부장적인 특성을 가진 도시로 보여짐으로써 이를 규명하는 일도 대구경북학이 담아내야하는 일이다. Why ‘Daegu-Gyungbuk Studies’ are needed? If it is, how they should be? From the experiences of other regional studies, ‘Daegu-Gyungbuk Studies’ should begin with wipping out existing prejudices and misunderstanding about Daegu-Gyungbuk area which have been gradually formed since last few decades; and debunking and explaining in these long time produced biases, excessively distorted political consciousness on this region: recover and re-finding indigenous features, spirit of community, local life of the people and their identity. All these issues are great energy for driving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future, so that they give great motivation for building ‘Daegu-Gyungbuk Studies’. Restoring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the early 1990’s, the era of the localization opened, and local studies have been emerging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tyles at that time. Moreover it becomes major tasks that examine the identity of local community with the localization, such as dealing successfully with malformed dichotom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rovince, having vision in view for Daegu-Gyungbuk. In 1990’s regional studies began to activate in several regions. The “local-community study group” in Daegu began regional studies as a unit of organization for the first time 1985 with the sharp consciousness of regional issues, which played a determined role for setting up regional studies. Taking this opportunity a few groups of regional studies were organized in other regions. But unfortunately the regional studies in Daegu itself spreaded out in fragmental and partial form and it is now far behind in associating with scholarly attainment, forming regional study center, or organization, at the end. As Daegu is shown with closed and hierarchical character, it is a task for ‘Daegu-Gyungbuk Studies’ to explain those “cliche”, as well.

      • KCI등재후보

        1920-1930년대 지역 정악 단체의 현황과 활동 의의 -신문 기사에 나온 강습과 공연을 중심으로-

        이예원(Lee, Yewon) 한국국악교육학회 2023 국악교육 Vol.53 No.53

        본 연구는 전통음악의 암울한 시기였던 일제강점기 가운데 1920년대부터 1930년까지 전국의 지역에서 설립, 운영되었던 정악 단체의 활동상을 통해 교육사적인 의의를 분석한 논문이다. 그동안 이 시기의 정악 단체의 활동상에 대한 논고들은 특정 지역으로 한정되어 부분적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전국에서 설립, 운영되었던 정악 단체들의 실체에 관해 총체적으로 점검되지 못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자료와 더불어 신문자료에서 나타난 정악 단체를 추가로 조사하고, 이를 연도별, 지역별, 내용별로 분류하여 정악단체의 본모습을 재점검하였고, 교육사적 위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선 후기부터 내려온 정악의 전통이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쇠퇴하고 있어, 이를 지키고 부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악에 관심이 있는 지역민들이 교육과 공연을 병행하고 있었다. 정악 단체들이 설립, 운영되었던 지역은 경기도 인천, 충청북도 음성, 충청남도 공주, 홍성, 전라북도 전주와 정읍, 전라남도 광주와 장성, 경상북도 예천, 경상남도 울산, 통영, 진주, 강원도 원산, 춘천, 통천, 함경남도 함흥, 평안북도 평양 등으로 폭넓게 확산하는 양상이었다. 이후 이들 지역에서는 정악과 관련해 자체적인 교육과 더불어 중앙의 유명인을 초청하고 교육생을 모집, 공연까지 시행함으로써 전통음악의 전승자 역할의 소임을 다하였다. 또한 정악 관련 단체들의 명칭이 지역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지역명과 더불어 혼용되어 사용하고 있었다. 교육 장소와 공연 공간도 사가와 서양식 신식극장, 공회당, 청년회관, 자체 건물 등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이전 시대와 전혀 다른 환경 속에서도 정악 단체들을 지역별로 자발적으로 설립해 운영함으로써 보존과 대중성을 동시에 확보하게 근간이 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Jeongak groups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and the significance of their classes and activities that were established and operated in regions across the country from the 1920s to 193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was a dark time for traditional music. Until now, the activities of Jeongak groups during this period have been discussed and partially studied limited to specific regions. Therefore, the reality of Jeongak groups established and operated across the country has not been comprehensively examined. This paper additionally investigated Jeongak groups that appeared in newspapers in addition to existing data, and classified them by year, region, and content to re-examine the classes and activities based on the status of regional Jeongak groups at the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radition of Jeongak that descende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was in declin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ocal community leaders who were interested in protecting and reviving Jeongak established relevant groups and organized both classes and performances. Regions where Jeongak groups were established and operated tended to spread widely, including: Incheon, Eumseong in Chungcheongbuk-do, Gongju and Hongsung in Chungcheongnam-do, Jeonju and Jeongeup in Jeollabuk-do, Gwangju and Jangseong in Jeollanam-do, Yecheon in Gyeongsangbuk-do, Ulsan, Tongyeong-si and Jinju in Gyeongsangnam-do, Wonsan, Chuncheon and Tongcheon in Gangwon-do, Hamheung in Hamgyongnam-do, Pyongyang in Pyonganbuk-do, etc. Afterwards, Jeongak groups organized their own classes, invited famous figures from the central region, and even conducted performances through lessons for general public, fulfilling their role as transmitters of traditional music. In addition, names of groups related to Jeongak slightly varied depending on the region, but were usually a combination of name of region with Jeongak institute, Jeongak society, Jeongak club, Jeongak school, Jeongak class, Pungnyu society, Jeongak research society, Sajeonggye, Jeongak union, etc. The places of classes and performance stages were divided into private residence, Western-style new theater, public hall, youth center, group’s own building, etc. Spontaneous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Jeongak groups in each region in an environment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ra became the basis for securing both preservation and popularity. Eventually, the members of Jeongak society who established and operated regional Jeongak groups in the 1920s to 1930s can be regarded as successors and leading figures of traditional music for their constructive activities. Accordingly, local figures who established and were active in Jeongak groups were members of society who protected modern Jeongak through transmission and dissemination of Jeongak even during the social changes due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전주기령당(全州耆寧堂)의 지역사회 활동

