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디자인특허를 이용한 제품디자인의 형상 관리방안 기초연구

        서수민(Seo, Soo Min),황성걸(Hwang, Sung Gu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7 No.-

        디자인특허는 시각적 대상에 대하여 독점배타적인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로, 제품디자인의 외관형상에서 특정 부분을 강조하거나 지속적으로 응용하여 디자인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쓰일 수 있다. 제품디자인 형상의 재료라 할 수 있는 요소들이 선별되고 조합되는 과정에 디자인 특허적 권리가 더해질 경우 시장에서 차별성 있는 정체성 구축에 유리해 질 것이고 구체성 있는 특허로서의 권리는 형상요소 그 자체를 관리하는 것에 비하여 가치의 측정과 계획 설정이 용이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특허를 통한 제품디자인의 형상요소 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기업의 디자인특허 포트폴리오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자 애플사의 스마트폰 디자인특허를 대상으로 디자인특허와 형상요소의 관계를 이해하고 형상요소를 분석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분석 대상인 디자인특허건의 선별과 해당 디자인 특허건에서의 디자인요소 추출 및 분석단계로 이루어졌다. 우선 분석 대상 선정을 위해서 애플사의 등록 완료된 디자인특허 중 스마트폰 형상의 전체 또는 일부를 권리의 범위로 특정한 건을 선별하였고 그 중에서도 디자인특허 내의 도면에서 형상요소를 선택하거나 생략하는 편집이 이루어진 건만을 따로 구분해 냈다. 그 후 형상요소의 추출 단계에서는 대상 도면에서 형상에 관련된 권리 부분만을 남긴 후 형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 즉, 원이나 사각형과 같은 기본도형이나 하나의 완결된 외곽선을 낱개로 분리해 제품외관에 사용된 모든 요소를 추출했다. 그 결과 분석 대상 디자인 특허건에서 다루어진 모든 형상 요소의 도출이 이루어 졌고 각 요소가 서로 결합한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일부 형상요소는 다른 형상요소들 보다 더 자주 그리고 더 다양하게 디자인특허권으로 운영되었음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애플사가 디자인정체성을 구축하기 위해서 핵심적인 형상요소를 관리한 패턴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애플사는 2011년 삼성사와의 디자인특허 분쟁 이전부터 특허에 대한 집중적 투자와 관리를 해온 기업으로 디자인특허가 가진 제도적 특징과 장점이 충분히 활용된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사의 디자인 특허건에서 형상요소의 분석을 시도하고 분석방법을 제시한 본 연구는 후속연구에서 애플사가 최초의 스마트폰을 선보인 이후 십여 년간 핵심적 형상요소를 어떻게 관리해 왔는지를 분석할 토대가 될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디자인특허를 통한 제품형상의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ign patenting is a system that grants exclusive rights to the visual aspect of objects, which can be used as a very effective tool for companies that seek to establish a design identity by emphasizing or continually applying certain aspects of a product’s design. This is because, if the design patent right is added to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combining shape elements, which can be considered the materials of the product design shape, it will be beneficial to establish the identity through market differentiation and it would be relatively easier to measure the value and set a plan concerning the rights as a concrete patent than to manage the shape elements themselves. This study is preliminary research for developing a management method for the shape elements of product design through design patent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atent and shape elements to analyze a company’s operating case of a design patent portfolio, and propose a way of analyzing shape elements through the specific case of Apple’s smartphone design patent. This study consists of selecting the design patent cases for analysis and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design elements in the corresponding design patent case. First, to specify the analysis target among Apple’s registered design patents, the cases that included the whole or part of the shape of the smartphone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were sorted. Among them, only the cases in which the shape elements were selected or omitted in the plan included in the design patent were selected. Subsequently, in the stage of extracting the shape elements, only the parts of the rights in the target plan related to the shape were left, and all elements used in the product shape were extracted by separating them into the minimum unit that constitutes the shape—including basic figures such as a circle, rectangle, or complete outline. Thus, all shape elements covered in the analyzed design patent cases were obtained and the way each element was combined with the others was identifie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some shape elements were managed more frequently under the patent rights and more diversely than other shape elements,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pattern through which Apple managed the key shape elements to establish its design identity. Apple has been extensively investing in and managing patents since before its design patent dispute with Samsung in 2011. This means that Apple is a corporation that has established a portfolio that sufficiently utilizes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design patents. This study, which attempts to analyze the shape elements in Apple’s design patent cases and thus proposes an analysis method, will be the foundation for the follow-up studies to analyze how Apple has managed key shape elements in the ten years since it introduced the first smartphon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product shapes through design patents.

