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Experience and Complicated Grief: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Support for Individuals Coping With Pet Loss in Korea

        Ahn Jisung,Lee Sang Won,Kim Kyungmin,Jin Bohyun,Chung Un Sun 대한의학회 2023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8 No.37

        Background: Loss of companion animals can result in various psychological reactions, including complicated grief, depression, anxiety, and insomnia. However, research on the prevalence of patients requiring clinical intervention is limited. Moreover, resear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psychological symptoms after pet loss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ates of clinically significant psychological distress after pet loss and the impact of childhood trauma on adults who have experienced pet los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non-clinical adult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the loss of a companion animal. Psychiatric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using standardized assessments, including the Inventory of Complicated Grief (ICG),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th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7 (GAD-7), and the Insomnia Severity Index (ISI). Childhood trauma was evaluated using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 Results: In a sample of 137 individuals who had experienced pet loss, the percentages of those who exceeded the cutoff points were 55% for the ICG, 52% for the PHQ-9, 40% for the GAD-7, and 32% for the ISI. The group that reported childhood trauma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ICG (t = 2.16, P = 0.032), PHQ-9 (t = 3.05, P = 0.003), GAD-7 (t = 2.61, P = 0.010), and ISI (t = 2.11, P = 0.037) than in the group without childhood trauma. For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pet loss for less than one ye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CG between the trauma and non-trauma groups, as both had extremely high scores. However, the trauma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PHQ-9 (t = 2.58, P = 0.012) than the non-trauma group. In contrast, for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pet loss for more than one year, the trauma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ICG (t = 2.22, P = 0.03) than the non-trauma group,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Q-9. Additionally, the emotional abuse scores on the CTQ were mo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CG scores even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People who experienced pet loss had significant psychological symptoms, ranging from 32% to 55%.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affect complicated grief, depressive symptoms, anxiety symptoms, insomnia and prolonged grief disorder after pet loss. After pet loss, people with childhood trauma may require more psychological help than those without trauma.

      • KCI등재

        아동기 외상 유형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철회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

        박선미(Sun Mee Park),이주영(Joo Young Lee) 한국심리치료학회 2021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 경험 중에서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 및 방임이 심리적 경직성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의 대인관계 철회에 어려움을 야기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선정 방법에 있어서 자기보고식 아동학대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외상을 측정하는 것이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실제 외상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임상가에 의한 1:1 면접을 함께 실시하여 외상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 152명을 선별하였다. 분석 결과, 신체적 학대 경험이 많을수록 대인관계 철회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서적 학대는 심리적 경직성을 매개로 대인관계 철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방임은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인관계 철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학대 경험이 많을수록 심리적 경직성이 높아지며 그로 인해 대인관계 철회가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동기 외상 경험이 성인기 초기인 대학생의 대인관계에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으며, 아동기 외상의 하위 유형에 따라 심리적 경직성의 매개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즉, 정서적 학대의 경우에만 심리적 경직성이라는 기제를 통해 대인관계 철회가 초래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이들에 대한 심리치료적 개입의 목표 설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아동기 외상 경험은 성인기 초기까지 그 영향력이 지속되므로 외상 경험자에 대한 조기 발견은 물론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방안이 성인기까지도 마련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The current study hypothesizes that childhood trauma experiences including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would cause interpersonal withdrawal in college students, with psychological rigidity working as a mediating factor. Since selfreported child abuse measurement tools are limited in qualitatively studying trauma, the current study employed one-on-one clinical interviews on 152 subjects with trauma experienc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terpersonal withdrawal tends to decline when there are more physical abuse experiences, although the study found no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rigidity. Emotional abuse significantly influenced interpersonal withdrawal mediated by psychological rigidity. However, neglect 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withdrawal with no mediating effect. That is, more experiences of emotional abuse increase psychological rigidity, which in turn creates interpersonal withdrawal.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trauma experiences during childhood continue to impac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students in their early adulthood. It also provides an empirical support that different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rigidity are found depending on the subtype of childhood trauma. That is, by showing that emotional abuse is the only type of abuse leading to interpersonal withdrawal through psychological rigidity, the current study offers information that may be useful in establishing goals for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such patients.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s that early discovery of childhood trauma is necessary because negative outcomes of such experiences can continue into early adulthood, in addition to the need for continued systematic support for patients in their early adulthood.

