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고고학의 ‘原史’ 개념 도입과 원삼국시대론

        박경신(Park Kyoung-shin)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1 고문화 Vol.97 No.-

        한국 고고학에 처음으로 原史 개념을 도입한 것은 김원룡이다. 김원룡은 선사와 역사시대의 과도기, 원사 단계의 삼국시대라는 의미로 원삼국시대(원사)를 설정하였다. 일본에서는 19세기 말에 인류학 분야에서 이미 원사 개념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유럽의 고고학적 層序學에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 우리나라 원사 개념의 등장에 도화선이 된 것은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김해 회현리 패총이다. 김해 회현리 패총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해 김해시대, 김해식토기 등의 개념이 탄생하였다. 김원룡은 1972년 기존의 김해시대를 대체한 원삼국시대 개념을 처음 제안하였다. 그러나 원삼국시대 명칭 도입은 수많은 시대구분논쟁의 불씨가 되었다. 원삼국시대 명칭 비판론으로는 철기시대론, 삼한시대론, 고조선시대론 등이 있다. 그리고 원삼국시대의 상한에 대해서도 기원전후, 낙랑군 설치, 삼각형점토대토기 등장 등 다양한 기준점이 제시되었다. 또한 원삼국시대 타날문토기의 계보, 연대 문제가 불거진 뒤부터 와질토기 논쟁이현재까지도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논쟁은 중도식무문토기 등 원삼국시대 물질자료 전반에 대한 문제로 확대되었다. 지금까지도 원삼국시대(원사)의 시기구분, 물질자료의 성격을 둘러싼 다양한 통설의 설정 및 폐기가 반복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원사 개념의 모든 조건을 만족시킬 정도의 정의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선학의 논쟁 과정이 현재 한국 고고학의 근간이 되었음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기 때문에 학문적 한계마저도 학술적인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 Kim, Yonyong is the one who introduced the concept of Proto-history in Korean archeology for the first time. Kim, Yonyong(金元龍) set up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Proto-history) in the meaning as 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prehistoric period and historical period, and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Proto-history stage.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Japan already used the concept of Proto-history in the anthropology area, which was influenced by archeological stratigraphy of Europe.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of Proto-history in Korea was triggered by Hoehyeon-ri shell mound in Gimhae which was research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ased on the relics excavated in Hoehyeon-ri shell mound in Gimhae(金海 會峴里 貝塚), the concepts like Gimhae period and Gimhae-type pottery were set up. In 1972, Kim, Yonyong initially suggested the concept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substituting for the existing Gimhae period. However, the introduction of the name as Proto-three Kingdoms Period caused numerous controversies of periodization. Representatively, as an objection to the name as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argument of iron age(鐵器時代論), the argument of three Hans period(三韓時代論), and the argument of Gojoseon period(古朝鮮時代論) appeared. And regarding the upper limit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various reference points were presented such as around AD, installation of Nangnang(樂浪) commandery, and appearance of Triangulated clay-stripe pottery. Also since the issue of genealogy and period of Tanalmun pottery(打捺文土器) in proto-three Kingdoms Period was brought up, the controversy of gray pottery has been accelerated even till today. This controversy was expanded to the issue of overall material data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such as Jungdo-type plain pottery. Like thi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Proto-history), various commonly-accepted theories surrounding periodization and nature of material data have been repetitively set up and discarded. However, despite each argument, it does not reach the satisfactory definition that could meet all the conditions of the concept of Proto-history.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the controversy process led by the scholars in the past has become the basis of current Korean archeology, so even the scholarly limitation is good enough to get academic evaluation.

