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복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정신장애인 일 경험 -EM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장혜경,하지선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7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7

        This paper discusses a meaning of work to mentally disabled and the mechanism that makes it possible based on recovery paradigm through the case of EM Practice. We interviewed the mentally disabled and social workers who participated in work support of EM Practice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Analysis of data shows us that the mentally disabled consider work to be the archetype of recovery and they reconstruct their everyday living, their self and connections to the others through work. EM Practice operates as a hard-finding niche and open work space to the mentally disabled. But social workers perceive the incompatibility between recovery and productivity and acknowledge the existence dual relational pattern―horizontal and vertical relationship. The results underscore the flexibil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ystem. And we need to expand the meaning of productive work and to multiply work supports for the mentally disabled based on recovery paradigm. 본 연구에서는 'EM실천‘ 사례를 통해 회복패러다임을 근간으로 지원하는 일의 의미와 해당 경험의 실천적 기제들을 알아보았다. 질적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총 11명의 정신장애인과 사회복지사를 심층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주제분석을 실시했다. EM실천에서 일하는 정신장애인들은 일이 회복과정의 원형이라 여기면서 일을 통해 일상과 나를 다시 만들고 관계도 다시 쌓아가는 회복의 의미를 찾았다. 일터로서의 EM실천은 어렵게 찾은 적소이며, 개방되어 기다려주는 곳이었다. 그러나 회복과 생산을 접목하는데 사회복지사들은 모순을 감지하였고, 그 과정에서 수평과 수직이라는 이중적 관계가 생성되고 병립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직된 직업재활 구조의 유연화, ‘일’ 범위의 확장, 회복을 근간으로 한 일터의 확대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 바리스타 훈련 프로그램 참여와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박종은,강상경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1

        As a result of the changes in ideology and human rights related to psychiatric services, the goal of psychiatric services has also changed from treatment to recovery that emphasizes self-reliant social integration of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IPD).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and much less is known about the recovery process of program participa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focusing on the recovery process of psychiatric service consumers participating in barista training programs(BTP).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five case studies involving five IPD who have been participating in BTP. Main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involve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available records of IP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through the Stake's (1995) analysis framework and the Glaser's (1992) process analysis method.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PD participating in BTP experienced various limitations due to disability, but they were able to develop meaningful self-identities as individuals with careers. Second, through participating in BTP able to deal with their life, build confidence, buil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rd, through participating in BTP, IPD were able to manage their life in the community as a community member with meaningful social ident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not only the need for our mental health policy to change from treatment to recovery perspectives but also the importance of expanding recovery-oriented intervention programs. 정신건강서비스 관련 이념이나 인권 개념의 변화의 영향으로 서비스의 목표도 치료에서 당사자의 주체적 사회통합을 강조하는 회복으로 변화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 관련 프로그램의 효과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고, 참여자의 회복과정에 대해서는 더욱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바리스타 훈련프로그램의 효과를 참여하는 정신장애인의 회복과정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바리스타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정신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질적자료수집 방법은 면접, 참여관찰, 문서기록 등이다. 수집된 자료는 Stake(1995)의 분석틀과 Glaser(1992)의 과정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리스타 훈련에 참여하는 정신장애인들은 장애로 인해 다양한 제약을 경험하고 있었지만, 훈련 참여를 통해 노력하며 바리스타라는 의미 있는 자기 정체성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둘째, 바리스타로서 정체성을 형성하며 나를 다루고, 자신감을 느끼며, 다른 사람과 관계 형성을 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바리스타 훈련 참여 정신장애인은 사회적 정체성을 가진 지역사회구성원으로서 주변을 둘러보며 자신의 삶을 꾸려나갈 힘을 키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정신건강 정책환경의 회복 관점으로의 변화 필요성과 회복지향 실천적 개입 프로그램 확충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운명을 가장한 회복력: 생애사 연구로 재구성된 알코올중독 회복자의 삶

