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tI 모형과 학습컨설팅

        이명숙 ( Myung Sook Lee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4 교육학논총 Vol.35 No.2

        세 수준으로 이루어진 반응중재(RtI) 모형은 조기에 학습부진이나 학습장애 학생을 판별하고 개입하여 미리 예방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RtI와 학습컨설팅은 학생 들의 학업적, 행동적 및 정서적 측면의 적응 행동을 지원하고 예방하려는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RtI와 학습컨설팅의 과정 또한 문제 확인, 문제 정의, 중재 계획 설 정, 중재와 과정 시행과 관찰, 및 문제 해결이라는 측면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따라 서 RtI의 모형과 절차에 대한 장점을 학습컨설턴트가 학습컨설팅의 활동에 잘 적용 한다면 과학기반, 증거기반의 컨설팅 실제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 구에서는 RtI의 주요 특성을 조사하고, RtI 모형과 학습컨설팅 모형 그리고 그 절차 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학습컨설팅을 위한 RtI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overall goal of the three-tiered response-to-intervention(RtI) model is to catch students who are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or learning difficulties early and provide an appropriate level of preventative intervention. RtI and learning consultation are most commonly mentioned in the context of academic and behavioral support and the prevention of learning problems in classroom setting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ey features of RtI, discuss the commonalities between RtI model and learning consultation structures, and provide the implications of implementing RtI with learning consult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

        이대식 한국특수아동학회 200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RTI 접근법의 각 내용 요소에 대해 초등학교 일반 및 특수교사들의 인식과 견해를 조사하여 국내에서의 RTI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와 인천지역 70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현재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서 RTI 주요 요소별로 어느 정도나 적용 가능하다고 보는지, 그리고 만약 적용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한다면 그에 대한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RTI 접근법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는 증거-기반 효과적인 중재와 학습진전도 점검 측면 모두에서 교사들은 RTI 적용가능성이 별로 높지 않다고 보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주요 걸림돌로 지적한 사항들은 시간부족, 업무부담, 관련 자료나 도구 및 프로그램 부족, 전문성 부족, 지원 체제나 여건 미흡 등 단기간의 소규모 정책으로는 개선되기 어려운 사항들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각 교수방법별 적용 자신감과 관련해서는 비교적 높은 정도의 적용 자신감을 보였지만, 구체적인 읽기 지도방법이나 협력수업 방법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거나 지도 경험이 없어서였는지 상대적으로 낮은 적용자신감을 보였다. 넷째, 각 교수방법별 적용 핵심 요건으로는 70% 이상의 교사들이 외적 여건보다는 자신의 전문성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에서 RTI 적용하고자 할 때 관련 연구와 교사 훈련이 많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a RTI model in Korea by survey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major aspects of RTI. A total 70 teachers from Gyeonggi and Inchon provinces rated and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and expected obstacles to implementing some important parts of RTI approaches in their sch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teachers rated relatively as low the possibility in the areas of implementing effective interventions and progress monitoring. Second, the teachers reported several obstacles including the lack of time, materials and tools, and professionality, the burden of various administrative works, and insufficient supporting system and environments. Third, although teachers were somewhat confident with the presented intervention methods overall, their confidence was sharply decreased with specific remedial or intervention methods such as teaching phonemic awareness, a writing strategy, and co-teaching. The findings imply that nation-wide research and large-scale teacher training are necessary in advance of actual implementation of any RTI approach in Korea.

      • KCI등재후보

        중재반응 실행연구의 국내·외 동향 비교연구

        이윤숙,김형준,김삼섭 한국통합교육학회 2012 통합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response-to-intervention (RTI) action researches conducted in our nation and foreign n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evel of schools, category, number of schools, research purpose, research period, model stages, academic area, selection criteria and measuring devices. Total of 45 RTI action researches were analyzed including 14 domestic cases and 31 international cas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TI action researches were focused on kindergartens and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The majority of them were categorized by grades. Greater number of schools was shown by foreign nations compared to our nation, also with longer research period for international studies. While domestic RTI studies had main purpose of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 and verifying validity of double mismatch criteria, international studies mainly focused on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RTI. The majority of researches applied up to stage 2 of RTI model stages, and academic areas under application were mathematics in domestic studies and reading in international studies. Lastly,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had unclear standards for selecting the risk group for RTI action. Different researchers used their own standards for the risk group. In case of response measuring devices, many domestic studies used BASA reading and BASA mathematics, while international studies used DIBELS and WRMT. Based on such study results, difference in trends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was comparatively analyzed.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와 외국에서 이루어진 중재반응 실행 연구들의 학교 수준, 범주, 학교 수, 학생 수, 연구 목적, 연구 기간, 모형 단계, 학문 영역, 선별 기준 및 측정 도구 등으로 비교, 분석하여 그 경향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이루어진 RTI 실행연구 14편, 국외연구 31편, 총 45편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외 연구 모두 유치원과 초등 저학년을 중심으로 RTI 실행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적용범주는 과반수이상이 학년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적용 학교 수는 국외가 국내보다 많은 학교에 걸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기간도 국외가 국내에 비해 장기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TI 연구목적에서 국내는 학습장애아동의 특성 파악 및 이중불일치준거의 타당성 검증에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는데 반해, 국외는 RTI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RTI 모형단계는 과반수의 연구에서 2단계까지 적용하였으며, 적용한 학문 영역은 국내는 수학, 국외는 읽기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RTI 실행을 위한 위험군 아동 선별 기준은 국내·외 연구 모두 명확하지 않아 연구자들마다 다른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반응측정도구에서 국내는 BASA 읽기, BASA 수학이 국외는 DIBELS와 WRMT 등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국외와 국내 연구동향의 차이점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 KCI등재