      • KCI등재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취락 구조

        박경신(Park, Kyoung-Shin) 중부고고학회 2012 고고학 Vol.11 No.2

        지금까지의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취락 연구는 조사 성과의 집성과 편년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었다. 그 결과 취락의 구성요소와 내부의 구조적 특징 및 변화양상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 글은 취락을 구성하고 있는 단위를 세분하여 “주거군(住居群)”과 “단위주거군(單位住居群)”을 추출하고 이를 보편적 방향성으로 인식되었던 주거지 장축방향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시기별 원삼국시대 취락의 구조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삼국시대는 분묘구역이 취락에서 독립된다. 그리고 사회·경제적인 목적에 따라 취락이 재편 된다. 단위주거군 규모는 소형에서 점차 대형화되는데 그 수는 통합되어 단순화된다. 특히 원삼국 Ⅱ기부터 철기의 수입·유통·생산이 활발해지면서 초대형 단위주거군이 등장하고 단위주거군 통합이 가속화된다. 원삼국Ⅲ기는 한강 하류를 중심으로 대형 단위주거군이 주를 이룬다. 단위주거군의 통합, 고밀도 집주현상이 뚜렷해지지만 취락의 전체적인 규모는 오히려 축소된다. 주거지 장축방향의 통일성은 단위주거군 규모에서 주거군 규모로 확대된다. 그리고 呂(凸)字形 주거지가 등장한 이후부터 원삼국Ⅲ기로 갈수록 편서방향 내에서 점진적으로 서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한성백제 등장 이후 급격하게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남북방향에 가깝게 된다. 원삼국시대 취락군은 단위취락별로 긴밀한 네트워크망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전시기까지의 제의적 범위를 초월하여 사회·경제적 범위로 광역화된다. 그러나 원삼국Ⅲ기에는 정치적 요인에 의하여 네트워크망이 급격하게 경색된다. 중부지방 취락의 단위주거군 통합과 성장, 주거지 장축방향의 변화와 통일성 등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The studies about the settlement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central region have been overly concentrated in aggregation of the survey results and chronology so far. As a result, it has been limit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parts and change patterns of the settlement. This study subdivides the units that make up the village and abstracts “Dwelling Group”and “Unit Dwelling Group”and compares them to “The major axis direction of dwelling” which is recognized as the universal direction. So,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settlement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for each time. The burial area became independent of villag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settlement was reorganized depending on the social and economic goals. The scale of unit dwelling group had grown bigger from the small size and the number had been integrated and simplified. The super-sized unit dwelling group had emerged and the integration of the unit dwelling group had been accelerated since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Ⅱ as the import, distribution, production of iron had become active. The unit dwelling group is dominant in the downstream of Han River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Ⅲ. The collective phenomenon of integration and high-density in the unit dwelling group became clear, however, the overall size of the settlement was rather reduced. The unity of The major axis direction of dwelling was expanded to the dwelling group from the settlement group. And it gradually moved to the west within the direction of the west as it approached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Ⅲ since 呂(凸) shaped settlement appeared. But it drastically changed the direction to the east and became close to the northsouth direction after the advent of HANSEONG BAEKJE. The settlement group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formed a tight network by each unit dwelling group and was widened to socio-economic range beyond the range of the ritual of previous period. But the network was rapidly strained due to the political factors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Ⅲ. The integration and growth of unit dwelling group of settlement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change and unity of the major axis direction of dwelling, etc. were resulted from the complex functions of such a socio-economic environment.

