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mperial Psychology in Britain’s Foreign Policy since 1945: From “Three Circles” to “Global Britain”

        Zheng Taoran 아시아사회과학학회 2022 Jo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7 No.1

        The integrated review document named Global Britain in a Competitive Age, published in March 2021, has once again triggered a discussion on the positioning of Britain s international role. As a de facto middle power, Britain has never given up its pursuit of great power status since World War II, scholars over the world have analyzed the reasons for this phenomenon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ut not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impact of imperial psychology on British foreign policy. This paper selects imperial psychology as a research perspective, uses qualitative and case study research method, takes typical and major foreign policies as samples, such as “three-circle” policy, Britain s entry into the European Community, Falklands War, Blair s “new interventionist” foreign policy towards Kosovo and Iraq, Brexit and “Global Britain”, to examine the sources of imperial psychology, its characteristics, reasons for its existence, its manifestation in British foreign policy,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nd the reasons why it is still reflected in modern foreign policy. It is found that there are four characteristics of imperial psychology: the sphere of influence consciousness, superiority and suzerainty mentality, nostalgia, and great power mentality. Imperial psychology runs like a thread throughout the history of British foreign policy since 1945. The impacts of imperial psychology on British foreign policy are twofold, on the one hand, it helps Britain to perpetuate its status and influence as a great power, allows Britain to play a relatively bigger role in international affairs beyond its own capacity. On the other hand, it prevents Britain from properly defining its role in a timely manner and from setting its foreign policy goals in accordance with its available resources. The current Global Britain strategy also sets goals beyond UK s actual capabilities, it is more about appealing to voters than about actually achieving global power status. The paper concludes that a glorious imperial history has ingrained imperial psychology in the minds of British policy elites. Among all the factors that influenced post-war British foreign policy, imperial psychology is not the most important one, but it is at least the most persistent one. It has kept British policy makers reluctant to give up their quest for great power status, which has influenced British foreign policy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This study lacks quantitative analysis, however, and can only determine that imperial psychology has indeed been influencing British foreign policy, not to what extent. Still, it can help modern people understand why Britain is so obsessed with global power status.

      • KCI등재

        경호심리학 연구의 융합적 접근 -경호학과 심리학-

        김태민 한국범죄심리학회 202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6 No.4

        In contemporary society, crime and terrorism have become routine occurrences, causing people to feel intimidated psychologically in an unsafe and dangerous society. Crimes have tended to become increasingly inhuman, ferocious, atrocious, and borders between nations are breaking down, while threats of terrorist attacks are spreading. In response to that, the security industry is making strides to meet human desire for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academic research and exploration by the security science should be conducted more profoundly. Psychology represents the study of the science investigating the state of mind and behavior, and has influenced and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overall academic fields of studies. Security Psychology is a type of study that aim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complex state of mind of the security guards, persons protected by security guards, perpetrators, and the crowd, the elements of security, based on the pattern of their behaviors. In a narrow sense, the Security Psychology can be defined as empirical science that scientifically investigates the behavior and psychological processes of security guards. In particular, the Security Psychology pays attention to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the security subjects and the measures for overcoming such psychological factors when security duties are performed. This study aimed to promote academic development of the Security Psychology through the approach based on convergence between Security Science and Psychology. Moreov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e topics of psychology and research subjects that would need to be converged with the Security Psychology, the topics of lectures on the Security Psychology, and the challenges for development of the Security Psychology. This study is significantly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he research converging the academic disciplines of Security Science and Psychology.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academic advancement of the Security Psychology as a new study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for security-related departments. 현대사회에서는 범죄와 테러의 일상화로 국민들은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불안전한 위험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범죄는 날로 비인간적이고 흉포화 되고 있으며, 국가 간 경계가 허물어지며 테러위협도 확산되고 있다. 여기에 맞서 인간의 심리적 안전욕구를 충족해 주기 위해 시큐리티 산업은 발전하고 있으며, 경호학의 학문적 연구와 고민도 심오해 져야 한다. 심리학은 마음과 행동에 관한 과학적 연구의 학문이며, 여러 학문분야 전반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공헌을 해오고 있다. 경호심리학은 경호의 요소인 경호원, 경호대상자, 위해자, 군중 등의 행동을 통해 복잡한 마음 상태를 알아가는 학문이다. 좁은 의미에서는 경호원의 행동과 심리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경험과학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경호심리학에서는 경호임무수행 시 경호주체에 미치는 심리요인과 극복 방안에 관하여 관심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경호학과 심리학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경호심리학의 학문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으로 두었다. 또한 경호심리학에 융합해야 할 심리학의 주제와 연구대상, 경호심리학 강의의 주제, 그리고 경호심리학의 발전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경호학과 심리학이라는 학문 간 융합적 연구로서 큰 의미를 가진다. 더불어 경호 관련 학과 교과목으로 편성되고 있는 신생 학문으로서 경호심리학의 학문적 발전에도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영혼심리학 서설 : 융의 분석심리학의 한 해석

