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D협력 활동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신범철(Beom Cheol Cin)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21 경영과 사례연구 Vol.43 No.1

        이 논문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16년 제조업 부문 한국기술혁신조사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R&D협력 활동의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유형별 기술혁신, 혁신 장애, 기술정보의 원천으로 지식의 유입과 유출, 그리고 전유성의 조건이 R&D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직적 협력, 수평적 협력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모형에서 확률오차 간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다변량 프로빗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수직적 협력, 수평적 협력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모형의 확률오차 간 상관관계의 추정계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협력 모형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프로빗 기법에 따라 추정할 경우, 편의적 결과가 유발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3개의 연구개발 협력이 상호보완적으로 고려되어 동시적으로 결정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기술혁신은 유형에 따라 R&D협력 활동에 달리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제품혁신은 R&D협력 활동의 유형에 상관없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신제품혁신이 기업의 수직적 협력, 수평적 협력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활동을 촉진하지만, 공정혁신은 기업의 수평적 협력 활동을 오히려 위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혁신의 장애요인이 R&D협력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협력의 유형과 장애요인에 따라 달리 나타나고 있다. 기술혁신의 자금조달 애로와 과도한 기술혁신 비용의 부족은 수직적 협력을 촉진하는 반면 시장의 불확실성과 경쟁 심화에 의한 경제적 위험성의 상승은 대학과 연구기관의 협력을 위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술혁신 보호 방법으로 전략적 방법은 수직적 협력과 수평적 협력의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대학 및 연구기관의 R&D협력 활동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법률적 보호 방법은 대학 및 연구기관의 협력 활동에서만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편 외부 정보 유입은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가 산학연의 R&D협력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 보호 방법을 강화하여 기업의 전유성 확대하고 외부로부터의 혁신기술정보의 유입이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다변량 프로빗 모형의 추정 결과는 유의수준 면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계수의 크기는 다소 달리 나타났다. 특히, 다변량 프로빗 모형에서는 개별 수직적 R&D협력은 연구 비용과 전략적 전유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지만, 수평적 협력은 전략적 전유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determinant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using 2016 Korean innovation survey data for manufacturing sectors. In doing so, multivariate probit procedure is employed to control for interdependence among three different types of cooperation activities such as vertical R&D cooperation, horizontal R&D cooperation, and R&D cooperation activities with university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Empircal results are summraized as follows. First of all, estimated coefficients for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type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mplies that the seperate estimation of the cooperation models by probit procedure should produce biased results. Next, the results show that new product innovation activities can lead to higher probability of participation in all type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whereas production process innovation can reduce the probability of participation only in R&D cooperation activities with university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Finally, other factors such as barriers to innovations, methods of protecting innovations and information flows are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electing the types of R&D cooperation activities.