      • KCI등재

        강릉 초당동 유적군 (원)삼국시대 주거와 취락

        박경신 숭실사학회 2023 숭실사학 Vol.- No.50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ree Kingdoms Period, settlements such as Chodang-dong, Gangmun-dong, and Songjeong-dong were located on the coastal sand dune in Chodang-dong, Gangneung. Generally, the center of settlements shifted from Chodang-dong to Gangmun-dong, and then to Songjeong-dong.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ith the creation of Silla's tombs in the center of Chodang-dong, the appearance of settlements began to change.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ree Kingdoms Period, Chodang-dong can be divided into five phases based on changes in pottery styles and dwelling structures. In the first phase of Chodang-dong(2nd century AD), many Lelang-type Pottery and 吕·凸-shaped dwellings with straight back walls were discovered. In the second phase of Chodang-dong(3rd century AD), the shape of dwellings remained the same as in the previous phase. But, compared to the first stage, the quantity of Lelang-type Pottery rapidly reduced, and new materials of Joongdo Assemblage were added. In the third phase of Chodang-dong(301∼366 AD), 吕·凸-shaped dwellings with a center of the back wall was slightly protruding were discovered along with Incipient Silla Style Pottery, pottery from the Honam and Japan. In the fourth phase of Chodang-dong(367 to 450 AD), 吕·凸-shaped dwellings with obtuse angle in the back wall, and Silla pottery were added. In the fifth phase of Chodang-dong(451 AD ∼ 6th century AD), Silla's square-shaped dwellings and many Silla pottery are added. Silla's square-shaped dwellings spread from the Mahan region to the northern region of Yeongnam and then to Chodang-dong. (원)삼국시대 강릉 초당동 유적군에는 사구 지대를 중심으로 초당동, 강문동, 송정동 취락이 포함된다. 취락은 대체로 초당동(원삼국시대) → 강문동(병행기) → 송정동(신라)의순으로 중심지가 이동한다. 원삼국시대 초당동 유적군의 취락 중심지에는 신라의 진출과더불어 고분군이 조영되면서 구질서가 재편된다. (원)삼국시대 초당동 유적군은 공통적으로 출토되는 중도식무문토기와 새롭게 추가되는물질자료의 계통 차이, 주거의 구조 및 노시설의 변화에 따라 크게 3단계(5분기)로 세분된다. 초당동 Ⅰ-1단계(AD 2C)에는 후벽이 직선인 여·철자형주거, 무시설식로, 중도식무문토기와 더불어 낙랑계토기가 다수 확인된다. 초당동 Ⅰ-2단계(AD 3C)에는 주거와 노시설은앞 시기와 동일하지만 중도유형권의 물질자료가 새롭게 결합되면서 낙랑계토기의 수량이급감한다. 초당동 Ⅱ-1단계(AD 4C 전엽 ∼ 중엽)에는 후벽 중앙이 약간 돌출한 여·철자형주거, 점토띠식로, 신라 조기양식토기 및 호남지역 토기, 일본의 土師器가 확인된다. 초당동 Ⅱ -2단계(AD 4C 후엽 ∼ 5C 전반)에는 후벽이 둔각으로 꺾인 여·철자형주거, 점토띠식로, 신라토기 등이 확인된다. 초당동 Ⅲ단계(AD 5C 후반 ∼ 6C)에는 신라의 방형주거와 다수의 신라토기가 확인된다. 신라의 방형주거는 마한지역에서 영남 북부지역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4주식이 탈락하고, 많은 수의 주공이 결합하면서 초당동 유적군에 최종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초당동 유적군의 여·철자형주거 및 중도식무문토기는 6C 전후까지도 소수 잔존한다.

