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gional Borders and Trade in Asia

        이웅,배찬권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4 남아시아연구 Vol.19 No.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regional borders on trade in Asia. The regional borders define the three regions of Asia: South, Southeast, and East Asia. Regional trade indicates the flows of trade within a region, whereas regional border trade means trade across regions. A gravity model is augmented with the region dummies to estimate the regional border effects that capture any and all time-invariant factors promoting or impeding regional trade. The main finding is that regional border effects are asymmetric on the three regions in Asia. There is a large and significant regional border effect on South Asia, small on Southeast Asia, and negligibly negative on East Asia.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regional border effect in South Asia suggests that countries share intrinsic factors facilitating trade between the countries in this region. Although the regional border effect of Southeast Asia is positive, its magnitude shows little difference between its regional trade and regional border trade. Finally, the estimate on East Asia presents a completely different picture from the actual data. It implies that there exist some factors leading to active regional border trade between East Asia and other Asian regions.

      • KCI등재

        Regional Borders and Trade in Asia

        Lee, Woong(이웅),Bae, Chan-Kwon(배찬권)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4 남아시아연구 Vol.19 No.3

        이 논문은 아시아의 각 지역 간 교역에 관한 연구이며, 이를 위해 “지역 간 국경무역”(regional border trade)이라는 개념을 도입 한다. 지역 간 국경무역이란 한 지역에 속한 국가와 다른 지역에 속해있는 국가 간의 교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동아시아에 속해있는 한국과 남아시아에 속해있는 인도와의 교역이 이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의 주요 3개 지역인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의 지역국경효과(regional border effect)를 분석한다. 지역국경효과가 양(+)의 부호를 보이면 지역 내 국가 간 교역을 촉진 시키는 고유한 요소들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중력모형을 기반으로 각 지역의 국경효과를 추정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아시아에서의 지역국경효과는 비대칭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남아시아의 값이 가장 크며 양(+)의 값을 가지는 반면, 동남아시아는 지역국경효과가 거의 없으며, 동아시아는 지역국경효과가 음(-)의 추정계수를 취한다. 가장 큰 규모의 양(+)의 부호를 가지는 남아시아의 지역국경효과는 남아시아 국가 간 교역을 촉진시키는 고유의 요소들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남아시아의 경우, 지역 내와 지역 간의 교역이 별반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며, 동아시아가 가지는 음(-)의 추정계수는 동아시아 국가들과 동남아시아 또는 남아시아 국가 사이에 지역국경교역이 동아시아 내 교역보다 활발히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regional borders on trade in Asia. The regional borders define the three regions of Asia: South, Southeast, and East Asia. Regional trade indicates the flows of trade within a region, whereas regional border trade means trade across regions. A gravity model is augmented with the region dummies to estimate the regional border effects that capture any and all time-invariant factors promoting or impeding regional trade. The main finding is that regional border effects are asymmetric on the three regions in Asia. There is a large and significant regional border effect on South Asia, small on Southeast Asia, and negligibly negative on East Asia.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regional border effect in South Asia suggests that countries share intrinsic factors facilitating trade between the countries in this region. Although the regional border effect of Southeast Asia is positive, its magnitude shows little difference between its regional trade and regional border trade. Finally, the estimate on East Asia presents a completely different picture from the actual data. It implies that there exist some factors leading to active regional border trade between East Asia and other Asian regions.

      • KCI등재

        총선으로 본 지역주의

        김재한(Jai Han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3 No.4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소선거구제로의 변화로 또한 지역기반 정당의 출현으로 13대 총선 이후 전국적인 투표 행태가 종래 여촌야도에서 지역주의적인 양상으로 바뀌었다. 충북·전북·경북의 접경지역인 영동군, 무주군, 김천시를 대상으로 지역적 정당정체성의 변화를 검토하고, 각 후보자 선택 기준의 중요도를 비교하여 투표 행태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시군 단위로 볼 때, 타도와의 문화적 친화성으로 인해 영동군은 전면적으로 무주군은 부분적으로 지역당에 대한 지지가 약화되는 반면, 김천시는 지역당에 대한 지지가 확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읍면 단위로 본 이웃효과는 3 시군 모두에서 부분적으로만 확인되었다. 후보자의 정치적, 사회적 특성이 유권자의 투표행위라 할 수 있는 득표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선형근사식을 통해 살펴 본 결과, 여러 설문조사와는 다르게 후보자의 소속 정당이나 출신 지역 등 지역적인 선택 기준을 중시하고 있다. 지난 17대 총선을 기점으로 지역정당이 쇠퇴하고 있어 향후 정치적 지역주의에 어떠한 변화가 초래될지 주목된다. After the democratization process since 1988, the national scale voting behavior in congressional elections has changed from a rural-government party and urban-opposite party connection to a political regionalism oriented pattern. In this context, the case study with provincial border regions aims to investigate possible party identification change of the region, and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polling score ratio and soci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ndidates. As a result, Yeongdong shows a strong negation to the presumed Chungcheong local party and shows a continuous party identification with the Kyungsang local party. Muju reveals a more or less weakened identification with the Jeolla local party, on the contrary, Kimcheon shows a unchanged strong identification with the Kyungsang local party. The regional neighborhood effect was verified quite partly between the subdivision districts of the border regions. With a application of linear fitting method, it is certified that voters hav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belonging party, native place, as well as political career of the candidates as a voting criterion.