      • KCI등재

        제품조형 보호를 위한 디자인특허 출원의 대상과 방법 연구

        서수민(Seo, Soo Min),황성걸(Hwang, Sung Gul)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8 No.-

        지난 2011년 애플사가 삼성사를 상대로 제기한 디자인침해 소송은 양사가 보유한 각각의 디자인특허건과 양산제품에 대한 다각적 검토를 이어가며 긴 법적공방을 끌어오고 있다. 그 과정에서 애플사가 제기한 삼성사의 침해 내용 중 일부는 무효 판결을 받았고 배상금의 규모도 앞으로 남아있는 재판을 통해 줄어들 가능성이 있어 애플사의 초기 주장은 어느 정도 축소된 감이 있다. 그러나 분쟁 기간 동안 발행한 대응 비용과 언론을 통해 각인된 카피켓 디자인이라는 이미지는 삼성사가 해결해야할 문제로 남았다. 또한, 애플사가 구축해 온 체계적인 디자인특허 포트폴리오가 알려지면서 애플사가 자사의 디자인권리 관리에 적극적이고 디자인침해에 준비되어있다는 것이 기타 경쟁자와 잠재적 경쟁자에게까지 각인되었다. 따라서 디자인특허는 등록의 여부나 소송의 결과 또는 배상금의 측정과 같이 명료하게 결과를 알 수 있는 부분뿐만 아니라 실제제품과 시장의 관계에서 방어력 구축의 내용과 과정측면에서도 연구되어야 할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특허의 방어력 구축과정에 관한 연구로서 디자인개발자 관점의 디자인특허 출원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디자인특허의 제도를 이해하고 디자인개발에서 도출된 제품조형에서 권리화 대상의 선정과 권리 구성의 방안을 연구하였다. 우선 디자인특허에서 권리의 내용은 출원 시 이미지로 표현되는 그대로 특정이 되고 선도를 도시하는 방법에 따라 권리설정의 여부마저도 선택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실제 시장 판매 제품과는 별개로도 권리화에 대한 적극적인 편집과 구성이 가능하고 특히 계속출원이나 다중실시예와 같은 특유제도를 활용할 경우에는 하나의 디자인 테마에서 발생한 여러 개의 조형 안을 여러 건의 디자인특허로 등록받아 권리를 확장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두 번째, 제품디자인의 조형에 있어서는 디자인개발과정에서 도출된 단 하나의 완성된 조형물에만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과정전체에 걸쳐 발생한 다양한 조형요소와 그 결합의 상태들 모두가 권리화의 대상으로 검토가 되어야 한다. 그 결과 개발과정 전체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조형요소일수록 디자인개발자가 생각하는 핵심적 조형이므로 강한 보호가 필요한 대상이고 자주 등장한 조합의 경우일수록 이를 토대로 타인에 의한 희석화가 일어날 수 있는 유사한 디자인의 범위를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특허의 개념은 디자인보다는 기술의 보호와 운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디자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디자인특허의 보호와 운영 방안은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개발의 단계와 디자인권리화의 단계를 상호 협력적이며 동시 진행되는 과정으로 보고 디자이너가 권리화의 대상과 권리의 구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제품조형의 디자인출원 과정을 토대로 실제 시장제품과 분쟁에 대한 분석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더 나아가서는 지식재산으로서의 디자인가치 운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It can be said that Apple’s claim has been somewhat reduced since some parts of the design infringement claimed by Apple have been ruled invalid and the amount of damages claimed is likely to be reduced through future trials. However, the response cost generated during the legal dispute and the reputation for “Òcopycat design”Ó created through the media remain problems to be solved by Samsung. In addition, as the systematic design patent portfolio that Apple has built was revealed, it has become known to other competitors and even to potential competitors that Apple is actively managing its design rights and ready to deal with design infringement. Therefore, a design patent should be studied not only in terms of the aspects whose results can be clearly identified-such as the status of registration or the result of a lawsuit-but also in terms of the content and process of defense establishment in relation to the actual product and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design patent application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sign developer to effectively protect product shaping from competitors. It first examines the system of a design patent and studies the selection of the object of rights and the strategy for the composition of rights in product shaping derived from design development. In a design patent, the content of the right is specified as it is expressed in the image at the time of filing, and even whether a right is establishe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way in which the diagram is illustrate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edit and organiz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ight separately from the actual market products. In particular, when utilizing the unique system,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rights by registering several shaping designs derived from one design theme with multiple design patents. Second, in the shaping of product design, not only is the finished product of design derived from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worthwhile but also the various shape elements and the states of combination that occur throughout the process should all be considered as possible objects of design rights. This is because the most frequently used shape elements throughout the development process need strong projection since they are what the designers consider the core shape elements and because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combinations provide the basis on which the range of similar designs that can be diluted by others is known. In general, the concept of a patent in companies is focused on the protection and operation of technology rather than design. Therefore, research on design patent protection and operation that considers the specificity of design needs to be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developers. This study is intended to help the designer understand the object of rights and the composition of rights by considering the phases of design development and generating design rights as a mutually collaborative and concurrent process. Based on the design application process of the product shaping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analysis of actual market products and disputes and, furthermore, to endeavor to contribute to the operation of design value as intellectual property.