        박종덕(Jong-Duk Park) 한국도덕교육학회 2016 道德敎育硏究 Vol.28 No.2

        진정한 의미에서의 심리학은 영혼에 관한 탐색을 그 핵심적 관심사로 삼는 영혼심리학이라고 볼 수 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심리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은, 약간의 상이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그 방면의 영혼심리학을 예시하고 있다. 특히, 융의 분석심리학은 영혼의 회복 문제를 본격적으로 취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된다. 다만, 융은, 영혼의 회복은 꿈에 현시되는 비언어적 상징을 분석하는 일을 통하여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할 뿐, 그 밖의 경로를 통해서도 가능하다는 점을 간과함으로써 보완의 여지를 남겨놓고 있다. 그리고 그 보완의 방향은 성리학의 심성함양의 매체이론에 비추어 모색될 수 있다. 성리학의 심성함양의 매체이론에 의하면 심성과 그 심리적 대응물로서의 영혼은 비언어적 상징, 언어적 상징, 개념에 의하여 회복된다. 이 세 가지 매체가 영혼을 회복하는 경로가 된다는 점을 밝힐 때에야 비로소 융의 심리학에 예시되어 있는 영혼심리학은 완성된 형태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이것은 곧, 영혼심리학은 영혼의 회복을 주된 관심사로 삼아 인간을 신적 경지로 이끄는 교육적 맥락에서 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Psychology in a true sense can be described as the psychology of the soul, assuming that psychology should investigate the concept of the soul. Some contrary suggestions notwithstanding, Freud’s psycho-analytical psychology and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re typical exemplars of the psychology of the soul. Especially, it is worth reminding that Jung’s analytical psychology makes a claim that the soul should be reinstated as its own. However, Jung asserts that the soul can be reinstated only through analysing nonlinguistic symbols of the dream. This is why Jung’s analytical psychology needs to be reinterpreted in terms of Neo-Confucian theory of the media of cultivation of mind. Neo-Confucianism, when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ory of the media of cultivation of mind, offers the view that ‘the primordial mind’ which is Neo-Confucian equivalent to soul is reinstated by the media of ‘nonlinguistic symbol’, ‘linguistic symbol’, and ‘concept’. Only when we recognize three kinds of media as the ways of reinstatement can we establish the psychology of the soul exemplified by Jung’s analytical psychology. In this sense, we can make sure of placing the psychology of the soul in its true context, which aims to reinstate the soul and to uplift human being to the divine state.

