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양 과목에서의 온라인 수업 학습자 만족에 관한 연구 – 녹화 동영상 수업을 위주로

        전병호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21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4

        The threat of COVID-19 pandemic put many universities in Korea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types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such as on-line real time class and on-line recorded video class. Online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because of its ubiquitous and flexible educational environments. Even though COVID-19 led to many problems such as faculty’s burden and stress during the early stage of COVID-19, both students and faculties have gradually become familiar with on-line environment. As students have got accustomed to the online environment, on-line recorded lectures are shown to be more preferred rather than on-line real time class. Researches regarding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during the COVID-19 indicate that systematic and good quality contents and interaction by instructor are important factors.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course using recorded video contents in terms of contents and interacti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reveal that systematic and good quality contents are likely to predict learner’s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plays a great role in providing those content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that preparing systematic contents and interaction are key to enhancing learner’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course.

      • KCI등재

        비대면 영어 수업에서 상호작용과 수업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수업 방식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최윤정 ( Choi Yunjeong ),지난영 ( Ji Nan-young )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20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types of learner interactions (student-student vs. student-instructor) and their satisfaction in online non-face-to-face English cours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lecture types (real-time vs. video-recorded) as a moderator. Four hundred forty-two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non-face-to-face English-related courses deliver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the interactions with their course instructors and peer students during the semester.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student-student and student-instructor interactions on course satisfaction and whether the lecture typ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type of interaction and course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udents’ interactions with course instructors influenced more on course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other students; and 2) lecture types worked as a moderator, indicating the impact of two types of interactions on satisfaction can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class was delivered in synchronous, real-time mode or with video-recorded lectures.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addressed regarding the design and operation of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with lecture types considered.

      • KCI등재

        학습자 히스토리를 활용한 녹화 영상 기반 수업 지원 시스템 디자인에 대한 연구

        이문환,이혁민,정성택 한국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학연구 Vol.34 No.4

        Background Non-face-to-face education using various online platforms is accompanied by many problems in terms of learning management. In particular, online classes based on recorded video should be self-directed by learners. Thus, problems are likely to arise in terms of students'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learning management. Method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s using learners' history data to improve the problem in recorded video-based online classes. At first, the problems in the recorded video-based online class were identifi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faculty and learners. To find out if a learner's history data on recorded videos could be helpful in class progress, a learning system was developed and user investigation was conducted. Results The learners positively assessed that the history can be utilized for reviewing a course and that self-monitoring is possible during the class. The professors noted that conscious bookmarking would help to identify learners' responses. However, each learner's unconscious history data was difficult to utilize in class progress due to the large deviation depending on the video-taking environment 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Finally, we found that the utilization of private data can cause side effects and that learning history types should be utilized to suit user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Conclusions Based on design considerations or findings in this study, an extended study could be conducted from a real-time online class approach to a system that can support learners or profess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also be available for the development of support systems that focus on educational facilities and users with severe learning problems. 연구배경 각종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비대면 교육은 학습 관리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을 동반하고 있다. 특히 녹화 영상 기반의 온라인 수업은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수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학생의 학습 참여나 학습 관리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녹화 영상 기반 온라인 수업에서의 문제점을 확인하는 한편, 전인적 교육 효과까지 고려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학습자의 히스토리 데이터의 활용 가능성과 효과에 대해서 탐색하였다. 먼저, 녹화 영상 기반 온라인 수업에서의 문제점을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학습자의온라인 녹화 영상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가 수업 진행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학습 시스템을개발하여 사용자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은 녹화 영상 기반 수업을 할 때 히스토리 데이터를 복습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수업 중자기 감시가 가능하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교수자들은 학습자가 기록해놓은 의식적 북마킹이 수업에 대한 반응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언급하였다. 그러나 학습자 개개인의 무의식적 히스토리 데이터는 영상 수강 환경이나 개인의 특성에 따라서 편차가 크기 때문에 교수자가 수업 진행에 활용하기는 어려워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적 데이터 활용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특성과 행동에 맞는 학습 히스토리 유형을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학습자 및 교수자 측면에서 녹화 영상 기반 온라인 수업에서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본연구에서 제안하는 학습자의 온라인 녹화 영상에 대한 히스토리 데이터 활용 방식은 학습 결손 문제가 심각한 사용자들을 위한 교육 시스템 개발에도 확장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수업에서의 발표 녹화 영상에 대한 자기 피드백 활동지 분석