      • KCI등재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심리적 건강에 대한 긍정심리개입의 효능 : 조절변인으로서 외상의 유형

        한상미,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8 인지행동치료 Vol.18 No.2

        본 연구는 외상경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외상사건의 유형을 대인외상과 비대인외상으로 구분한 다음, 이러한 유형에 따라서 긍정심리개입의 효능이 차이를 보이는 지, 즉 외상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 고자 하였다. 또한 외상사건의 경과기간, 단순/복합외상여부,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의 심각도, 우울증상의 심각도가 긍정심리개입의 효과를 조절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매주 1회기씩 총 8회기의 긍정심리 개입 조건은 51명, 무처치 통제조건은 49명의 외상경험자들로 구성되었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대한 긍정심리개입의 효능은 대인외상 경험자들(28명)보다 비대인외상 경험자들(23명)에 게서 더 컸다. 긍정심리개입이 외상경험자들의 삶의 의미수준을 증진시키고, 외상 후 부정적 인지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비대인외상 경험자들에 비해 대인외상 경험자들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추가로, 우울 증상과 외상 후 부정적 인지 수준의 감소에 대한 긍정심리개입의 효과는 외상 경과기간이 오래될수록 더 컸으며, 긍정심리개입이 우울증상과 외상 후 부정적 인지 수준의 감소, 그리고 삶의 의미 수준의 증가에 미치는 효과는 단순외상 경험자들에 비해 복합외상 경험자들에서 더 컸다. 사전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이나 우울증상 심각도는 개입조건에 상관없이 개입 후에 측정된 외상 후 성장수준을 낮추는 방향으로 영향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외상유형에 따라서 긍정심리개입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효과적인 개입과 함께 병행해서 적용할 필요성과, 그들의 외상 경과기간 및 단순/복합외상 여부 를 개입의 계획 수립 시에 추가로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trauma type in the efficacy of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PPI) for trauma-exposed university students. Their trauma was distinguished between interpersonal and impersonal traumas. A secondary aim was to explore the role of duration since trauma exposure, simple/complex trauma, severity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t pre-intervention, and severity of depressive symptoms at pre-intervention as moderators in the intervention effects. The PPI and non-treatment control conditions consisted of 51 and 49 participant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PI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mong participants with impersonal trauma(n=23) than those with interpersonal trauma(n=28). In contrast, the PPI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post-traumatic cognitions and increasing meaning in life among participants with interpersonal trauma than those with impersonal trauma. In addition, the PPI was more effective in decreasing depressive symptoms and post-traumatic cognitions among participants with longer duration since trauma exposure than those with shorter duration. Also, the PPI was more effective in decreasing depressive symptoms and post-traumatic cognitions, as well as increasing meaning in life among participants with complex trauma than those with simple trauma. Both the severity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depressive symptoms at pre-intervention negative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post-traumatic growth at post-intervention, without regard to the intervention condi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applying PPI alone or along with other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based on the type of trauma, duration since trauma exposure, and simple/complex trauma.

