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티언 경력(Protean Career)의 통합적 개념모형 개발

        소병한,송지훈,김지현 한국인력개발학회 2019 HRD연구 Vol.21 No.2

        Over the years,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at facilitate career success because career attitude and behavior have changed dramatically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field. To Understand the related career concept in the modern, we need to point out that the ‘Protean Career’. Because ‘Protean Career’ is more specifically identify value-driven (one’s own values) and self-directed behavior to define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the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ost of Protean career attitude was measured by scale of Briscoe & Hall(2006). However the protean career concept has received in the career literature, empirical research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It is important to comprehensively manage the 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 of the protean career. Therefore, from these problematic standpoints, the primary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developing a theoretically integrated protean career model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approach. As the research result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protean career should be composed of three major domains including Protean Career Cognition(PCC), Protean Career Orientation(PCO), and Protean Career Behavior(PCB). Furthermore, three major domain involves six sub-factors that PCC(identity, adaptability), PCO(self-directed, value-driven), and PCB(coping with change, reflective behavior). Research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recommendations were provided following practical and theoretical research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티언 경력(protean career)의 통합적 개념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프로티언 경력은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경력환경에서, 개인의 경력개발 과정이 가치 있고 주체적이며 주관적 경력성공을 중시하는 새로운 형태의 경력변화 개념이다. Hall(1976)에 의해 처음 도입된 이후, 개인의 ‘가치지향성’과 ‘자기주도성’을 중심으로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개발되었고, 이 후 대부분의 경력개발 선행연구에서 이 척도가 활용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구성요소는 프로티언 경력개념의 핵심요소(정체성, 적응성)를 반영하지 못하였고, 하위개념이 단일차원으로 인식되어 통계적 유의성이 일관되게 확보되지 못한 점 이외에 프로티언 경력‘태도’만을 측정한 한계가 존재하였다. 특히, 태도는 개인의 경력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변인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측정을 위한 언어적 태도(verbal attitude)는 실제 태도와 다를 수 있고, 경력인식-태도-행동 간의 불일치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프로티언 경력이 추구될 수 없다는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개인의 프로티언 경력이 태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닌 프로티언 경력인식, 프로티언 경력행동으로까지 일관되게 실천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및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1976년부터 2017년까지 '웹오브사이런스'에서 ‘protean career'를 주제로 프로티언 경력의 구성요소를 규명한 SSCI 논문 27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티언 경력 구성요소는 ‘프로티언 경력인식(정체성/적응성), 프로티언 경력태도(자기주도성/가치지향성), 프로티언 경력행동(변화관리/성찰행동)’의 3개의 구성요소와 6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기여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헤어디자이너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직무몰입의 매개 효과 및 직무소진의 조절 효과

        김종란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2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hair design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63 employees working at a representative A brand hair salon in Korea,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 and SPSS Process Macro v. 3.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tean career orientation affects job commitment to focus on oneself in all aspects related to their job, and as a result, it has a mediating effec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that satisfies their career. Secon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job burnout, the moderating effect on job commitment was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areer success plan for hair salon workers with relatively high turnover rate in the service field by dealing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hair sal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lack of hair designer protean career orientation in terms of the mediating role of job commitment and job burnout in career success. 본 연구는 헤어디자이너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의 매개효과와 직무소진에 있어서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적인 A브랜드 헤어살롱에서 근무하고 있는 163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통계패키지 SPSS 21.0과 매크로 프로그램인 SPSS PROCESS Macro의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프로티언 경력지향은 자신의 직무와 관련된 모든 측면에 자신을 집중하는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자신의 경력에 만족하는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고, 둘째,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직무소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헤어디자이너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경력성공에 있어서 직무몰입의 매개 및 직무소진의 조절역할에 대한 실증적 구명을 통해 본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헤어디자이너 프로티언 경력지향성 및 폭넓게는 헤어살롱 조직문화에 대한 이해를 다루어 봄으로써, 서비스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이직률이 높은헤어살롱 종사자의 경력성공 방안을 제안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체육조직의 학습조직문화, 프로티언 경력지향성 및 지각된 경력성과의 구조관계

        유광길 한국사회체육학회 201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76

        Purpose: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perceived career performance in sports organizations. Method: For this purpose, the employees of sports organizations in Jeollabukdo provinces were surveyed. Except for nineteen questionnaires, final 281 out of 300 ones were statistically managed. SPSS 21.0 and LISREL 8.80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came from the study. First, the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of sports organizations was significant to protean career orientation of employee in sports organizations. Second, the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of sports organizations were significant to perceived career performance of employee in sports organizations. Third,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of employee in sports organizations were significant to perceived career performance. Conclusion: The study will make an impressive contribution as career improvement guidelines when the employees of the sports organizations try to develop their career.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피드백추구행동과 역할 내 성과 및 역할 외 성과에 미치는 영향: 프로티언 커리어 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아현,김주영,박천용,차동옥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11