        강선경,최윤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2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life history of a male alcohol addict who has recovered and maintained the recovery state for more than 15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auses of alcohol addiction and the adaptation process to one’s inherent life in the course of recovering from alcohol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fe story of a person, and to examine the life of the recovered from the perspectives including a ‘time factor’ called ‘era’ and a ‘place factor’ called ‘social structu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rue nature of self and social structural condition and to understand the recovery process, this study adopts the study method of Mandelbaum (1973) on life history and divides the study points into ‘dimension of life,’ ‘turning point’ and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mension of life’ of the study participant was divided into several sectors for the analysis including ‘the alcoholic father and the depressed mother,’ ‘the indifferent family members,’ ‘first drinking experience after entering the middle school,’ ‘abnormal drinking habit that started in the college life,’ ‘discharge from military service due to illness,’ ‘repeated admissions and discharges from the mental hospitals,’ ‘the turning point at a facility for rehabilitation to the society,’ and ‘study, and social worker as a profession.’ The ‘turning point’ was revealed as ‘the time of craving for love and acknowledgment,’ ‘anger and resentment for parents,’ ‘the shadows found at the edge of the cliff, father and mother,’ and ‘the willpower and courage of a person who protected himself to the end.’ The ‘adaptation’ was derived from the ‘use of defense mechanism,’ ‘a defense tool called alcohol,’ ‘discovery of emptiness and restoration of spirituality,’ and ‘resilience in disguise of destin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concrete discussions on social welfare practices and policies founded on the recovery paradigm. 본 연구는 15년 이상 회복을 유지하고 있는 한 남성 알코올중독 회복자의 생애사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중독 회복자의 생애 이야기 분석을 통해 알코올중독의 원인과 회복과정에서 고유한 삶의 적응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회복자의 삶을 ‘시대’라는 ‘시간성’과 ‘사회구조’라는 ‘장소성’을 포함하는 관점에서 살펴봄에 있다. 알코올중독을 경험하게 된 자아의 실체와 사회구조적 조건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고, 중독으로부터의 회복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해하기 위해 Mandelbaum(1973)의 생애사 연구방법에 따라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의 <삶의 영역>은 “알코올중독 아버지와 우울증 어머니”, “무관심한 가족들”, “중학교 입학 후 첫 음주경험”, “대학 진학 후 시작된 이상한 음주행태”, “군대에서의 의가사제대”, “정신병원 입·퇴원의 반복”, “사회복귀시설로의 마지막 기로”, “공부, 그리고 직업으로서 사회복지사”로 분석되었다. <전환점>은 “사랑받고 인정받고 싶은 시간들”, “부모에 대한 분노와 원망”, “벼랑 끝에 서서 발견한 그림자, 아버지와 어머니”, “끝내 스스로를 지켜낸 자의 의지와 용기”로 드러났다. <적응>은 “방어기제의 사용”, “‘술’이라는 방어도구”, “허탈함의 발견과 영성의 회복”, “운명을 가장한 회복력”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회복패러다임에 입각한 사회복지 실천 및 정책 차원의 구체적인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신건강 서비스 환경변화에 따른 정신재활시설의 기능 전환

        강상경(Sangkyoung Kahng),하경희(Kyunghee Ha),김낭희(Nanghee Kim)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1 비판사회정책 Vol.- No.70