        설주희 전북사학회 2017 전북사학 Vol.0 No.50

        Crisis in local society in Josun was heightened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existing regional ruling powers gradually lost their control and the status rise of lower-class people was progressing. After that, the capitalists and the figures who were in corrupt relationship with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ppeared as the ruling power of community. Such reorganization of regional structure demanded 'new regional ruling method' soon. This study explored the phenomenon of regional ruling through regional group which was one of 'new regional ruling methods'. Jeonju Kiryeong-dang was a regional group that had been existing befor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which functioned as a catalytic agent to have the government's regional ruling policy be easily spread over local community after modern times. The broad range of local community's activities from modern era to the present day was all closely related to government policies. The correlation with government was related not only to the activities of Kiryeong-dang but also to its finance and member's social position. The biggest part of Kiryeong-dang's income was contribution. The main agents of such contribution were the members but the contribution of public offices such as Jeonju City Hall, Jeollabuk-do Provence and Jeonbuk Police Station took the major part. All the former Jeonju mayors and Jeollabuk-do governors have also visited Kiryeong-dang and left their names on the visitors' book when they started for their new posts. This shows the relation between Kiryeong-dang and government. In addition, the members of Kiryeong-dang were public officers or in a social position easy to control regional public opinion.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Kiryeong-dang members who can form regional public opinion, government and Kyryeong-dang maintained a constant relationship. Kiryeong-dang, which was an assembly area of influential figures in the region and utilized as a foothold to form public opinion, showed the nature of a simple nursing home. The cause of the nature change seemed to be the realization of autonomous local government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many social groups. This made it possible to form public opinion immediately and gradually replaced the role of Kyryeong-dang. Therefore, Kiryeong-dang, which was a transformation example of ruling policy for modern community, is now remaining as a nursing home with a long history.