      • KCI등재

        통합심리학 연구의 세 가지 주요 흐름:역사적 맥락과 향후 과제

        문일경,김명권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통합심리학이 발전해온 역사적 맥락을 세 가지 주요 연구 흐름을 중심으로 파악해보고, 아울러 통합심리학의 향후 과제들을 검토하였다. 현재 통합심리학의 큰 줄기인 Aurobindo, Wilber, Assagioli 심리학이 통합심리학과 자아초월심리학의 역사 속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 주요 특징들은 무엇인지에 대해 개괄함으로써 이 세 가지 연구 흐름이 모두 동양 전통과 서양 심리학의 광범위한 성과들을 종합한 심리학의 형태로서, 자아초월심리학과 밀접한 연관성 속에서 발전해왔으며, 초의식 영역까지 포함하는 인간의 전체적인 발달모델을 제시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포괄성, 정교함, 이론과 실제의 연결 등에서 개별적인 차이도 존재한다. 통합심리학이 한 걸음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아초월심리학으로부터 물려받은 오랜 유산인 주류심리학과의 소통, 과학적 심리학으로의 도약 등의 과제를 해결해나가야 하며, 보다 확장된 통합심리학으로서의 자기정체성을 새로이 정립할 필요가 있다. 그 모습은 통합심리학의 주류 세력인 Wilber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여타 통합심리학의 흐름들과 기존 심리학의 모든 부분 진리들을 포괄하는 새로운 체계가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다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자세로 비판이나 대안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integral psychology centered on three main streams through which it has kept evolving and examine its challenges to overcome. Summing up how the main lines of integral psychology(Aurobindo, Wilber, Assagioli's) have positioned themselves and what their key features are shows that they have all grown, in the close correlation with transpersonal psychology, as a form of psychology which integrated the expansive achievements of eastern tradition and western psychology. Futhermore, they are common in emphasizing the full spectrum model of human development. On the contrary, from the viewpoints of inclusiveness, exquisiteness, link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re exist individual differentiations. To jump up, integral psychology must keep overcoming challenges, such as bridging with mainstream psychology, positioning as a scientific psychology which have been inherited from transpersonal psychology and need to establish its identity as a more comprehensive psychology. Its future outline should be a new integral system including all partial truths of other integral streams and existing psychologies, centered on Wilber's integral psychology. More open and receptive attitude should be assumed, accepting any criticism and alternative.

      • KCI등재후보

        대학원 내 긍정심리학 전공의 교육과정 분석

        김도희,정주리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1 고등교육 Vol.4 No.1

        2000년대 이후, 긍정심리학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 긍정심리학에 관해 심도 있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기관은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하여 긍정심리학 학위과정이 있는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긍정심리학 학위를 제공하는 8개 해외 대학과 1개 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달심리학, 조직심리학, 건강심리학, 코칭심리학을 접목한 전공과정을 포함한 12개의 석사과정과 3개의 박사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교과는 긍정 정서, 안녕감, 강점, 미덕, 리더십과 같은 긍정적인 개인과 조직의 특성을 학습하고, 긍정심리학적 개입과 코칭을 연계하여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프로그램에서 현장실습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은 원격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향이 있었다. 교과목은 크게 긍정심리학 기초 이론, 긍정적 조직 이론, 긍정심리 발달 이론, 긍정심리학 프로그램 및 평가, 긍정심리학 개입기법, 긍정심리학 실습, 통계 및 연구방법의 7가지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심리학이 상담심리학, 재활심리학, 교육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 접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Researchers’ interest in positive psychology has expanded since its emergence about in 2000. However, few institutions offer in-depth and systematic curriculum for this field of study in South Korea.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positive psychology degree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in order to establish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positive psychology experts in Korea. Specifically, the coursework programs of one university in Korea and eight foreign universiti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ere 12 master’s and three doctoral degree programs, including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with developmental psychology, organizational psychology, health psychology, and coaching psychology. The programs mainly offered online courses and blended/hybrid courses. Courses were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foundations of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organizational psychology theories, posi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theories, positive psychology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 positive psychology practicum, and statistics and research methodologies. Each course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to learn positive personal traits and organizational features such as positive emotions, well-being, strength, virtues, and leadership, and to provide training in positive psychology principles and practices. Field practicum was an integral part of all the program. By analyzing positive psychology curriculum, it is likely to extend the convergence of positive psychology with a variety of fields of study, including counseling psychology, rehabilitation psychology, and education.

