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안여객선 준공영제의 정책 효과성-섬 주민의 인식을 토대로-

        우양호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22 島嶼文化 Vol.- No.6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licy effectiveness of coastal liner quasi public operating system in Korea based on island area resident’s perception. The coastal liner quasi public operating system is a policy project in which the government provides public financial support for operating and damage costs to private ferries operating on less profitable island routes. This is a policy-oriented transportation welfare project that improves transportation convenience and settlement conditions for island residents by preventing the closure or disconnection of deficit routes. The system began in 2018 and has been expanded to cover all coastal passenger ships traveling between land and island areas. In addition, the Public Transportation Act was revised in the National Assembly in 2020, and coastal passenger ships legally gained the status of public transportation in Korea.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tudy sought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olicy effectiveness of coastal liner quasi public operating system and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he polic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sland area residents were highly aware of policy effectiveness in terms of guaranteeing basic transport rights, securing regular time, and reducing transportation costs. However, relative effectiveness was insufficient in terms of policy awareness, service improvement, increased publicness and improved settlement condi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for the government to actively expand this policy in the future, as its effectiveness was confirmed by island area residents.

      • 버스 준 공영제에 관한 연구: 유인시스템 관점에서

        양채열 ( Chae Yeol Yang ) 한국행정학회 2013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

        버스 서비스의 개선과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위하여 2004년 7월 서울시를 필두로 하여, 대부분의 광역시가 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하였다. 버스 준공영제의 도입으로 사용자의 편익 은 증대되었다고 평가되나, 운송수입금 관리와 보조금 사용에서 투명성 문제, 효율성 증대를 통한 원가절감 노력의 부족 등이 버스 준공영제의 문제점이다. 특히 운송사의 적자를 보전해주기 위한 재정지원금의 지속적 증대로 인하여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실정 이다. Laffont and Tirole(1993)과 Gagnepain and Ivaldi(2002)의 모형을 기본으로 우리나라 의 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개선점을 제안한다. 현재의 지원방식인 ‘사 후 원가 보전 방식’은 효율성 추구에 대한 유인을 부여하지 못하고 있음은 물론 많은 행정 비용과 비리를 유발하는 직접지원/규제방식이다. 따라서 운송사에게 자율성을 부여하여 효 율성을 향상시키고 거시적인 비용을 관리하며 행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사전적 고정금액 지원 방식’ 또는 중간단계인 ‘유인 보조금 제도’의 도입을 신중하게 검토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BQPOS)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bus service and to promote the public transportation in 2004 firstly in Seoul, and major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followed suit. The user benefit is evaluated to have increased with the introduction of BQPOS, but there still remains many problems: the lack of transparency in transport income management which is alleged to cause the misappropriation of public subsidy, lack of effort to improve the efficiency by cutting costs. and eventually problem in sustainability of the public subsidy to compensate for the losses in bus companies. This paper analyzes BQPOS using economic model based on Laffont and Tirole(1993), and Gagnepain and Ivaldi(2002), and porposes alternative system and measures to improve the system. The current BQPOS is the ``cost-plus`` scheme which does not provide any incentive to improve efficiency, causes many irregularities in the use of subsidy and creates the big burden of administration costs. This paper proposes ``ex-ante fixed lump sum scheme`` and intermediate ``linear contract scheme`` which will incentivise the managements of the bus companies, and reduce the administration costs and irregularities.

      • KCI등재후보

        대구 시내버스 준공영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철(Kim Young Chul),박노광(Park Ro Kwang),김언호(Kim Eon Ho) 한국지역사회학회 2010 지역사회연구 Vol.18 No.2

        Daegu metropolitan city introduced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in February 2006, along with BMS and free transference between bus and subway, which was only possible with agreement among the major interested parties, such as labor, bus companies and the local government. The system has resulted in positive consequences, including high riding rate of bus instead of other transportations, more security in employment of bus drivers and decline in traffic accidents by bus. But, at the same time, it has caused some problems such as high burden of public budgets to compensate the loss in profits and lack of efforts to improve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on the part of bus companies.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in Daegu, this study proposes the 2.5 track policy which aims at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and innovating policy process at the same time. For this, the focus of the policy should be directed toward inducing larger-sized companies through M&A, lessening moral hazards of bus companies by promoting market principles in their operation and reforming the policy processes by participation of citizens through more dependence on governance system.