      • KCI등재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요소 발굴 및 운영방안 제안 - Home Appliance 사례를 중심으로 -

        오승호 ( Oh Seung H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3 No.-

        기술의 발전과 사회트렌드의 변화로 인한 제품의 세분화, 다양화는 일관된 기업 철학과 아이덴티티를 소비자에게 전달해야 하는 기업에게 많은 제약과 어려움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의 세분화와 다양화는 기존의 형태, 칼라 중심의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에도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삼성, LG 등 다양한 가전제품을 개발, 제조하고 있는 종합가전회사들은 이러한 제품의 세분화와 다양화에 따라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통한 기업 이미지의 효과적인 전달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분야 기업들의 아이덴티티 발굴 사례 분석 및 문헌조사 등을 통하여 기존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 접근방법의 제약과 한계를 파악하고 변화되고 있는 종합가전회사의 특성에 적합한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 발굴 및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 요소를 시각적 측면, 사용성 측면 및 감성적 측면으로 재분류하여 도출하고, 도출된 아이덴티티 요소의 지속성과 파급성을 고려한 선정기준과 함께 핵심 요소를 전략적으로 공용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도출한 결과를 적용한 제품 디자인 아이덴티티의 운영 방안을 제시하여 핵심 아이덴티티 요소의 구체적인 활용을 위한 요소별 Pool 구축과 아이덴티티 전담조직 구성 등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 및 운영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segmentation and diversification of products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hanges in social trends are giving many constraints and difficulties to enterprises that must deliver consistent corporate philosophy and identity to consumers. The segment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se products also call for many changes in the existing form, color-oriented product design identity and brand identity strategy. In particular, comprehensive home appliance manufacturers, which develop and manufacture various home appliances such as Samsung, LG are finding it more difficult to effectively convey their corporate image through product design identity due to the segment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se products.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roduct design identity approach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identity discovery cases and literature surveys of companies in related fields, and a product design identity discovery and management plan was propos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ing household appliance company. Through this, it was proposed to derive product design identity elements by reclassifying them into visual, usability and emotional aspects, and strategically sharing key elements along with selection criteria considering the persistence and ripple effects of derived identity elements. In addition, the operation plan of the product design identity applied with the results was presented, suggesting that continuous management and operation is necessar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pool by element and the organization dedicated to identity for specific utilization of key identity elements.

      • KCI등재

        FTA체결 후 제품외형 디자인이 물류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규상 ( Kyu Sang Jung ) 한국물류학회 2014 물류학회지 Vol.24 No.5

        현재의 물류산업은 단순히 기업의 제조 및 유통을 지원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고부가 가치화, 복합화, 글로벌화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따라 물류산업이 기업의 생산 및 유 통 전체를 지원하는 SCM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경쟁도 단위기업간의 경쟁에서 공 급체인간의 경쟁으로 확대되고 있다. 물류산업은 글로벌 경쟁요소의 등장으로 전통적 물류기능에서 확장되어 녹색물류, 공 급체인보안 등 종합적 서비스 역량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대형화, 글로벌화, 정보화 등을 통한 원가 경쟁력이 무엇보다 강조되고 있다. FTA 체결 후 미국과 EU의 제품들은 FTA 체결 전보다 판매량이 증가하였다. 그 이유 는 동지역의제품들에 대한 제품의 디자인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물류활동은 그러한 제품의 가치를 한층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logistics industry not only has supported the manufacture and flow of the company, but also has high value-added, integrated and globalized. According to this phenomenon, the logistics industry has been extending to the SCM area that supports the entire production and flow of business while the competition between business units has become the competition between supply chains. Furthermore, the logistics industry has been going beyond traditional logistics capabilities, requiring comprehensive service capabilities such as green logistics, supply chain securities, etc. Also, it has especially been highlighted to obtain cost competitive advantages by enlargement, globalization, information technology, etc. After the FTA, the product sales of the US and the EU have been highly increased than the past. The reason is that the design of the produc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products of the region. Last but not least, logistics activities could be an important means to increase the value of these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