      • KCI등재

        한국의 분권과 자치에 관한 역사지리적 고찰: 다문화 8도 지역분권모델을 위하여

        옥한석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사회사상과 문화 Vol.22 No.3

        This study firstly analyzes the old Korean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about decentralization by rule of multi ethnic groups which is associated with their autonomy, rather than single ethnic and lineage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 Secondly, it reviews periodical changes of administrative boundaries for decentralization and suggests 8 province system that is already validated. Koryo dynasty and previous Kingdoms consisted of multi ehtnic group, which strongly ruled their local areas even though reorganizing local administrative boundary. However, in Chosun dynasty, King sent local governor, in place of him to rule over with his strong centralized power. Through this, the Chosen dynasty created multi lineage groups to be ranked. And this ranking system led a society with an order based on Confucianism. The dynasty reorganized 8 provincial administrative boundary to rule the ethnic groups, weakening the autonomy. Against Japanese rule, awareness of single ethnic was aroused, increasing the independent movement, but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enforced centralized colonial rule. After liberalization, Korean military government has been always the sam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population growth, Korea should move toward a multi cultural society, which is based on 8 provincial decentralized autonomous model, being evidence of foreign labors and family groups. The model effects on civil groups making better harmony of the free market and state in post-modern society. 이 연구는 오늘날 단일민족(單一民族, single ethnic group)의 중앙집권적체제와 달리 한국은 과거 오랫동안 다종족(多種族, multiple ethnic groups) 의 분권전통이 오히려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다는 점에 착안하여 첫째다수 종족 지배 중심의 분권과 자치에 관한 역사적 고찰과 행정구역 변화를 시대별로 살펴본 다음, 둘째 다문화 사회로의 변동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8도의 지리적 범위가 분권의 단위가 될 수 있는지를 구명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자유와 다문화 8도 지역분권’ 모델을 제시하게 된다. 고려시대와 그 이전의 왕조는 주로 북방계 종족에 의한 다종족국가(多 種族國家)였으며 이들을 중앙의 왕조 속에 흡수하고자 행정구역이 설정되고 개편된 후, 거의 중요 군현에 지방관이 파견되는 8도체제가 조선왕조에 자리 잡으면서 중앙 군주의 힘이 절대적으로 행사되고 지방 군현에자리 잡은 주요 종족들 중 주요 종족(宗族, lineage groups)들이 관료임용제도인 문과와 무과에 합격하는 길을 택하여 자신의 세력을 유지하였기때문에 행정적 품계에 따라 왕권과 병렬하는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샤머니즘과 태양족 즉 천손의 후예인 단군 숭배라고 하는 유목토속문화에 길들여진 고대 종족(種族, ethnic groups)은 외래종교인 불교나 유교와동화되어 중앙집권적 체제가 한반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데까지 천년이상의 시간이 걸렸으며 고대적 유목적 전통이 정착농경문화로의 문화적 변용(acculturation)이었던 것이다. 불교사찰의 가람 배치 요소 중의 하나인칠성단과 산신각이 그것을 말해주며 종족(種族)의 세력 중심의 상징물이었던 서낭당이 불교 유입이후의 향도로 대체되고 조선왕조에 들어와 유교의 서원과 향청이 이를 대신하게 되었다. 불교의 자치세력인 향도가조선 왕조의 성리학적 향약으로 대체될 때까지 지속되었던 것이다. 동화되어 나타난 종족(種族) 세력 내의 다양한 성씨 집단은 조선 왕조에 들어서 지역에 기반을 둔 부계혈통의 종족(宗族, lineage groups) 세력으로서부침을 거듭하게 되었다. 이른바 해동천하라는 이념 아래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종족(種族)의 고려왕조는 조선 왕조에 들어와 유교적 이념과 새로운 문자, 이른바 한글에의한 문화적 통일이 시도되었다. 다양한 관습과 문화를 가진 지방호족 중특정 종족(宗族)들은 성리학적인 세계화 속에서 한글의 사용에 따라 의사소통이 보다 더 강화되고 이론화되어 단일민족이라는 의식이 싹트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당시 지방호족들은 말씨가 달랐으며 오늘날 사투리로남게 되었다. 그 후 동시에 종족적(種族的) 우위보다는 특정 집안의 우월감, 바로 종족적(宗族的) 우위와 성리학적 이념의 도덕적 우위가 널리 수용되었고 부계조상(父系祖上)에 대한 제사가 성행하게 되었다. 조선왕조는 주자의 성리학적 이념을 구현한 중앙집권적 지배체제의 완성이었다. 중앙집권적 체제가 실현된 조선시대의 8도제는 상이한 문화와 역사적배경을 담고 있는 지리적 범위로 인식되어 은연중에 지리적인 ‘지역구분’의 단위로 받아들여 질 만큼 중요해졌으며 오늘날의 분권과 자치를위한 단위로 적용해볼 만하다. 또한 가까운 시일 내에 인구 급감을 경험하게 되는 한국은 8도를 단위로 수정된 ‘자유와 다문화 지역분권’ 모델은 분권과 자치를 기본을 한 다문화사회로의 변동에 유익하리라고 본다. 시민사회가 중심이 된 지역공동체...