      • KCI등재

        The Impact of passenger volume and transportation revenue change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ity Bus Quasi-Public Operation System - Focusing on the BRT system of Busan City

        성우용(Seong, Wooyong),강재호(Kang, Jaeho)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시 시내버스 정책 중 BRT에 대한 효과성 분석이다. 시내버스는 서민의 생활과 밀접한 교통수단이다. 시내버스 요금은 서민경제의 안정을 위해 그동안 인상을 자제해 왔다. 이로 인해 운행적자가 발생하는 부분은 공적자금으로 메우게 하는 준공영제(Quasi-Public Operation System)가 시행되었다. 준공영제 실시로 인하여 지방자치단체는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정책노선을 유지하고, 장애인을 위한 저상버스의 운용, 노인과 아동 및 청소년의 요금 할인 등, 우리 사회의 약자를 위한 복지사회 구현의 일환으로 시내버스의 역할을 부여했다. BRT의 경우 정시성, 신속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용자수의 증가를 위한 효율적인 운용을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시내버스의 정시성과 신속성이 확보되면, 그만큼 이용자의 유인효과가 있을 것이고 이용자수가 증가하면, 그에 따르는 운송수입도 늘어나 재정적자의 규모도 감소할 것이다. 분석의 진행은, 부산의 비BRT구간 노선 71개와 실험집단 BRT구간 노선은 12개를 선정하여 PSM분석과 고정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부산의 BRT구간 효과분석에서 이용객수가 PSM 근거리이웃 매칭의 경우 2017년부터 2019년 3개년 동안 73,600명이 증가하였고, 커널 매칭에서는 73,300명이 증가하였다. 로그수입에서는 PSM 근거리이웃 매칭의 경우 0.09(9%)가 증가하였고, 커널 매칭에서도 같은 0.09(9%)가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city bus policies. City buses are a means of transportation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common people. The city bus fare has been restrained from increasing for the sake of stabilizing the economy of the common people. As a result, the Quasi-Public Operation System was implemented, in which the portion of the operating deficit was filled with public fund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Quasi-Public Operation System, local governments could maintain the policy that guarantees the transportation rights of the disadvantaged, operation of low-floor buses for the disabled, and discount on fares for the elderly, children and youth, etc., as part of realizing a welfare society for the underprivileged in our society. In the case of BRT, the purpose is punctuality and promptness, and efficient operation to increase the number of users can bring positive effects. If the punctuality and promptness of city buses are secured, there will be an inducement effect for users. For the analysis, 71 non-BRT section routes in Busan and 12 routes in the experimental group BRT section were selected and PSM analysis and Fixed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In the effect analysis of the BRT section in Busan, the number of users increased by 73,600 for three years from 2017 to 2019 in the case of PSM near-neighbor matching, and by 73,300 in kernel matching. In logarithmic revenue, 0.09 (9%) increased for PSM near-neighbor matching, and the same 0.09 (9%) increased for kernel matching.

      • KCI등재

        버스준공영제 시행에 따른 대도시 시내버스 노선의 효율성 분석 :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창호,나주몽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8 No.5