      • KCI등재

        글쓰기의 폭력성과 범죄 심리 연구 : 이승하 글쓰기에 나타난 트라우마와 정신분석을 중심으로

        권성훈(Kwon, Seong-hwoo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criminal psychology related to violence shown in writing. Psychoanalysis has made when it comes to trauma shown several texts written by Lee Seung-ha, such as poem anthology [Searching for Painful Stars], [Day by Day full of Panic and Thrill] and letter anthology [Bloomed Flower]. From the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the writing of the poet Lee can be said to be metaphor which the subject is said through a medium of a word. As it were, the violent trauma from the others can be reflected unconsciously through writing. Here, the poet Lee combined memory fragments called scars from violence into violent language repeatedly, further to reconstruct them. In this case, a device called poetic metaphor or metaphor and symbolization should be employed in writing. The subject can be fragmented into violent trauma owing to the others by means of writing. Meanwhile, in reconstructing the fragmented context from the state of unconsciousness, self defense mechanism begins to work, making trauma changed. So to speak, it is like a phenomenon that the violence which the poet experienced can be relieved of to language violence, being recalled. In this respect, writing can play a role in making the poet's violent trauma a language very violently. In other words, writing helps us to be aware of crimes to be crimes and also decode. Poetic metaphor is intervened into trauma and trauma reaches the phase of purification, giving rebirth to psychoanalytical poems at last. This suggests that writing symbolize and mean trauma unrelieved which Freud and Lacan once maintained. First, violent disposition of the character who influenced Lee Seung-ha's writing or the main text of the paper and the aspect of trauma was examined. The main concern has be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aspect and its recovering will power of violent trauma as writing. In surveying trauma aspect of writing, Lee's writing appears to be played a role in disclosing his pressure or a lot of stress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By studying that the inner consciousness can be reflected structurally through writing, we can suggest a nice vision which writing limited only humanity science up to now to expand an area of social psychology and criminal psychology. Lee's writing studied in the paper shows that violent emotion and inner consciousness the subject experienced was reflected in his writing text unconsciously and this was transferred to symbols in the scope of writing. This can be construed that writing performs the offer as to pressed self-consciousness and the subject which pressed by violence means violent language as a superficial action. That is, by way of writing, self-consciousness came to a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tool of expressing the subject and a