      • KCI등재

        백제의 웅진 천도 배경과 천도지 선정과정 검토

        최욱진(Choi, Wuck Jin) 백산학회 2012 白山學報 Vol.- No.94

        475년의 웅진천도는 고구려의 침략이라는 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 천도였다. 하지만 외부적 요인에 의해 천도가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그 과정에 내부 정치세력간의 갈등이 없었다고 볼 수는 없다. 수도의 선정은 항성 정치적 판단의 결과이며, 향후 정국운영의 향방과 관련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점을 토대로 천도의 배경과 천도지 선정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개로왕은 즉위과정에서 정변을 통해 집권 세력의 교체를 단행함으로써 개로왕 중심의 정국운영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정국개편과 더불어 대외적으로는 직·간접적으로 고구려를 압박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대내외적인 정책은 실패로 돌아갔으며, 475년 고구려의 공격에 의해 개로왕은 패사하고 한성은 함락되었다. 개로왕의 뒤를 이어 즉위한 문주왕은 개로왕대 상좌평을 역임했던 핵심세력의 하나로서 한성함락과정에서 개로왕의 직계가 모두 죽임을 당함에 따라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하지만, 개로왕대 함께 활동했던 세력들이 한성함락과정에서 큰 피해를 입으면서 문주왕의 지지세력은 미약했으며, 패전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이러한 제반요건으로 인해 문주왕 대에는 개로왕 대와는 다른 새로운 세력이 부상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문주왕 즉위 이후 등장한 세력들은 왕의 측근세력이었던 목협만치와 조미걸취, 개로왕 대에 배제되었다 재등장한 해씨와 진씨세력 그리고 구원군으로 참여하면서 중앙정계에 등장한 지방세력들이었다. 문주왕 즉위 이후 가장 먼저 이루어진 조치는 천도였다. 천도의 주도세력과 관련해서는 웅진과 인접한 수촌리 고분군의 조영세력에 대한 검토와 분석에서 출발하였다. 수촌리 고분군 조영세력이 누구인가에 대해서는 새로운 천도지인 웅진과 인접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천도의 주도세력으로서 비정되었으며, 왕실세력 혹은 유력한 지방세력의 하나로서 검토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기되었던 견해들에 대한 검토결과 현재로서는 수촌리 고분군 조영세력을 어느 특정 세력으로 비정할 수는 없으나, 주변의 다른 유적들의 조영세력들과 마찬가지로 백제 한성기 유력한 지방세력의 하나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천도지의 선정 과정을 추정해 봄으로써 공지였던 웅진이 채택된 이유를 살펴보았다. 즉 문주왕 등의 왕실세력과 해씨와 진씨 등의 중앙 세력은 한성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지 않으면서 방어에 유리한 그리고 향후의 정국운영을 위해 세력 적 공지를 선호하였다는 점, 이와는 달리 구원군으로 참여했던 지방세력들은 자신들의 세력기반 인근으로의 천도를 원하였다는 점, 이에 지방세력들이 주장한 여러 지역 중 차령산맥과 금강에 의해 육군의 방어에 유리하면서 수운교통이 편리한 금강유역권의 공지지역이 검토되었으며, 이중 수군의 공격에도 방어하기 유리했던 웅진지역이 채택 되었다. 결국 천도지 선정은 어느 한 세력의 주도하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으며, 각 세력들의 이해관계 속에 합의를 통해 이루어 졌다. 그러므로 천도를 주도한 세력은 없었으며, 천도 이후의 정국운영을 주도할 수 있는 세력 역시 없었다. 천도 이후의 혼란한 정국은 이러한 이유에 기인하였던 것이다. King Gaero sought for King Gaero-centered operation of the regime by changing the existing leading powergroup in the process of his ascending to the throne. Along with the reshuffling of the political organization, he also started giving pressure to Goguryo Kingdom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However, hi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turned out to be failure and in 475 A.D., King Gaero was killed by the attack of Goguryo Kingdom and the capital Hansung was occupied by Goguryo. King Moonjoo, the brother of King Gaero, became the king in succession of King Gaero, because King Gaero immediate family memberswere all killed. However, the major power group of King Gaero was seriously damaged in the process that the capital was taken by the enemy, and thereby the bedrock of support for King Moonjoo was very weak. In addition, as King Moonjoo was one of the core power in the King Gaero's regime, he could not be free from the responsibility of the defeat in the war and there was a big vacuum in the political system as the major power group had big damage in the process that the capital was taken by the enemy. Due to such circumstances, in the King Moonjoo' regime, a new power group emerged and they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King Gaero. Those groups that newly emerged by the accession of King Moonjoo were Mokhyepmanchi and Jomigeolch who were close power to the King, Hae Family and Jin Family that lost their power in the era of King Gaero and resumed theirpower again, and regional power that participated in a salvation army and advanced to the central political arena. The first action after accession of King Moonjoo was to transfer the capital. Regarding the power group that led the transfer of the capital, we studied the review and analysis on the power group that built the tomb clustered Suchon-ri, which was close to Woongjin. They were considered a power group who led the transfer of the capital in that the tomb cluster was located close to Woongjin, the candidate site for a new Capital. This study reviewed them as one of the royal power groups or influential regional power groups. However, there were problems on the views on Bae Family, and Mok Family who were close to the King, and an influential regional power group that led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herefore, we cannot designate the power group that built the tomb clustered Suchon-ri a certain power group, but they were assumed to be one of the influential regional power groups in the era of Hansung Capital in Baekje Kingdom, like other power groups who built other tomb clusters. And, reviewing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new capital site for transfer, this study assumed the reason why Woongjin was selected for the site, in spite of it had no power then. That is, Woongjin was selected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 royal power group including King Moonjoo and the central power group such as Hae Family and Jin Family preferred a place without power that was not so apart from Hansung butadvantageous for defense and the political operation in the future, while the regional power that participated in the war as a salvation army wanted anew capital city close to their power basis. In that sense, among many candidate regions insisted by regional power, the site near Geum River was reviewed for a new capital city because it was advantageous for the defense for the army owing to geographical reasons of the Charyong mountains and Geum River and convenient water transportation. Woongjin was selected because the region was advantages for defense against the attack of the naval enemy. Therefore, the selection of a site for a new capital was not led by a single power group but by the agreement of each power group and according to their interest. Therefore, there was neither power group who led the transfer of the capital nor those who led the operation of political regime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 KCI등재