      • KCI등재후보

        비평논문 :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과 원삼국시대론에 대한 소론

        노혁진 ( Hyukjin Ro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1 No.-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은 미완의 과제이며, 원삼국시대론은 한국식 삼시기법의 중요한 논쟁점의 하나이다. 그동안 원삼국시대, 철기시대, 초기철기시대, 삼한시대 등의 제 명칭의 사용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는 한편, 원삼국시대의 인지도와 용례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학계의 경향과 사회적 분위기는 문제해결을 위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한국고고학의 독자적 시대구분체계 수립에도 결과적으로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필자는 본고를 통하여 한국식 삼시기법 전체의 틀을 대체하지 않는 한, 원삼국시대는 철기시대의 대안이 될 수 없음을 기존의 비판적 시각과 또 다른 관점에서 지적하고자 하였다. 즉, 문헌사의 입장에서는 원삼국시대를 채택하거나 도입할 수 없는 분명한 논거를 추가로 제시하고자 하였고, 고고학의 입장에서는 원삼국시대 설정의 근본 취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그 지속적인 사용을 지지하는 모순과 문제점을 비판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이란 특정 시대에 대한 명명작업이 아니라 모든 시대를 통관하는 일관성을 갖춘 체계를 수립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한국식 삼시기법의 틀 자체를 새로운 독자적인 시대구분체계로 완전 대체 하기까지는 원삼국시대를 비롯한 어떠한 명칭도 철기시대의 대안으로서 상대적 실효성이나 대체효과가 없음을 재강조하였다. 한편, 고고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보는 시대명칭인 고조선과 삼한은 문헌사의 관점에서 보면, ‘조선-고려-통일신라-삼국시대’의 연장선에서 채택할 명분과 역사적 가치가 있는 명칭임을 지적하였다. The archaeological periodization of Korean history remains a work in progress, and using the term “Proto-Three-Kingdoms Period” within the traditional and persistent chronological framework of the Three-Age system is a highly debatable issue. Recently, the term “Proto- Three-Kingdoms Period” has been commonly used, but this trend within and outside the archaeological academia as well as its negative impact on the production of a desirable and logical periodization system for Korean archaeology needs to be critically assessed. Contrary to the opinions of those who support the term “Proto-Three-Kingdoms Period,” the author argues that this term cannot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term “Iron Age” until the Three-Age system currently being used in Korean archaeology is completely replaced by a new and improved periodization system. The author emphasizes that the key imperative in the archaeological periodization of Korean history does not lie in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each historical period, but rather in generating a coherent and consistent system that applies to every archaeological period. Therefore, as long as the Three-Age system continues to be used as the standard periodization system for Korean archaeology, the use of the term “Proto-Three Kingdoms Period” or any other equivalent terminologies in the place of the term “Iron Age” should be minimized.

      • KCI등재

        한국고고학사(韓國考古學史)에서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와 김해패총

        정인성 ( In Sung Jung ) 한국고대학회 2015 先史와 古代 Vol.46 No.-

        한국고고학에서 원삼국시대란 낙랑군을 통해서 철기문화가 본격적으로 확산되는 시대이며, 낙랑토기의 영향으로 회도(灰陶)의 일종인 ‘와질토기’가 발생하는 것을 중요한 지표로 삼는다. 삼국시대 원초라는 의미의 ‘원삼국시대’라는 용어는 1972년 김원용이 김해시기를 대신하여 설정한 것이다. 이 시대명의 타당성을 둘러싸고 그간 수많은 비판적 논의가 있었지만 정작 김원용이 어떠한 맥락에서 ‘원삼국시대’란 용어를 설정했는지 그 내용과 배경에 대한 검토는 없었다. 이 논문은 김원용이 원삼국시대의 전신(前身)이었던 김해기를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그리고 그 설정과정을 김해패총의 발굴 내용과 해석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시대구분명으로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는 금석병용기를 상하로 나누어 놓은 것과 비슷한 개념임을 알았다. 김해기를 원삼국시대로 바꾸고 낙랑군시대를 한국고고학의 서술체계에서 제외한것은 일제강점기의 연구틀을 극복하기 위한 김원용의 노력의 결과였다. 그러나 해방 후 우리가 확보한 고고자료와 연구성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일제강점기에 조선역사의 타율성을 염두에 둔 시대구분을 극복할 만한 대안이 없었음도 확인하였다. 아울러 고조선이 한국고고학의 시대구분에서 빠진 것은 당시 분명한 고고자료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인데, 이는 지금도 변하지 않았다. 한국고고학계가 해결해야할 시급한 과제인 것이다. In Korean archeology, the period of Proto-Three Kingdoms sees the full-blown spread of ironware culture through Nakranggun. One of its important indicators is "grey earthenware," a type of grey pottery, under the influence of Nakrang pottery. The term of "period of Proto-Three Kingdoms," which means the origin of Three Kingdoms period, was set by Kim Won-yong in 1972 to replace the period of Gimhae. There have been a lot of critical discussions about its validity, but no one has reviewed the content and background of him choosing the term under what context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his perceptions of Gimhae period, the former term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analyze its setting process around the excavations of shell mounds in Gimhae. The findings show that the "early Iron Age" and "period of Proto-Three Kingdoms" to distinguish periods were similar concepts to the former and latter parts of Chalcolithic Age. Kim``s efforts led to the replacement of Gimhae period with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exclusion of Nakranggun period from the description system of Korean archeology. It was, however, found as well that there were no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period distinction based on the heteronomy of Joseon history when there was an absolute shortage of archeological materials and research findings secured by Korea after Liberation. In addition, Gojoseon was left out of period distinction in Korean archeology because there were no clear archeological materials secured for it, which has not changed so far. It is one of urgent tasks to be addressed by the Korean archeological circles.