catharsis of lessening or relieving trauma pressed from the others, recovering from the failure of communication. To examine the above-mentioned well, I firstly studied the cause and aspect of violent trauma shown the works of Lee Seung-ha, such as his letter anthology, [Bloomed Flower], and then the reflected violent trauma and self-defense mechanism aspect shown in his poem anthology, [Searching for Painful Stars] and [Day by Day full of Panic and Thrill].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Lee Seung-ha by psychoanalysis and its method was examined, and studied that how his psychological mechanism acted, what kind of trauma related to Lee Seung-ha in his childhood and what kind of its cause from the point of self-defense mechanism of psycho-analytic viewpoint. In conclusion, all the experiences Lee Seung-ha went through such as the fear and trauma stemmed from the violent death and its related panic revealed violent metaphor especially in his writing. The trauma Lee Seung-ha has had came to symbols through writing from pressed unconsciousness in a space of poems. 이 글은 글쓰기에 나타난 폭력성과 관련한 범죄 심리를 연구하였다. 그것을 이승하1)의 시집 『뼈아픈 별을 찾아서』, 『공포와 전율의 나날』과 편지 모음집 『피어 있는 꽃』에 나타난 트라우마와 정신분석으로 살펴보았다. 정신분석학 관점에서 시인의 글쓰기는 주체가 기표를 매개하여 은유적으로 말하기(메타포, metaphor)라는 점이다. 주체는 타자로부터 해소되지 못한 폭력성을 무의식적으로 글쓰기를 통해 반영한다는 것이다. 시인은 폭력으로 인한 상처로 각인된 기억의 파편을 폭력적 언어로 묶으며 반복적으로 재현하며 복원한다. 이 때 동원되는 것이 시적 메타포, 즉 은유와 상징화인데, 이것이 글쓰기라는 사실이다. 주체는 글쓰기로서 타자로 인한 폭력적 트라우마로 분절되거나, 끊어진 맥락을 무의식에서 복원시키려는 과정에서 자아방어 기제가 작동되며 트라우마의 변화가 생긴다. 말하자면 시인이 체험한 폭력을기표에 담아냄으로써 해소하며 환기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글쓰기는 시인의 폭력적 외상을 폭력적으로 언어화한다. 즉 현실 통제 가능한 상상의 범죄로서 다스리고 해독한다. 여기서 시적 메타포가 트라우마에 개입하게 되고, 트라우마가 정화단계에 이르게 됨으로써 시는 정신분석학적인 시학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글쓰기는 프로이트와 라캉이 주장한 해소되지 못한 트라우마의 표출이다. 이 글의 텍스트인 이승하 글쓰기에 영향을 준 폭력적 인물의 성격과 트라우마 양상을 살피고, 글쓰기로서의 폭력적 트라우마 전개 양상과 극복의지에 주목하였다. 글쓰기의 트라우마 양상을 분석할 때 이승하 글쓰기가 억압을 분출시키는 기제를 발휘하고 있다. 문자화 된 언어를 통해 인간의 내면 의식이 구조적으로 글쓰기로 반영된다는 것을 탐구함으로써 그동안 인문학에 머물렀던 글쓰기를 사회심리 및 범죄 심리 학제간으로 확대시킬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할 수 있다. 분석한 이승하의 글쓰기는 주체가 경험한 폭력적 정서와 내면의 반영이 무의식의 글이라는 영역에서 기호화된다. 이것은 글쓰기가 억압된 자의식에 대한 제의를 수행하면서 폭력으로 분열된 주체가 폭력적 언어라는 형식에 외면화하는 행위로서 주체의 드러남을 확인시켜주었다. 즉 글쓰기를 통하여 자아는 주체를 표현하는 심리학적이고 사회학적인 도구이자, 타자로부터 억압되었던 트라우마를 감소하거나, 해소함으로써 소통부재를 극복하는 정화작용이다. 연구방법으로 이승하의 편지 모음집 『피어 있는 꽃』에 나타난 폭력적 트라우마의 원인과 양상을 살피고 난 후, 그의 시집 『뼈아픈 별을 찾아서』와 『공포와 전율의 나날』에 나타난 폭력적 트라우마 반영과 자기방어기제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때 정신분석으로 이승하의 심리상태를 탐구하면서 그의 심리기제들이 어떠한 유형으로 작동되고 있는지를 성장기 과정에 겪은 외상과 문제 요인을 축출하고, 그 원인을 정신분석이론의 '자아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로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이승하가 겪은 폭력적 죽음의 공포와 두려움의 트라우마 경험들이 글쓰기(시와 산문)에서도 폭력적 은유로 드러난다. 시인의 트라우마가 글쓰기를 통해 시공간에서 기호화 된다. 그것은 이승하의 과거에 폭력에 대한 공포와 불안으로 얼룩진 사건들이 폭력적 언어로서 재현될 때, 기표는 은유와 상징화되고 있다. 그가 체험한 폭력은 자아와 세계간의 문제에서 시의 메타포를 통과할 때 트라우마의 자극을 방어기제로서 분해하고, 묶고, 통제 가능해 지면서 심리적 정화기능을 수행한다.