      • KCI등재후보

        요가 심리학의 개념과 전망

        곽미자(Kwag, Mi-ja) 한국요가학회 2009 요가학연구 Vol.1 No.1

        요가를 심리학에 적용하려는 여러 연구들이 있지만 요가 심리학의 개념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가 심리학에 대한 개념과 전망을 다루고자 하였다. 요가 심리학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요가의 의미와 목적을 다루었으며, 심리학의 역사에 조명하여 요가 심리학의 개념을 철학적 요가 심리학과 과학적 요가 심리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철학적 요가 심리학은 요가의 의미와 목적과 일치하며 영혼을 다루는 영혼의 과학 또는 자기실현에 이르는 과학임을 알 수 있었다. 과학적 요가 심리학은 현대 심리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적 방법론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현대 심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들을 전일적으로 다루는 홀리스틱(holistic) 관점을 제시하고 있어 현대 심리학을 포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요가 심리학 을 이해하기 위하여 심리학의 제 4세력인 자아초월 심리학을 함께 다루었으며, 요가 심리학은 자아초월 심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주제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요가 심리학의 연구 방향과 전망을 살펴보았다. 요가 심리학의 연구 방향에서는 기초심리학으로서 그리고 응용심리학으로서의 요가 심리학에서 다루게 될 연구 주제들을 제시하였다. 요가 심리학의 전망에서는 요가 심리학이 현대 심리학에 미치게 될 영향들을 살펴보았다. 논의에서는 요가 심리학은 요가의 궁극적인 목적인 자기실현을 위한 영적과학의 의미를 잃지 않으면서 현대 과학적 방법을 잘 조화시켜야 하는 과제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It seems that there is no articles dealing with the concept of yoga psychology though there are some articles about yoga applied to psych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oncept and vision of yoga psychology. In order to discuss the concept of yoga psychology, the meaning and purpose of yoga has been discussed. Yoga psychology was divided into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aspect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psychology. Yoga psychology in the aspect of philosophy corresponds to the purpose of yoga and is the spiritual science dealing with soul and Self realization. Yoga psychology in the aspect of science includes the scientific methods of modern psychology and deals with the issues of modern psychology as well as transpersonal psychology. Yoga psychology is similar to transpersonal psychology in the aspect of focusing on the transcendence of lower self. But it seems to be more systematic than transpersonal psychology in respect of the methods to Self realization. And the vision of yoga psychology was discussed in view of the fundamental psychology, applied psychology and its effects on modern psychology.

      • KCI등재

        소아청소년 심리학(Pediatric Psychology)에 기반한 소아와 청소년을 위한 건강심리학적 이슈

        박진희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1

        'Health' has become the concern of every age and class in modern society, 'Health psychology' is no longer a discipline only for a specific group. To date, children and adolescents have not the center of attention in the clinical setting and research of health psychology. But, the stages of child and adolescents development have been an emerging subject of interest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and treatment during periods making a fundamental and long-lasting impact on the whole lif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reation of Pediatric Psychology, created by the academic and clinical interest in the nee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health psychology. The "new marriage between Psychology and Pediatrics" (Kagan, 1965) also started the academic gestation of interdisciplinary groups such as Clinical Psychology, Child and Adolescents Clinical Developmental Psychology, Clinical Nursing, Social Work, Family Therapy,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Medicine. The Society of Pediatric Psychology, the 54th division in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2001. At last, health psychologis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suggesting looking at domestic issues both now and in the future. 100세 시대를 맞아 건강심리학은 정신건강과 신체건강의 조화를 통해 인간의 건강한 삶을 지향하는 균형 잡힌 학문으로 새롭게 발전하고 있다. ‘건강’이 전 국민의 관심사가 된 현대사회에서 ‘건강심리학’은 더 이상 특정 대상만을 위한 학문이 아니다. 소아청소년은 지금까지 건강심리학의 학문적, 임상적 분야에서 중심대상이 되지 못했지만 전 생애의 건강에 미치는 소아청소년기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입증되면서 새로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에 대한 건강심리학의 학문적 관심과 임상적 필요성에 의해 탄생된 소아청소년 심리학(Pediatric Psychology)을 소개하고자 한다. ‘심리학과 소아의학(소아청소년의학)의 새로운 결혼(Kagan, 1965)’으로 시작된 학문적 태동은 임상심리학과 소아청소년임상의학 뿐 아니라 발달심리학, 임상간호학, 사회복지학, 가족치료학, 예방의학과 공중보건학 등 다학제적으로 융합되어 2001년 미국심리학회의 54번째 분과학회로 자리매김하였다. 소아청소년 심리학자들은 대학병원 및 1차 진료 장면, 학교, 연구소, 지역사회 등지에서 임상활동과 연구활동, 교육(임상수련)활동을 하고 있으며 증거기반 치료 및 개입을 통해 과학적 연구와 임상 영역을 넓혀나가고 있다. 현재까지 의료장면에서 소아청소년이 경험하는 치료 불순응과 치료적 협조, 만성 질환의 관리와 치료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의 관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 등과 같이 건강에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이 연구되었다. 더불어 e-Health의 연구 및 대중적 활용, 가족과 간병 보호자의 건강관리 및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등의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 소아청소년 심리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소아청소년 건강을 담당하는 타 분야 보건 전문가들과의 의사소통과 협조 및 행정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소아청소년을 위한 건강심리학자의 역할과 학문적 기틀 마련을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기 후설’에 있어서 현상학과 기술심리학