      • KCI등재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의 취사 공간 연구

        김은정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22 야외고고학 Vol.-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one aspect of cooking and food culture at the time by analyzing fireplaces, flues, cooking utensils, tableware, storage containers, and plant remains in the pit dwelling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Honam. To this end, this study divided quarter and period of the pit dwelling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Honam, into Period I and Period II,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n consideration of the detailed properties of the dwellings and the burial aspect of excavated relics, then it reviewed the data. Period II is a period in which the material culture of Mahan society changed in its relationships with Baekje. Mahan’s cooking fireplace, which consisted of clay, pot(egg-shaped pottery), pot stand, and flue, was a cooking system that not merely boiled but also steamed food using a pot and a steamer. The diversification of cooking methods identified from this cooking system made it possible to eat food using more diverse ingredients, which seems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ople’s nutritional status at that time. It is understood that cooking and food storage containers were naturally located around cooking fireplaces, and the cooking space in dwellings was formed around cooking fireplaces. In addition, a flue added to the cooking fireplace let the heat generated during cooking stay in a house for a while so that it can also serve as heating in cold winter. These cooking fireplaces were made of clay structures during the Mahan period, but from the period that was influenced by Baekje, stone was used to build cooking fireplaces, or bedrock was excavated to install the both walls of furnaces and smoke exhaustion facilities.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flue, which had been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dwelling for the purpose of smoke exhaustion, was placed outside the dwelling, and earthenware (fireplace rim) attached to the fireplace also newly appeared. In the dwellings where these changes occurred, not only changes in the detailed shape and tanal(paddling/beating technique) of egg-shaped pottery or steamers used as a pot, but also the representative pottery types of Baekje, such as Gaebae, Gobae, and Samjok, were found. This suggests that the cooking space of Mahan society was transformed and developed in relationships with Baekje. 이 글의 목적은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에 남겨진 부뚜막과 연도, 취사기, 식기, 저장기, 그리고 식물 유체 등을 분석하여 당시 취사 및 식문화의 일면을 복원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주거지 세부 속성 및 출토유물의 부장 양상을 고려하여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의 분기 및 연대를 Ⅰ∼Ⅱ기로 구분한 후 자료를 검토하였다. Ⅱ기는 마한사회의 물질문화가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점토와 솥(장란형토기), 솥받침, 연도 등으로 구성된 마한의 부뚜막은 단순히 음식을 끊는 방식으로 조리할 뿐만 아니라 솥과 시루를 활용하여 쪄낼 수 있게 했던 취사 시스템이었다. 이러한 취사 시스템을 통해 나타난 취사 방식의 다변화는 좀 더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이는 당시 사람들의 영양 상태에까지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면서 부뚜막 주변으로는 취사기와 식재료 보관을 위한 저장기 등이 자연스럽게 자리하게 되고 주거 내 취사 공간이 부뚜막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더하여 부뚜막에 부가된 연도는 추운 겨울을 지낼 수 있도록 취사 시 발생한 열기를 집안에잠시 머물게 해줌으로써 난방까지 겸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와 같은 부뚜막은 마한시기에 점토 구조물로 만들어지다가 백제의 영향이 있던 시기부터는 석재를 부뚜막 구축에 사용하거나, 기반토를 굴착하여 부뚜막의 양 벽과 배연 시설을마련한 것이 등장한다. 특히 배연을 위한 목적으로 주거지 안쪽 벽에 시설되었던 연도가주거지 밖에 배치되는 것도 특징적이며, 아궁이에 부착했던 토제품(아궁이테) 역시 새롭게등장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는 주거지에서는 솥으로 사용된 장란형토기나 시루에서도 세부 형태와 타날방식에서 변화가 간취될 뿐만 아니라 백제의 대표 기종인 개배, 고배, 삼족토기등이 함께 발견된다. 이는 마한사회의 취사 공간이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전환이 이루어지고 발전되어 갔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원삼국〜삼국시대 철제도검의 제작기술과 그 의미