        본 연구는 DEA 모형중 투입지향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이용하여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전후의 시기별․운행형태별 시내버스 노선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BCC 모형의 순수기술적 효율성 측면에서 준공영제 시행 전인 2005년보다 시행 이후인 2010년과 2015년에 급행간선형과 지선형 노선의 효율성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노선 비효율성의 원인으로는 모든 시기에 규모의 비효율성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함께 비효율적으로 나타난 시내버스 노선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벤치마킹의 대상을 제공하고자 Tier 분석을 실시하여 비효율적인 노선과 단계별 벤치마킹 대상 노선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해당 지자체에서 보다 적극적인 시내버스 노선체계를 개편해 나갈 경우 시내버스 노선의 효율성은 어느 정도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iciency of city bus route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of Gwangju City city-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using input-oriented CCR and BCCDEA models. Additionally, on the basis of efficiency analysis results, a Tier analysis modelwas used, and efficient routes were investigated for benchmarking. The analysis resultsshow tha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Gwangju City city-bus quasi-public operatingsystem 'public character' and 'efficiency' were to some extent secured while the system wasbeing operated. However, Tier analysis result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inefficient busroute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Nonetheless, DEA results similarlyshowed all inefficient bus routes to be feeder routes. The current reality is that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quasi-public operating systems byseveral local governments, route system related civil complaints have been flooding in. However,clear route reorganization criteria or policy plans for appropriate standards of service have notbeen proposed. Therefore, the methodology used and result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applied as base line data through which each city bus route's standard of service may beevaluated and the efficient level of bus route provision decided. In addition, the results may betaken into account in the search for a policy making approach for more active city bus routereorganization to secure the public character and efficiency of city bus routes.

      • KCI등재

        서울시 버스 준공영제 도입에 관한 연구: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송현진,이정욱,조윤직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7 行政論叢 Vol.5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political management has been appli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Quasi-public Bus Operating System in Seoul, South Korea. While several previous reforms of the bus system in Seoul experienced failures, the reform in 2004 under Mayor Myungbak Lee was successful. The current research evaluates political management in the reform process based on Mark Moore (1995)’s framework that emphasizes the strategic management perspective. While existing studies mainly focus on evaluation of policy and recommendations for policy improvement, this research seeks to provide managerial guidance by focusing on the active roles of policy manag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among the five strategies of political management proposed by Moore (1995), ‘Entrepreneurial Advocacy,’ ‘Managing Policy Development,’ and ‘Negoti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doption of the Quasi-public Bus Operating System.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to public managers seeking to adopt new policies. 본 연구의 목적은 민선 3기 서울시 버스 준공영제 사례를 분석하여 다양한 의사결정자와 정치적 동원 과정이 필요한 혁신적인 정책을 성공적으로 도입하는데 있어 어떻게 정치적 관리가 이루어졌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서울시 버스 문제는 90년대 초반부터 역대 서울시장들의 개입 시도에도 불구하고 번번이 실패하다가 이명박 시장 재임 시절인 2004년 7월 극적인 개편에 성공하였다. 지금까지 버스 준공영제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정책성과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에 초점을 맞추었고, 도입 과정에 주목한 최근의 연구들도 정치환경 및 정책환경 등 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버스 준공영제의 도입과정을 분석함에 있어 정책관리자의 주도적 역할에 초점을 두는 정치적 관리 관점을 활용하였다. Moore(1995)가 제시한 정치적 관리전략의 분석틀을 본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정치적 관리의 다섯 가지 전략 중에서 기업가적 옹호, 정책개발관리, 협상이 서울시 버스 준공영제 정책의 도입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기존 논의를 조직화하여 해당 사례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를 돕는 동시에, Moore의 정치적 관리에서 고려된 각 요소를 소개함으로써 정책관리자들이 향후 서울시 버스 준공영제와 같은 대규모의 제도를 도입하고 개편하는데 있어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서울과 부산의 준공영제 시내버스 효율성 비교연구