      • KCI등재

        상보성에 기반한 한일 간 R&D 국제협력의 진화

        서정해 한일경상학회 2016 韓日經商論集 Vol.70 No.-

        Most of countries in the world have been actively deployed the international R&D cooperations at global level. Considering the fusion and converg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global technological competition, the paradigm of open innovation, and the growing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Korea, the patterns of R&D cooperation between Koran and Japan will evolve as follows; 1) The R&D cooperation will evolve from the government oriented pattern to market oriented one guided by government, and from a bilater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to a multilateral one including the east Asian countries. 2) The R&D cooperation between Koran and Japan will evolve from a technology transfer or exchange of personnels to a R&D consortium, and various cooperations will be occurred in a framework of a joint R&D. 3) The R&D cooperation between Koran and Japan will evolve in a consideration of an industrial competitivenes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linked with their promoting policies of emerging industries. 4) The government policy of science & technology focused on an innovation and industrial technology will facilitate the evolution of a market oriented cooperation, a joint R&D, and the cooperation of considering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common principle in the R&D cooperation is the reciprocity. And it is necessary for the each partner to have the complementary capabilities.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for Korea and Japan to make various and continuous efforts based on an trust in the evolution of R&D cooperation. 세계 각국은 범세계적 차원에서 R&D 국제협력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의 융복합, 글로벌 기술경쟁의 심화, 개방형 혁신의 등장, 한국의 과학기술 경쟁력 향상 등을 고려할 때 한일 양국의 R&D 국제협력은 다음과 같이 진화할 것이다. 1) R&D 국제협력은 정부주도에서 정부유도에 기반을 둔 민간 시장주도의 협력으로, 그리고 정부유도 협력 틀에서 한일 간 쌍방협력에서 다자간 협력의 형태로 진화한다. 2) 한일 간 R&D 국제협력은 기술도입, 인적 교류 등 개별적 단편적 관계에서 공동연구 형태로 진화하여 다양한 R&D 국제협력이 국제 공동연구의 틀 속에서 이루어진다. 3) 한일 간 R&D 국제협력은 한중일 산업경쟁력을 고려하여 각국의 성장동력정책과 연계한 형태로 진화한다. 4) 산업기술 및 이노베이션 정책과 연계되는 과학기술정책은 한일 간 R&D 국제협력이 민간주도형, 공동연구형, 산업경쟁력을 고려한 국제협력의 형태로 진화함에 있어서 그 촉매제 역할을 한다. 이러한 R&D 국제협력의 진화에서 공통적인 원리는 호혜성이며, 협력 당사자가 보완적 역량을 갖추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한일 간 새로운 R&D 국제협력으로의 진화에는 상호 신뢰에 기초하여 다방면에 결처서 지속적인 협력의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벤처기업의 R&D협력에서 사회적 자본과 기업가적 지향성이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리빈(Ribin Se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인 벤처기업이 외부주체와 수행하는 R&D협력에서 협력성과 강화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벤처기업의 기업가적 지향성과 협력주체 간 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고찰하고, 각 요인이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협력성과는 R&D협력을 통해 개발된 기술이 기업의 경쟁우위에 기여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기술경쟁력과, 해당 기술을 상업적으로 활용하여 달성한 기업성과로 구분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R&D협력을 수행한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총 218개 표본기업의 응답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R&D협력에서 벤처기업의 기업가적 지향성과 협력주체 간 사회적 자본은 협력성과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은 기업가적 지향성의 형성에 기여하며, 기업가적 지향성은 사회적 자본과 협력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사회적 자본-기업가적 지향성-협력성과]의 R&D협력성과 창출구조가 작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가 내포한 학문적 및 실무적 의의는 결론에서 상세히 기술하였다. In the last decades, technology-oriented small firms, i.e. venture businesses, have been increasingly engaged in R&D collaborations with external parties as strategic mean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Despite ample evidence on the benefit of such collaborations for the firms, there has been less attention to examining whether and how the firms’ social interactions with cooperating partners and their managerial characteristics contribute to that benefit. Drawing on the theories of social capital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is study is to remedy this gap. The theory of social capital, referring to a sum of the value and potential resources embedded in social relationships of collectives, provides an integrated view of social factors among cooperating partners, e.g. strong ties, network stability, trust, reciprocity, shared vision and value. It categorizes these factors into structural, relational, and cognitiv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eory captures firms’ managerial characteristics as a combination of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This addresses firms’ managerial process to utilize and combine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for wealth creation and opportunity realization.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roles social capital among cooperating R&D partners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the collaborating firms play for collective performance improvement in R&D collaborations. In terms of the collective performance, this study adopts two indicator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refers to the contribution of a technology developed by a cooperative R&D project to competitive advantage of a firm while business performance is defined as the financial and economic outcome of a collaboration. Using a sample of 218 Korean ventures engaging in R&D collaboration with external parties, the author finds the significant effects of social capital (i.e. structural, relational, and cognitive dimensions)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e.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on both of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Further, the higher the social capital among R&D partners, the more likely it is to foster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t firm-level. Most importantly,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t firm-level is an significant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collective performance. Beyond these novel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R&D collaborati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management and policy are deeply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대·중소기업간 거래관계에서 연구개발투자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송영조,김종호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1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sis what extend the R&D can cause impact on the job creation, based on the Survey of the Business Activities from 2006 to 2016 conducted by Korea Enterprise Data Ltd., and National Statistics. In this report, SMEs have been categorized as leading enterprises, primary cooperation enterprises, secondary cooperation enterprises and non-cooperation enterprises. Through the analysis, following results can be deducted. First, cooperation enterprises have caused positive impact on job creation through their R&D in long and short term, and non-cooperation enterprises also have shown long term positive impact of R&D on job creation. Second, thanks to the size effect, the number of jobs increases as the scale of R&D increases, and this has been observed from both primary and secondary enterprises. However, whilst primary cooperation enterprises show long term positive impact on job creation, but secondary enterprises cannot create any significant effects. Third, in terms of technology level, the impact of R&D on job creation illustrates different results on both cooperation enterprises and non-cooperation enterprises. In the low and medium tech industry sectors, the R&D of cooperation enterprises did not create any significant impacts on job creation through both short and long terms, however, the one of non-cooperation enterprises causes positive effects in the long term. In the observations from high tech industries, the R&D impact caused by cooperation enterprises shows positive, however, any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have not been observed from the one of non-cooperation companies. The size effect which causes negative impact on job creation has not been observed on all analysis, this is estimated that subjects of analysis consist of small scaled SMEs. 본 연구는 2006∼2016년 한국기업데이터(주)와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를 이용하여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R&D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중소기업을 선도기업 1∼2차협력기업과 비협력기업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협력기업과 비협력기업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협력기업의 경우 장·단기에 걸쳐 R&D가 일자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존재하였고, 비협력기업의 경우에도 R&D가 일자리에 미치는 긍정적 장기영향이 존재하였다. 둘째, 협력기업 차수별 분석결과를 보면, 1·2차협력기업 모두에서 규모효과가 존재하여 R&D가 증가함에 따라 일자리가 체증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그렇지만, 1차협력기업의 경우 일자리에 미치는 긍정적 장기영향이 존재했지만, 2차협력기업의 경우 일자리에 미치는 장기영향은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았다. 셋째, 기술수준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R&D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은 협력기업과 비협력기업에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중·저기술산업에서 R&D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은 협력기업의 경우 장·단기에 걸쳐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았지만, 비협력기업은 장기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첨단·고기술산업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R&D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은 협력기업의 경우 장·단기에 걸쳐 일자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비협력기업의 경우 장·단기 모두에 걸쳐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았다. 일자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크기효과는 모든 분석에서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분석대상이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추론된다.