        김도영 부산고고학회 2019 고고광장 Vol.- No.25

        Regarding the Iron Swords in the period of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it was focused on the studies of typological change and meaning, and hierarchy and restoration of Military organization. As a basic work for attempting political interpret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iron swords excavated from the south central of the Korea peninsula during the period of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and examined the meaning of it. Iron sword is made of the core grid rodding and plating with soft iron and steel respectively, and completed by heat treatment after forging a bar of iron in a form of sword blade. The most important process is a fractionation of soft iron and steel, that is, the determination the iron carbon amount and tempering. In this respect, Inlaid swords, scimitars, curved ironwares and cast irons excavated from the tumuli of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can be evaluated as examples of the artisans5 outstanding iron manufacturing techniques at that time. First of all, the core of the inlay is to engrave the grooves on the pattern. The problem is that the chisels used to engrave the grooves and the products with inlay patterns are all iron. Therefore, the sword should be used soft iron material and the chisel should be made of steel and must be tempered to engrave the grooves on the surface. The appearance of Inlaid sword means that the artisans of the time already obtained the technique to classify the irons depending on carbon amount, and to temper intentionally by iron material. Scimitars and curved irons were hard to see it as practical weapons in their forms. Perhaps, it is assumed that the artisans, from the first time, made scimitars and curved irons with soft iron (low carbon steel) but didn’t temper them. The metallurgical analysis result proves that scimitars and curved irons were made of low carbon steel. On the other hand, iron swords commonly reminds of forged products, but iron sword of lenticular cross-section can not be forged. Considering of Seven-branced sword (Chiljido) and casting iron swords, excavated from the hole in Osaka Otakenishi remainsSK501,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the iron sword of lenticular cross-section appearing in Yeongnam region of Proto-Three-Kingdoms era would have been also made in casting. 원삼국〜삼국시대 철제도검에 관해서는 도검의 형식학적 변천과 의미, 위계 및 군사조직 복원 등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이처럼 다양한 해석을 시도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이 글에서는 원삼국시대부터 삼국시대에 한반도 중남부에서 출토되는 철제도검의 제작기술에 주목하고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철제도검은 연철과 강철로 각각 心金과 皮金을 만들고 이를 합친 鐵魂를 도신 형태로 단조한 후 열처리를 통해 완성된다. 이 가운데 중요한공정이 연철과 강철의 분별, 즉 철의 탄소량판단과 열처리(담금질)이다. 이같은제작 공정에 주목하면 원삼국〜삼국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상감대도, 腎刀, 구부러진 철기, 주조제 철기 등은 당시 공인들의 뛰어난 철기제작기술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할수 있다. 우선, 상감기술의 핵심은도신에 그려진 문양을 따라홈을 새기는 것이다. 문제는 홈을 새기기 위하여 사용하는 조각끌도, 그리고 상감 문양이 표현된 제품도 모두 철이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도신에는 부드러운 연철 소재를 사용해야 하며 조각끌은 강철 소재로 제작한 뒤 반드시 담금질해야만 표면에 홈을 새길 수 있다. 상감대도의등장은 탄소량에 따라 철을 분류할 수 있는 기술, 그리고 철소재에 따른 의도적인 담금질을 이미 당시의 공인들이 획득한 것을의미한다. 變刀와 구부러진 철기는 그 형태로 보아 실용적인 무기라고 보기 어렵다. 아마도 철기제작 공인은 애초부터연철 소재(저탄소강)를 사용하여 腎刀와 구부러진 철기를 만든 것으로 생각되며 담금질도 실시하지 않았을 것이다. 만도와 구부러진 철기가 저탄소강으로 제작되었다는 금속학적 분석결과는 이를 방증한다. 한편, 鐵製刀劍이라고 하면 흔히 단조제를 떠올리나 단면 볼록 렌즈형 철검은 단조로 만들기 어렵다. 주조로제작된 칠지도와 大R府大竹西遺讀 SK5()1 토갱 출토 주조제 철검을 고려하면 원삼국시대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등장하는 단면 볼록 렌즈형 철검 역시 주조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한다.