        조직은 급격한 환경변화와 날로 치열해지는 경쟁으로 인해 끊임없이 성장하고 발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조직은구성원들의 역량을 제고시키고 구성원들로부터 바람직한 행동과 높은 수준의 성과를 이끌어내야 한다. 이를 위해조직은 구성원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하며, 리더는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한다. 임파워링 리더십은구성원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하고 창의성을 촉진하여 조직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성원들이 다양한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업무환경을 제공한다. 프로티언 커리어 지향성은 구성원들이 자신의 커리어에 대해가치지향적이며, 자기주도적으로 자신들의 업무성과와 역량을 향상시키려는 태도이다. 그런데 임파워링 리더십과프로티언 커리어 지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그리고 프로티언 커리어 지향성이 구성원들의 행동과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도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프로티언 커리어 지향성과 구성원들의 피드백추구행동 그리고 역할 내 성과및 역할 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어떤 과정을 거쳐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피드백추구행동과 역할 내 성과 및 역할 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프로티언 커리어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315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본연구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피드백추구행동, 역할 내 성과 및역할 외 성과 간의 관계에서 프로티언 커리어 지향성의 매개효과가 실증적으로 검증되어 임파워링 리더십이구성원들의 피드백추구행동과 역할 내/외 성과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실무적시사점은 리더는 구성원들의 피드백추구행동과 같은 긍정적인 행동과 역할 내/외 성과를 촉진시키기 위해적극적으로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하여 구성원들의 프로티언 커리어 지향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밝힌 점이다. Organizations must constantly grow and evolve due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nd intensifying competition. To achieve this, organizations need t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their employees and to lead desirable behaviors and high levels of performance from them. In order to do so, organizations should actively support their employees, and leaders should demonstrate effective leadership. Empowering leadership grants autonomy to employees and fosters creativity, thereby enhancing the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Additionally, it provides a work environment where employees can develop diverse competencies. Protean career orientation refers to employees’ values-driven and self-directed attitude toward improving their job performance and competencies within their careers. Howeve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Protean career orientation is lacking. Furthermore, there is still a gap in understanding how Protean career orientation influences the behaviors and performance of employe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powering leadership on in-role performance, extra-role performance as well as feedback-seeking behavior through protean career orientation. To achieve this goal,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role performance, extra-role performance, as well as feedback-seeking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mployees working in Korean companies, with a total of 315 valid responses analyz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support all research hypotheses and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프로티언경력지향성, 지속학습활동,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나영(Na-Young Kim),정승철(Sung Cheol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지속학습활동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 대해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이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기업 경력 5년 이상의 사무직 근로자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와 Process Macro v3.5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지속학습활동이 매개하는 것은 확인되었지만,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의 하위변인인 ‘자기주도성’이 지속학습활동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 및 그 하위변인 ‘고용가능성’,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 대한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에 제한점, 후속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organization culture unbalance plays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on the mediation process that protean career orientation influence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To this end, a survey was carried out on 276 office work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work experience in large compani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 and Process Macro v3.5. The results showed that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protean career orientation affecting subjective career success, but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unbalance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unbalance on the mediation process, that ‘self-direction’, protean career orientation’s sub-factor, affects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its’ sub-factor ‘employability’, and ‘career satisfaction’ through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our finding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The effects of learning organization climate of food service corporations on protean career orientation, career satisfaction

        박규은,오동윤,이수범 한국관광연구학회 2018 관광연구저널 Vol.32 No.10

        The food service industry has been growing consonantly so far and, as a consequence, such development of the industry is demanding individual employees of the industry for the ability to make work-related decisions for themselves based on their expert skills and knowledge. Most importantly, the industry is emphasizing the significance of voluntary career improvement of the individual employees. Specifically, in terms of what the employees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do, since the employees keep dealing with customers and since their work environments continuously change, and career improvement to actively cope with such changes in the environment has been a main assignment not only to the individual employees but also food service corporations. In the light of that, this study selected employees of the food service corporations as research subjects and with this structurally-related hypothesis that learning organization climate of employees' organizations has significant effects both on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career satisfaction set up, the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using SPSS and AMOS. As a result, learning organization climate of the food service corporation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career satisfaction. Based on what had been learned above, the study came up with a few ke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udy is considered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had empirically confirmed findings of previously-conducted researches and had presented a possibility of a new argument as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all those contemporary career concepts, protean career orientation, learning organization climate and career satisfaction.