      • KCI등재

        기업의 R&D협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양동우(Dong-Woo Yang),김다진(Da-J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4

        본 연구는 기술력이 부족한 콘텐츠기업이 성공적인 기술혁신을 위해서 자체적인 기술개발 노력뿐만 아니라 외부의 연구기관 및 기업과의 기술협력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해야 한다는 open innovation차원에서 시작하였다. 기업의 open innovation의 대용변수인 R&D협력대상 및 정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독립변수로 R&D협력의 대상, R&D협력경험, R&D협력기관간의 상호작용정도 및 R&D협력정도를 사용하였고, 종속변수로 기술적 성과(지식재산권발생건수, 신기술개발건수, 기술상용화)와 경제적 성과(매출액)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과차이분석 결과 기업과 기업간 R&D협력이 기업과 연구기관과의 R&D협력에 비해 기술적 성과 및 경제적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기술적 성과에는 R&D협력경험정도, R&D상호작용정도가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경제적 성과에는 R&D협력경험정도만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콘텐츠기업에 있어 외부 R&D협력이 기술 및 경제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성과제고를 위해 외부 R&D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ontents industry by analys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D collaboration and firms' performance. In study, we use the number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total sales as proxy variables of performance. we use the degrees of collaboration experience, firms' interaction and degree of collaboration as proxy variables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aboration experience and firms' interaction are positively influence on technological performance. Second, collaboration experience is positively correlated to economic performance. Finally, firms' R&D collaboration revealed higher performance than R&D collaboration of firm and R&D institution This study emphases on the importances of R&D collaboration for developing new technology and improving economic performance.

      • KCI등재

        ICT 중소기업의 산·연 R&D협력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출연연구기관과의 협력을 중심으로