      • KCI등재

        전북지역 원삼국시대 문화적 공백기에 대한 재검토

        김은정(Kim Eun Jung) 중앙문화재연구원 2016 중앙고고연구 Vol.0 No.19

        전북지역 원삼국시대 편년에 관한 논쟁 중의 하나는 기원 전후부터 2세기까지의 문화적 공백기의 여부 문제이다. 이 글의 목적은 전북지역 원삼국시대의 최근 자료를 정밀 분석하여 이러한 ‘문화적 공백기’의 문제를 검토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전북지역 원삼국시대는 2기로 대별할 수 있고 Ⅰ기는 Ⅰa와 Ⅰb(Ⅰa:기원 전후~2세기 전반, Ⅰb:2세기 중반~2세기 후반)로 세분할 수 있다. Ⅰa기는 고창 교운리 수혈 등 극소수만 확인되어 그 문화상을 정확히 알기 어렵다. 그러나 그 동안 알려지지 않은 상당수의 유적(백산성·동산동·장동 등)이 Ⅰb기에 등장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Ⅰb기의 유적에서는 원형계 주거지, 경질무문토기 등이 확인되었고, 이와 함께 타날문토기가 다수 출토되었다. 기존 연대관에 따를 경우 타날문토기는 3세기 이전으로 소급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으나, 이번 분석을 통해서 2세기대에 이미 타날문토기가 전북지역에서 사용되었음을 새로이 파악할 수 있었다. Ⅱ기는 3세기대로 편년되며 타날문토기가 압도적으로 증가하는 시기이다. 또한 주거 구조(평면형태, 기둥배치) 및 내부시설(화덕) 등에서도 이전과 다른 양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Ⅱ기의 문화는 전북지역 마한 문화와 백제를 연결하는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하게 된다. A debate about the chronology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Chonbuk Province is whether there is a cultural hiatus from around the beginning of A.D. to second century, sometimes known as ‘cultural dark age’. In this paper, recent data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Chonbuk Province are analyzed to reexamine the presence of the ‘cultural dark ag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period (I) is further divided into Ia and Ib:Ia is from around the beginning of A.D. to the first half of the second century, and Ib is from mid-second century through the latter half of the second century. As Ia period is identified in only few sites such such Gyoun-ri, Gochang, we do not know that full picture of its cultural composition. However, hither-to unknown sites including Baeksan Fortress, Dongsan-dong, and Jang-dong have been shown to belong to the Ib period. Round settlement and hard plain pottery with stamped design were found in the sites belonging to Ib period. Pottery with stamped design was previously thought to occur later than the third century; however, such pottery was found in the second century in the region of Chonbuk Province. The second period (II)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starts in the third century, and there is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quantity of the pottery with stamped design. Also, dwelling site (plain structure with columns) and inner facility(stove) show different patterns from the previous period. The culture of the second period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Mahan Culture to Baekje Kingdom in Chonbuk Province.