        배우순(Bai, Woo-Soon)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70 No.4

        여기에서 논의된 주제는, ‘초기 후설’에 있어서 “후설은 왜 자기의 최초의 입장이었던 기술심리학을 포기하고 현상학으로 옮아갔는가?”이다. 이 소론은 이 주제를 아래와 같이 II. 와 III. 으로 나누어서 논의했다. II. F. 브렌타노의 기술심리학과 E. 후설의 ‘그’ 이해에서는 두 문제가 논의되었다. 그 중 하나는 브렌타노의 입장을 추종했던 초기 후설의 태도에 관해서 인데, 여기에서 논의된 중요한 포인터는 두 가지였다. 이를테면, a) 후설의 관심은 ‘처음부터’ -『논리적 연구』 이전에도 - 학(學) 혹은 학적(學的) 인식의 정초라는 점, b) 그럼에도 후설은 그의 초기시절에는 기술심리학을 통해서 모든 학적 인식의 정초를 수행할 수 있다고 ‘잘못’ 믿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브렌타노의 기술심리학에 대한 ‘이런’ 초기 후설의 태도에 연관해서, 브렌타노의 기술심리학의 핵심적 내용은 무엇이냐는 것이었다. III. E. 후설의 현상학 개념과 그의 기술심리학의 비판에서는 먼저, 후설이 그의 최초의 입장이었던 기술심리학을 포기함과 동시에 그 대안으로 제시했던 후설 자신의 현상학은 어떤 내용의 이론인가를 논의했다. 특히 여기에서 핵심주제로 주목한 것은 그의 “현상”인데, 이 개념의 심층적 의미는 “체험”과 “내감”의 의미를 동시에 갖는 복합적인 것으로 특징 지워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한다면, 이 현상 개념의 특징은 브렌타노적(的)인 내감처럼 ‘내적으로’ 확실한 명증성을 가지면서도, 그 존재 양태는 순수한 주관의식이 아니라 자기 밖에서 무엇인가를 체험한 “무엇에 관한 의식”이라는 것이다. 이어서 논의된 것은 후설의 브렌타노의 기술심리학에 대한 비판인데, 그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그 첫째는 후설의 심리주의, 좀 더 정확히 말해서 논리적 심리주의 - 브렌타노의 기술심리학도 포함된 - 에 대한 비판이다. 후설에 의하면 브렌타노의 기술심리학은 주관적 심리세계에 기초한 개별적 사실과학이므로, 그것을 기초로 객관적 경험의 학이라고 할 수 있는 일반 학문들의 ‘최종적인’ 근거를 논의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다. 후설은 이런 비판과 더불어 그 대안으로서 후설 자신의 “순수논리”를 제시한다. 이 "순수논리"의 특징은 흡사 칸트의 선험철학처럼 경험의 가능적 조건을 묻는다. 그런데 이 논리(학)의 특징은 그 논의하는 부분이 인식행위의 측면이 아니라 그 인식행위가 지향하는 바, 그 대상의 측면이라는 점이다. 그 둘째는 후설의 브렌타노 기술심리학의 내감 비판이다. 그런데 후설이 여기에서 취하는 입장의 특징은, 브렌타노의 내감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이’ 비판 작업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현상학적" 현상 개념을 동시에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서 후설이 주장하는 바는, 객관세계에 매개된 자신의 의식 개념이 의식의 내면적 지향성에서 성립하는 브렌타노의 기술심리적 의식보다도 학의 정초이론의 기초개념으로 더 적합하다는 것이다. This essay examines the problem of Husserls “transition” in early phase of his phenomenology in 1981-1913. Then his philosophical position was changed from the descriptive psychology to the phenomenology, as Husserl said in the Foreword(second edition 1913) to the first edition of LU. This theme “transition” is discussed here in two parts: II. Brentanos descriptive psychology and Husserls position and III. Husserls concept of Phenomenology and his critic of Brentano"s descriptive psychology as follows: Part II set up the two issues: the one is to understand Husserls attitude in his early philosophy when he yet followed Brentono"s descriptive psychology. The other is to explain the core contents of Brentanos descriptive psychology. Part III presented Husserls phenomenology as an alternative to Brentanos"descriptive psychology with a view to the last grounding of cognition; his critics on F. Brentano‘s can be characterized through following two points: 1. Husserl criticized Brentano"s descriptive psychology as a kind of basic concepts of psychologism, which sought through the Pschology to carry out the universal grounding of ‘scientific’ cognition. But according to Husserl"s phenomenology it was basically impossible for psychology to perform such “task”, because psychology is in principle based on subjective psychological world; If so, for Husserl, how can the subjective psychology explain epistemological universal grounding of the objective sciences founded in the objective world? 2. Husserl criticized next the inner perception(innere Wahrnehmung) as a basic conception of Brentano"s descriptive psychology. Concerning this problem Husserl rather tried to explain his phenomenological concept of phenomenon(consciousness) in the comparison with Brentano"s inner perception than to criticise Brentano"s. In conclusion his phenomenological concept of intentionality(consciousness) which is based on the objective world, is more appropriate to the universal grounding of ‘scientific’ cognition than Brentano"s, that is based on the inner sense of psychological dimension.