        박웅,박호영,염명배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6

        In Korea,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play an pivotal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accounting for 99.9% of all enterprises, 87.9% of total employment, and 48.3% of production. In spite of their crucial role in the national development, most of SMEs suffer from a lack of R&D related resources. Public R&D organizations such as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can provide SMEs with valuable supplementary technological knowledge and help them build technological capacity. In this regard, this study estimated the effect of internal R&D investment and private-public R&D cooperation on technological innovation of ICT SMEs based on 2016 ETRI Survey. Building on previous literatures, the study established and tested a research model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irst, internal R&D investment and preferences for open innovation demonstrated the strengthening of R&D collaboration. Second, internal R&D investment and R&D cooper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both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 Therefore, internal R&D capability and taking advantage of R&D collaboration are needed to achieve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SMEs in ICT sector. This study also discuss implications for encouraging private-public R&D cooperation.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은 전체 사업체 수의 99.9%, 사업체 종사자 수의 87.9%를 차지하는 등 국가경제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자금은 물론 연구인력, 연구시설·장비 등 기술개발(R&D)에 필요한 역량 확보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출연연구기관과의 R&D협력은 새로운 기술과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과학기반 지식의 획득과 활용 등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도모함으로써 기업이 기술력을 토대로 지속 성장하는데 중요한 전략적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6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산·연 기술협력 수요조사를 이용하여, 기업이 출연연구기관과 R&D협력을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특성요인을 분석하고, 기업의 기술역량과 산·연 R&D협력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이분형 로지스틱 모형(Binary Logistic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로 기업의 기술역량과 관계적 특성이 출연연구기관과의 R&D협력을 강화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였다. 둘째, 기업의 기술역량과 산·연 R&D협력은 제품혁신과 공정혁신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소기업이 기술혁신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출연연구기관과의 R&D협력과 내부 기술역량의 확보가 필요하며, 산·연 R&D협력의 활성화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도모를 위한 출연연구기관의 역할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R&D협력 활성화 측면에서 제시한다.

      • KCI등재

        국가 R&D 사업의 국제공동연구에서 협력특성과 특허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공공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조현정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4 지식재산연구 Vol.9 No.1

        This study has analyzed empirically the effect of internationaljoint R&D cooperative characteristics on the patent performance inNational R&D Program. The international joint R&D cooperative characteristics werepresented as the size factors and the pattern of R&D cooperation. Thesize factors of R&D cooperation were measured by the number offoreign organizations which participated in the joint R&D assignment,the ratio of the researchers involved and the coorperative research fundsduring the research period, respectively. The output variable wascomposed of the number of patent produced from the joint R&Dassignment.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the researchers involvedand the coorperative research funds among the size factors of R&Dcooperation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patent positively. In addition,the pattern of R&D cooperation also appear to have an effect on theoutput of patent. However, the effect of the number of foreignorganizations on the performance of patent appear to be not statisticallysignificant. 본 연구는 국가 R&D사업의 국제공동연구에서에서 R&D협력의 특성이 R&D사업의 성과의 중요 지표중의 하나인 특허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국제협력이 주로이루어지고 있는 공공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가 간 공동 R&D협력특성은 협력 규모요인 및 협력참여 유형으로 구분하고각각 하위측정변수를 선정하여 측정하였고, 특허성과는 국내외 특허출원수로 측정하였다. 연구모형의 실증분석을 위해 NTIS 시스템을 이용해 국가 R&D사업에서 국가 간 공동 R&D협력과제를 수행하는 공공연구기관 273개의 표본을 추출하였고, 음이항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가 간공동 R&D의 규모요인 중 협력연구 참여인력비율과 협력연구비비율은 특허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협력참여기관수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국가 간 공동 R&D의 참여유형이 특허성과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중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R&D)협력과 기업 성과 분석

        정도범 ( Do Bum Chung ),고윤미 ( Yun Mi Ko ),김경남 ( Kyung Nam Kim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0 No.1

        지식기반관점(KBV)에서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은 기업의 부족한 기술 및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에 따른 기업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협력 연구가 과연 기업 성과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협력 유형에 따라 기업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한 2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R&D) 협력 비율 및 유형과 기업 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기업 성과는 특허 출원 건수로 측정한 기술적 성과와 총자산수익률(ROA)로 측정한 경제적 성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개발(R&D) 협력 비율과 기술적 성과는 역U자형(inverted U-shape)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개발(R&D) 협력 유형 중에서 산산 협력 연구는 기술 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산학연 협력 연구는 기술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적 성과의 경우에는 연구개발(R&D) 협력 비율 및 유형과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이나 기업의 전략을 수립하는데 큰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From a point of knowledge based view, IUI(Industry-University-Institute) R&D collaboration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way to acquire lacking technology and knowledg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firm performance of IUI R&D collaboration on national R&D project. That is, we identified whether a collaborative research really affects firm performance, and whether firm performance is differed by types of collaboration. To test our hypotheses, we selected 250 Korean SMEs(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ich were funded from government R&D for 2006-2009, and we verified relations between the ratio and/or types of R&D collaboration and firm performance. Firm performance was measured by number of patent applied and ROA(Return on Assets) after completion of the project (in year t+1). Finding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R&D collaboration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was inverted U-shape. Among types of R&D collaboration, though inter-industry collaborative research was negatively related to technological performance, IUI collaborative research was positively related to technological performance. However, the ratio and types of R&D collaboration had no relation to economic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rategy of SMEs as well as the policy of a government with regard to IUI R&D collaboration.