      • KCI등재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외줄구들의 편년과 전개양상

        박경신(Park, Kyoungshin) 중부고고학회 2016 고고학 Vol.15 No.3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외줄구들에 대한 연구는 계통론과 형식학적 분류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편년 단위 설정의 부재와 편년적 검토가 소략하여 많은 혼선을 초래하였다. 이 글은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외줄구들을 후벽부 외줄구들과 측벽부 외줄구들로 대별하고 이를 화구의 위치에 따라 5개의 형식으로 세분하였다. 이렇게 세분된 형식을 각 취락에서 추출한 주거군 단위 편년을 대입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외줄구들의 각 형식별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후벽부 외줄구들은 원삼국Ⅱ-1~Ⅱ-3기에 영서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는데 산발적으로 원삼국Ⅲ-1기까지 존속한다. 점진적으로 한강 하류, 임진강, 남한강 상류로 확산된다. 특히 원삼국Ⅱ-3기가 되면 북한강 유역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점이 특징이다. 주거지의 평면형태는 (장)방형과 오각형이 중심이다. 측벽부 외줄구들은 원삼국Ⅱ-3~Ⅲ-1기에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된다. 점진적으로 한강 하류의 지류를 따라 확산되는 양상을 보인다. 주거지 평면형태는 오각형과 육각형이 중심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시기에 따라 두 가지 형식의 외줄구들이 각각 출자를 달리하여 중부지역에 유입되었고 유행 시기와 지역이 각각 상이하였음을 방증해 준다. 또한 노지 → 외줄구들 → 부뚜막이라는 단선적 발전론으로 해석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Studies on Tunnel-shaped heating system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central region were mainly focused on genealogy and typological classification. However, the absence of chronology unit setting and rough chronological review caused a lot of confusion. This paper generally classified Tunnel-shaped heating system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central region into Tunnel-shaped heating system installed on the back wall and Tunnel-shaped heating system installed on the side wall and subdivided it into five typ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ireplace By substituting dwelling group unit chronology extracted from each village for the subdivided type, we examined development patterns by each type of Tunnel-shaped heating system over time. Tunnel-shaped heating system installed on the back wall is found around Yeongseo Area during Proto-Three Kingdoms Ⅱ-1~Ⅱ-3 period and remains until Proto-Three Kingdoms Ⅲ-1 period sporadically. Gradually, it spreads to lower Han river, Imjin River, upper Namhan River. In particular, its feature is to completely disappear from Bukhan River Basin during Proto-Three Kingdoms Ⅱ-3 period. The main plane shapes of dwelling are (rectangle) square and pentagon. Tunnel-shaped heating system installed on the side wall is found around Gyeonggi Province during Proto-Three Kingdoms Ⅱ-3~Ⅲ-1 period. It gradually shows a pattern spreading along a tributary of lower Han River. The main plane shapes of dwelling are pentagon and hexagon. Thes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two types of Tunnel-shaped heating system were introduced in the central region depending on the time with different contribution and their fashion time and areas were different. It also means that they cannot be interpreted by the unilinear development theory of Furnace Tunnel-shaped heating system Fireplace range.

      • KCI등재

        中西部地域 原三國時代 土器 樣相

        성정용 한국고고학회 2006 한국고고학보 Vol.60 No.-

        This article reviews and critiques the traditional chronological schemes that have been used for the Proto-Three Kingdoms pottery from the midwestern region of Korea, and presents a more applicable and stable chronological scheme that may resolve problems identified in previous chronologies. I also examine variation in local pottery style within the study region, as well as aspects of pottery production and circulation, in order to consider the archaeological implications of pottery chang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general,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refers to a time period f Analysis suggests that the traditional ceramic culture of the region was replaced by that of Hanseong Baekje in the later half of the fourth century AD. More specifically, hard plain pottery(Kyungjilmumun pottery) was gradually replaced by paddled pottery(Tanalmun pottery) with an elongated egg-shaped form and imprinted lattice pattern decoration at around the late third to the early fourth century, while Kyungjilmumun beakers continued to be manufactured.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pottery from cemetery sites in the Cheongju and Cheongwon regions displayed slight inter-site variation, The nature of ceramic assemblages in the research area makes it clear that pottery may not be the best means of distinguishing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 artifact assemblages for this region. It is therefore possible to suggest that metal artifacts may be a more reliable means of distinguishing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 assemblages for the midwestern region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