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주하는 공간적 권력: ‘노키즈존’의 확산 및 ‘맘충’ 담론을 사례로

        채상원,임진희 한국공간환경학회 2024 공간과 사회 Vol.34 No.2

        본 연구는 이른바 ‘노키즈존’을 사례로 일상 공간을 매개로 흐르고 작동하는, 따라서 쉽게 파악하기 어렵거나 또는 간과되는 형태의 공간적 권력의 등장 및 변주에 관해 논의한다.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에서는 카페 및 식당 등 사적으로 소유된 공공 공간을 중심으로 ‘노키즈존’이 확산하고 있다. 해당 공간들은 업주의 재량에 따라 아동의 출입을 금지하는데, 구체적인 금지의 기준은 개별 공간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별 공간이 아닌‘노키즈존’의 등장 및 확산을 하나의 공간적 현상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현상이 개인의 일상을 규율하고 통치하는 양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키즈존’은 CCTV, 공간설계, 여론조사 등 전통적인 방식 외에 온라인 공간의 혐오 표현 및 담론과 결합해 개인들의 일상을 통치한다. ‘노키즈존’의 권력은 온라인을 통해 유포되는 ‘맘충’과 같은 혐오 표현이 일상의 배제적 공간 실천과 결합해 미시적인 차원에서 그효과를 드러낸다. 둘째, 권력이 경험되는 측면에서 ‘노키즈존’의 공간적 권력은 해당 공간의 경계를 넘어 외부를 향해 행사된다. 이러한 공간적 권력을 가장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여성 양육자들은 아이를 동반한 외출에서 과도하게 스스로의 행동을 규율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노키즈존’의 존재로 인해 (준)공공 공간 전반에서 행위의 반경 및 이동성이 위축된 모습을 드러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사적으로 소유된 공공 공간, 온라인-오프라인 연속체 등을 매개로 개인의 일상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는 혐오와 차별, 불평등한 권력관계에 대한 비판적 논의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ubtle and elusive mode of power that operates in, by, and through everyday spaces by drawing on the case of ‘No-Kids Zones’ in South Korea. Over the last few years, Korea has seen the emergence and spread of ‘No-Kids Zones’: small hospitality businesses that deny the entry of children under a certain age based on the shopkeepers’ entrepreneurial yet arbitrary decisions. The main argume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No-Kids Zones’ govern the everyday lives of individuals in ways different from traditional techniques of governing, such as CCTVs, spatial designs, and public polls. Instead, the spatial power of ‘No-Kids Zones’ manifests itself at micro-level, as a result of hate speech and discourse in cyberspace combined with the practice of spatial exclusion in everyday life. Second, in terms of the lived experiences, the spatial power of ‘No-Kids Zones’ works beyond its physical boundaries and extends outwards. Interviews conducted as part of this research show that women self-discipline their behaviours when they accompany their children to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otherwise referred to as ‘quasi-public space’ in this research), indicating that the very existence of ‘No-Kids Zones’ restricts the mobility and behavior of female caretakers in public spaces. Altogether,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despite its name, it is the mothers who are stigmatized by ‘No-Kids Zones’, whose presence is governed by the fairly misogynistic on- and offline discourses concerning women’s presence in and use of public space. Therefore, this research calls for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how discrimination, exclusion, and unequal power dynamics play themselves out through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and the online-offline continuum, which constructs the uneven geographies of the everyday.

      • KCI등재

        기독교여성 지식인의 혼종적 주체와 연설

        이숙진 ( Lee Sookjin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8 기독교사회윤리 Vol.42 No.-

        이 글은 1920년대 후반에서 193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구미에서 여성연설가로 활약한 박인덕의 연설, 그리고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초반 일본 제국주의의 호명에 응답한 기독교계 여성지식인의 연설에 주목한다. 요컨대 해방 이전 가부장제와 제국의 지배논리에 저항(갈등)하거나 협력(순응)하면서 형성된 기독교여성 지식인의 혼종적 주체를 연설이라는 렌즈를 통해 추적한다. 식민지 시대의 질곡을 통과하는 동안 기독교여성 지식인들은 신앙과 민족의 지도자로 추앙되거나 그와 반대로 신앙과 민족을 저버린 변절자로 평가받아 왔다. 물론 이러한 상반된 평가에는 민족주의 담론이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다. 연설을 매개로 구성되고 강화된 여성주체의 특성을 살피는 이 글은, 민족주의의 회로에서 벗어나 다채로운 여성의 삶의 자리를 조망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여성을 특정 표상으로 환원시킴으로써 대상화하는 한계를 넘어서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Christian New Women's hybrid subject formed by her own “speech” in modern Korean protestantism. Some Korean protestant women made a modern speech as a member of 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Foreign Mission(SVM) from the 1920s to the 1930s. SVM was a forerunner of foreign mission bodies of North America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famous for a motto of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in This Generation.” This organization gave a chance to Korean New Women to make a public speech in North America by inviting them. Aa a result they played the role of native informant, becoming a hybrid subject. This paper tri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br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