      • KCI등재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 여성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불안 감소 및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예술치료 사례연구

        이미선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by conducting arts therapy for women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year-old women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tic events, and 30 sessions of arts therapy were perform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from August 2018 to May 2019. Impact of Event Scale-Revised-Korean version (IES-R-K),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X-1) and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 were used for assessment. For the data analysis, the pre- and post-test of each scale was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recording the change in the arts activities of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rts therapy was effective in relieving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in women. Second, arts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symptoms in women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Third, arts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of women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Based on this, the present study could provide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본 연구는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 여성에게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불안 감소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30세 성인 여성이었으며, 2018년 8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30회기의 예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측정 도구로는 한국판 사건충격 척도-수정판(IES-R-K), 성인 상태 불안 척도(STAI-X-1),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척도 별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회기 별 활동 사항에 대한 변화를 기록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치료는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 여성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예술치료는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 여성의 불안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예술치료는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 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불안, 외상 후 성장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음에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사회심리적 목회상담: 산업재해와 트라우마 중심으로

        김은숙 ( Kim Eun Sook ),이희철 ( Lee Hee Cheol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8 목회와 상담 Vol.31 No.-

        사회심리학적 관점으로 트라우마를 이해하면 트라우마의 경험은 개인에게만 한정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개인의 경험은 사회에 영향을 주게 되고, 사회는 트라우마 경험자가 구성원으로 적응하는데 지속적으로 관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트라우마를 경험한 대상자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적 구조와 환경 또한 심도 있게 다루어 져야 한다. 사회심리학자 조지 허버트 미드(George Herbert Mead)가 주장한‘일반화된 타자(generalized others)’로서 긍정적 경험을 트라우마 경험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그들이 공동체의 일원으로 적응하여 살아가는데 도움을 준다. 목회신학적 관점에서 트라우마 경험자는 트라우마와 함께 하나님 부재의 경험을 하고 있다. 트라우마로 인한 하나님을 향한 분노나 실망감은 버림받은 느낌, 소외와 고독감 등 여러 가지 정서적 문제의 근본 원인이 된다. 목회상담자는 대상자 스스로도 이해하지 못하는 개인의 말과 행동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영적 갈망을 듣고 해석하는 신학자이다. 그러므로 목회상담자는 이 대상자에게 목회적 돌봄을 제공해야 한다. 트라우마 경험자가 이해하지 못하는 적응의 과정을 돕는 해석자로서의 목회상담자인 것이다. 본 연구는 산업재해라는 특수한 트라우마를 경험한 63명의 근로자들에게 실시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것이다. 수용적이고 안전한 공동체로서 집단상담의 경험이 산재 근로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모든 대상자에게 긍정적 성장의 효과를 나타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에‘외상 후 성장 척도(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를 사용하여 점수를 비교하였다.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 전원 모두 PTGI 4가지 성장요소 점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평균은 57.7점에서 76.4점으로 증가하였다. Understanding the a trauma in light offrom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means that experience of the trauma is not limited to the individual. Personal experience is influenced by society, and society is constantly involved in adapting individuals as a social members. Therefore, a the social structure and environment that affect the a trauma victim should be dealt with in depth. Social psychologist George Herbert Mead asserted that pProviding a positive experience to the trauma-experienced as a ‘generalized others’ - asserted by a social psychologist George Herbert Mead helps the victim to adapt and live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storal theology, trauma experienced is confessing the absence of God with in the trauma. The anger or disappointment toward God after a trauma happensed is an origin oforiginates from various emotional problems such as feelings of abandonment, alienation and loneliness. A pastoral counselor is a theologian who hears and interprets various spiritual aspirations that appear in the words and actions of individuals who do not understand themselves. Therefore, the pastoral counselor should provide pastoral care for that kind of people. It is a A pastoral counselor as can serve as an interpreter that who might help the someone who experience trauma experienced who but does not understand the process of adjustment. This study presents us the effec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on 63 workers who experienced trauma of from industrial accidents. And it is a study onIt also examines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experience on industrial workers as ain creating a receptive and safe community. In conclusion,The findings were that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s a positive growth effect for all participant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scores were compared using the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before and after this program. All the participants in this group program showed and increase in that four growth factors of PTGI increased. The oOverall average increased from 57.7 to 76.4.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외상(Trauma)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강길주(Kang Gil-Ju),이상열(Lee Sang-Yeol) 한국경호경비학회 2018 시큐리티연구 Vol.- No.56

        본 연구는 매일 발생하는 각종 사건 사고 처리와 국가적 재난사고 현장의 최일선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지역사회경찰활동으로 인해 심리적 외상(Trauma)과 외상 후 스트레스(PTSD)를 경험하는 경찰관의 심리적 복지 향상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Trauma 및 PTSD 관련 문헌연구와 Trauma 및 PTSD를 경험한 경찰공무원을 심층면담을 통해 다음과 같은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경찰공무원을 위한 심리검사가 적극적이고 실질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경찰공무원은 체력적인 부담뿐만 아니라 대민서비스로 인한 감정노동 스트레스도 높기 때문에 육체적인 휴식과 더불어 정기적인 심리검사가 제도적으로 확립되어야 한다. 둘째, 경찰공무원을 위한 정기적인 심리검사와 결과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셋째, 경찰공무원의 심리지원을 위한 제도가 정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경찰 마음동행 센터의 확대와 내실 있는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 해소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동호회를 활성화하도록 지원예산을 편성하고 활동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sychological welfare promotion method of police officers who experience trauma and PTSD due to police activity in local community while handling various accidents and protecting civil life and safety at the forefront of the national disaster accident site. For this objective, following countermeasure was presented through trauma/PTSD-related literature and in-depth interview with police officers who experienced trauma and PTSD. First, psychological examination is required to be performed positively and realistically for the police officers. As police officers have high emotional labor stress not only by physical burden but also by civil service, a regular psychological examination shall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together with physical rest. Second, proper action for the regular psychological examination result of the police officers is required. Third, a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for the police officers is required to be established and for this objective, expansion of police-operated mindful accompanying center and its devoted operation are required to be performed. Fourth, an opportunity of getting rid of stress of police officers shall be provided and for this objective, required budget for activating club activity is required to be allocated and activity condition should be created.