      • KCI등재후보

        언어 네트워크 방법론을 활용한 「한국범죄심리연구」 연구경향 분석

        정병수,이재영,Jung. Byung-Soo,Lee. Jae-Young 한국범죄심리학회 2015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1 No.1

        The Korea Association of Criminal Psychology was organized in February 17, 2005 in order to contribute academic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iminal psychology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Furthermore, the Korea Association of Criminal Psychology seeks to establish the scientific identity of Criminal Psychology and to define its scope as an academic discipline, and is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With this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analyzed trends in research on Criminal Psychology using 223 dissertations published i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Review during the period from 2005 to 2014. Different from traditional trend analyses that examined research trends in a general level,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from a more quantitative and objective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association and centrality of major concepts of research themes suggested in the Korean Criminal Psychology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largely into four points as follows. First, during the period from 2005 to 2007, with keyword ‘psychology’ at the center, keywords such as ‘crime’, ‘characteristic’, and ‘criminal psychology’ showed high degree centrality, and in particular, keywords such as ‘sexual assault’, ‘criminal’, ‘criminal psychology’, ‘youth’, ‘sex crime’, ‘serial killers’ showed relatively high degree centrality. Second, during the period from 2008 to 2010, with keyword ‘crime’ at the center, keywords such as ‘psychology’, ‘characteristic’, ‘analysis’, ‘factors’, ‘influence’, ‘youth’, ‘measures’, ‘military’, ‘suicide’, ‘occurs’, ‘the actual condition’, ‘causes’, ‘countermeasures’ showed high degree centrality. Third, during the period from 2011 to 2014, with keyword ‘crime’ at the center, keywords such as ‘violence’, ‘school’, ‘victim’, ‘school violence’, ‘influence’, ‘police’, ‘analysis’, ‘delinquency’, ‘psychology’, ‘youth’, ‘prevention’, ‘consideration’, ‘cause’, ‘the actual condition’, ‘countermeasures’ showed high degree centrality. Lastly, during the period from 2005 to 2014, with keyword ‘crime’ at the center, keywords such as ‘psychology’, ‘analysis’, ‘violence’, ‘police’, ‘victim’, ‘influence’, ‘characteristic’, ‘consideration’, ‘factors’, ‘youth’, ‘school’, ‘delinquency’, ‘criminals’, ‘sexual assault’, ‘school violence’, ‘child’, ‘the actual condition’, ‘sex crime’, ‘cause’, ‘countermeasures’ showed high degree centrality. 범죄심리의 학문적 발전과 응용 그리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2005년 2월 17일 ‘한국범죄심리학회’가 창립되었다. ‘한국범죄심리학회’의 출범을 계기로 범죄심리학과 관련된 학자뿐만 아니라 형사사법기관에 종사하는 실무자들이 범죄심리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과 독자적인 학문적 영역의 구축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범죄심리학회’의 출범 후 올해로 10주년이 된 시점에서 그간의 학문적 성과를 확인하여 국내 범죄심리학의 연구영역과 그 경향성을 파악하는 작업은 국내 범죄심리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작업일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한국범죄심리연구」에 게재된 학술논문 총 223편을 대상으로 국내 범죄심리학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론적인 면에서도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그간 연구되어왔던 연구주제의 주요 개념간의 관계성 및 중심성을 파악함으로써, 개괄적인 수준에서 연구경향을 분석해왔던 전통적인 경향분석과는 달리 미시적인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2005년-2007년 시기의 연구는 ‘심리’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범죄’, ‘특성’, ‘범죄심리’, ‘고찰’ 등의 순으로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성폭력’, ‘범죄자’, ‘범죄심리학’, ‘청소년’, ‘성범죄’, ‘연쇄살인범’ 등의 키워드가 연결중심성이 높은 편이었다. 둘째, 2008년-2010년 시기에서는 이전 시기와 다르게 ‘범죄’라는 키워드가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범죄’라는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심리’, ‘특성’, ‘분석’, ‘요인’, ‘영향’, ‘청소년’, ‘대책’, ‘군’, ‘자살’, ‘발생’, ‘실태’, ‘원인’, ‘대응방안’ 등 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셋째, 2011년-2014년 시기 역시 ‘범죄’라는 키워드가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폭력’, ‘학교’, ‘피해’, ‘학교폭력’, ‘영향’, ‘경찰’, ‘분석’, ‘비행’, ‘심리’, ‘청소년’, ‘예방’, ‘고찰’, ‘원인’, ‘실태’, ‘대응방안’ 등의 키워드가 높은 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2005년-2014년(전체)의 연구경향을 살펴보면, ‘범죄’라는 키워드가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심리’, ‘분석’, ‘폭력’, ‘경찰’, ‘피해’, ‘영향’, ‘특성’, ‘고찰’, ‘요인’, ‘청소년’, ‘학교’, ‘비행’, ‘범죄자’, ‘성폭력’, ‘학교폭력’, ‘아동’, ‘실태’, ‘성범죄’, ‘원인’, ‘대응방안’ 등의 키워드가 높은 연결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 KCI등재

