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멸종위기어류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Pisces: Gasterosteidae)의 분포현황 및 멸종위협 등급 평가

        고명훈 ( Myeong-hun Ko ) 한국어류학회 2016 韓國魚類學會誌 Vol.28 No.3

        우리나라 멸종위기어류 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의 분포양상 및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10월까지 강원도와 경상북도 등에서 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71개 조사지점 중 21개 하천 (지점)에서 854개체가 채집되었다. 과거 30여 년 동안 가시고기는 23개 하천에서 서식이 확인되었으나 이 지점들에 대한 본 조사 결과 12개 하천에서만 서식이 확인되는 등 서식지 및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가시고기의 서식지 특징은 하천 하류의 소 (pool)가 형성되고 수생식물이 많이 서식하는 곳이었다. IUCN 적색목록 기준지침서에 따라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면, 서식지 및 개체 수의 급격한 감소와 작은 점유 면적 (84 km<sup>2</sup>) 등으로 위기 (EN) [B2ab(ii,iii,iv,v)]로 평가되었다. Distribution status and threatened assessment of endangered species, Pungitius sinensis (Pisces: Gasterosteidae),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to October 2015 in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etc.,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854 individual P. sinensis were collected from 21 of 71 sampling stations using skimming nets. P. sinensis appeared in 23 streams during the past 30 years. However, it was only collected in 12 streams. Therefore, its habitats and populations were drastically reduced. The preferred habitat of P. sinensis was pool of the lower stream with lots of aquatic plants. Given these evidences of small occupying areas (84 km<sup>2</sup>) and drastic reduction in its habitats and populations, P. sinensis is considered as an endangered (EN) [B2ab(ii,iii,iv,v)] species based on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 가시고기(Pungitius sinensis: Gasterosteidae)의 성적 이형

        채병수,양홍준 한국통합생물학회 1990 동물학회지 Vol.33 No.3

        강원도 강릉 남대천과 옥계 수림천에서 채집된 가시고기와 잔가시고기를 대상으로 외부형태의 성적 이형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형질 중 가장 뚜렷한 성적 이형을 나타내는 것은 체장에 대한 두장의 비율로서, 수컷의 두장이 암컷의 것보다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문장 / 체장, 항문부 체고 / 체장의 비율에서도 암수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 어류에서 두장의 성적 이형이 나타나는 원인을 동물행동학적인 면에서 논의하였다. Pungitius sinensis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Namdae River and Chusu River drained into Sea of Japan,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if this species shows sexual dimorphism. The ratio of the head length to the body length revealed marked sexual difference; the head length in males was longer than in females. The snout length and body depth at anus showed a tendency to be larger in males than in females. This dimorphism seems to be related to breeding habits. The ethological significance of the larger head of males was discussed.

      • KCI등재

        Melanophores of Pungitius sinensis and Pungitius kaibarae(Gasterosteidae, Plsces)

        Youn, Chang-Ho,Lee, Sang-Dae,Kim, Kwan-Seon 한국어류학회 2002 韓國魚類學會誌 Vol.14 No.2

        산란기와 비산란기로 구별하여 가시고기와 잔가시고기의 피부와 등지느러미 가시막에 있는 멜라닌색소포의 분포와 모양을 조사하였다. 비산란기의 가시고기와 잔가시고기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가시고기의 등지느러미 가시막은 투명한 반면, 잔가시고기의 가시막은 흑색을 보였다. 산란기의 가시고기는 옅은 갈색으로의 체색 변화만 일으켰지만, 잔가시고기의 피부는 짙은 흑색으로 큰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외형으로 나타나는 체색과는 달리 멜라닌 색소포의 수와 그 내부의 멜라노솜 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면소포체와 골지체, 그리고 멜라닌세포의 분포도 두 종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잔가시고기의 피부는 산란기와 비산란기에 큰 색깔 차이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미세구조적인 소견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옅은 색깔을 띠는 피부나 가시막의 멜라노솜은 구형으로 관찰되었으며, 짙은 흑색을 띠는 피부나 가시막의 멜라노솜은 불가사리 모양으로 세포질 돌기가 심하게 분지되어 있었다. 따라서 육안으로 나타나는 피부나 가시막의 색깔은 멜라노솜의 양보다는 그 모양이나 분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distribution and structure of melanophores in the skin and membrane of the dorsal spines of the Pungitius sinensis and P. kaibarae were studied during breeding and non-breeding seasons. In the non-breeding season, the two fishes showed little difference except that the membrane of the dorsal spines of P. sinensis was transparent, while that of P. kaibarae was black. During the breeding season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ishes in skin color: the skin of P. sinensis was light brown, while that of P. kaibarae was black. There was however,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ishes in the number of melanophores and melanosomes of the skin. The distribution of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Golgi complex, and the number of melanocytes also showed little difference in both species, especially both in breeding and non- breeding season in P. kaibarae. The melanophores in light-colored skin and in the membrane of the dorsal spines of P. sinensis were round, whereas the melanophores in the black-colored skin and in membrane of the dorsal spines of P. kaibarae had many projections of the cell processes, shaped like a starfish.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olor of the skin and the membrane of the dorsal spines depend not on the amount of melanosomes present but on the distribution of the melanosomes within the melanophores.