      • KCI등재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결과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이영광,박선영,김진관,kittituch orisoon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1 No.3

        The research purpose is to examine the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related to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outcome variables and to clarify the mean effect sizes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 and outcome variable by using Meta-analysis. Based on the PRISMA flow chart, 56 journals from KCI and SSCI (28 in domestic and 28 in aboard) were selected. A homogeneity test, a publication bias test, and an effect siz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a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program developed by Biostatrk. The effect size was interpreted based on the criteria of Cohen (198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tean career attitudes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the order of employment possibility, subjective career success, career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self-directed, which is a subfactor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size in the order of job satisfaction, employment possibility, career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Third, value orient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protean career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결과 변인 간 평균 효과크기를 밝히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관련 문헌을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 56편(국내 28편, 국외 28편)을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미국 Biostatrk 개발한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동질성 검정, 출간 편향 검정, 효과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효과크기는 Cohen(1988)의 기준을 기반으로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프로티언 경력 태도는 고용가능성, 주관적 경력성공, 경력만족, 직무만족, 조직몰입 순으로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 태도의 하위요인인 자기주도성은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 고용가능성, 경력만족 및 단독 변인으로써 경력만족,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직무만족 순으로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티언 경력 태도의 하위요인인 가치지향성은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요인인 경력만족과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론과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기업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 잡 크래프팅, 내부 및 외부 고용가능성의 관계

        임수원,박윤희 한국기업교육학회 202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4 No.1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 이후 대기업 여성 근로자의 경력개발 및 경력단절을 예방할 수 있는 인적자원개발 차원의 접근 제고를 위하여 대기업에 근무하는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프로티언 경력지향성, 잡 크래프팅, 내부 및 외부 고용가능성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발표한 대기업에 근무하며, 경력 3년 이상인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267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은 내부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외부 고용가능성에는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은 잡 크래프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 크래프팅은 내부 고용가능성과 외부 고용가능성에 각각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내부 고용가능성 및 외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근로자들의 지속가능한 경력개발을 위해서는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을 강화시키고, 일터에서 잡 크래프팅을 활발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 여성 사무직 종사자들의 조직 내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을 높이는 동시에 잡 크래프팅을 촉진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이 외에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protean career orientation, job crafting, and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of millennial female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In pursuance of the study purpose, data of millennial female office workers, who had at least three years of working experience at large companies in the list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inally, 267 cases were considered for this study.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l employability, bu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xternal employability;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Additionally, job crafting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respectively. Finally, job crafting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insights and the empirical research evidences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promote job crafting in the workplace in order to increase internal and external employability for the sustainable career development of millennial female office worker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lso presen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개인의 프로틴 경력지향성이 규범적 기대(Normative Expectation)에 미치는 영향

        김경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n individual’s protean career orientation affects the level of normative expectation in the employment relationship. We expected that protean career orientation would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normative expectations for the organization’s inducements, whereas it would b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expectations for the individual’s contributions. 495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data have been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 individuals’ protean career orientation wa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level of normative expectation for the organizational inducements. Comparably, i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normative expectation for the individual contributions. And these effects were moderated by the extent of individuals’ work experiences. The results imply that individuals’ protean career orientation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newcomer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adaptation. 본 연구는 개인의 프로틴 경력지향성의 정도가 입사 전 조직에 대해 일반적으로 형성하는 규범적 기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고용관계에서의 규범적 기대는 조직의 혜택과 개인의 기여에 대한 기대로 구분하였으며, 혜택에 대한 규범적 기대는 프로틴 경력지향성과 부적 관계를 갖는 반면, 기여에 대한 규범적 기대는 정적 관계를 보일 것이라 예측하였다. 설문은 국내 대학교 4학년생 4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의 프로틴 경력지향성이 강할수록 향후 조직이 종업원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여기는 혜택에 대한 규범적 기대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종업원이 조직을 위해 제공해야 한다고 여기는 기여에 대한 규범적 기대치는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직무경험이 있을수록 이와 같은 영향력은 더욱 강해지는 현상을 보였다. 신입사원의 규범적 기대가 입사 후 조직적응이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변수임을 고려할 때, 본 연구결과는 개인의 프로틴 경력지향성이 조직사회화 과정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기혼 여성근로자들의 프로틴 경력지향성과 일-가정 균형 및 경력만족의 관계 - 업무 후 모바일기기 사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현미 ( Go Hyun Mi ),박재춘 ( Park Jae Chun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1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8 No.1

        In this study,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and mobile device use after work were verifi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rried female workers' protean career orientation toward career satisfaction based on JD-R theory, WH-R model. Through this, we tried to grasp a single comprehensive model of controlled mediating effects rather than verifying simple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and simple manipulation effect of mobile device use after work. The results of a study on 278 married female employees who are engaged in domestic manufacturing and major service industrie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ork-family balance and career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use of mobile devices after work by work-family balance was proved in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career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