        미국교육자들의 RTI 인식 및 연구 특성에 대한 문헌 연구

        최나리,강종구 한국학습장애학회 2015 학습장애연구 Vol.12 No.1

        This study explored how U.S. educators perceived Response to Intervention (RTI)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purposes, and journals of each study were reviewed. A total of 14 studies related to U.S. educators’ perceptions on RTI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educators could be categorized into groups such as directors, teachers, and school psychologists. The educators had similar opinions about the advantages and roles of RTI. In particular, educators commonly emphasized that directors, such as administrators or principals, have to lead RTI implementations. However, differences among educators related to the difficulties in the practice of RTI were found. In addition, findings showed that studies related to RTI wer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such as psychology, general education, leadership, and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uture research should include various stakeholders and examine their perceptions on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areas that needs to be improved for South Korea’s RTI improvement. The findings also illustrate that future studies regarding RTI should be published in various academic journal areas such as psychology and policy as well as a learning disabilities field. 본 연구는 중재반응(RTI)모델에 대하여 미국교육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문헌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검토한 문헌들에 나타난 연구대상, 연구목적, 학술지들은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미국 교육자들의 RTI 인식과 관련된 문헌들을 검토한 결과 조건에 맞는 논문들은 14편 있었다. 이러한 논문들을 검토한 결과 교육자들은 관리자, 교사, 학교 심리학자로 구분되어졌다. 이러한 교육자들은 RTI의 장점 및 역할과 관련해서는 비슷한 의견을 보여주었다. 특히 교육자들은 공통적으로 행정가나 교장과 같은 관리자들이 선두에 서서 RTI를 이끌어나가야 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하지만 RTI의 실행 과정에서의 어려운 부분과 관련해서는 교육자들 간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또한 RTI에 관한 연구들은 심리학, 일반교육, 리더십, 정책 등과 같이 다양한 학술지들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국내 RTI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RTI의 장점, 단점, 개선될 부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RTI를 다루는 연구들은 학습장애와 같은 특정 학술지뿐만 아니라 심리학, 정책과 같은 다양한 학문 분야들에서도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일반교사들과 특수교사들의 중재반응(RTI)모델에 대한 실행 필요성과 가능성 인식정도 차이

        서유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1

        This study investigated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mplementation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RTI model. A total of 275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small-group discussion regarding RTI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of RTI model was relatively high, and the group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mplementation possibility of RTI model was relatively low, and the group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except for two questions in the areas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assessment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ird, th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the implementation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RTI model in each group were significant in most questions. Fourth, four theme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necessity and problems of RTI model that the teachers perceived were emerged.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the methods for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RTI model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총 275명의 초, 중, 고 일반교사들과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RTI모델의 실행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토론을 실시하였고, 일반교사들과 특수교사들의 RTI모델에 관한 실행 필요성과 가능성에 관한 인식을 조사, 비교,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일반교사들과 특수교사들은 RTI모델에 대해 중간 이상의 높은 필요성 인식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교사-특수교사간의 인식차이는 모든 문항에서 t-test 결과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일반교사들과 특수교사들은 RTI모델에 대해 중간 이하의 낮은 실행가능성 인식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교사-특수교사간의 인식차이는 교과과정 개발과 평가도구 개발과 실행 영역의 각각 2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t-test 결과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일반교사들과 특수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RTI모델의 필요성과 실행가능성 정도 간의 차이는 RTI모델의 대부분 영역과 문항에서 t-test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RTI모델의 실행 필요성과 문제점에 관한 일반교사들과 특수교사들의 인식조사 결과 각각 네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일반교사들과 특수교사들의 RTI모델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분석을 통하여, RTI모델이 실제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과 연구의 제한점들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학교기반 RTI 실행: 미국 초등학교의 사례 연구