        직업 집중도를 이용한 지역특성의 규정화에 관한 연구

        남기성,황기돈,정승철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3

        본 연구는 지역 거주민의 직업집중도를 바탕으로 지역 그룹화하여 지역특성을 규정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지금까지 지역의 직업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공신력있는 지역 통계의 부재와 연구 우선순위에 밀려 불모지와 같았다. "어떤 지역에 어떤 직업 관련 종사자가 많다"와 같이 데이터에 근거하지 않고 직감에 의존하던 것을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분석을 사용하여 각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입지계수를 보완한 집중도지수 NOHI를 이용하여 시·군·구에 따른 직업별 종사자수의 집중도를 구한 다음 다차원척도법을 사용하여 지역을 맵핑하였다. 그리고 요인분석에 의해 저차원으로 의미부여를 하고,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지역을 분류한 후에 지역 특성을 규정화하였다. 연구결과 각 지역은 7개의 그룹으로 직업분포에 따라 지역을 규정할 수 있었다. 이는 지역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연구 및 노동 분야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지금까지의 분석과는 다른 차원에서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re-allocated administrative regions into occupational salient regions considering distributional differences of occupations. Until now,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regional occupational particularities owing to lack of regional reliable statistic data. The OES(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survey) data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offer reliable informations on occupations and employment of 231 regions in South Korea and thus permitted us to analyse quantitatively occupational particularities in each region. Our main analysis method is a NOHI concentration index, which improved location quotient. The result is that each region can be reassigned into 7 groups in terms of occupational particularities. This can be used as a basis of regional policy-making and the fact that we used statistics technique that did not be used in labor study is meaningful.