      • KCI등재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R&D 협력에 관한 사례연구

        전중양(Joong Yang Jeon),정선양(Sunyang Chung) 한국경영학회 2014 Korea Business Review Vol.18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R&D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대기업과의 R&D 협력의 여러 방법에 대해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대·중소기업간 R&D 협력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는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의 사례를 분석하여 대·중소기업간 R&D 협력에서의 성공요인과 보완요소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방법에는 공통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설문조사방법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대·중소기업간 R&D 협력의 범위는 산-학-연과의 중소기업 협력을 모두 포함하였으며, 공공기관-중소기업, 대학- 중소기업, 대기업-중소기업의 3가지 유형에서 나타나는 이슈를 중점적으로 인터뷰하였다. 그동안 선진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져 왔던CEO의 의지 및 연구원의 참여, 신제품개발관리, 협력네트워크 활용, 지식흡수, 인력유출 및 보안, 협력애로요인에 심층 분석하여 대·중소기업간 R&D 협력에서의 중요한 요인을 검토하였으며, 대·중소기업간 R&D 협력 문제 개선요인으로는 정부차원 15건, 대기업차원 10건, 중소기업차원 5건으로 정책의 개선사항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사례연구의 교육적 함의로 첫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여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방안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 성과를 높이고 협력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고 둘째, 대·중소기업간 R&D협력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적인 개선방안 및 주요요인으로 CEO의 의지, 공동의 목표의식, 외부네트워크의 활용, 전담인력 배치, 지리적인 인접성, 정보보호관리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In this paper herein, we have conducted a series of case studies concerning a number of methods on R&D cooperation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for a measur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outh Korea`s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nd reinforce their R&D capability. In particular, in-depth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success factors and complementary factors in R&D capability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by analyzing cases of new product development with conditional purchase option that can be a signature case of R&D capability between large sized-firms and small & medium sized-firms in South Korea. In this paper, we also conducted questionnaire analysis and interviews. The R&D cooperation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includes all kinds of cooperations between large-sized firms and small and medium-sized firms among industry- academies-research. The interview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nd focused on the 3 following types: public institution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university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and large-sized firms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We identify some policy implications, First, we suggest the policy measures that can create synergy through cooperation by analyzing merits and demerits of large-sized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Second, we suggest some measures that can enhance the cooperation performance of large-sized and small & medium-sized firms and improve the cooperation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ird, we suggest additional policy measures that can effectively promote R&D cooperation, CEOs` intentions, common goal awareness, outside network application, designated personnel placement, geological adjacency, and information protection management.

      • KCI등재

        기업 내·외부 환경이 산·연 R&D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규범(Kyu-Beom Lee),성을현(Eul-Hyun Sung),이광순(Kwang-Soon Lee)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9 경영경제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조직후원, R&D 협력경험, 그리고 R&D 협력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기업 내・외부 환경적 요인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검증결과 R&D 협력에 대한 조직후원은 협력경험에 정(+)의 영향을, R&D 협력경험은 협력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조직후원과 협력성과의 관계에서 협력경험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기업 내・외부 환경변수의 조절효과와 관련하여서는 R&D 협력을 위한 조직후원과 협력경험 관계는 정부/지방자치단체 지원 인식이 높은 경우 보다 높은 정(+)의 영향을, R&D 협력경험과 협력성과 관계는 출연(연) 역량, 기업역량, 기업-출연(연) 간 우호적 협력관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경우 보다 높은 정(+)의 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결과의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ponsorship, R&D collaboration experience and R&D collaboration performance between industry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and to examine whether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rganizational support for R&D cooper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ooperation experience, R&D cooperation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cooperation performance, and cooperation exper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organizational sponsorship and cooperation performance.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upport played a moderating role between organizational sponsorship and R&D cooperation experience. In terms of R&D cooperation experience and cooperation performanc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competence, corporate competence, and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company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played a moderating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