        북한 주체심리학의 요구와 변천 과정 연구

        이형종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2 현대북한연구 Vol.25 No.1

        This study analyzes the background and transition process of Juche psychology.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of North Korea and the influence of the Juche ideology on the formation of Juche psychology and its characteristics. After Korea’s liberation, psycholog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was required in order to overcome the policy of privatiz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northern region, but manpower and resources to support this were all lacking. The advanced psychology of the Soviet Union was unfortunately difficult to reflect in the reality of North Korea. Eventually, the political decision of North Korea to choose the path of Juche among the great power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of poor education led to the development of Juche psychology. However, because the transitional nature of the Juche idea was reflected as it is following Kim Jong Il’s power succession, Juche psychology remained only an unstable theory. Although North Korea was in desperate need of knowledge about psychology, and the demand for child psychology to overcome educational problems has existed for a long time, Juche psychology merely became an extension of the Juche philosophy to strengthen the ideological consciousness centered on the supreme leader, and could not be useful in real life. In this way Juche psychology developed independently by North Korea was formed as a supreme-leader-centered psychology that reinforced nationalism. This study intends to promote greater interest in and research on North Korean psychology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change in Juche psychology. 본 연구는 주체심리학의 태동 배경과 변천 과정을 분석한 글이다. 북한의대내외 상황과 주체사상이 북한의 심리학 형성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논의하였다. 해방 이후 이북 지역에는 일제 강점기의 우민화 정책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심리학이 요구되었으나, 이를뒷받침할 인력과 자원이 모두 부재했었다. 소련에서 도입한 선진 심리학은아쉽게도 북한의 현실에 반영하기 어려웠다. 결국 강대국 사이에서 주체의길을 택한 북한의 정치적 결정과 열악한 교육현실이라는 대내외 상황이맞물려 주체심리학이 개발되기에 이른다. 그러나 김정일의 권력승계 과정에 따른 주체사상의 과도기적 성격이 그대로 반영된 탓에 주체심리학은불안정한 이론으로만 남게 되었다. 교육문제 해결을 위해 아동심리학에대한 오랜 요구가 있었으나 주체심리학은 수령 중심의 사상의식 강화를위한 주체철학의 연장이었을 뿐, 실생활에 도움이 될 수 없었다. 본 연구는북한의 심리학이 초기의 필요와 그 목적에서 벗어나 반사대주의, 민족주의가 강화된 수령 중심의 주체심리학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체제이완에 대응하는 인간개조의 필요와 교육 개선의 여전한 요구는 향후 북한심리학의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