        성지훈(Sung, Ji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는 대학생의 발표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 권장되고 있는 자기 피드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9-2학기 경기도 소재 A 대학교 교직실무 강좌를 수강한 3학년 학생 52명이 집단탐구에 대한 결과를 발표한 후, 녹화된 자신의 발표 영상을 보고 작성한 자기 피드백 내용과 이 활동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피드백은 해당 수업에서 사용한 발표 평가 준거를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내용적으로는 영상을 보면서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수월한 표현력에 대한 피드백이 가장 많았고, 장점보다는 부족하거나 개선이 필요한 점에 대한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일부 학생들은 장점에 대한 자기 피드백에서 자신의 노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를 하였고, 부족한 점에 대한 피드백에서는 이유나 상황에 대한 설명을 기술하였다. 이는 교수자나 동료 등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 대한 피드백이기에 가질 수 있는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발표 녹화 영상을 활용한 자기 피드백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상당히 긍정적이었다. 새로운 자기 보기, 직관적 자기 분석과 개선 의지를 강화하는 활동으로 비록 심적 부담이 있더라도 할 만한 가치가 있는 유용한 활동으로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self-feedback on oral presentations in undergraduate courses. In the 2019-2 semester, 52 juniors who took teachers’ practice courses at a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gave oral presentations on their group investigations. Their presentations were video-recorded and were provided to them for self-feedback. The written self-feedback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ontent and perception of the self-feedback.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feedback reflected the oral presentation criteria used in the courses. In terms of content, the feedback on expression which can be seen intuitively from the video were more than the others, and the negative feedback were more than the positive feedback. Some students gave positive feedback on their effort. Others explained the reasons or situations in the feedback on their shortcomings. These kinds of features appeared because it is not feedback from others such as professors and peers but from themselves.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self-feedback with recorded video were quite positive. It made them look at themselves from a new point of view, analyze themselves intuitively, and enhanced their willingness to improve. Even if there was mental burden, it was a useful activity to improve their oral presentation competence.

      • KCI등재

        비대면 녹화식 수업의 개선안 및 실천 보고 - 2020년도 2학기 교양일본어 수업을 대상으로 -

        崔廷珉 ( Choi¸ Jung-mi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1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5

        본 연구는 2020년도 1학기 비대면 수업을 대상으로 한 실천연구 보고를 참고하여, 2학기 수업을 개선하여 운영하고, 수업 후 앙케이트를 실시하여,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살펴봤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연구 보고를 검토한 결과, 비대면 녹화식 수업의 장점으로 반복학습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장점을 보완하여 수업을 내용별로 구간을 나누어 녹화식 수업을 진행하여 학습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반복학습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둘째, 녹화식 수업의 단점으로는 피드백의 부재, 집중도의 하락, 과제제출의 부담감 등이 있었는데, 매주 제출하는 과제에 대해 1:1로 즉각적인 피드백을 함으로서 피드백의 부재를 보완하고, 집중도의 하락은 다양한 수업 콘텐츠 활용으로, 과제제출의 부담감에 대해서는 매주 같은 주제로 예측 가능하면서 난이도가 높지 않은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수정하였다. 셋째, 앙케이트 결과, 학습자들은 수업 만족도의 이유로 ‘피드백’, ‘일본문화’, ‘규칙적 업로드’, ‘정해진 과제’, ‘교시별 수업’ 등을 언급했는데, 이는 개선된 녹화식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앞으로의 수업방식에 대한 의견으로는, 대면수업이 가능하다면, 전부 대면수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답변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모든 수업이 비대면으로 진행될 경우 ‘녹화수업 100%’가 68%로 선호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본 연구가 초급학습자를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녹화식 수업에 대한 높은 선호도로 이어졌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referred to the prior study of onlin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and operated the second semester as an improvement plan. After the semester,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online classes.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a review of prior studies shows the advantage of non-face-to-face classes by video recording is the fact that repeated learning is possible. To complement this advantage, the class was divided into sections by content and recorded. It has been improved to make repeated learning more convenient for learners. Second, the disadvantages of non-face-to-face classes by video recording include the absence of feedback, difficulty in concentration, and the burden of assignments. We supplemented the absence of feedback by giving immediate 1:1 feedback on weekly assignments.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learners cited ‘feedback’, ‘Japanese culture’, ‘regular uploads’, ‘fixed tasks’ and ‘class by class’ as reasons for class satisfaction.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learners’ satisfaction with improved non-face-to-face classes by video recording. Fourth, as for opinion of the next class type, the highest preference was face-to-face classes if they were available. If all classes were non-face-to-face, ’100% of non-face-to-face classes by video recording’ were the highest with 68%. The results seem to have come out because this study was targeted at begin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