      • Comparison of Reproductive Behaviors between Two Species of Eightspine Sticklebacks (Genus: Pungitius)

        Park, Shi-Ryong,Lee, Jeong Hee,Cheong, Seokwan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ive Biology 2001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Vol.5 No.2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ifferentiate the reproductive behaviors of Pungitius sinensis and P. kaibarae inhabiting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 collected P. sinensis from Jusu stream, Okkyemyeon and P. kaibarae from Sacheon stream, Sacheon-myeon both in Gangwon province and subsequently raised and observed them in an aquarium. At the beginning of the reproductive season, male P. sinensis got tinged with dark green, made a territory, and built nests on the bottom. On the other hand, male P. kaibarae became black all over, its white ventral spines became conspicuous and built nests on the stems of waterweed off the bottom. In the courtship dance, male P. sinensis made frequent attempts to entice females into their nests after many bitings, while male P. kaibarae mostly did this with conspicuous jumpings. In courtship behaviors, the body's angle of male P. kaibarae with his head down was larger than that of male P. sinensis by 50-60 degrees. During courtship, the biting frequency as an index of aggressive behavior was greater in P. sinensis and the jumping frequency as an index of sexual behavior was greater in P. kaibarae. During the courtship dance, bitings tended to suppress jumpings, for P. sinensis, but not for P. kaibarae.

      • KCI등재

        한국어 부사 ‘잘’의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가시고기」와 「刺鱼」를 중심으로-

        최윤곤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3 No.-

        이 글은 한국어판 「가시고기」와 중국어 번역판 「刺鱼」에 나타난 ‘잘’의 다의적 의미를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 양상을 고찰하였다. 우선 ‘잘’은 <한국어 사전> 4종을 바탕으로 19가지의 대표 의미를 정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ㆍ중 사전> 4종에서 18개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정리하였다. 또한 <한ㆍ중 사전>에서 제시한 2 가지 뜻풀이는 수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가시고기」에는 총 55회의 ‘잘’이 등장하였는데, 이중에서 15개는 「刺鱼」에서 번역을 생략하였다. 생략한 15개의 예문은 ‘잘’의 명확한 의미가 표현되도록 대체나 보충한 결 과를 제시하였다. 「가시고기」에 등장한 ‘잘’의 의미는 앞서 제시한 19가지의 대표 의미 중에서 8가지가 나타 나며, ‘잘’과 공기 관계에 있는 동사는 17종 20개가 등장하였다. 본고는 ‘잘’의 다양한 의미를 통해서 한국어 번역에서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는 한국어 다의어에 대한 번역의 중요성과 정확한 의미의 파악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한편으로 ‘잘’은 공기하는 동사에 따라서 다의 적 의미가 발생한다. 그렇다면 ‘잘’과 공기하는 동사의 개수만큼 다의적 의미가 만들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것 은 사전 기술에 있어서 매우 곤란한 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잘’이 갖고 있는 다의적 의미를 공기 관 계에 따라서 재분류할 필요가 있다. It is ‘Jal(잘)’ looked at the equivocal meaning to Korean version of <Pungitius Sinensis(가시고기)> and Chinese version of <刺鱼>. This paper make out 19 meaning of four kinds of Korean dictionary and four kinds of Korean-Chinese dictionary were summarized in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 of 18 meaning. In addition, I suggest that the proposed modified two meanings in Korean-Chinese dictionary. There are a total of 55 meetings <Pungitius Sinensis(가시고기)> ‘Jal(잘)’ appeared, 15 are <刺鱼> was omitted from the translation. 15 examples omit the ‘Jal(잘)’ to reveal the precise meaning of the results suggested alternative or supplement. <Pungitius Sinensis(가시고기)> appeared in the ‘Jal(잘)’ is defined as the mean of 8 different meanings were ‘Jal(잘)’ and ‘Jal(잘)’ in co-occurrence relation with the verb is a 17 species 20 kinds. This article is a ‘Jal(잘)’ in such a variety of means to identify and have a variety of meanings in Korean translation for polysemic words grasp the importance and the need for precise meaning was pointed out. Meanwhile, the ‘Jal(잘)’ by co-occurrence verb changed depending on the meaning ‘Jal(잘)’ and the number of co-occurrence as an equivocal meaning of the verb is required, which is very difficult for the writing dictionary. So ‘Jal(잘)’ equivocal means is co-occurrence relation has re-classified and therefore, require careful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