        국내외적 정신건강 서비스 환경은 회복, 인권, 복지, 그리고 당사자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해가고 있다. 하지만 지역사회 정신건강체계로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정신재활시설의 기능은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재활시설의 서비스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을 파악하고, 변화방향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장애인 당사자 단체에서 9명, 시설 이용자 7명, 가족 9명, 시설 종사자 9명, 정책관계자 9명 등 총 5개 집단의 43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향후 정신재활시설의 변화에 대해 ‘개인의 자유와 선택권의 보장’, ‘개별화된 욕구를 반영한 맞춤형 지원’, ‘주체적인 활동을 통한 성장’, ‘자립을 위한 실제적인 지원’, ‘동료지원가의 배치’, ‘지역사회 참여기회 확대’를 제안하였다. 이를 토대로 정신재활시설의 기능 전환을 연결, 희망, 정체성, 삶의 의미, 역량강화의 회복지향 서비스로 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mental health service environments are rapidly changing focusing on the issues of recovery, human rights, social service, and peer support. However, it is criticized that the functions of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which play critical roles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system, have not been able to keep up with the paradigm shift. In order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is purpose, we ran 5 focus group interviews(FGI) involving a total of 43 stakeholders, including 9 individuals from a self-help agency, 7 service users, 9 family members, 9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9 public servants. FGI participants proposed recovery-oriented directions for future changes, such as ‘guarantee of individual freedom and choice’, ‘customized support responding to individual needs’, ‘growth through self-reliant autonomous activities’, ‘practical support for independence’, ‘placement of peer practitioners’ and ‘expanding opportunities for community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future directions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to recovery-oriented services encompassing connection, hope, identity, meaning of life, and empowerment.

      • KCI등재

        알코올 의존 노숙인의 회복지향적 재활시설 거주 경험 -노숙인 시설 비전트레이닝센터 운영의 특성과 이용인 회복 경험을 중심으로-

        김현민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0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숙인 재활시설에서 생활하는 알코올 의존 입소자들의 회복경험과 회복패러다임을 지향하는 비전트레이닝센터의 구조적 특성이 입소자의 회복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10명의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달 간 심층면접을 한 후, 일반적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입소자들의 입소 이전에 알코올 의존 문제로 노숙에 상태에 이르기까지 삶에서 나타난 중요한 특징은 “‘의미가 상실’된 상태”였다는 것을 확인했다. 알코올 의존 노숙인들이 비전트레이닝센터에 입소한 후 변화의 핵심은 심각한 알코올 의존으로 인해 “상실되었던 의미들이 새롭게 구성”된다는 점이었다. 알코올 의존 노숙인들이 비전트레이닝센터에서 생활하면서 회복되는 영역들은 첫 번째는 시간 감각이었고, 두 번째는 활동, 세 번째는 연결된 존재로의 회복이었다. 비전트레이닝센터는 이용인의 상실된 통제감을 다시 갖추는 회복의 공간으로서 작동하고 있었는데 이를 위한 시설운영의 핵심은 “통제의 축소, 책임의 확장”이었다. 관련하여 확인할 수 있는 센터 운영의 특징 두 가지는 첫째, 센터의 내부 규칙을 기관 종사자들과 이용인들이 함께 만들어 가는 공식적인 회의기구가 있다는 점, 두 번째는 시설 구성에서 공식적인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시간 이외에는 이용인들이 자유롭게 시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여백’이 존재한다는 점이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알코올 의존 노숙인 재활시설의 운영방식과 시설 내 생활 질서 구성 방법에 대해 제언하였다.

      • 정신보건서비스에서의 이용자 참여

        김기원(Ki Won Kim),김성수(Seongsu Kim),김수연(Su-Yeon Kim)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3 사회정신의학 Vol.18 No.1

        정신사회재활의 발달 과정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참여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다. 이들 활동에는 이용자들간의 자조 활동, 동료 제공 서비스, 다양한 옹호 활동 등이 포함되는데, 이들은 모두 소비자/생존자 운동에서 유래된 회복 패러다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이용자 참여는 중증정신질환으로부터의 회복에 있어, 이용자들에게 일반적인 긍정적 효과에 추가하여 낙인의 극복, 능력강화, 왜곡된 시스템의 교정, 질환에 대한 새로운 지식의 공급 등에서 특별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의 이용자 참여 활동의 장단점에 대해 고찰하고, 그와 관련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과 미래의 연구 과제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User involvement in mental health services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during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These phenomena include peer-support activities among psychiatric clients, many kinds of user-run services, various advocacy activities, and so on. All of them have been developed under strong influence from the ‘Recovery paradigm’, which was originated from consumer/survivor movements. It has been proved that these user involvement activities have significant beneficial effect for the recovery from severe mental illness, especially in terms of overcoming stigma, empowerment of clients, corrective effects on distorted systems, providing new knowledge of illness, as well as broad positive influences on user themselves. In this article, the pros and cons of current user involvement in mental health services will be discussed. And solutions for some problems and future research agendas will be suggested.