      • KCI등재

        대인간 외상경험자들의 지각된 정서적 지지가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수용의 매개효과

        유미영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18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Vol.19 No.1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emotional support of pepole with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s on the posttraumatic growth with considering psychological acceptance as a mediating variable. Methods: The sample of 351 adults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acceptance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from emotional support, emotional support increased the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the individual path for statistically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was significant.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o help people with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s get perception regarding correlation among perceived emotional support,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to provide psychological counseling or necessary information for preventive intervention to mental health related organization's staffs and to improve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 KCI등재

        애착외상과 심리적 수용의 관계: 정서기반대처(정서인식, 정서처리,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서영주,하오현,김영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20 놀이치료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애착 외상경험이 심리적 수용에 이르는 과정에서 정서기반대처(정서인식, 정서처리, 정서표현)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 대구, 울산, 광주, 경기, 경상, 제주 지역의 성인 53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애착 외상 설문지, 정서기반대처, 심리적 수용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애착외상은 정서기반대처, 심리적 수용과 부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애착외상이 심리적 수용으로 가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정서처리 및 정서표현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 치료에서의 정서인식을 비롯한 교정적 정서 경험이 심리적 수용을 높일 수 있음을 밝혔다. 이로써 애착외상에 관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motion-based coping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processing, emotional expression)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 between attachment traumatic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Participants included 535 adults from Busan, Daegu, Ulsan, Gwangju, Gyeonggi, Gyeongsang, and Jeju who completed the attachment trauma questionnaire, emotion-based coping,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scale. Result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attachment trauma, emotion-based coping,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processing and emotional expression were medi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not only implies that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experience in psychotherapy can enhance psychological acceptance but also provides useful data specific to attachment trauma.

      • KCI등재

        남성의 심리적 외상 경험과 도박중독 간의 관계에서 과도한 남성성의 조절 효과

        민경수(Kyoungsu Min),김지현(Jihyeo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5

        목적 본 연구는 성인 남성의 심리적 외상경험이 도박중독에 미치는 효과가 과도한 남성성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20-60대 사이의 성인 남성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업체를 통해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99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피어슨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prosess marco model 1을 사용하여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남성의 심리적 외상경험과 과도한 남성성은 도박중독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남성의 심리적 외상경험과 도박중독 간의 관계에 대한 과도한 남성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과도한 남성성의 수준이 높을 때, 심리적 외상경험 수준이 높을수록 도박중독 위험이 높아지고, 과도한 남성성의 수준이 낮을 때, 심리적 외상경험은 도박중독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높은 수준의 과도한 남성성이 심리적 외상경험을 가진 남성의 도박중독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Unmitigated agenc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trauma experiences and gambling addiction in adult men.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men aged between 20 and 60. Data were collected from 299 men through online surveys conducted by a data collection compan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oderation model was test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1.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trauma experiences and Unmitigated agency in men were correlated with gambling addiction. Second, Unmitigated agenc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s psychological trauma experiences and gambling addiction. Conclusions When levels of Unmitigated agency were high, the greater the level of psychological trauma experiences, the higher the risk of gambling addiction. When levels of Unmitigated agency were low, psychological trauma experience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gambling addiction. This suggests that high levels of Unmitigated agency can increase the likelihood of gambling addiction in men who have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