        김자경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2

        본 사례 연구는 학습장애 진단 모형으로 제시된 RTI를 실행하고 있는 미국 중서부지방의 중소도시에 소재한 P초등학교를 분석하였다. 이 초등학교는 해당 시교육청에서 지정한 RTI 파일럿 학교로서 학교 기반 RTI를 실행해오고 있다. 이 학교 구성원의 RTI 실행에 대한 인식과 RTI 실행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RTI 계획과정과 운영과정에 핵심 인력으로 참여한 7명을 반구조화된 질문에 기초하여 집단 인터뷰하였으며, 평가 팀 회의를 비롯한 각종 RTI 관련 팀 회의에 참여 관찰하였으며, RTI 관련 학교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주요 테마로 RTI 실행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긍정적인 인식, 3단계-RTI 실행과정: 읽기와 수학, 쓰기 영역으로의 RTI 확대, 정기적인 팀 회의를 통한 지속적인 의견 수렴 및 결정: 중재 및 측정 과정에 대한 성찰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성공적인 RTI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TI is an alternative model for the class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analyzed P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Midwest USA. P school is one of RTI pilot schools in the state and has implemented RTI for 4 years. For the study, 7 main members were group-interviewed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RTI. The author observed various RTI team meetings, and collected school documents and meeting records related to the school RTI. Major themes include positive perception of school members on RTI implementation, 3-tiered RTI implementation: escalation of RTI to the areas of reading, math and writing, and continuous opinion collection and decision making through team meetings: reflection on intervention and measurement. Several insights for successful school-based RTI implement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 KCI등재

        한국형 중재-반응(RTI) 접근법의 조건

        이대식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2

        Recently, the arguments that RTI models must be adopted as an intervention model for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as well as a diagnose approach are getting attention, as people have been informed more and more about RTI. However, it must be conducted first that analyzing necessary requirements for adopting the RTI models, and accumulating research-based evide搀 昀 with regard to the feasibility of RTI models in Korea before advocating any RTI model. In this study, the requirements of so called ‘Korean RTI’ were suggested in various aspect摳 琀漀 r this task, first, it was analyzed why the RTI approach is needed in Korea. Second, several pri搀 iple ideas of RTI advocators and some aspect摳 of RTI practices were 戀愀猀cribed and listed. Third 猀甀最最攀猀ossible side effect摳 or negative influences were predicted when any RTI model was actually implemented without enough empirical evidence. Based on the arguments, necessary requirements for implementing successfully a Korean RTI were presented. 최근 들어 중재-반응(RTI) 접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에서도 학습장애 진단과 판별은 물론, 중재 모델로서 RTI 적용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RTI가 나오게 된 배경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우리나라의 그것과 동일하지 않은 만큼 현장에의 적용을 주장하기에 앞서 그에 필요한 요건을 심층 분석하고 관련 경험적 연구를 축적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소위 ‘한국형 RTI’의 요건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RTI가 필요한 이유를 분석하고, RTI가 주장하는 원리와 실제 적용 모습, 우리 교육현장에 당장 적용했을 때 예상되는 부작용 등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형 RTI가 정착되는 데 필요한 경험적 연구 분야를 RTI 주요 내용별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재반응 모형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의 내용과 방향 탐색

        허유성 한국특수아동학회 200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anticipated competencies and specific skills that teachers should acquire to implement RTI effectively in school settings. Currently, RTI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special education, in particular in the area of LD. However, many researchers concerned about teachers' preparation for RTI in school setting. Previous studies on RTI indicated that teachers should be able to provide evidence-based practices, differentiated instruc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tinuous progress monitoring, and timely identification of nonresponsive students. In particular,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re expected to provide individualized, more intensive instruction for nonresponsive students with the collabo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school psychology, and other school personnel. However, there were limited studies that comprehensively explored teachers' competencies for successful RTI implementation. Therefore, firstly,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eacher education for successful RTI implementation. Second, this study identified 6 critical competencies for teachers. The six competencies included (a) the shared knowledge and beliefs among related peoples, (b) implementation of scientifically-based practices, (c) progress monitoring and decision making, (d) collaboration and team works, (e) collaboration with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 school-based self-evaluation.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tasks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nd related research institutes to induct RTI successfully to school setting including re-designing curriculum, disseminating RTI model, and provi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RTI team. 최근 RTI를 통해 학습장애 학생의 학교실패를 조기에 방지하고 아동의 학업문제에 있어서 비효과적인 교수의 영향을 제거함으로써 아동의 정상적인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시도가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 분석을 통해 RTI의 성공적인 학교현장 도입을 위한 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의 내용, 방법, 방향에 대한 함의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성공적으로 RTI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선결과제들이 충족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선결과제는 교사들의 역량이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사들이 무슨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교원양성기관 및 관련 연구기관에서는 무엇을 준비해야하는가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으로 RTI 수행 주체들 간의 지식과 신념의 공유, 과학적으로 검증된 교수법 수행, 지속적인 진전도 모니터링과 교수적 의사결정, 팀을 통합 협동적 문제해결, 학습장애아 부모와의 협업, RTI 수행에 대한 교사를 포함한 학교단위의 자기평가 역량이 도출되었으며, 교원양성기관 및 연구기관의 핵심과제로 예비교사를 위한 RTI 교육과정 구성, RTI 모형의 표준화와 확산, RTI 팀의 전문성 개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미국의 학습장애 진단 및 판별절차에 관한 고찰