        성우용(Seong Wooy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4

        서울과 부산의 준공영제 시내버스 효율성을 DEA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두 도시의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개년간의 효율성 변화를 통해 이 기간 정책시행에 따른 긍정적 영향요인은 무엇인지, 서울과 부산 두 도시 간 어느 쪽이 더 효율성 지수가 높은지, 운송수입에 긍정적인 요인을 주는 투입변수는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요인분석을위해 토빗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운송수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투입요인은 서울과 부산 모두 ‘운행대수’이다. 둘째, 서울이 부산보다 CRS는 0.189, VRS는 0.034 만큼 효율성이 더 높았다. 셋째, 정책변화가 효율성 지수 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에서는 서울의 경우, 2017년의 값은 2015년보다 낮으므로 정책의 효과는 효율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산 역시 2017년의 VRS값은 2015년보다 미미하게 낮아 정책의 효과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정책실행 방법이나 현장에서의 피드백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재정지원 관계에서도, 서울은 재정지원액이 2016년부터 2017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부산은 2016년 증가했다가 2017년에는 다소 감소하였다. 부산은 재정지원 규모와 효율성의 변동이 비례관계에 나타났고, 서울에서도 역시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효율성이 2015년보다 2017년에 가서 더욱 하락한 것은 재정지원액의 증가 규모와 비례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미뤄보아 운용 효율성의 하락은 비례적으로 재정지원의 규모 확대로 이어짐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효율성 제고를 위해 투입변수의 규모에 대한 선택적 확대를 고려해야 한다. The efficiency of Quasi-Public Bus Operating System in Seoul and Busan was analyzed by DEA model. The three-year change in efficiency of the two cities from 2015 to 2017 analyzes what are the positive impacts of implementing this period. The two cities, Seoul and Busan, were analyzed to see if they had higher efficiency indices and what were the input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transportation revenue. To do this, Tobit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irst, the number of operation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ransportation income was the “operational number” in both Seoul and Busan. Second, Seoul is more efficient than Busan by 0.189 CRS and 0.034 VRS. Third, in the question of whether policy changes could affect the efficiency index fluctuations, the value of 2017 was lower than 2015, so the effect of policy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efficiency. In Busan, the value of 2017 is lower than that of 2015, so the effect of the policy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efficiency. The lack of a positive effect on these efficiencies is a lack of feedback on how to implement the policy and in the field. In terms of financial support, Seoul increased steadily from 2016 to 2017, while Busan increased in 2016 and slightly decreased in 2017. In Busan, there was a proportional change in th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and efficiency, and in Seoul, although the difference was somewhat different, the decrease in efficiency from 2017 to 2015 was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In light of this, it can be seen that a decrease in operational efficiency leads to a proportionate increase in financial support. Therefore, selective expansion of the size of inputs should be considered to increase efficiency.

      • KCI등재

        DEA를 활용한 부산광역시 준공영제 시내버스 운용 효율성 평가 연구

        성우용,강재호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준공영제 실시 이후 운영 효율성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DEA 분석결과, CRS의 경우 지하철 1호선과 환승 가능한 버스노선의 연도별 효율성은 2010년도가 가장 높았다. 지하철 2호선과 환승 가능한 버스노선의 연도별 효율성은 CRS 평균이 연차적으로 점차 향상되어 2016년 0.923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지하철 3호선과 환승 가능한 버스노선의 연도별 효율성이 2009년부터 2015년까지는 점차 향상되는 모습을 보이다가 2016년도에는 다시 하락하였다. 전체 134개 노선의 4개 연도 536개 노선 중 비효율적으로 나타난 노선은 205개이다. 205개 노선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규모의 축소 즉, 노선의 운행횟수 등을 감축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Tobit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결과, 운영 효율성 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소요시간이 가장 컸고, 그 다음으로 이용객수, 환승객수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d the factors of operational efficiency after the quasi-public bus operating system in Busan Metropolitan City. DEA analysis result, for CRS the annual efficiency in 2010 of bus routes that can be transferred to subway lines 1 was the highest. The annual efficiency of bus routes that can be transferred to subway lines 2 shows the largest annual average of 0.923 in 2016 under the CRS average gradually improved over the year. Annual efficiency of subway lines No. 3 and transferable bus routes gradually improved from 2009 to 2015, but declined again in 2016. Among 536 routes for four years on 134 routes per year, 205 routes were found to be inefficient. In order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205 routes, it i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routes should be reduced.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on DEA using the Tobit calibration,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operational efficiency index were the time taken, followed by the number of passengers and the number of passengers transferred.