      • KCI등재

        한국어판 정신건강회복척도(MHRM-K)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송경옥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MHRM was developed by Young and Bullock for the purpose of meauring mental health recovery in 1999. This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ntal Health Recovery Measure(MHRM-K). MHRM-K was constituted with the 28 items excluded 16th and 30th items from MHRM(2005). The validation of MHRM-K examin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empowerment scale, the basic functioning scale for people with the mental illness and the psychiatric symptom related scale. MHRM-K was correlated with the empowerment scale and basic functioning scale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significant positively, but not correlated with symptom related items likewise the psychiatric diagnostic criteria. The reliability of MHRM-K(28items) was α=.95(N=319). The mean of MHRM-K=82/112(SD=20) was higher than MHRM=80/120(30items, SD=20) from Bullock's research report in 2005.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the objective were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o have been already trained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or vocational training centers. In spite of this limitation, the result of validation of MHRM-K will encourage and support application of the recovery paradigm based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about recovery oriented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in Korea. 본 연구는 정신보건서비스의 효과성 및 정신장애인의 회복과정을 측정하는 정신건강회복척도(Mental Health Recovery Measure, 이하 MHRM로 약술. Bullock, 2005)의 한국어 번역본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한국어판 정신건강회복척도(Mental Health Recovery Measure, 이하 MHRM-K로 약술)를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요인분석을 통해 MHRM의 30문항보다 2개 문항이 적어진 28문항의 척도를 확립하였고, 이에 대해 임파워먼트척도 및 정신장애인의 일반기능척도와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수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정신과적 증상척도, 유병기간과 같은 정신과적 증상 관련 특성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유사 개념 척도들과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론적으로 연관성이 낮은 특성들과는 부적관계를 보이거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내적 일치도 방법을 사용한 한국어판 정신건강회복척도의 신뢰도는 α=.95(N=319)로 매우 높았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 번역본의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회복 패러다임은 정신질환의 만성성보다는 회복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정신과적 증상이 있더라도 보다 더 의미 있는 역할의 수행을 통해 정신질환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다는 신념과 희망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이러한 회복 패러다임에 대한 근간의 학계 및 실천 현장의 연구 활동에 기본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정신보건사회복지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인 회복패러다임에 기초한 측정 도구 중 하나인 본 한국어판 정신건강회복척도의 소개로 관련 연구 및 현장 적용성에 대한 논의가 보다 더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어판 정신건강회복척도(MHRM-K)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송경옥(Gyeong Ok So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4 No.-

        본 연구는 정신보건서비스의 효과성 및 정신장애인의 회복과정을 측정하는 정신건강회복척도 (Mental Health Recovery Measure, 이하 MHRM로 약술: Bullock, 2005)의 한국어 번역본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여 한국어판 정신건강회복척도(Mental Health Recovery Measure, 이하 MHRM-K로 약술)를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요인분석을 통해 MHRM의 30문항보다 2개 문항이 적어진 28문항의 척도를 확립하였고, 이에 대해 임파워먼트척도 및 정신장애인의 일반기능척도와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수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정신과적 증상척도, 유병기간과 같은 정신과적 증상 관련 특성들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유사개념 척도들과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론적으로 연관성이 낮은 특성들과는 부적 관계를 보이거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내적 일치도 방법을 사용한 한국어판 정신건강회복척도의 신뢰도는 α=.95(N=319)로 매우 높았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 번역본의 사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회복패러다임은 정신질환의 만성성보다는 회복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정신과적 증상이 있더라도 보다 더 의미 있는 역할의 수행을 통해 정신질환으로부터 회복할 수 있다는 신념과 희망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이러한 회복패러다임에 대한 근간의 학계 및 실천현장의 연구활동에 기본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정신보건사회복지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인 회복패러다임에 기초한 측정 도구 중 하나인 본 한국어판 정신건강회복척도의 소개로 관련 연구 및 현장 적용성에 대한 논의가 보다 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MHRM was developed by Young and Bullock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mental health recovery in 1999. This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ntal Health Recovery Measure (MHRM-K). MHRM-K was constituted with the 28 items excluded 16th and 30th items from MHRM (2005). The validation of MHRM-K examin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empowerment scale, the basic functioning scale for people with the mental illness and the psychiatric symptom related scale. MHRM-K was correlated with the empowerment scale and basic functioning scale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significant positively, but not correlated with symptom related items likewise the psychiatric diagnostic criteria. The reliability of MHRM-K (28items) was=.95 (N=319). The mean of MHRM-K=82/112 (SD=20) was higher than MHRM = 80/120(30items, SD = 20) from Bullock`s research report in 2005.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that the objective were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o have been already trained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or vocational training centers. In spite of this limitation, the result of validation of MHRM-K will encourage and support application of the recovery paradigm based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about recovery oriented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in Korea.