        강옥려,홍성두,이기정,김이내,김동일 한국학습장애학회 2008 학습장애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identification procedures of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SLD) which have been using in the United States. Recently, under IDEA reauthorization 2004 and 2006, provisions of IDEA allowed school districts to use RTI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identifying SLD instead of the IQ-achievement discrepancy model. Thus, in order to identify SLD, most of states are using RTI. The basic purposes and principles of RTI sound like resonable and ideal. Moreover, recent research shows that RTI is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s within schools to bring high quality instruction to all students including learning disabilities. However, when reviewing identification procedures of SLD by using RTI of several states, we can see that the United States is in a transition period and even RTI recommended are still questionable. Thus, we indicated and discussed some important questions with regard to scientific, research-based interventions/instructions, progress monitoring, evaluation system, eligibility criteria, limitation of measurement in subject areas, use of standardized tests, cognitive ability, comorbidity with other disorders, and so on. Finally, we mentioned some issues to be solved before RTI is applied to identification of SLD in Korea. 학습장애가 특수교육의 한 장애범주로 들어간 이래로 지금까지 학습장애의 정의 및 진단판별에 대해서는 “hot issue”로 계속되어 왔다. 특히 학습장애는 IDEA에 유일하게 판별절차가 기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별과정에 대한 논란이 가장 많이 제기되어 왔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 미국 장애인교육법에서 학습장애 판별에 관한 수정사항에 따라 지능-성취 불일치 개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조항과 함께 학습장애 판별의 한 대안으로서 중재반응모델을 제안하였다. 미국의 대부분의 주들이 현재 학습장애 진단 및 판별절차에서 RTI를 사용하고 있다. RTI 기본 취지나 원리들은 좋은 것으로 보이며 시행을 위해 필요한 조건들이 충족되어 잘 이루어진다면 바람직하다는 평가가 내려지고 있는가 하면 실제로 RTI가 효과적이라는 연구보고도 있다. 한편 한국은 한 번도 적용된 적은 없지만 2005년에 이 개념이 소개된 이후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런 시점에서 미국 여러 주에서 RTI를 통해 실제로 학습장애 판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상당히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몇 주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습장애 판별 절차를, 적격성 결정에서 사용하는 절차, RTI 단계 및 실시과정, 평가 및 진전도 모니터링, 행동관찰, 부모참여, SLD 적격성 판별 기준 등에서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RTI의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논의하였고,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RTI를 적용하여 학습장애를 진단 판별할 때 해결되어야 할 것들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 KCI등재

        중재반응모형(RTI)을 적용한 영재 교육과정 실행 방안 탐색

        최병연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4

        학습문제를 가진 학생의 약점 교정을 위해 등장한 중재반응모형(RTI)은 그 적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RTI를 영재 교육과정 운영에 적용 가능한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RTI의 기본 원리인 보편적 선별, 팀 중심 접근, 진전도 점검, 조기 판별 및 중재, 다단계 중재 시스템 등은 학생의 영재성 및 재능 발달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영재 교육과정의 주요 모형(SEM, ICM, LoS, ALM)과 RTI는 통합하여 활용이 가능하며, RTI의 단계적 중재에 따라 영재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다. 영재교육에서 RT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운영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RTI), which appeared to correct the weaknesses of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is expanding its scope of application. In this study, I explored whether RTI can be applied to the impli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curriculum. According to this study, the basic principles of RTI, such as universal screening, team-oriented approach, progress monitoring,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and multi-tiered intervention system, can be applied to the operation of a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In addition, the main models of the gifted and talented curriculum (SEM, ICM, LoS, ALM) and RTI can be integrated and used. The gifted and talented curriculum can be design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stages of RTI. At this time, the stage consists of three stages, and activities for enhancing students' strengths are differentiated for each stage.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RTI in gifted education, not only teacher expertise is required, but also empirical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operation must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