      • KCI등재

        버스 준공영제에 관한 연구

        양채열(Chae-Yeol Yang) 한국법경제학회 2013 법경제학연구 Vol.10 No.2

        버스 서비스의 개선과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위하여 2004년 7월 서울시를 필두로 하여, 대부분의 광역시가 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하였다. 버스 준공영제의 도입으로 사용자의 편익은 증대되었다고 평가되나, 운송수입금관리와 보조금 사용에서 투명성 문제, 효율성 증대를 통한 원가절감 노력의 부족 등이 버스 준공영제의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특히, 운송사의 적자를 보전해주기 위한 재정 지원금의 지속적 증대로 인하여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실정이다. Laffont and Tirole(1993)과 Gagnepain and Ivaldi(2002)의 모형을 기본으로 우리 나라의 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개선점을 제안한다. 현재의 지원방식인 ‘사후 원가보전방식’ 은 효율성 추구에 대한 유인을 부여하지 못하고 있음은 물론 많은 행정비용과 비리를 유발하는 직접 지원·규제 방식이다. 따라서 운송사에게 자율성을 부여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거시적인 비용을 관리하며 행정비용과 관련 비합리성을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전적 고정금액 지원방식’ 또는 중간 단계인 ‘유인 보조금제도’ 의 도입을 신중하게 검토하여야 할 필요성을제기한다. The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BQPOS)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bus service and to promote the public transportation in 2004 firstly in Seoul, and major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followed suit. The user benefit is evaluated to have increased with the introduction of BQPOS, but there still remains many problems: the lack of transparency in transport income management which is alleged to cause the misappropriation of public subsidy, lack of effort to improve the efficiency by cutting costs. and eventually problem in sustainability of the public subsidy to compensate for the losses in bus companies.This paper analyzes BQPOS using economic model based on Laffont and Tirole (1993), and Gagnepain and Ivaldi (2002), and proposes alternative system and measures to improve the system. The current BQPOS is the ‘cost-plus’ scheme which does not provide any incentive to improve efficiency, causes many irregularities in the use of subsidy and creates the big burden of administration costs. This paper proposes ‘ex-ante fixed lump sum scheme’ and intermediate ‘linear contract scheme’ which will incentivise the managements of the bus companies, and reduce the administration costs and irregularities.

      • 버스 준 공영제에 관한 연구 : 유인시스템 관점에서

        양채열 한국재무학회 2013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1

        버스 서비스의 개선과 대중교통의 활성화를 위하여 2004년 7월 서울시를 필두로 하여, 대 부분의 광역시가 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하였다. 버스 준공영제의 도입으로 사용자의 편익은 증대되었다고 평가되나, 운송수입금 관리와 보조금 사용에서 투명성 문제, 효율성 증대를 통 한 원가절감 노력의 부족 등이 버스 준공영제의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특히 운송사의 적자 를 보전해주기 위한 재정지원금의 지속적 증대로 인하여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실 정이다. Laffont and Tirole(1993)과 Gagnepain and Ivaldi(2002)의 모형을 기본으로 우리나라의 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개선점을 제안한다. 현재의 지원방식인 ‘사후 원가 보전 방식’은 효율성 추구에 대한 유인을 부여하지 못하고 있음은 물론 많은 행정비용 과 비리를 유발하는 직접지원/규제방식이다. 따라서 운송사에게 자율성을 부여하여 효율성 을 향상시키고 거시적인 비용을 관리하며 행정비용과 관련 비합리성을 줄일 수 있는 ‘사전 적 고정금액 지원 방식’ 또는 중간단계인 ‘유인 보조금 제도’의 도입을 신중하게 검토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Bus Quasi-Public Operating System (BQPOS)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bus service and to promote the public transportation in 2004 firstly in Seoul, and major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followed suit. The user benefit is evaluated to have increased with the introduction of BQPOS, but there still remains many problems: the lack of transparency in transport income management which is alleged to cause the misappropriation of public subsidy, lack of effort to improve the efficiency by cutting costs. and eventually problem in sustainability of the public subsidy to compensate for the losses in bus companies. This paper analyzes BQPOS using economic model based on Laffont and Tirole(1993), and Gagnepain and Ivaldi(2002), and porposes alternative system and measures to improve the system. The current BQPOS is the 'cost-plus' scheme which does not provide any incentive to improve efficiency, causes many irregularities in the use of subsidy and creates the big burden of administration costs. This paper proposes 'ex-ante fixed lump sum scheme' and intermediate 'linear contract scheme' which will incentivise the managements of the bus companies, and reduce the administration costs and irregular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