      • KCI등재

        마약중독에서 탈출한 회복자들의 자기 삶 재건에 대한 연구 : 질적 사례연구접근

        강선경(Sun Kyung Kang),문진영(Jin Young Moon),양동현(Dong Hyun Ya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1

        본 연구는 마약중독에서 탈출하여 회복의 길을 걷고 있는 회복자 5명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마약 중독자들의 회복과 그 내용에 대한 이해는 사회적·실천적 효용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들의 지극히 사적이고 민감한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질적연구 방법이 적합하다. 연구자들은 질적연구 방법 중 질적 사례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으며,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자료를 구성하였다. 자료는 Creswell(2007)이 제안한 사례 내 사례 간 주제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개별적인 사례를 기술하고 그들의 경험과 중독, 탈중독 과정의 주요 문제점들을 파악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사례 내 분석을 토대로 마약중독 회복경험 전체에서 나타나는 유사한 주제들을 결집하여 공통주제로 전환하였다. 5명의 개별사례에서 마약중독 회복과 관련하여 총 19개의 주제를 도출했고, 이를 공통성 차원에서 결집한 결과, 첫째, 현실감각의 회복, 둘째, 자기실존 양식 떠안기, 셋째,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기 재구성, 넷째, 자기애의 4가지 공통주제를 발굴했다. 연구결과와 논의에 근거하여 마약중독자의 회복과 재활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차원에서의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5 substance abusers recovered from drug addiction. It is useful socially and practically to understand about the rehabilitation and its process of recovering from drug addiction. Since this study deals with very private and sensitive issues,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is suitab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 to one in-depth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by using analysis within/cross cases suggested by Creswell(2007). 5 individual cases were presented including substance addicts experiences and recovery process through within-cases analysis. Based on the within-cases analysis, common themes were presented through cross-cases analysis. Total 19 themes, related with recovery from substance addicts, were derived from the five individual cases, and 4 common themes were classified. These 4 common themes were first, recovery of sense of reality, second, taking self-existing pattern, third, self reconstruction in the context of social network, fourth, self-love. Based on the study results and discussion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help persons claiming recovery from substance addicts for their recovery and rehabilitation.

      • KCI등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Life Rebuilding of Drug Addicts: Recovery and Personal Growth

        강선경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8 생명연구 Vol.49 No.-

        This study examined the lives of drug addicts who were recovered from drug addiction by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t is useful socially and practically to understand about the rehabilitation and its process of substance abusers recovered from drug addiction.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voluntarily consented five addicts claiming recovery who were diagnosed as intoxication or who participated in the recovery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for six months from September 2017.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bstantial themes of recovery experience were "recovering touch with reality", "embracing the form of one's own existence", "reconstructing oneself in social relations", "self-love". Based on the study results and discussion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help persons claiming recovery from substance abuse for their recovery and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