      • KCI등재

        한국의 지역 간 거래에서의 국경효과에 대한 연구

        박건영(Kon-Young Park) 한국관세학회 2016 관세학회지 Vol.17 No.1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border effect by gravity model based on the data of inter-regional trade in Korea. Border effect means that border restricts the trade between regions or nations. We have used input-output table(regional table) including trade amount between 15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of Korea. We have classified the industries into primary industry(including the mining, agriculture and fisheries), manufacture and service industry. We also have divided the trade amount into the intermediate goods and final goods trad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rade volume of intra-region is 11 times bigger than that of inter-region for the total industry and total trade amount. That means there is significant border effect in regional trade of Korea. Meanwhile, the magnitude of border effect is the biggest in primary industry and manufacture has bigger border effect than service industry in the intermediate goods trade. Those results tell us that border effect may be affected by not only trade barriers such as tariffs and non-tariff barriers, but also geographical distribution or concentration of industry and several characteristics of industry such as differentiation of goods.

      • KCI등재

        동해연안 남북접경지역에서의 교류협력사업 선정 및 파급효과 분석

        김영봉,이승복,김은정,김갑성 한국지역학회 2009 지역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 number of inter-Korean collaborative projects and analyze their ripple effects in an effort to activate the inter-Korean collaborative projects executed in the borderland of the two Koreas. The spatial range includes the borderland next to the East Sea coastal area within Gangwon-do of both Koreas and the surrounding waters. To analyze the priorities among the projects, the composite weight was calculated through the AHP method. The selected priority projects included the Mt. Seorak and Mt. Geumgang tours, road and railway installations and joint services, exploration of main tourist attractions, support of infrastructure, the opening of Northeast Asian distribution routes, joint natural disaster preventive efforts, and the creation of green ecological environments in the DMZ.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conomic effects of the Mt. Seorak and Mt. Geumgang tours, the production encouragement effect is expected to amount to 1.556 trillion won for South Korea, 863 billion won for North Korea, and 1.9 trillion won for Gangwon-do. The value added inducement effect will be 868 billion won, 710 billion won, and 938 billion won, respectively. In terms of employment creation, the anticipated impacts are 238,000 persons, 126,000 persons, and 186,000 persons, respectively. 본 연구는 남북한 교류협력사업의 활성화와 협력기반의 구축을 위한 동해연안에서의 협력사업 선정 및 파급효과 분석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공간적 범위는 동해연안 남북 강원도 지역과 주변해역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AHP 기법을 이용하여 교류협력사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시범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예측하였다. 우선순위 사업으로는 설악산․금강산 관광연계사업, 도로ㆍ철도시설 설치 및 공동이용사업, 문화유적지 등 주요관광지 탐사사업, 항만 등 기반시설 지원사업, 동북아 물류 항로 개설사업, 화재 및 홍수 등 자연재해 공동대처사업, 비무장지대 내 녹색생태환경 조성사업 등이 선정되었다. 최우선순위 사업인 금강․설악산 연계관광의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의 경우 남한 약 1조5560억원, 북한 8630억원, 남북 강원도 1조900억원 수준이다. 부가가치유발효과는 남한 8680억원, 북한 7100억원, 남북 강원도 9380억원으로 나타났다. 고용유발효과는 남한 238천명, 북한 126천명, 남북 강원도 186천명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국경간 전자상거래 무역창업 교육훈련 전략

        김학민 ( Hag-min Kim ),배경원 ( Kyung Won Bae ),이예림 ( Yea-rim Lee ),김대곤 ( Dae Gon Kim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9 통상정보연구 Vol.21 No.2

        국경간 전자상거래 무역은 최근 들어 급속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세계경제가 침체되는 상황에서도 그 규모와 속도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과거, 한국의 전자무역은 세계적으로 그 위상을 인정받은 바 있으나, 현재는 미국의 아마존, 중국의 알리바바와 비교할 때, B2C 분야의 글로벌 기업이 존재하지 않아 그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국경간 전자상거래 무역의 교육훈련을 통한 인력양성의 전략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국경간 전자상거래 취업 및 활성화를 위한 인력양성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세부적인 교육프로그램의 내용과 이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경간 전자상거래 교육 훈련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무역주체와 대상을 고려하여 국가, 기업, 지역, 상품, 기술 맞춤형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디지털 소비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출 및 내수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적으로 특화하여야 하고 현지화해야 한다. 셋째, 각 대학들이나 기관들이 운영하고 있는 국경간 전사상거래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전국적으로 확산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경간 전자상거래 인력양성의 컨트롤 타워 및 플랫폼을 구축하여 한국의 디지털무역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산관학 협동으로 개방형체제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이 본 연구의 결과이다. The CBEC(Cross border e-commerce) has shown rapid growth in recent years. The size and speed of the global economy is constantly evolving even in the face of recession economy. In the past, Korea's e-trade has been acknowledged globally, but compared to Amazon in U.S. and Alibaba in China, the cross border B2C electronic commerce is considered to be less competitive. In this paper, we try to find the strategic tasks for education and training for cultivating CBEC experts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demand for CBEC education and training is steadily increasing, the program should be customized for satisfying various trading partners and targets. Second, localization to fit CBEC in regional markets should be mad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consumers and the firm competence. In this regard, the satisfaction for CBE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reating jobs. Third, CBEC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expanded by considering in connection with universities and local companies. Fourth, the reference curriculum for CBEC entrepreneurship program is suggested for future implementation. Finally, a control tower and platform should be constructed to introduce an open system of collaborative CBEC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