      • KCI등재

        광역-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지방의회 의원의 전문성 강화에 관한 연구: (가칭) 광역정책지원단의 설립을 중심으로

        유동상(Yoo DongSang),강인호(Kang InH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20 No.1

        This study starts from the fact that the previous literature have provided nonrealistic alternatives to enhance local councils' expertise. Even though all of the alternatives have been justified, they could not be feasible because of the constraints of parent laws, deteriorated local financial health, and the difficulties of deriving social consensus. So, based upon the regional-cooperative governance, this study tries to provide a feasible alternative that can avoid the previous problems, tentatively named “Regional Policy Support Group.” “Regional Policy Support Group” can be more feasible than the previous alternatives. Since it is jointly established by local governments, it could reduce the concerns about local government financial health. In addition, legal issue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a new organization would not be raised since it is financed and jointly owned by local governments. Finally, those advantages would be a driving force to get social consensus from local residents. The problems that local governments face have become complex and changed day to day. Local councils, as a policy decision making body, should enhance their expertise to address those problems effectively. One of feasible way to support and enhance it should be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Policy Support Group.” 본 연구는 기존의 지방의회 전문성 강화와 관련된 대안들이 현재의 상위법령의 제약, 재정건전성 악화 우려, 그리고 이로 인한 주민의 사회적 합의 도출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실현가능성이 낮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이로 인해 본 연구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는 광역-협력적 거버넌스의 이론적 근거 하에 ‘(가칭)광역정책지원단’ 설립을 제시 하고 있다. ‘광역정책지원단’은 그 성격상 일정 권역내의 기초지방자치단체들이 공동부담으로 설립할 수 있기 때문 에 재정 건전성 악화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출자 혹은 출연하여 공동의 광역연구기관을 설립하기 때문에 법적 문제가 제기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이러한 공동의 투자는 지역주민들로 하여금 연구기관의 설립에 동의를 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오늘날 지방자치단체의 당면한 문제는 더욱더 복잡해지고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서 지방의회는 전문성을 구비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대안 을 개발•제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현실적인 전문성 제고 방안이 ‘(가칭)광역정책지원단’ 설립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영보의 친족조직과 친족집단간 관계

        김창민(Kim Chag-min) 역사문화학회 2003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6 No.2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of kin groups and regional identity. For this aim. I have done anthropological field research on Youngbo where two major patrilineal descent groups have dwelled for about 600 years. The name of two descent groups are Choi and Shinne which are noblemen (Yangb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ough Choi and Shinne have very similar historical background as a noblemen, they have different structure of kin group. Choi have one dominant ancestor and they integrated by one big-lineage. But Shinne have five reputed ancestors and each reputed ancestor is apexes of small-lineage. Choi and Shinne have competing for reputation of noblemen on Youngbo. They rebuild symbols of kin group such as ancestor halls,pavilions and set up monuments and stone markers of such symbols. They also develop the grounds of arguments who are more dominant noblemen. In this competition. Choi demonstrate integrated capacity of one integrated big-lineage, but Sinne play divided ability of each small-lineage. The competition of Choi and Shinne for reputation of nobleme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ional identity of Youngbo as a nobility village (Yangban-maul). Undertakings of two kin groups for promoting their social status as a noblemen result in monuments building and renovation of historical houses. That is,their competition promotes the reputation of Youngbo as a nobility village. In this regards. it is insisted that kin groups and regional groups are not strictly divided but well connected on nobility village. The identity of village is not separated from that of kin group and social status of village is determined by that of kin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